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29B1 -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29B1
KR100502629B1 KR10-2002-0059289A KR20020059289A KR100502629B1 KR 100502629 B1 KR100502629 B1 KR 100502629B1 KR 20020059289 A KR20020059289 A KR 20020059289A KR 100502629 B1 KR100502629 B1 KR 10050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cutting tool
pocket
cut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168A (ko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022/328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comprising means for cutting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를 사고시에 절단하기 위한 절단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버클(10)의 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포켓(12), 그 포켓에 완전히 삽입되는 절단날(13)과 포켓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되는 손잡이(14)를 구비한 절단구(11), 및 포켓(12)에 수용되는 절단구(11)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절단날이 전혀 노출되지 않게 안전하게 절단구를 버클에 수용 보관시킬 수 있고, 절단구는 항상 버클에 보관되므로 차량 사고시 버클에서 로크부재를 빼낼 수 없게 되는 경우 누구나 절단구를 버클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어서 신속하게 사고 차량의 탑승자를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수 있고, 종래 칼이나 가위와 같은 절단수단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할 수 없고 그 칼날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할 염려와 같은 문제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SAFETY-BELT BUCKLES WITH A CUTT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사고시에 탑승자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신속히 절단하여 탑승자를 사고 차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도록 절단구를 구비한 안전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고시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 벨트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탑승자는 반드시 안전 벨트를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통상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센터필러 로어트림속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리트랙터(1)가 장착되어 안전벨트(2)를 탄성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권취하고 있으며, 안전벨트(2)에는 로크부재(3)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시트(4)의 반대쪽에는 버클(5)이 제공되어 인출된 안전벨트(2)의 로크부재(3)를 삽입하여 맞물려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운전자와 승객을 포함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시트에 대하여 고정시켜 차량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차량 탑승자가 차창밖으로 퉁겨나가거나 차체에 부딪혀 치명상을 당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큰 충격력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재질의 스트립을 사용한다.
그러나, 차량 사고시에 탑승자 보호를 위한 안전 벨트도 사고후 탑승자 자신이 로크부재를 버클에서 결합해제시켜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풀어서 후속적인 차량화재로부터 대피하거나 응급조치를 받아야 하지만, 차체에 장착되어 벨트를 감는 리트렉터나 버클등이 고장난 경우에 구조 요원이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신속히 풀지 못하여 사고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신속한 응급 조치를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사고시 안전벨트를 신속하게 절단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절단하기 위한 칼이나 가위를 구비해야 하지만, 이러한 안전 벨트 절단수단은 노출되는 경우에 사고시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 사고시에 탑승자 보호를 위하여 안전벨트를 신속히 절단할 수 있도록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고 안전하게 보관한 수 있도록 된 절단구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차량 안전벨트에 관련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고 차량의 안전벨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구를 안전하게 수용되도록 된 절단구를 구비한 안전벨트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 안전벨트 버클은 그 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포켓부와, 그 포켓부에 수용되는 절단날과 손잡이를 구비한 절단구, 및 포켓부에 수용되는 절단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절단구 고정수단은 포켓이 형성된 버클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그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절단구의 손잡이 표면에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구를 구비한 안전벨트 버클(10)은 도 2에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전벨트 버클(10)의 일측면에는 절단구(11)를 수용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포켓(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절단구(11)는 평상시에는 안전벨트 버클(10)에 형성된 포켓(12)에 수용되어 안전하게 보관되지만, 필요시에는 쉽게 포켓으로부터 꺼내어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절단날(13)과 손잡이(14)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버클에 대향된 손잡이(14)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홈(15)이 형성되고 그 요홈과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16)가 버클(10)에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절단구(11)를 버클의 포켓에 삽입하면 절단날(13)은 포켓속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14)의 요홈(15)이 버클의 돌기(16)와 맞물려 절단구의 절단날이 버클의 포켓에 삽입된 상태로 안전하게 유지 보관되므로 차량 탑승자가 절단날에 의해 다칠 염려없게 된다.
절단구(11)의 절단날(1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그 뾰족한 부분으로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지만, 절단날의 형상은 이와 달리, 예를 들어 단순하게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직선형으로 형성하거나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절단구(11)의 손잡이에서 노출되는 표면에는 탑승자 또는 구조 요원이 손으로 절단구를 버클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오목하게 홈(1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고시에 또는 리트랙터가 고장나서 부득이하게 절단구로 안전벨트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 절단구가 버클의 포켓에 수용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절단구(11)의 손잡이(14)를 잡고 앞쪽으로 힘을 가하면서 위로 당겨올리면, 손잡이의 요홈(15)이 버클에 형성된 돌기(16)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되어 절단구가 포켓에서 제거하여 부호 18로 표시된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단구의 요홈(15)과 버클에 형성된 돌기(16)의 결합 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요홈의 측벽(19)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버클에 포켓을 형성하고 그 버클 포켓에 절단구를 삽입하여 그 손잡이의 요홈이 버클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려 절단구를 절단날이 전혀 노출되지 않게 안전하게 버클에 수용 보관시킬 수 있고, 절단구는 항상 버클에 보관되므로 차량 사고시 버클에서 로크부재를 빼낼 수 없게 되는 경우 누구나 절단구를 버클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안전벨트를 절단할 수 있어서 신속하게 사고 차량의 탑승자를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수 있고, 종래 칼이나 가위와 같은 절단수단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할 수 없고 그 칼날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할 염려와 같은 문제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안전벨트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구와 안전벨트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구가 구비된 안전벨트 버클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클 11 : 절단구
12 : 포켓 13 : 절단날
14 : 손잡이 15 : 요홈
16 : 돌기

