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873B1 - 3점식 시트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3점식 시트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873B1
KR102146873B1 KR1020180090982A KR20180090982A KR102146873B1 KR 102146873 B1 KR102146873 B1 KR 102146873B1 KR 1020180090982 A KR1020180090982 A KR 1020180090982A KR 20180090982 A KR20180090982 A KR 20180090982A KR 102146873 B1 KR102146873 B1 KR 10214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force limiter
side force
belt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565A (ko
Inventor
시게카즈 이마나카
마코토 세키즈카
미츠요시 오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2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7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60R22/185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the means being sensitive to belt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9Energy-absorption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3점식 시트벨트 장치(S)는,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웨빙(20); 프리텐셔너 기구 및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를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도록 구성된 숄더측 권취 장치(32); 상기 웨빙(20)에 장착된 텅(40); 상기 텅(40)이 연결되는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벨트(50)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 중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만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3점식 시트벨트 장치{THREE-POINT SEATBELT DEVICE}
본 발명은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129864호에 개시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에서는, 웨빙의 숄더 벨트측이 프리텐셔너 기구(이하, PT 기구라고 한다.) 및 포스 리미터 기구(이하, FL 기구라고 한다.)를 구비한 리트랙터를 개재하여 차체 측부에 고정된다. 또, 웨빙에 장착된 텅(tongue)이 연결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이너 벨트도 PT 기구 및 FL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97869호에 개시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에서는, 웨빙의 숄더 벨트측이 PT 기구 및 FL 기구를 구비한 리트랙터를 개재하여 차체 측부에 고정된다. 또, 버클이 에너지 흡수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플로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129864호의 PT 기구를 구비한 이너 벨트는, 인입 스트로크 확보 등의 필요성으로부터 장치가 대형화된다. 또, 리트랙터의 PT 기구와 이너 벨트의 PT 기구는 작동시에 서로 끌어당기는 관계가 되기 때문에,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가 과대해지지 않도록 2개의 PT 기구의 작동 타이밍을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작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ECU 등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대된다.
또,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97869호의 기술에서는, 리트랙터의 FL 기구의 작동 하중과, 이너 벨트의 FL 기구의 작동 하중과의 관계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충돌시에 이너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숄더 벨트로부터의 하중과 랩 벨트로부터의 하중의 합성 하중이 된다. 그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97869호의 기술에서는, 이너 벨트의 FL 기구가 작동하는 한편으로, 리트랙터의 FL 기구가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탑승자가 차량 전방 또한 차 폭 방향 외측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충돌 형태에서는, 탑승자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충돌 형태와 비교하여, 이너 벨트에 걸리는 하중이 커지기 쉽다. 그 때문에, 이너 벨트의 FL 기구가 작동하는 한편으로, 리트랙터의 FL 기구가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비교적 높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충돌시의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를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는 소형이고도 값싼 3점식 시트벨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관련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는,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웨빙; 프리텐셔너 기구 및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端部)를 인출 가능하게 권취(卷取)하도록 구성된 숄더측 권취 장치; 상기 웨빙에 장착된 텅; 상기 텅이 연결되는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벨트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 중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만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태양에서는, 웨빙에 장착된 텅이 버클에 연결됨으로써, 웨빙이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이다.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에는, 숄더측 권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숄더측 권취 장치는 PT 기구 및 FL 기구(숄더측 FL 기구)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충돌시에 PT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숄더측으로부터 웨빙이 인입되어, 웨빙의 느슨해짐을 없앨 수 있다. 또, 숄더측 FL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숄더 벨트에 의해 구속되는 탑승자 흉부에의 과잉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도, FL 기구(버클측 FL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탑승자의 요부(腰部)나 탑승자 흉부에의 과잉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이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에서는, 이너 벨트가 PT 기구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너 벨트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PT 기구 작동을 위한 착화 등의 전기적인 제어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ECU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은,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이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과 동일한 정도이거나 낮게 설정되어 있는 태양과 비교하여, 숄더측 FL 기구를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의 