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930A -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930A
KR20060068930A KR1020040107875A KR20040107875A KR20060068930A KR 20060068930 A KR20060068930 A KR 20060068930A KR 1020040107875 A KR1020040107875 A KR 1020040107875A KR 20040107875 A KR20040107875 A KR 20040107875A KR 20060068930 A KR20060068930 A KR 2006006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webbing
lifting body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930A/ko
Publication of KR2006006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8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spring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08Belt retractors, e.g. reels without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6Unlocking devices for re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를 하방향으로 이동 조절하는 순간 가속도에 의하여 리트렉터에서 웨빙을 잠금시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체와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부착된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에 부착된 오토 푸시-업 스프링과; 상기 승하강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시트벨트 웨빙이 삽입되는 중간경로 역할을 하는 디-링(D-ring)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푸시-업 스프링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승하강체의 하강 이동시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감소 완충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시트벨트 웨빙, 잠금, 높이 조절 장치, 푸시-업 스프링, 승하강체, 리트렉터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webbing locking for hight adjuster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기존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승하강체
14 : 오토 푸시업 스프링 16 : 센터필러트림
18 : 시트벨트 웨빙 20 : 디-링
22 : 고정단 24 : 안착단
26 : 1차 완충용 굴곡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를 하방향으로 이동 조절하는 순간 가속도에 의하여 리트렉터에서 웨빙을 잠금시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벨트는 리트렉터에 소정의 길이가 감겨진 웨빙과, 이 웨빙의 감김 또는 인출시 가속도를 감지하여 웨빙을 잠금시키는 리트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벨트 웨빙은 센터필러트림(앞도어와 뒷도어 사이에 부착된 내장재)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쪽으로 인출되는 바, 센터필러트림의 인출구에는 시트벨트의 착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장치(hight adjuster)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 3을 참조로 기존의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상단과 하단이 차체와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승하강 가능하게 부착된 승하강체(12)와; 상기 승하강체(12)에 부착된 오토 푸시-업 스프링(14)과; 상기 승하강체(12)의 전면에 부착되어 첨부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필러트림(16)의 외부로 노출되며 시트벨트 웨빙(18)이 삽입되는 중간 경로 역할을 하는 디-링(D-ring)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원형의 링 타입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오토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은 상기 승하강체(12)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링(20)에 형성된 노브(Knob)를 잡고 누르면서 디링(20)을 승하강시킴에 따라, 승객의 어깨 높이에 맞게 시트벨트 웨빙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링(20)의 승하강 이동과 함께 그 내부에 위치된 승하강체(12)가 승하강 이동되며, 디링(20)과 승하강체(12)가 최저 위치까지 하강시에는 상기 오토 푸시-업 스프링(14)이 프레임(10)의 하단에 닿으면서 완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 및 작동 구조를 갖는 기존의 시트벨트 웨빙 높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기존의 트림 내장형 높이 조절 장치(하이트 어드저스터)의 경우 사용자가 노브 부위를 잡고 디링을 아래 방향으로 내릴 때, 시트벨트의 웨빙이 잠겨버리는 소위 "엔드 락(End Lock)"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사용자가 시트벨트 웨빙의 잠김현상을 해제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노브를 갑고 디링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그 내부에 위치된 승하강체가 최하단으로 내려가면서 정지하는 순간에 시트벨트 웨빙이 리트렉터에 되감기는 가속도에 큰 변화(되감기다가 갑자기 멈춤)가 일어나게 되면서 상기 리트렉터의 웨빙센서가 이를 오감지하여 결국 시트벨트 웨빙이 잠금되는 엔드 락 현상 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웨빙센서의 감지 작동은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의 범위로 규정된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바, 디링과 함께 시트벨트 웨빙이 최하단으로 이동하여 정지하는 순간, 웨빙센서의 감지 작동을 위한 규정 가속도를 초과하여 상기 리트렉터의 웨빙센서가 감지되고, 결국 시트벨트 웨빙이 잠금되는 엔드 락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시트벨트 웨빙의 잠김현상을 해제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디링과 함께 최하단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체의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승하강체가 부착된 프레임의 최하단부에 설치하여, 디링과 함께 시트벨트 웨빙이 최하단으로 이동하는 순간 그 내부에 위치된 승하강체의 하강 이동 속도를 완충시켜 감소시켜 줌으로써, 리트렉터의 웨빙센서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그에따라 리트렉터에 의한 시트벨트 웨빙이 잠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와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부착된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에 부착된 오토 푸시-업 스프링과; 상기 승하강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시트벨트 웨빙이 삽입되는 중간경로 역할을 하는 디-링(D-ring)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푸시-업 스프링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승하강체의 하강 이동시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감소 완충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감소 완충수단은 프레임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하단부가 닿게 되는 안착단을 구성되며, 이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하단부가 먼저 닿게 되는 1차 완충용 골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 웨빙 높이 조절 장치의 노브를 잡고 디링 및 시트벨트 웨빙을 최하단으로 하강시키는 순간, 리트렉터의 웨빙센서의 감지로 시트벨트 웨빙이 순간적으로 잠금되는 엔드 락 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의 높이 조절 장치는 상단과 하단이 차체와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승하강 가능하게 부착된 승하강체(12)와; 상기 승하강체에 부착된 오토 푸시-업 스프링(14)과; 상기 승하강체 (12)의 전면에 부착되어 센터필러트림(16)의 외부로 노출되며 시트벨트 웨빙(18)이 삽입되는 중간경로 역할을 하는 디-링(20)과; 상기 디-링(20)에 인접 위치에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토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은 원형의 링 타입 형상으로서, 승하강체(12)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식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상기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부를 완충시키는 동시에 승하강체(12)의 하강 이동시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감소 완충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감소 완충수단은 프레임(10)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단(22)과, 상기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부가 닿게 되는 오목한 안착단(2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이다.