Claims (2)

  1. 버클 케이스에 절단구를 구비하는 차량 안전벨트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10)의 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포켓(12)을 형성하고, 그 포켓에 완전히 삽입되는 절단날(13)과 포켓에 삽입되지 않고 손잡이가 노출되게 절단구(11)를 포켓에 배치하며, 포켓(12)에 수용되는 절단구(11)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포켓(12)이 형성된 버클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16)와, 절단구를 포켓에 삽입시킬 때 상기 돌기(16)와 맞물리도록 절단구(11)의 손잡이(14) 표면에 형성된 요홈(15)으로 구성되는 절단구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 안전벨트 버클.
  2. 삭제
KR10-2002-0059289A 2002-09-30 2002-09-30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KR10050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89A KR100502629B1 (ko) 2002-09-30 2002-09-30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89A KR100502629B1 (ko) 2002-09-30 2002-09-30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68A KR20040028168A (ko) 2004-04-03
KR100502629B1 true KR100502629B1 (ko) 2005-07-22

Family

ID=3733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89A KR100502629B1 (ko) 2002-09-30 2002-09-30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6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72U (ja) * 1992-01-23 1993-08-1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ベルト切断具
KR960005622U (ko) * 1994-07-22 1996-02-17 최남준 파이프 콘넥터
KR970039742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시트 벨트에 설치된 나이프 착탈장치
KR20000009871U (ko) * 1998-11-13 2000-06-05 손지혜 자동차 안전 벨트 커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72U (ja) * 1992-01-23 1993-08-1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ベルト切断具
KR960005622U (ko) * 1994-07-22 1996-02-17 최남준 파이프 콘넥터
KR970039742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시트 벨트에 설치된 나이프 착탈장치
KR0177461B1 (ko) * 1995-12-29 1999-04-01 김태구 차량의 시트 벨트에 설치된 나이프장치
KR20000009871U (ko) * 1998-11-13 2000-06-05 손지혜 자동차 안전 벨트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68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987B1 (ko) 시트벨트의 절단구 및 그 취부방법
US20190152416A1 (en) Seatbelt Mounted Combination Cutter and Glass Break Tool
US7028874B2 (en) Windows-breaking emergency escape device
US4680861A (en) Seatbelt cutter
US20140157525A1 (en) System for an Escaping Device
US20170106831A1 (en) Seat belt cutter
JP2719666B2 (ja) 緊急脱出用刃付ハンマ
KR100502629B1 (ko) 절단구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
JP5773778B2 (ja) 緊急脱出用工具
US7703161B1 (en) Vehicle extrication preparatory tool
JP2585184B2 (ja) 緊急脱出用ハンマー
US11364865B2 (en) System for self-escape from a safety harness having a plurality of mounted web cutters and glass break tools
KR20200057326A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KR100200268B1 (ko) 긴급 탈출용 햄머
KR0177461B1 (ko) 차량의 시트 벨트에 설치된 나이프장치
KR1002396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절단장치
KR100502630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절단구
KR0138152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절단장치
KR20140049112A (ko) 차량 사고시 비상 탈출용 도구
KR200153316Y1 (ko) 시트벨트용 절단장치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JPH0753351B2 (ja) 車両のための緊急脱出用道具の保持ケース
KR19990015697U (ko) 자동차의 안전밸트 절단장치
JP2550632Y2 (ja) 緊急脱出用ハンマー
JPS63199151A (ja) 自動車用安全ベルトの装着解除方法及び装着解除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安全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