양방(兩方)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를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비스듬한 충돌시 등의 탑승자가 권취 장치 측의 비스듬히 전방으로 이동하는 충돌시에도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의 양방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적절하게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의 1.3∼2.2배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은,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의 1.3∼2.2배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이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의 양방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하중은, 작동 후반에 있어서 작동 초기보다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버클측 FL 기구의 하중은, 작동 후반에 있어서 작동 초기보다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충돌의 초기 단계의 숄더 벨트에 걸리는 하중이 올라가는 단계에서는, 버클측 FL 기구의 하중(초기 하중)이 높아져, 충돌 초기의 탑승자 흉부의 구속이 확보된다. 그리고, 탑승자의 전방 이동에 의해 숄더 벨트로부터의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가 커지는 충돌 후반에서는, 버클측 FL 기구의 하중이 내려가,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가 적절하게 저감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상기 이너 벨트가 차체측 부재에 고정되는 앵커 위치와 상기 버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버클측 FL 기구가, 이너 벨트의 앵커 위치와 버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가 소형이고, 이 3점식 시트벨트 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측방(側方)에 센터 콘솔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변형관과, 상기 버클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변형관 내를 통과시켜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된 조임 부재를 가져도 된다. 상기 버클이 상기 텅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부재가 상기 변형관을 변형시키면서 상방(上方)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이 인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변형관의 하부는, 상기 변형관의 기타 부분과 비교하여 판 두께가 크거나 또는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만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긴 구멍이 형성된 변형판과, 상기 버클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와,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양단(兩端)부가 지지된 조임 핀을 가져도 된다. 상기 긴 구멍은, 상기 조임 핀이 감합(嵌合)된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보다 폭이 좁은 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상기 버클이 상기 텅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핀이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이 인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변형부 중 상기 감합부와 인접하는 일부는 상기 변형부 중 기타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변형부 중 상기 감합부와 인접하는 일부의 상기 변형판의 판 두께는 상기 기타 부분의 상기 변형판의 판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만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긴 구멍이 형성된 변형판과, 상기 버클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와,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양단부가 지지된 조임 핀을 가져도 된다. 상기 긴 구멍은, 상기 조임 핀이 감합된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보다 폭이 좁은 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는, 상기 버클이 상기 텅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핀이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이 인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변형판이,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부에 겹쳐진 추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변형부 중 상기 감합부와 인접하는 일부의 상기 변형판의 판 두께가 상기 변형부 중 기타 부분의 상기 변형판의 판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변형판의 판 두께를 일부에 있어서 크게 형성함으로써 FL 기구의 초기 하중을 높게 하는 구성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3점식 시트벨트 장치를 나타낸 시트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 (a)는 제 1 실시 형태의 FL 기구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이너 벨트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b)는 제 1 실시 형태의 FL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의 이너 벨트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a)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례 1에 관련된 이너 벨트의 변형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b)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례 2에 관련된 이너 벨트의 변형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a)는 제 2 실시 형태의 이너 벨트를 나타낸 시트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 (b)는 도 4 (a)의 ⅣB-ⅣB선 단면도이다.
도 5 (a)는 제 2 실시 형태의 이너 벨트의 앵커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b)는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례 3에 관련된 앵커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c)는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례 4에 관련된 앵커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FL 기구의 하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FL 기구의 하중 특성의 변형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에, 도 1∼도 6을 이용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S)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의 화살표 FR은 시트 전후 방향 전측(前側), 화살표 UP은 시트 상하 방향 상측, 화살표 W1은 시트 폭 방향 일방(一方)측(버클측), 화살표 W2는 시트 폭 방향 타방(他方)측(리트랙터측)을 각각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기재 없이 전후, 상하, 폭 방향 일방측, 타방측의 방향을 이용하는 경우는, 시트 전후 방향의 전후, 시트 상하 방향의 상하, 시트 폭 방향의 일방측, 타방측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S)는, 1열째 우측 좌석(오른쪽 핸들 차에 있어서의 운전석)인 차량용 시트(10)에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전방과 시트 전방, 차량 상방과 시트 상방, 차 폭 방향 내측과 시트 폭 방향 일방측, 차 폭 방향 외측과 시트 폭 방향 타방측이 각각 일치한다.
