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92B1 -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92B1
KR0150892B1 KR1019950063083A KR19950063083A KR0150892B1 KR 0150892 B1 KR0150892 B1 KR 0150892B1 KR 1019950063083 A KR1019950063083 A KR 1019950063083A KR 19950063083 A KR19950063083 A KR 19950063083A KR 0150892 B1 KR0150892 B1 KR 015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clamps
vehicle s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78A (ko
Inventor
서정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92B1/ko
Publication of KR97003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안전벨트(10)의 중간부를 소정의 길이로 마주잡은 상태에서 이 접힌부위(12)에 각각 다른 폭을 갖는 제1,제2,제3클램프(14,16,18)를 차례대로 끼운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사고시 안전벨트(10)에 순간적으로 걸리게 되는 큰 장력에 의하여 클램프(14,16,18)가 이탈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벨트 12 : 접힌부위
14 : 제1클램프 16 : 제2클램프
18 : 제3클램프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는 충돌사고 등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내 전방의 핸들, 대시패널 및 윈드실드 등의 고형물에 부딪히게 되거나 윈드실드밖으로 튀어나가게 되므로써 받게 되는 2차적인 충돌에 의하여 사망 또는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벨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급정차시나 운전자 및 승객이 차내에서 몸을 가눌때에는 자유자재로 신축가능하고, 비정상적인 급격한 감속 및 충돌사고 등에 의한 급감속시에는 안전벨트의 신장이 정지되어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안전벨트에 있어서는 충돌사고시 안전벨트는 신장이 정지도므로 관성력에 의하여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리게 될 때, 신장이 정지된 안전벨트가 운전자 등의 신체 특히, 흉부를 강한 힘으로 압박하게 되므로써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가 역으로 작용하여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서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소정의 길이만큼 2겹으로 마주잡은 상태에서 이 접힌부위에 폭이 다른 복수의 클램프를 끼워 넣어 안전벨트에 소정힘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질 때, 안전벨트에 끼어진 클램프가 이탈되면서 안전벨트의 길이가 다단계로 신장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벨트(10)의 중간부를 소정의 길이 마주접은 상태에서 이 접힌부위(12)에 각각 다른 폭을 갖는 제1,제2,제3클램프(14,16,18)를 끼워 넣은 것이다.
상기 복수의 클램프(14,16,18)는 판상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안전벨트(1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의 고리형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클램프(14,16.18)의 내측 간격은 안전벨트(10)의 접힌부위(12)두께보다 좁게 형성시켜 안전벨트(10)가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므로써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클램프(14,16,18)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안전벨트(10)에 소정힘 이상의 인장력이 걸리게 될 경우 벗겨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전벨트(10)의 접힌부위(12)에 끼워지는 제1,제2,제3클램프(14,16,18)는 폭이 좁은 것부터 폭이 넓은 순서로 끼워 넣되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전벨트(1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접힌부위(12)가 제1,제2,제3클램프(145,16,18)에 의하여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고, 충돌사고시에는 안전벨트(10)에 순간적으로 큰 장력이 걸리게 되므로써 접힌부위(12)의 양측으로 안전벨트(10)가 당겨지게 되므로써 하단의 제1클램프(14)가 상부로 올려지게 되면서 안전벨트(10)의 길이가 약간 신장되게 되는 것이고, 하단의 제1클램프(14)는 중간부의 제2클램프(16)에 닿아 안전벨트(10)의 인장력에 의하여 하단의 제1클램프(14)와 중간부의 제2클램프(16)가 동시에 상방으로 올려지게 되므로써 안전벨트(10)의 길이가 더욱 신장되는 것이며, 최종단계에서는 제1,제2,제3클램프(14,16,18)가 모두 안전벨트(10)의 접힌부위(12)를 이탈하게 되므로 안전벨트(10)가 다단으로 여러차례 신장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충돌직후, 안전벨트(10)의 신장이 정지되면서 운전자 등의 신체가 안전벨트(10)에 접촉하게 될 때, 이 부딪히는 힘이 소정한도를 넘게 되면 안전벨트(10)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고, 이 때 2겹으로 접힌부위(12)에 끼워진 복수의 클램프(14,16,18)는 상부로 이탈되면서 안전벨트(10)의 길이가 여러차례 조금씩 신장되면서 안전벨트(10)의 인장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안전벨트(10)에 의하여 운전자등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감소시켜줌과 동시에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2겹으로 소정길이만큼 접고 이 부분에 폭이 다른 복수의 클램프를 끼운 것으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클램프에 의하여 접힘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하고, 충돌사고시에는 안전벨트에 순간적으로 걸리게 되는 큰 장력에 의하여 클램프가 이탈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들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10)의 중간부를 소정의 길이로 마주접은 상태에서 이 접힌부위(12)에 각각 다른 폭을 갖는 제1,제2,제3클램프(14,16,18)를 차례대로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19950063083A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KR015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83A KR015089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83A KR015089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78A KR970039878A (ko) 1997-07-24
KR0150892B1 true KR0150892B1 (ko) 1998-10-15

Family

ID=1944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083A KR015089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78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7097A (en) Restraining device
KR015089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구조
US6568709B2 (en) Breakaway web stop for seat belts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3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8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1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8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2955261B2 (ja) シートベルト吊持具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0987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 완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