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001B1 -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001B1
KR100898001B1 KR1020080015214A KR20080015214A KR100898001B1 KR 100898001 B1 KR100898001 B1 KR 100898001B1 KR 1020080015214 A KR1020080015214 A KR 1020080015214A KR 20080015214 A KR20080015214 A KR 20080015214A KR 100898001 B1 KR100898001 B1 KR 10089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ebbing
plate
occupant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연
신윤재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 탑승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가 완만한 속도로 길이 가변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에 관한 것으로, 리트랙터에 인출되게 감긴 텅측 웨빙 및 차체에 고정된 로어 앵커와 버클에 연결되는 로어 앵커측 웨빙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로서, 상기 로어 앵커측 웨빙에 고정되며 일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텅측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는 가변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변형 플레이트가 웨빙의 당겨지는 방향으로 제한된 길이만큼 신장되므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가변형 플레이트의 1차 변형과 가변형 플레이트의 2차 변형으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며, 이에 따라 탑승자를 보다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퓨즈벨트, 고정 플레이트, 가변형 플레이트, 웨빙

Description

안전벨트용 퓨즈벨트{Fuse Belt for Seat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용 퓨즈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에 의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 도중에 충돌하거나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는 관성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움직여 스티어링휠, 윈드실드 글라스 등에 강하게 부딪히거나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실내의 불특정한 곳에 충돌되면서 상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모든 차량에는 탑승자(운전자 포함)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안전벨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단부가 차체에 고정된 리트랙터(1)에 감긴 상태로 고정되고, 리트랙터(1) 상부에는 어퍼 앵커(2)가 설치되며, 다른 쪽 단부는 시트 쿠션 프레임 또는 플로어 패널에 로어 앵커(3)가 고정된다.
또한 안전벨트의 웨빙에는 자유 이동되는 텅(4)이 고정되고, 상기 로어 앵커(3)의 타측에는 버클(5)이 설치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텅(4)을 잡아 당겨 버클(5)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자신의 신체를 구속시켜 사고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리트랙터(1)는 운전자에 의해 웨빙(W)의 자유로운 인출 및 과다 인출 시 웨빙을 되감아 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견고히 구속하기 위해 리트랙터(1) 내부에 스토퍼(도면상 미도시됨)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의 리트랙터(1)는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상체 거동을 지나치게 급격히 구속함으로써 안전벨트에 의해 탑승자의 목 또는 가슴 등에 상해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되도록 안전벨트에는 상기 로어 앵커(3) 부분에 퓨즈벨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퓨즈벨트는 웨빙(W)의 로어 앵커(3) 부분을 소정 범위만큼 겹쳐서 재봉하고, 상기 재봉부를 접어 웨빙(W)에 밀착시킨 다음 커버(도면상 미도시됨)를 씌우게 된다.
아울러 퓨즈벨트는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튕겨나갈 때 재봉부가 뜯어지면서 탑승자의 전방 거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감소시킴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30946호에 '자동차의 시트벨트 충격흡수장 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용 휴즈벨트는 텅측 웨빙(TW)에 연결되는 슬라이더(10), 로어 앵커(3)의 웨빙에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20) 및 상기 슬라이더(10)와 고정 플레이트(20)를 결합하는 볼트(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10)에는 하부 중앙에 볼트(30)가 관통되는 볼트 구멍(1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텅측 웨빙을 연결하는 웨빙홀(12)이 형성되어 텅측 웨빙의 단부가 삽입되어 감겨진 후 재봉된다.