〔3점식 시트벨트 장치의 기본 구성〕
3점식 시트벨트 장치(S)는, 탑승자 구속용의 웨빙(20)을 구비하고 있다. 웨빙(20)은, 화학 섬유 등의 재료에 의해서 가요성을 갖는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웨빙(20)의 길이 방향 일방측(숄더 벨트(20S)측)의 단부는, B 필러(16)의 하단부에 마련된 「숄더측 권취 장치」로서의 리트랙터(32)의 스풀(도시 생략)에 계지(係止)되어 있다. 웨빙(20)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B 필러(16)의 상부에 마련된 숄더 앵커(34)(슬립 가이드, 슬립 조인트)에 삽통(揷通)되어 되접혀 있다. 웨빙(20)의 길이 방향 타방측(랩 벨트(20L)측)의 단부는, B 필러(16)의 하단부에 고정된 앵커 부재(36)에 계지되어 있다.
또, 웨빙(20)에 있어서의 숄더 앵커(34)와 앵커 부재(36)와의 사이의 부분에는, 텅(40)이, 웨빙(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차량용 시트(10)의 시트 폭 방향 일방측(차 폭 방향 내측)에는, 이너 벨트(50)가 마련되어 있다. 이너 벨트(50)는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텅(40)이 버클(52)과 연결되면,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장착한 상태(이하, 「장착 상태」라고 한다.)가 된다. 장착 상태에서는, 웨빙(20)에 있어서의 텅(40)과 숄더 앵커(34)와의 사이의 부분이 탑승자의 탑승자 흉부나 어깨부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20S)로서 기능하고, 웨빙(20)에 있어서의 텅(40)과 앵커 부재(36)와의 사이의 부분이 탑승자 요부를 구속하는 랩 벨트(20L)로서 기능한다.
〔PT 기구 및 FL 기구 구비 리트랙터〕
리트랙터(32)는, 웨빙(20)을 스풀로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여 격납하는 권취 장치이다. 리트랙터(32)는,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 값 이상인 것, 또는 웨빙(20)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 값 이상인 것이 검출되면, 스풀의 회전을 록 하여 웨빙(20)의 인출을 규제하는 록 기구를 갖고 있다.
또, 리트랙터(32)는 도시하지 않은 PT 기구를 갖고 있다. PT 기구는, 주지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화약식으로 되어 있다. 전면(前面) 충돌이 검지되었을 때에 화약의 발화에 의해서 스풀이 회전하고, 웨빙(20)이 강제적으로 권취된다. 또, 리트랙터(32)는, 프리-크래시(pre-crash) 시트벨트 기구를 갖고 있다. 프리-크래시 시트벨트 기구는, 전면 충돌이나 측면 충돌이 예지되었을 때에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웨빙(20)을 강제적으로 권취한다.
또, 리트랙터(32)는, 도시하지 않은 FL 기구(이하, 숄더측 FL 기구라고 한다.)를 갖고 있다. 숄더측 FL 기구는 주지의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은, 예를 들면 약 4 kN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FL 기구의 초기 하중이란, FL 기구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부터 작동을 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중(웨빙 인출 방향의 하중)을 의미한다.
〔이너 벨트〕
도 2 (a)에는, 이너 벨트(50)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너 벨트(50)는, 그 길이 방향 일방측(상방측)의 버클(52)에 있어서 텅(40)과 연결되고, 그 타단(他端)측(하방측)에 있어서 차체나 차량용 시트(10) 등의 차체측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너 벨트(50)는, 「버클측 FL 기구」로서의 FL 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타 설명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버클을 포함하고 또한 차체측 부재에 연결되는 부재를 이너 벨트라고 칭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웨빙과 같은 긴 띠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이너 벨트에 상당한다.
FL 기구(54)는 케이스(56)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6)는, 내부에 후술하는 변형관(62)이나 조임 부재(66)가 배치되는 격납부(58)와, 차체측 부재에 연결되는 앵커부(60)를 갖는다. 앵커부(60)에는 축 삽통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너 벨트(50)는, 이 축 삽통 구멍(60A)을 이용하여 차체측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격납부(58)는 앵커부(6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격납부(58)는, 평판 형상의 앵커부(60)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일방측(차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판 형상의 앵커부(60)가 형성하는 가상적인 평면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격납부(58)가 위치해 있다. 또, 격납부(58)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FL 기구(54)는 변형관(62)을 구비하고 있다. 변형관(62)은 케이스(56) 내에 마련되어 있다. 변형관(62)은, 이너 벨트(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직사각형의 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단부터 하단까지 동일한 판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관(62)의 상단은, 케이스(56)의 상벽(58T)에 결합되어 있고, 변형관(62)의 하단은, 케이스(56)의 하벽(58B)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있다.
