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52Y1 -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52Y1
KR0138152Y1 KR2019960005708U KR19960005708U KR0138152Y1 KR 0138152 Y1 KR0138152 Y1 KR 0138152Y1 KR 2019960005708 U KR2019960005708 U KR 2019960005708U KR 19960005708 U KR19960005708 U KR 19960005708U KR 0138152 Y1 KR0138152 Y1 KR 0138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cutting device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370U (ko
Inventor
안인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60005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52Y1/ko
Publication of KR970054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3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022/328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comprising means for cutting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벨트에 절단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시 부주위로 사고가 발생시 탑승자로 부터 안전벨트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차동차의 탑승자에 착용된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 절던장치에 의해 안전벨트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를제공함에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벨트가 설치된 차체의 방 프레임의 상 벨트지지부 하에 안전벨트 절단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시 부주위로 사고가 발생시 탑승자 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때 안전벨트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끊어서 탑승자를 차내에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사고시 풀리지 않을 경우 절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에 안전벨트가 설치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절단장치가 설치된 구성도.
제3도는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절단장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절단장치에서 커터날이 설치된 작동판의 구성도.
제5도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절단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안전벨트를 절단하기 의한 동작 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안전벨트가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측방프레임 22 : 리트랙터
23 : 안전벨트 24 : 벨트지지부
25 : 벨트고정부 26 : 로크행거
27 : 버클 28 : 시트
29 : 탑승자 30 : 절단장치
31 : 몸체 32 : 개구부
33 : 가이드홈 34 : 안내홀
35 : 장착홈 36 : 작동판
37 : 가이드돌기 38 : 가이드리브
39 : 절단날 4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벨트에 절단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부주위로 사고가 발생시 탑승자로 부터 안전벨트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벨트(시트벨트 라고도 칭함)는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 2점식 3점식 4점식이 있다. 이것은 지지점의 수를 말하는 것이며 안전성에서 볼 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현재로는 3점식 안전벨트가 일반 승용차에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안전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점과 어깨 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이다.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허리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가슴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연속 3점식 안전벨트인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에 설치된 3점식 안전벨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28)가 설치된 차체 내부의 측방프레임(21) 하측에 안전벨트(23)를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감겨지는 리트랙터(RETRACTOR)(22)를 설치한다. 상기 리트랙터(22)에 일단이 연결된 안전벨트(23)는 측방프레임(21)상측에 고정된 벨트지지부(24)에 연결된다. 상기 안전벨트(23)의 타단은 상기 리트랙터(22)의 하방 바닥면에 고정된 벨트 고정부(25)에 고정된다. 상기 안전벨트(23)의 중간에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로크행거(LOCK HANGER)(26)를 장착한다. 상기 안전벨트(23)가 탑승자(29)의 가슴과 복부 부분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로크행거(26)를 시트(28)의 타측에 고정된 버클(27)에 창착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28)에 탑승자(29)가 탑승을 하고 나서 안전벨트(23)를 장착하고자 할때에는 측방프레임(21)에 설치된 안전벨트(23)이러 중간 로크행거(26)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안전벨트(23)는 리트랙터(220에 감겨 있던 상태에서 풀리면서 상측의 벨트지지부(24)에 가이드 된다. 로크행거(26)가 시트(28)타측에 고정된 버클(27)에 장착되면 안전벨트(23)는 탑승자(29)의 가슴과 복부를 감싸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안전벨트(23)는 로크행거(26)에 의해 고정되어 상측은 가슴을 감싸는 가슴벨트부와 하측은 복부를 감싸는 허리벨트부로 나누어져 장착이 된다. 이때 리트랙터(22)에서 안전벨트(23)가 감겨지는 힘을 적게 하기 위해 리트랙터(2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아니한 텐션리듀서(TENSION REDUCER)는 안전벨트(23)를 장착했을 때 탑승자(29)에게 압박감을 적게 준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에 탑승자(29)가 탑승을 하고 나서 차량 사고시 충격으로 부터 탑승자(29)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23)를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가 사고시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 탑승자에게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된다. 왜냐하면 자동차가 충돌로 사고가 크게 났을 경우와 전복이 되었을 경우에 안전벨트는 풀려 지지 않고 장착상태에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차내에서 빠져 나오거나 주위의 사람들이 도와 주려고 하여도 안전벨트가 쉽사리 끊어지지 않아 별도의 칼이나 절단기로 안전벨트를 끊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한 경우 많은 시간의 경과로 탑승자에게 치명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착용된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 절단장치에 의해 안전벨트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절단장치를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사고시 탑승자 또는 다른 사람이 용이하게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는 안전벨트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벨트가 설치된 차체의 측방프레임 상측에 설치된 벨트지지부 하측에 안전벨트 절단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시 부주위로 사고가 발생시 탑승자 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때 안전벨트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끊어서 탑승자가 차내에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되어 질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안전벨트에 절단장치가 설치된 구성도 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절단장치에서 커터날이 설치된 작동판의 구성도익 제5도 내지 제7도는 고안에서 안전벨트를 절단하기 의한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한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중 종래의 부호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 하여야 한다.