또 고정 플레이트(20)에는 슬라이더(10)의 볼트 구멍(11)과 대응되는 볼트 구멍(21)이 형성되고, 볼트 구멍(21)으로부터 연장된 슬롯(22)이 형성되며, 슬롯(22) 양쪽에는 고정 플레이트(2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댐핑 플랜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댐핑 플랜지(23)는 그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슬롯(22)의 폭을 조절하게 되며, 볼트 구멍(21)과 슬롯(22) 연결 부위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은 볼트(30)가 볼트 구멍(2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여 슬라이더(10)와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정 플레이트(20) 하단에는 로어 앵커(3) 측 웨빙(LW)이 연결되는 웨빙홀(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 충격흡수장치는 슬라이더가 고정 플레이트의 슬롯을 따라 이동되면서 웨빙 길이가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슬롯 양쪽에 고정 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의 댐핑 플랜지를 형성하므로 그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되며, 댐핑 플랜지에 작용하는 힘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 댐핑 플랜지가 양쪽으로 순식간에 젖혀져 충격을 완화시키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 시 탑승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가 완만한 속도로 길이 가변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전벨트용 퓨즈벨트는 리트랙터에 인출되게 감긴 텅측 웨빙 및 차체에 고정된 로어 앵커와 버클에 연결되는 로어 앵커측 웨빙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로서, 상기 로어 앵커측 웨빙에 고정되며 일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텅측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는 가변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변형 플레이트가 웨빙의 당겨지는 방향으로 제한된 길이만큼 신장되므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가변형 플레이트의 1차 변형과 가변형 플레이트의 2차 변형으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며, 이에 따라 탑승자를 보다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제1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전술한 종래기술의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가 신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의 퓨즈벨트(100)는 고정 플레이트(110)와 가변형 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와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앵커측 웨빙(LW) 및 텅측 웨빙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어 앵커측 웨빙(LW)에 고정 플레이트(110)가 고정되고, 텅측 웨빙(TW)에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고정된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고정 플레이 트(110) 일측에는 로어 앵커측 웨빙(LW)이 고정되는 LW용 웨빙 구멍(111)이 형성되고, LW용 웨빙 구멍(111)과 이격된 위치에는 제1볼트 구멍(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LW용 웨빙 구멍(111)에는 로어 앵커측 웨빙(LW)을 끼워 웨빙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재봉을 하여 로어 앵커측 웨빙(LW)과 고정 플레이트(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으로,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일측에 고정 플레이트(110)의 제1볼트 구멍(112)과 대응되는 제2볼트 구멍(13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텅측 웨빙(TW)이 고정되는 TW용 웨빙 구멍(13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와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텅측 웨빙(TW)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만곡되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퓨즈벨트(10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LW용 웨빙 구멍(111)에 로어 앵커측 웨빙(LW) 일단이 고정되고,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TW용 웨빙 구멍(131)에 텅측 웨빙(TW)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제1볼트 구멍(112)과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제2볼트 구멍(132)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된 다.
이와 같이 퓨즈벨트(100)가 안전벨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도중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안전벨트에 의해 탑승자를 구속하게 된다.
이때 탑승자는 안전벨트에 의해 급속하게 구속되는데, 탑승자는 차량의 진행 방향과 동일하게 가고자 하는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안전벨트는 탑승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쏠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안전벨트의 구속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한 충격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가 안전벨트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퓨즈벨트(100)가 작동되어 탑승자의 구속 상태를 일부 느슨하게 구속시키게 된다.
즉, 탑승자가 안전벨트로 구속됨과 함께 탑승자의 쏠림으로 안전벨트에 강한 힘이 작용되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에 고정되어 있는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길이가 변형되면서 안전벨트 길이가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변형되는 길이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이 탑승자를 구속한 상태에서 탑승자의 쏠림으로 인한 관성력에 의해 상승된다.
이렇게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상승되면 웨빙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퓨즈벨트(10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볼트 구멍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 구멍(115)은 일단이 도3에 도시된 제1볼트 구멍(111)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을 생략하고, 안내 구멍(115)과 가변형 플레이트(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충돌에 의해 탑승자를 구속하게 되고, 탑승자의 관성력으로 탑승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변형과 함께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고정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체결수단이 안내 구멍(115)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그 자체적인 변형과 함께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안내 구멍(115)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충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변형으로 1차적인 충격 완화 및 이동되는 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안내 구멍(115)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한층 완화시키게 된다.