또, FL 기구(54)는, 버클(52)에 연결된 와이어(64)를 구비한다. 와이어(64)는, 일단(상단)이 버클(52)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케이스(56)의 상벽(58T)에 형성된 관통 구멍(58A)을 개재하여 케이스(56) 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벽(58T)의 관통 구멍(58A)은 변형관(62)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64)는 변형관(62)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다. 와이어(64)의 타단(하단)에는 조임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임 부재(66)에는, 와이어(64)가 통과하는 삽통 구멍(66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임 부재(66)의 삽통 구멍(66A)에 와이어(64)가 통과시켜지고, 와이어(64)의 타단(하단)에 계지 부재(68)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임 부재(66)가 와이어(64)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조임 부재(66)의 삽통 구멍(66A)은, 조임 부재(66)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조임 부재(66)의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변형관(62)의 단면 형상과 상사(相似)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조임 부재(66)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향하여 점차 확대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임 부재(66)의 측면(66S)은, 조임 부재(66)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조임 부재의 중심축(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64)가 통과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평면으로 되어 있다.
조임 부재(66)의 상측의 일부는, 변형관(6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조임 부재(66)의 하측의 일부는, 변형관(62)의 외부(변형관(6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조임 부재(66)의 측면(66S)은, 변형관(62)의 하단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변형관(62)의 하단은,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조임 부재(66)의 경사진 측면(66S)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FL 기구의 작동 설명)
다음으로, FL 기구(54)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면 충돌 등의 탑승자가 시트 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충돌이 발생하면, 버클(52)에는, 버클(52)을 케이스(56)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의 큰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면, 버클(52)에 연결된 와이어(64)를 개재하여 조임 부재(66)에 하중이 전달되고, 조임 부재(66)가 변형관(62)을 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2 (b)). 이에 의해, 변형관(62)의 변형에 따른 에너지 흡수가 됨과 함께 버클(52)이 상방으로 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변형관(62)은, 조임 부재(66)의 경사진 측면(66S)을 따라서 변형된다. 또, 조임 부재(66)가 케이스(56)의 상벽(58T)에 맞닿음으로써 버클(52)의 인출량이 제한된다. 또, 조임 부재(66)의 하단의 단면 치수는, 변형 후의 변형관(62)이 케이스(56)에 내측으로부터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FL 기구(54)의 하중 특성, 즉 충돌시의 탑승자 이동량과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이너 벨트의 하중)과의 관계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점선은, 가령 이너 벨트(50)가 FL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 초기,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은, 탑승자 이동량과 함께 상승한다. 그러나, 이너 벨트의 하중은, 예를 들면 약 5.5 kN을 상한으로 그 이상은 상승하지 않고, 탑승자 이동량이 증가하더라도 대략 일정한 하중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이너 벨트의 하중이 약 5.5 kN에 도달한 시점이, FL 기구(54)가 작동을 개시한 시점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FL 기구(54)에서는, 버클(52)을 인출하는 방향(도 2 (a) 및 도 2 (b)에 있어서의 위쪽 방향)의 하중이 약 5.5 kN에 도달하면, 변형관(62)이 조임 부재(66)에 의해 변형되기 시작한다. 그 후에는, 대략 일정한 하중(약 5.5 kN)을 유지하면서, 버클(52)이 인출된다.