자동차의 내부 측방프레임(21) 하측에 안전벨트(23)를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감겨지는 리트랙터(22)가 설치된다. 상기 리트랙터(22)에는 안전벨트(23)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안전벨트(23)의 소정길이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23)는 상기 리트랙터(22)와 벨트지지부(24)사이의 측방프레임(21)에 고정된 안전벨트 절단장치(30)와 벨트지지부(24)의 고리(24a) 및 로크행거(26)의 개구부(26a)를 통하여 상기 안전벨트(23)타단이 측방프레임(21) 하측의 바닥면에 고정된 벨트고정부(25)에 고정되게 연결한다. 즉 상기 벨트지지부(24)와 벨트고정부(25)사이의 안전벨트(23)를 따라서 상기 개구부(26a)를 통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로크행거(26)각설치된다.
자동차의 시트(28)에 탑승한 탑자(29)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벨트(23)의 로크행거(26)가 상기 시트(28)의 타에 고정된 버클(27)에 장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전벨트 절단장치(30)는 상기 리트랙터(22)와 벨트지지부(24)사이의 측방프레임(21)상에 설치되면 좋다.
상기 절단장치(30)는 사각통체로 몸체(31) 상,하부가 개구부(32)를 이루고 내부 상측 전,후면에 수평상태로 평형하게 가이드홈(33)을 이루며, 일측면은 작동판(36)이 가이드 되도록 안내홈(34)과 하측에는 직사각형의 작동판(36)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35)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판(36)의 양측면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홈(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36)의 상부에는 양측에 가이드리브(38)와 상부 중앙부에는 절단날(39)이 브이자형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작동판(36)의 하측에는 몸체(31)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40)를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작동판(36)은 양측 가이드돌기(37)를 몸체(31)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3)에 끼워 상기 작동판(36)이 가이드돌기(37)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36)이 수평상태로 가이드돌기(37)가 몸체(31)의 가이드홈(33)에 가이드되며 몸체(31)의 개구부(32)로 삽입되며 안전벨트(23)를 절단날(39)에 의해 절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28)에 탑승자(29)가 탑승을 하고 나서 안전벨트(23)를 장착하고자 할때에는 측방프레임(21)에 설치된 안전벨트(23)의 중간 로크행거(26)를 당기게 된다. 이때 안전벨트(23)는 리트랙터(22)에 감겨있던 상태에서 풀리면서 측방프레임(21) 상측에 설치된 절단장치(30)의 몸체(31)에 형성된 개구부(32)를 통하여 상측의 벨트지지부(24)에 가이드되어 시트(28) 타측에 고정된 버클(27)에 로크행거(26)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전벨트(23)는 시트(28)에 탑승한 탑승자(29)의 가슴과 복부를 감싸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를 탑승하면 탑승자(29)는 사고시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23)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전을 하게되는데 운전시 자동차가 충돌로 사고가 크게 났을 경우와 전복이 되었을 경우에 안전벨트(23)는 느슨해지지 않게 되므로 탑승자(29)는 안전벨트(23)를 풀러야 차내에서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체가 부서져 안전벨트(23)가 탑승자나 주위사람들이 도와 주려고 하여도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은 상태에서 안전벨트 절단장치(30)의 몸체(31)에 절단날(39)이 설치된 작동판(36)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몸체(31)하측에 로킹된 작동판(36)의 검림돌기(40)가 몸체(31)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작동판(36)을 상측으로 돌면 상기 작동판(36)은 몸체(31)의 장착홈(35)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작동판(36)은 몸체(31)의 안매홈(34)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3)에 끼워진 가이드돌기(37)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제6도와 같이 작동판(36)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판(36)을 몸체(31) 내부의 개구부(32)와 직각방향으로 맡게 되면 작동판(36)의 양측 가이드돌기(37)가 몸체(31)의 가이드홈(33)을 따라 가이드되며 몸체(31)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7도와 같이 작동판(36)의 선단에 돌출된 가이드리브(38)가 안전벨트(23)를 절단날(39)로 가이드하게 되어 안전벨트(23)는 작동판(36)에 설치된 브이자형인 절단날(39)의 중앙부에 의해 절단이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탑승자(29)에 착용된 안전벨트(23)가 풀리지 않을때 차 체 측방프레임(21)에 설치된 안전벨트 절단장치(30)를이용하여 안전벨트(23)를 절단하게 되면 탑승자(29)의 몸에서 안전벨트(23)가 손쉽게 제거되므로 탑승자(29)가 차내에서 외부로 손쉽게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 절단장치(30)는 평상시에 측방프레임(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판(36)을 몸체(31)의 가이드홈(33) 일측으로 당겨 가이드돌기(37)가 상기 가이드홈(33) 일측 