<제3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110)는 안내 구멍(115)에 노치(116, notch)가 형성되고,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그 형태가 대략 중첩된 'W'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치(116)는 일체로 이루어진 제1볼트 구멍(112)과 안내 구멍(115)에 형성되는데, 제1볼트 구멍(112)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의 일부와 접촉되게 안내 구멍(115) 내측으로 돌출되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안내 구멍(115)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큰 변형량을 갖도록 중첩되게 구부린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퓨즈벨트(100)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충돌에 의해 탑승자를 구속하게 되고, 탑승자의 관성력으로 탑승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즉, 고정 플레이트(110)에 고정되어 있는 가변형 플레이트(130)가 변형되면서 그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노치(116)에 걸려 있는 체결수단이 안내 구멍(115)을 따라 이동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한층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110)와 가변형 플레이트(130)에 체결된 체결수단은 노치(116)에 의해 안내 구멍(115)으로의 이동이 일부 제한된다. 상기 가변형 플레이트(130)는 그 형상이 늘어나면서 제1, 제2볼트 구멍(112,132)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안내 구멍(115)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체결수단을 잡아당기는 힘이 강해짐에 따라 체결수단이 노치(116)를 변형시켜 안내 구멍(115) 쪽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가변형 플레이트(130)의 변형으로 1차적인 충격 완화, 노치(116)의 변형으로 인한 2차적인 충격 완화 및 체결수단이 안내 구멍(115)으로 이동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충격을 더욱 한층 완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충격을 완충시킴은 물론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부품 등을 보호하고자 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안전벨트 설치 상태도.
도2는 종래의 시트벨트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가 신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퓨즈벨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퓨즈벨트 110: 고정 플레이트
111: 웨빙 구멍 112: 볼트 구멍
115: 안내 구멍 116: 노치
130: 가변형 플레이트 131: 웨빙 구멍
132: 볼트 구멍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리트랙터에 인출되게 감긴 텅측 웨빙 및 차체에 고정된 로어 앵커와 버클에 연결되는 로어 앵커측 웨빙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로서,
    상기 로어 앵커측 웨빙에 고정되며 일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텅측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는 가변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수단이 이동되는 안내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은 상기 체결수단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일정한 힘 이하로 당겨질 때 이동되지 않도록 체결수단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노치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플레이트는 만곡되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플레이트는 중첩되는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KR1020080015214A 2008-02-20 2008-02-20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KR10089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14A KR100898001B1 (ko) 2008-02-20 2008-02-20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14A KR100898001B1 (ko) 2008-02-20 2008-02-20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001B1 true KR100898001B1 (ko) 2009-05-18

Family

ID=4086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14A KR100898001B1 (ko) 2008-02-20 2008-02-20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87U (ko) * 1994-06-29 1996-01-19 시트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7003986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46787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벨트 앵커 브라켓
KR0177426B1 (ko) * 1995-12-29 1999-04-01 김태구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87U (ko) * 1994-06-29 1996-01-19 시트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7003986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7426B1 (ko) * 1995-12-29 1999-04-01 김태구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9980046787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벨트 앵커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2833A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KR102146873B1 (ko) 3점식 시트벨트 장치
US20080136223A1 (en) Energy Absorbing Seat Anchor Restraint System for Child Safety Seats
US7249784B2 (en) Safety arrangement
JP2018090224A (ja) シートベルト内蔵車両用シート
KR100898001B1 (ko)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KR2012001962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440768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RU23196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глощения энергии с ограничением перемещения туловища пассажира
KR10209693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4395875B2 (ja)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構造
KR102634408B1 (ko) 차량의 서브마린 방지 시트 벨트 및 그 작동 방법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50101982A (ko) 시트벨트 기구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60130946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충격흡수장치
KR100371540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100435382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20014228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