< 작용 효과 >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3점식 시트벨트 장치(S)는, 웨빙(20)에 장착된 텅(40)이 버클(52)에 연결됨으로써, 웨빙(20)이 숄더 벨트(20S) 및 랩 벨트(20L)로서 기능하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이다. 웨빙(20)의 숄더 벨트(20S)측의 단부에는, 리트랙터(32)가 마련되어 있다. 리트랙터(32)는 PT 기구 및 FL 기구(숄더측 FL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충돌시에 PT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웨빙(20)이 인입되어, 웨빙(20)의 느슨해짐을 없앨 수 있다. 또, 숄더측 FL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숄더 벨트(20S)에 의해 구속되는 탑승자 흉부에의 과잉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50)도, FL 기구(54)(버클측 FL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54)가 작동함으로써, 탑승자의 요부나 탑승자 흉부에의 과잉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이 3점식 시트벨트 장치(S)에서는, 이너 벨트(50)가 PT 기구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너 벨트(50)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PT 기구 작동을 위한 착화 등의 전기적인 제어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ECU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클측 FL 기구(54)의 초기 하중은,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이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과 동일한 정도나 낮게 설정되어 있는 태양과 비교하여, 숄더측 FL 기구를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54)와의 양방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를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비스듬한 충돌시 등의 탑승자가 권취 장치측(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 폭 방향 외측)의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이동하는 충돌시에도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54)의 양방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적절하게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버클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은,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의 1.3∼2.2배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2.0배의 범위이다. 이와 같이, 버클측 FL 기구(54)의 초기 하중을 숄더측 FL 기구의 초기 하중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숄더측 FL 기구와 버클측 FL 기구(54)의 양방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측 FL 기구(54)가, 이너 벨트(50)의 앵커 위치(앵커부(60)의 축 삽통 구멍(60A))와 버클(5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클측 FL 기구(54)가 소형이고, 이 3점식 시트벨트 장치(S)가 적용된 시트(차량용 시트(10))의 측방에 센터 콘솔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 벨트(150)의 구성이, 제 1 실시 형태의 이너 벨트(50)와 상이하다.
도 4 (a), 4 (b)에, 제 2 실시 형태의 이너 벨트(150)를 나타낸다. 제 2 실시 형태의 이너 벨트(150)의 FL 기구(154)는, 「변형판」으로서의 앵커 브래킷(70)을 구비하고 있다. 앵커 브래킷(70)은 금속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앵커 브래킷(70)의 하단부에는 축 삽통 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축 삽통 구멍(70A)에 도시하지 않은 축이 통과시켜져, 앵커 브래킷(70)이 대략 시트 폭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차체측 부재에 연결된다.
또, 앵커 브래킷(70)에 있어서의 축 삽통 구멍(70A)보다 상방의 영역에는, 후술하는 조임 핀(76)이 감합하는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72)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FL 기구(154)는, 버클(52)과 연결된 「통 형상 부재」로서의 버클 브래킷(74)을 구비하고 있다. 버클 브래킷(74)은, 단면 장방형 형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클 브래킷(74)의 내부에는 앵커 브래킷(70)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버클 브래킷(74)에는 핀 지지 구멍(74A)이 형성되어 있다. 핀 지지 구멍(74A)은, 버클 브래킷(74)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74S)을 관통하고 있다. 핀 지지 구멍(74A)에는 조임 핀(76)이 통과시켜져 있고, 조임 핀(76)의 축 방향 양측부가 버클 브래킷(74)의 한 쌍의 측벽(74S)에 지지되어 있다. 조임 핀(76)의 축 방향 중간부는, 앵커 브래킷(70)의 긴 구멍(72)의 일부에 감합되어 있다.
도 5 (a)에 앵커 브래킷(70)을 단품으로 나타낸다. 긴 구멍(72)은, 조임 핀(76)이 감합하는 감합부(72A)와, 변형부(7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72A)는, 조임 핀(76)의 축 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부(72B)는, 조임 핀(76)의 축 방향 중간부의 직경보다 작은 폭 치수(도 5 (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시, 조임 핀(76)은, 긴 구멍(72)의 감합부(72A)에 감합한 상태가 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FL 기구의 작동 설명)
