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194B1 -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194B1
KR100313194B1 KR1019990047067A KR19990047067A KR100313194B1 KR 100313194 B1 KR100313194 B1 KR 100313194B1 KR 1019990047067 A KR1019990047067 A KR 1019990047067A KR 19990047067 A KR19990047067 A KR 19990047067A KR 100313194 B1 KR100313194 B1 KR 10031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fixed
seat belt
ro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899A (ko
Inventor
권승원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4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1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축(13)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하나 위치는 고정된 고정톱니봉(12)과, 이 고정톱니봉(12)의 측부공간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는 가동톱니봉(14)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톱니봉(12)에 웨빙(2)이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상기 웨빙(2)의 인입각도에 따라 상기 가동톱니봉(14)이 상승하여 고정톱니봉(12)과의 사이에서 웨빙(12)을 잡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상태에서도 웨빙(2)을 느슨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시트벨트 착용시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a seatbelt stopper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벨트 착용시 시트벨트를 여유있는 상태로 늘여진 상태에서 임시고정해 둘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시트벨트가 구비되어 있어, 승원이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함으로써 충돌 및 추돌 또는 전복 사고시 승원의 몸을 안전하게 잡아줌으로써 보다 큰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면에 고정된 리트렉터(1)에 한쪽 단부가 감겨져 있는 웨빙(2)이 리트렉터(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3)의 고리(3a)에 걸려진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다른쪽 단부가 시트측부 또는 차체측면에 보울트(4)등의 체결부품을 매개로 고정되며, 웨빙(2)의 중간부분에는 이 웨빙(2)상에서 자유이동하는 앵커(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독립적으로 시트나 바디에 버클(6)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기 앵커(5)를 당겨 버클(6)에 삽입체결함으로써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의 몸을 사고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시트벨트에서는 상기 리트렉터(1)에 의해 웨빙(2)이 항상 당겨지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는 웨빙(2)에 의해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줌으로써 시트벨트의 착용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웨빙을 약간 느슨한 상태로 유지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객들이 웨빙에 의한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시트벨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스토퍼가 적용된 자동차의 시트벨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트렉터, 2 : 웨빙,
3 : 홀더, 3a : 고리,
4 : 보울트, 5 : 앵커,
6 : 버클, 10 : 스토퍼,
11 : 하우징, 11a : 걸림단,
12 : 고정톱니봉, 13 : 회전축,
14 : 이동톱니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트렉터의 상부 차체에 설치되어 웨빙을 걸어줄 수 있도록 된 홀더가 스토퍼로 대체되되, 이 스토퍼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톱니봉과 가동톱니봉이 구비되고, 웨빙은 상기 고정톱니봉에 걸려져 있어서, 웨빙을 잡아당기는 각도에 따른 상기 가동톱니봉의 작용에 의해 웨빙이 두 톱니봉의 사이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 적용된 시트벨트의 설치상태도로서, 본 발명 스토퍼(10)는 기존 홀더의 위치에 설치되어, 리트렉터(1)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된 웨빙(2)을 상부에서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스토퍼(10)에 걸려진 후 하방으로 연장되는 웨빙(2)에는 앵커(5)가 구비되고 끝부분이 보울트(4)를 매개로 차체측부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앵커(5)는 별도로 장착된 버클(6)에 삽입체결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개방부에 위치한 양단이 절곡되어 걸림단(11a)이 형성되고 양 내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1)의 내부에 2개의 톱니봉이 내장되되, 하나의 톱니봉은 회전가능하나 이동이 불가하도록 회전축(13)을 매개로 하우징(11)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톱니봉(12)이고, 다른 하나의 톱니봉은 고정톱니봉(12)의 측부공간에 위치되나 고정되지 않아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가동톱니봉(14)이다.