특히, 상기 감소 완충수단의 안착단(24)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부가 먼저 닿게 되는 1차 완충용 골곡부(26)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운전자 또는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체형이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높이를 최대로 낮추는 조절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링(20)에 형성된 노브(Knob)를 잡고 누르면서 디링(20)을 가장 낮은 위치까지 하강시키면, 상기 디링(20)의 승하강 이동과 함께 그 내부에 위치된 승하강체(12)가 하강 이동되어, 시트벨트 웨빙(18)의 높이가 최대로 낮은 위치로 조절된다.
이때, 상기 디링(20)과 승하강체(12)가 최저 위치까지 하강할 때, 이 승하강체(12)의 저면에 위치된 상기 오토 푸시-업 스프링(14)의 일부가 상기 감소 완충수단의 1차 완충용 골곡부(26)에 먼저 닿게 되어, 승하강체(12)의 가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오토 푸시-업 스프링(14)의 하단부 일부(일측단)가 1차 완충용 굴곡부(26)에 먼저 닿아 완충이 이루어짐에 따라 승하강체(12)의 가속도가 감소되어진다.
따라서, 리트렉터의 웨빙센서의 감지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에 기존과 같이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를 최하단으로 조절할 때 리트렉터에 의한 시트벨트 웨빙이 잠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에 의하면, 디링과 함께 최하단으로 이동하는 승하강체의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승하강체가 부착된 프레임의 최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리트렉터의 웨빙센서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기존과 같이 리트렉터에 의한 시트벨트 웨빙 이 잠금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차체와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부착된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에 부착된 오토 푸시-업 스프링과; 상기 승하강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시트벨트 웨빙이 삽입되는 중간경로 역할을 하는 디-링(D-ring)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푸시-업 스프링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승하강체의 하강 이동시 가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감소 완충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소 완충수단은 프레임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하단부가 닿게 되는 안착단을 구성되며, 이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하단부가 먼저 닿게 되는 1차 완충용 골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KR1020040107875A 2004-12-17 2004-12-17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KR20060068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75A KR20060068930A (ko) 2004-12-17 2004-12-17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75A KR20060068930A (ko) 2004-12-17 2004-12-17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930A true KR20060068930A (ko) 2006-06-21

Family

ID=3716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75A KR20060068930A (ko) 2004-12-17 2004-12-17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9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13B1 (ko) * 2011-11-04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장치
WO2014038817A1 (en) * 2012-09-06 2014-03-13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webbing guide
CN104309569A (zh) * 2014-10-31 2015-01-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自动调节装置及汽车
KR102391980B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 벨트 높이 조절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2012A (en) * 1984-05-28 1987-03-24 Trw Repa Gmbh Fitting for a safety belt for motor vehicles
KR970039868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H1029501A (ja) * 1996-04-10 1998-02-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KR0150901B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US6244626B1 (en) * 1998-06-16 2001-06-12 Rover Group Ltd Trim component with energy absorbing for a safety harness
KR20060017013A (ko) * 2004-08-19 2006-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2012A (en) * 1984-05-28 1987-03-24 Trw Repa Gmbh Fitting for a safety belt for motor vehicles
KR970039868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1B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H1029501A (ja) * 1996-04-10 1998-02-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US6244626B1 (en) * 1998-06-16 2001-06-12 Rover Group Ltd Trim component with energy absorbing for a safety harness
KR20060017013A (ko) * 2004-08-19 2006-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장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13B1 (ko) * 2011-11-04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장치
WO2014038817A1 (en) * 2012-09-06 2014-03-13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webbing guide
US9254816B2 (en) 2012-09-06 2016-02-09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webbing guide
CN104309569A (zh) * 2014-10-31 2015-01-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自动调节装置及汽车
CN104309569B (zh) * 2014-10-31 2017-05-0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自动调节装置及汽车
KR102391980B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 벨트 높이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815A (en) Shoulder belt comfort mechanism
KR100854906B1 (ko) 안전 벨트용 높이 조절 장치
EP1783014B1 (en) Restrai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212313484U (zh) 一种自动升降的安全带锁扣装置
US7806439B2 (en) Active anti-bunching D-ring seat belt system
KR20060068930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의 웨빙 잠금 방지 구조
WO1996040542A1 (en) Automobile armrest apparatus for presenting restraint system
KR100435330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가변버클 구조
JP3375481B2 (ja) 乗物用座席
US7600779B2 (en) Airbag system
KR100536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폴딩장치
EP1558473B1 (en) Self compensating inertia sensor
EP2015959B1 (en) Bracket system adapted for use in a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an adjustable headrest of a vehicle seat
JPH0321316Y2 (ko)
KR20120072142A (ko) 안전벨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1319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JP3132908U (ja) 乗降補助具
KR970006345B1 (ko) 자동차의 측면 보강을 위한 시트 슬라이딩 장치 설치구조
JPH08282346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ダのストッパ機構
KR10032494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0391282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보강구조
JP4381201B2 (ja) 車両用シート
KR19980013432U (ko) 자동 직립식 수납버클
KR19990029218U (ko) 시트 내장형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20070055218A (ko)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벨트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