다음으로, FL 기구(154)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면 충돌 등의 탑승자가 시트 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충돌이 발생하면, 먼저, 리트랙터(32)의 PT 기구가 작동하여 숄더측으로부터 웨빙(20)이 인입되어, 웨빙(20)의 느슨해짐이 없어진다. 다음으로,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시트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탑승자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20S) 및 랩 벨트(20L)에는 큰 장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버클(52)에는, 숄더 벨트(20S)로부터의 하중과 랩 벨트(20L)로부터의 하중과의 합성 하중, 즉 버클(52)을 앵커 브래킷(70)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의 큰 하중(도 4 (a)의 화살표 F 참조)이 작용한다. 그러면, 버클(52)에 연결된 버클 브래킷(74)을 개재하여 조임 핀(76)에 하중이 전달되고, 조임 핀(76)이 긴 구멍(72)의 변형부(72B)를 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긴 구멍(72)(앵커 브래킷(70))의 변형에 따른 에너지 흡수가 됨과 함께 버클(52)이 상방으로 인출된다. 이 FL 기구(154)에 의해서도, 도 6에 나타난 하중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FL 기구(54)의 하중 특성의 변형례)
또, FL 기구의 하중 특성(충돌시의 탑승자 이동량과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과의 관계)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중 특성으로 변경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특성의 변형례에서는, 충돌 초기,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은, 탑승자 이동량과 함께 상승한다. 그리고,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이 예를 들면 약 7 kN에 도달한 시점에서,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의 상승이 멈춘다. 이너 벨트의 발생 하중이 약 7 kN에 도달한 시점이, FL 기구(54)의 작동 개시 시점이다. 또한, 탑승자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하면, 발생 하중이 예를 들면 약 5.5 kN까지 하강한다. 그 후, 탑승자 이동량이 증가하더라도 약 5.5 kN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중 특성의 변형례에서는, 초기 하중이 높게 설정되고(약 7 kN), 그 후의 후반의 하중이 낮게(약 5.5 kN) 설정되어 있다. 즉, 버클측 FL 기구의 하중은, 작동 후반에 있어서 작동 초기보다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충돌의 초기 단계의 숄더 벨트(20S)에 걸리는 하중이 올라가는 단계에서는, 버클측 FL 기구(54)의 하중(초기 하중 약 7 kN)이 높아져, 충돌 초기의 탑승자 흉부의 구속이 확보된다. 그리고, 탑승자 이동에 의해 숄더 벨트(20S)로부터의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가 커지는 충돌 후반에서는, 버클측 FL 기구(54)의 하중이 내려가(약 5.5 kN), 탑승자 흉부에의 부하가 적절하게 저감된다.
이와 같은 하중 특성을 갖는 FL 기구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의 FL 기구(54)의 변형관(62)을 도 3 (a), 도 3 (b)에 나타낸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FL 기구(154)의 앵커 브래킷(70)을 도 5 (b), 도 5 (c)에 나타낸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례)
도 3 (a)에,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례 1에 관련된 FL 기구의 변형관(162)을 나타낸다. 변형관(162)은, 하부의 입구부(162A)와 상기 입구부 이외의 부분인 일반부(162B)와의 경계에 있어서 판 두께가 변화되어 있다. 즉, 변형관(162)은, 하부의 판 두께가 큰(두꺼운) 입구부(162A)와, 판 두께가 비교적 작은(얇은) 일반부(162B)를 갖고 있다. 입구부(162A)와 일반부(162B)와의 내측 형상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입구부(162A)의 외측 형상은, 일반부(162B)의 외측 형상보다 확대되어 있다. 또, 입구부(162A)의, 변형관(162)의 축 방향의 길이는, 일반부(162B)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도 3 (b)에,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례 2에 관련된 FL 기구의 변형관(262)을 나타낸다. 변형례 2의 변형관(262)은, 변형례 1의 변형관(162)과 달리, 그 축 방향의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판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례 2의 변형관(262)은, 입구부(262A)와 일반부(262B)와의 경계에서 단면 형상이 변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형관(262)의 입구부(262A)는, 일반부(262B)와 비교하여 단면 형상(내경 및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변형례 1과 변형례 2 중 어느 변형관(162, 262)에 의해서나, 조임 부재(66)(도 2 (a), 도 2 (b) 참조)가, 변형관(162, 262)의 입구부(162A, 262A)를 변형시키는 변형 초기에서는, 변형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커지는 한편으로, 변형관(162, 262)의 일반부(162B, 262B)를 변형시키는 변형 후반에서는, 변형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작아진다. 따라서,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하중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례)
