KR0150899B1 -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99B1
KR0150899B1 KR1019950057524A KR19950057524A KR0150899B1 KR 0150899 B1 KR0150899 B1 KR 0150899B1 KR 1019950057524 A KR1019950057524 A KR 1019950057524A KR 19950057524 A KR19950057524 A KR 19950057524A KR 0150899 B1 KR0150899 B1 KR 015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pressure
absorbing device
mounti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39A (ko
Inventor
최종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99B1/ko
Publication of KR97003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구(15)가 장착구(22)내부에서 일시에 밀려나가지 않고 상부챔버(28)에서 소정시간동안 지연되었다가 상부챔버(28)의 압력이 어느정도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하부챔버(26)에 설치되 화약(30)이 폭발하여 밀려나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벨트(10)의 신장중단동작 후 걸림구(15)가 밀려나가게 되므로써 다시 안전벨트(10)의 길이가 약간 신장되면서 안전벨트(10)와 신체와의 접촉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압박력을 분할하여 주므로 운전자 등의 신체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벨트 12 : 결합구
14 : 버클 15 : 걸림구
16 : 걸림편 20 : 차체
22 : 장착구 24 : 분리턱
26 : 하부챔버 28 : 상부챔버
29 : 압력감지센서 30 : 화약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는 충돌사고 등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내 전방의 핸들, 대시패널 및 윈드실드 등의 고형물에 부딪히게 되거나 윈드실드밖으로 튀어나가게 되므로써 받게 되는 2차적인 충돌에 의하여 사망 또는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벨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급정차시나 운전자 및 승객이 차내에서 몸을 가눌때에는 자유자재로 신축가능하고, 비정상적인 급격한 감속 및 충돌사고 등에 의한 급감속시에는 안전벨트의 신장이 정지되어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안전벨트에 있어서는 충돌사고시 안전벨트는 신장이 정지되므로 관성령에 의하여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리게 될 때, 신장이 정지된 안전벨트가 운전자 등의 신체 특히, 흉부를 강한 힘으로 압박하게 되므로써,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가 역으로 작용하여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 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써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어 안전벨트의 버클후단에 부착된 걸림구가 장착되는 장착구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시키되, 이 장착구는 내부의 중간부에 분리턱을 형성시켜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분시키며, 상기 걸림구는 그 후단에 상기 상부챔버에 끼워져 피스톤역할을 할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챔버의 소정위치에는 압력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하부챔버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일 경우 폭발하도록 세팅한 화약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소정힘 이상의 압력이 걸리게 되면 걸림구가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써 걸림구후단의 걸림턱이 상부챔버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챔버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면 상부챔버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가 이 압력을 감지하여 하부 챔버의 화약에 점화신호를 보내므로써 하부챔버의 화약이 폭발하면 하부챔버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아져 걸림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안전벨트를 소정길이만큼 신장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벨트(10)의 일단에 부착된 결합구(12)가 걸리는 버클(14)의 걸림구(15)는 그후단에 걸림턱(16)이 형성되고, 이 걸림구(15)는 차체(20)에 부착된 장착구(22)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어지되, 이 장착구(22)는 밀폐형으로 형성되고, 그내측의 중간부에 분리턱(24)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6)이 끼워지는 상부챔버(28) 및 하부챔버(26)로 구분되며, 상부챔버(28)에는 압력감지센서(29)가 설치되고, 하부챔버(26)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29)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일 경우 폭발하도록 세팅된 화약(30)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충돌직후, 안전벨트(10)의 신장이 정지되면서 운전자 등의 신체가 안전벨트(10)에 접촉하게 될 때, 이 부딪히는 힘이 소정한도를 넘게 되면 안전벨트(10)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안전벨트(10)의 일단을 고정하고 있는 버클(14)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22)의 상부챔버(28)에 끼워진 걸림구(15)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부챔버(28)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며, 이 높아진 압력을 압력감지센서(29)에서 감지하여 하부챔버(26)dp 설치된 화약(30)에 점화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감지센서(29)로부터 점화신호를 인가받은 화약(30)은 순간적으로 폭발하면서 하부챔버(26)내의 압력을 높여주게 되고 하부챔버(26)에서 가압된 압력은 상부챔버로 전달되어 걸림구(15)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6)을 상방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걸림구(15)가 장착구(22)의 외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밀려나게 되어 안전벨트(10)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다.
한편, 걸림구(15)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6)은 장착구(22)의 상단에서 걸리게 되므로써 더 이상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걸림구(15)가 장착구(22)내부에서 일시에 밀려나가지 않고 상부챔버(28)에서 소정시간동안 지연되었다가 상부챔버(28)의 압력이 어느정도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하부챔버(26)에 설치된 화약(30)이 폭발하여 밀려나가게 되는 것으로, 안전벨트(10)의 신장중단동작후 걸림구(15)가 밀려나가게 되므로써 다시 안전벨트(10)의 길이가 약간 신장되면서 안전벨트(10)와 신체와의 접촉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압박력을 분할하여 주므로 운전자 등의 신체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걸림구가 장착구내에서 소정시간 지연후에 화약의 혹발에 의하여 밀려나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온화시켜 주므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들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체(20)에 고정되어 안전벨트(10)의 버클(14)후단에 부착된 걸림구(15)가 장착되는 장착구(22)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시키되, 이 장착구(22)는 내부의 중간부에 분리턱(24)를 형성시켜 상부챔버(28)와 하부챔버(26)로 구분시키며, 상기 걸림구(15)는 그 후단에 상기 상부챔버(28)에 끼워져 피스톤역할을 할수 있는 걸림턱(16)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챔버(28)의 소정위치에는 압력감지센서(29)를 설치하고, 하부챔버(26)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29)의 신호를 받아 압력감지센서(29)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일 경우 폭발하도록 세팅한 화약(3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19950057524A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24A KR015089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24A KR015089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39A KR970039839A (ko) 1997-07-24
KR0150899B1 true KR0150899B1 (ko) 1998-10-15

Family

ID=1944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524A KR015089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3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3962B1 (en) Connecting device arranged in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772246A (en) Mechanical shock reduction in pretensioners
KR01508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8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8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62211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50074B1 (ko) 자동차안전벨트잠금장치의기동장치를가동하기위한제어장치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1359986B1 (ko) 차량용 충돌상해 저감 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01736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898001B1 (ko)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KR01735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