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901B1 -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901B1
KR0150901B1 KR1019950063068A KR19950063068A KR0150901B1 KR 0150901 B1 KR0150901 B1 KR 0150901B1 KR 1019950063068 A KR1019950063068 A KR 1019950063068A KR 19950063068 A KR19950063068 A KR 19950063068A KR 0150901 B1 KR0150901 B1 KR 015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rail
hanger
multiple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64A (ko
Inventor
박재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901B1/ko
Publication of KR97003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걸이(14)내부에 다단으로 파괴되는 걸림편(20)을 스프링(18)으로 탄력지지하여 충돌사고시 필라(36)에 부착된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다단계로 걸리도록 한 것인 바, 충돌사고 등의 경우 안전벨트(10)가 급격히 신장이 정지되면서 신체를 압박하게 될 때, 안전벨트(10)의 일단이 연결된 벨트걸이(14)가 레일(30)의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안전벨트(10)의 길이들 다단으로 신장시켜 주므로써, 안전벨트(10)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벨트 12 : 벨트고리
14 : 벨트걸이 16 : 몸체
18 : 스프링 20 : 걸림편
22 : 걸림부 30 : 레일
32 : 걸림턱 34 : 고정볼트
36 : 필라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벨트걸이측에서 완충기능을 갖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는 충돌사고 등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내 전방의 핸들, 대시패널 및 윈드실드 등의 고형물에 부딪히게 되거나 윈드실드밖으로 튀어나가게 되므로써 받게 되는 2차적인 충돌에 의하여 사망 또는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벨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급정차시나 운전자 및 승객이 차내에서 몸을 가눌때에는 자유자재로 신축가능하고, 비정상적인 급격한 감속 및 충돌사고 등에 의한 급감속시에는 안전벨트의 신장이 정지되어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안전벨트에 있어서는 충돌사고시 안전벨트는 신장이 정지되므로 관성령에 의하여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리게 될 때, 신장이 정지된 안전벨트가 운전자 등의 신체 특히, 흉부를 강한 힘으로 압박하게 되므로써,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가 역으로 작용하여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 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써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는 차체의 측면 필라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안전벨트가 끼워지는 벨트걸이에 있어서, 상기 필라에는 다수의 걸림턱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고정부착하고, 상기 벨트걸이에는 상기 레일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다단으로 파괴되는 걸림편을 스프링으로 탄력지지하여,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에 장력이 걸리게 되면 상기 레일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편이 다단계로 파괴되면서 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되서 안전벨트가 신장되도록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다단계로 분할하므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차체의 측면 필라(36)에는 다수의 걸림턱(3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30)이 상,하부에서 고정볼트(34)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레일(30)에는 안전벨트(10)가 하단에 끼워진 벨트고리(12)의 상단이 고정되는 벨트걸이(14)가 끼워진 것으로, 이 벨트걸이(14)는 몸체(16)의 내측에는 걸림편(20)이 스프링(18)에 의하여 상기 레일(30)의 내측으로 밀리도록 탄력지지된 것이다.
상기 걸림편(20)은 그 하면에 다단의 걸림부(22)가 형성되고, 각 걸림부(22)는 레일(2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안전벨트(10)에 소정의 인장력이 걸리게 될 경우에는 선단의 걸림부(22)로부터 차례대로 떨어져 나가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시 안전벨트(10)를 착용하게 될 때에는 벨트걸이(14)의 걸림편(20)을 필라(36)에 부착된 레일(30)의 소정 높이에 형성된 걸림턱(32)에 맞춤으로써 안전벨트(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정상적인 차량운행시에 발생하는 급정거 등의 경우에는 걸림턱(32)에 걸린 걸림편(20)이 파괴되지 않고 걸린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나, 차량충돌 및 그와 유사한 급감속시의 경우에는 안전벨트(10)에 걸리는 인장력이 커지게 되므로써 걸림턱(32)에 걸려 있던 걸림편(20)의 최선단 걸림부(20)가 파괴되면서 벨트걸이(14)가 레일(3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며, 이때 걸림편(20)은 스프링(18)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력지지되고 있으므로 다음의 걸림부(22)가 레일(30)의 하부 걸림턱(32)에 걸리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이 여러차례 반복되면서 안전벨트(10)가 다단계로 신장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벨트걸이(14)가 필라(36)에 부착된 레일(30)을 따라 하방으로 다단식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안전벨트(10)를 신장시키므로, 안전벨트(10)와 신체와의 접촉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분할시켜 주게 되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벨트걸이내부에 다단으로 파괴되는 걸림편을 스프링으로 탄력지지하여 충돌사고시 필라에 부착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다단계로 걸리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사고 등의 경우, 안전벨트가 급격히 신장이 정지되면서 신체를 압박하게 될 때, 안전벨트의 일단이 연결된 벨트걸이가 레일의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안전벨트의 길이를 다단으로 신장시켜주므로써, 안전벨트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고,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들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체의 측면 필라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안전벨트가 끼워지는 벨트걸이에 있어서, 상기 필라(36)에는 다수의 걸림턱(3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30)을 고정부착하고, 상기 벨트걸이(14)에는 상기 레일(30)의 걸림턱(32)에 걸리면서 다단으로 파괴되는 걸림편(20)을 스프링(18)으로 탄력지지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19950063068A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68A KR0150901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68A KR0150901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64A KR970039864A (ko) 1997-07-24
KR0150901B1 true KR0150901B1 (ko) 1998-10-15

Family

ID=1944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068A KR0150901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930A (ko) * 2004-12-17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KR101584238B1 (ko) * 2014-10-16 2016-01-11 기성시스템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충격 완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930A (ko) * 2004-12-17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KR101584238B1 (ko) * 2014-10-16 2016-01-11 기성시스템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충격 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64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5818B1 (de)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20140339863A1 (en)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reducing the backward displacement of a vehicle sea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US3961805A (en) Safety system for the occupants of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KR0150901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2013126873A (ja) 衝突衝撃座席前後移動防止装置p3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366668Y1 (ko) 안전벨트용 가이드 앵커
KR014908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2634408B1 (ko) 차량의 서브마린 방지 시트 벨트 및 그 작동 방법
KR200260710Y1 (ko) 충격흡수식루프어시스트핸들
KR017363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9275Y1 (ko) 안전띠 압박하중 완화장치
KR100315566B1 (ko)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로드 리미터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CN110091909B (zh) 用于车辆的转向装置及车辆
KR100898001B1 (ko)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