도 5 (b)에,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례 3에 관련된 FL 기구의 앵커 브래킷(170)을 나타낸다. 변형례 3의 앵커 브래킷(170)에서는, 긴 구멍(72)의 변형부(72B)의 형상이,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부(72B)와 다르다. 긴 구멍(72)의 변형부(72B)는, 폭이 좁은 부분(72BA)과 폭이 넓은 부분(72B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폭이 좁은 부분(72BA) 및 폭이 넓은 부분(72BB)의 폭 치수는, 모두, 조임 핀(76)의 축 방향 중간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폭이 좁은 부분(72BA)은, 폭이 넓은 부분(72BB)보다 폭 치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폭이 좁은 부분(72BA)은, 변형부(72B) 중 감합부(72A)에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폭이 넓은 부분(72BB)은, 변형부(72B) 중 폭이 좁은 부분(72BA) 이외의 부분(일반부)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례 3에서는, 변형부(72B) 중 감합부(72A)에 인접하는 부분(폭이 좁은 부분(72BA)), 즉 FL 기구의 작동 초기에 변형되는 부분의 폭 치수가, 변형부(72B) 중, 감합부(72A)에 인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인 일반부(폭이 넓은 부분(72BB))의 폭 치수보다 작다. 이 때문에, FL 기구의 작동 초기에서는, 폭이 좁은 부분(72BA)을 변형시키기 위한 큰 하중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작동 후반에 폭이 넓은 부분(72BB)을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은, 폭이 좁은 부분(72BA)을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FL 기구의 하중 특성에 대하여, 초기 하중을 크게 후반 하중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 (c)에,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례 4에 관련된 FL 기구의 앵커 브래킷(270)을 나타낸다. 변형례 4의 앵커 브래킷(270)에서는, 긴 구멍(72)의 형상은, 제 2 실시 형태의 긴 구멍(72)(도 5 (a) 참조)의 형상과 동일하다. 한편, 앵커 브래킷(70) 중, 긴 구멍(72)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판 두께가 변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앵커 브래킷(270)은, 제 2 실시 형태의 앵커 브래킷(70)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 본체판(270H)과, 본체판(270H)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겹쳐진 추가판(270T)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72)은, 본체판(270H) 및 추가판(270T)의 양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72) 중 추가판(270T)에 의해서 판 두께가 증가되어 있는 부분은, 긴 구멍(72)의 감합부(72A)와, 변형부(72B)의 일부(감합부(72A)에 인접하는 부분)이다.
변형례 4에서는, 변형부(72B) 중 감합부(72A)에 인접하는 부분, 즉 FL 기구의 작동 초기에 변형하는 부분의 앵커 브래킷(270)의 판 두께가, 일반부(변형부(72B) 중 추가판(270T)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의 앵커 브래킷(270)의 판 두께보다 크다. 이 때문에, FL 기구의 하중 특성을, 초기 하중이 크고 후반 하중이 작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가 운전석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3점식 시트벨트 장치는, 조수석이나 뒷부분 좌석에 적용해도 되고, 또한, 차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차량용 시트에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트랙터(32)(숄더측 권취 장치)가 B 필러(16)의 하단부에 마련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숄더측 권취 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웨빙(20)의 길이 방향 타방측(랩 벨트(20L)측)의 단부가, B 필러(16)의 하단부에 고정된 앵커 부재(36)에 계지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웨빙(20)의 랩 아우터측의 단부는, 차량용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PT 기구 구비의 리트랙터(랩측 권취 장치)에 접속되고, 충돌시 등에 권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텅(40)이, 웨빙(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예(연속 3점식 시트벨트 장치)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3점식 시트벨트 장치는, 분리 3점식 시트벨트 장치, 즉, 랩 벨트와 숄더 벨트가 각각의 웨빙에 의해 구성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여도 된다.

Claims (7)

  1. 3점식 시트벨트 장치(S)에 있어서,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웨빙(20);
    프리텐셔너 기구 및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를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도록 구성된 숄더측 권취 장치(32);
    상기 웨빙(20)에 장착된 텅(40);
    상기 텅(40)이 연결되는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벨트(50)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 중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만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이 탑승자의 이동에 따라 증가하는 충돌 초기 이후, 탑승자의 이동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은, 그 증가가 멈추어 제1 레벨으로 유지되고, 그 후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감소하고, 그 후 제2 레벨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케이스(56)와,
    상기 케이스(56) 내에 배치된 변형관(62)과,
    상기 버클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56)를 관통하여 상기 변형관(62) 내를 통과시켜진 와이어(64)와,
    상기 와이어(64)의 하단에 연결된 조임 부재(66)를 갖고,
    상기 버클(52)이 상기 텅(40)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부재(66)가 상기 변형관(62)을 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52)이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형관(62)의 하부는, 상기 변형관(62)의 기타 부분의 판 두께와 비교하여 판 두께가 크거나, 또는,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S).