끝단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판(36)을 하향으로 이동시켜면 몸체(31)의 장착홈(35)에 작동판(36)이 장착되어 하측의 걸림돌기(40)가 몸체(31)에 로킹되어 작동판(36)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이때 안전벨트(23)는 몸체(31)에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32)에 위치하여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사고시 탑승자 또는 다른 사람으로 부터 안전벨트가 풀리지 않을때 측방프레임에 설치된 안전벨트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손쉽게 끊어서 탑승자를 차내에서 외부로 빠져 나오게 할 수 있어 부상이 심한 탑승자를 손쉽게 병원으로 후송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내부 측방프레임 하측에는 안전벨트 일단이 감겨진 리트랙터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프레임의 상측에는 안전벨트를 가이드 하며 지지하는 벨트지지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타단은 상기 측방프레임 하측의 벨트고정부에 고정된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지지부의 하측 안전벨트에 절단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절단장치는 사각통체로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 하부가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측 전, 후면에 가이드홈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은 작동판이 가이드 되도록 안내홈과 하측으로 상기 작동판이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작동판은 양, 측면 상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와 상부에 양측에 가이드리브를 이룬 중앙에 고정된 절단날과, 상기 작동판의 하측에는 걸림돌기가 몸체와 로킹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안전벨트를 탑승자가 착용시 풀리지 않을 때 상기 절단장치의 작동판을 이용하여 절단날로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KR2019960005708U 1996-03-23 1996-03-23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KR0138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708U KR0138152Y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708U KR0138152Y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370U KR970054370U (ko) 1997-10-13
KR0138152Y1 true KR0138152Y1 (ko) 1999-05-01

Family

ID=1945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708U KR0138152Y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85U (ko) 2019-01-30 2020-08-07 (주)피노스토리 벨트 커터
US20220402456A1 (en) * 2020-05-06 2022-12-22 Paulette Counts Safety cutting devices for vehicle seat bel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630B1 (ko) * 2002-09-30 2005-07-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안전벨트 절단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85U (ko) 2019-01-30 2020-08-07 (주)피노스토리 벨트 커터
US20220402456A1 (en) * 2020-05-06 2022-12-22 Paulette Counts Safety cutting devices for vehicle seat belts
US11951934B2 (en) * 2020-05-06 2024-04-09 Paulette Counts Safety cutting devices for vehicle seat bel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37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152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US419253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KR19990020387U (ko)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KR1002396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절단장치
KR10031319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KR20180001854U (ko) 안전벨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비상용 안전벨트 절단장치
KR200147494Y1 (ko) 자동차의 뒷자석 안전벨트 가이드
KR100502630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절단구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100381246B1 (ko) 웨빙 가이드가 제공된 시트벨트
KR20000009900U (ko) 차량 안전벨트 절단 장치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2081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202493Y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100502629B1 (ko)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19990031936U (ko) 차량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