따라서, 설치시 상기 하우징(11)은 기존 홀더의 설치위치에 보울트 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취부되며, 리트렉터(1)로부터 인출된 웨빙(2)은 상기 고정톱니봉(12)에 걸려져 이 고정톱니봉(12)과 상기 가동톱니봉(14)의 사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톱니봉(14)은 하우징(11)의 걸림단(11a)에 걸려져 하방으로 빠지지 않고, 상방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톱니봉들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재나 봉에 의해 이동공간이 고정톱니봉(12)의 측부와 그 하부공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 공간은 하우징(11) 자체의 내부공간 형상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가동톱니봉(14)이 하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실제로는 당겨지는 웨빙이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저나 또는 그 방향의 위치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가동톱니봉(14)이 빠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양측 걸림단(11a)에 걸쳐 톱니봉들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얇은 금속봉등의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스토퍼(10)에 걸려진 웨빙(2)은 스토퍼(10)로 부터 웨빙(2)이 인출되는 방향 즉, 앵커(5)가 구비된 측으로 당겨질 때에는 그 당겨지는 각도에 상관없이 자유로이 당겨질 수 있으며, 이때의 가동톱니봉(14)은 당겨지는 웨빙(2)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최상높이의 위치를 제외한 그 이하 임의의 위치에서 헛돌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 가동톱니봉(14)이 위치한 상태에서 웨빙(2)을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여 가동톱니봉(14)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리트렉터(1)에 의해 웨빙(2)이 인입되면서 가동톱니봉(14)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방으로 오라가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측면이 좁아지므로 최상높이에 이르렀을때는 고정톱니봉(12)쪽으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어서, 가동톱니봉(14)이 최상높이까지 이동하였을때 웨빙(2)은 가동톱니봉(14)에 의해 고정톱니봉(12)에 눌려져 더 이상 인입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착용자는 웨빙이 몸에 밀착된 착용상태에서 상기 웨빙(2)을 약간(대략 5∼10cm정도의 인출길이면 충분하다.) 잡아당겼다가 웨빙(2)의 상부만을 점선의 위치로 하여 재 인입시키면 인출된 길이에서 가동톱니봉(14)이 상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의 여유분을 확보하게 되므로, 웨빙(2)이 몸에 주는 압박감을 해소한 상태로 시트벨트의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웨빙을 실선으로 도시된 수직하방의 방향으로 유지하면 웨빙의 인입시에 가동톱니봉(14)이 딸려 올라가지 않게 되므로 늘어져 있던 웨빙을 리트렉터(1)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시트벨트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정도로 웨빙을 느슨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용자, 특히 운전자들이 몸에 압박감을 느끼지 않게 되므로 구속감 없는 편안한 상태로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시트벨트의 착용률을 향상시켜사고시 시트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탑승객의 부상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측 개방부에 위치한 양단부가 절곡되어 걸림단(11a)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도록 경사성형되어 있는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톱니봉(12)이 회전축(1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나 위치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 고정톱니봉(12)이 설치된 측부의 공간에 상하이동이 가능한 가동톱니봉(1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톱니봉(12)에 리트렉터(1)로 부터 인출된 웨빙(2)이 걸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KR1019990047067A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KR10031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67A KR100313194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67A KR100313194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99A KR20010038899A (ko) 2001-05-15
KR100313194B1 true KR100313194B1 (ko) 2001-11-07

Family

ID=1961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067A KR100313194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06B1 (ko) * 2010-06-15 2012-04-30 김현식 안전벨트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06B1 (ko) * 2010-06-15 2012-04-30 김현식 안전벨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99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3826A (en) Tongue plate slidably fitted on safety seat belt in motor vehicle
US8783782B2 (en) Safety belt for a vehicle
KR10031319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KR0138152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KR200147500Y1 (ko) 꼬임방지용 텅플레이트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10019616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부 연장구조
KR100636635B1 (ko) 차량 시트 벨트의 디링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KR014225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어퍼 앵커 플레이트 브라켓 설치식 로드 리미터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100563832B1 (ko) 시트벨트의 디링
KR19980029832A (ko) 차량의 프론트시트 시트벨트 취부구조
KR200187162Y1 (ko) 차량용 안전벨트(A seat belt of a car)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KR200154347Y1 (ko) 시트벨트 앙카 구조물
KR20230153639A (ko) 사용하지 않을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3점식 안전벨트
KR0134449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147494Y1 (ko) 자동차의 뒷자석 안전벨트 가이드
KR940001905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고리 정위치 장치
KR200239311Y1 (ko)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위치 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