  2. 3점식 시트벨트 장치(S)에 있어서,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웨빙(20);
    프리텐셔너 기구 및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를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도록 구성된 숄더측 권취 장치(32);
    상기 웨빙(20)에 장착된 텅(40);
    상기 텅(40)이 연결되는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벨트(50)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 중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만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이 탑승자의 이동에 따라 증가하는 충돌 초기 이후, 탑승자의 이동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은, 그 증가가 멈추어 제1 레벨으로 유지되고, 그 후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감소하고, 그 후 제2 레벨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긴 구멍(72)이 형성된 변형판(70)과, 상기 버클(52)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74)와, 상기 통 형상 부재(74)에 양단부가 지지된 조임 핀(76)을 갖고,
    상기 긴 구멍(72)은, 상기 조임 핀(76)이 감합된 감합부(72A)와, 상기 감합부(72A)보다 폭이 좁은 변형부(7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상기 버클(52)이 상기 텅(40)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핀(76)이 상기 변형부(72B)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긴 구멍(7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52)이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형부(72B) 중 상기 감합부(72A)와 인접하는 일부는 상기 변형부(72B) 중 기타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변형부(72B) 중 상기 감합부(72A)와 인접하는 일부의 상기 변형판(70)의 판 두께는 상기 기타 부분의 상기 변형판(70)의 판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S).
  3. 3점식 시트벨트 장치(S)에 있어서,
    숄더 벨트 및 랩 벨트로서 기능하는 웨빙(20);
    프리텐셔너 기구 및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빙의 숄더 벨트측의 단부를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도록 구성된 숄더측 권취 장치(32);
    상기 웨빙(20)에 장착된 텅(40);
    상기 텅(40)이 연결되는 버클(52)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너 벨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벨트(50)는, 프리텐셔너 기구 및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 중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만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의 초기 하중은, 상기 숄더측 포스 리미터 기구의 초기 하중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이 탑승자의 이동에 따라 증가하는 충돌 초기 이후, 탑승자의 이동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이너 벨트(50)에 발생하는 하중은, 그 증가가 멈추어 제1 레벨으로 유지되고, 그 후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감소하고, 그 후 제2 레벨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긴 구멍(72)이 형성된 변형판(70)과, 상기 버클(52)에 연결된 통 형상 부재(74)와, 상기 통 형상 부재(74)에 양단부가 지지된 조임 핀(76)을 갖고,
    상기 긴 구멍(72)은, 상기 조임 핀(76)이 감합된 감합부(72A)와, 상기 감합부(72A)보다 폭이 좁은 변형부(7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클측 포스 리미터 기구(54)는, 상기 버클(52)이 상기 텅(40)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조임 핀(76)이 상기 변형부(72B)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긴 구멍(7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버클(52)이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형판(70)이, 본체판(270H)과, 상기 본체판(270H)의 일부에 겹쳐진 추가판(270T)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변형부(72B) 중 상기 감합부(72A)와 인접하는 일부의 상기 변형판(70)의 판 두께가, 상기 변형부(72B) 중 기타 부분의 상기 변형판(70)의 판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3점식 시트벨트 장치(S).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0982A 2017-09-05 2018-08-03 3점식 시트벨트 장치 KR10214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0425 2017-09-05
JP2017170425A JP6891742B2 (ja) 2017-09-05 2017-09-05 3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65A KR20190026565A (ko) 2019-03-13
KR102146873B1 true KR102146873B1 (ko) 2020-08-21

Family

ID=6316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82A KR102146873B1 (ko) 2017-09-05 2018-08-03 3점식 시트벨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3332B2 (ko)
EP (1) EP3450262B1 (ko)
JP (1) JP6891742B2 (ko)
KR (1) KR102146873B1 (ko)
CN (1) CN109421656B (ko)
RU (1) RU269916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016A1 (de) * 2017-01-23 2018-07-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0543807B2 (en) * 2018-01-03 2020-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restraint system
JP7132141B2 (ja) * 2019-02-04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バックル装置のシート搭載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7136728B2 (ja) 2019-03-15 2022-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6933681B2 (ja) * 2019-03-22 2021-09-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KR20210064864A (ko) 2019-11-26 2021-06-03 홍도현 3점식 입석 벨트 기구
JP7348935B2 (ja) 2021-08-26 2023-09-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460A (ja) * 2011-07-14 2013-01-31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499Y1 (ko) * 1969-08-06 1975-08-22
FR2133114A5 (ko) * 1971-04-08 1972-11-24 Noir Rene
JPS4872623U (ko) * 1971-12-17 1973-09-11
US3942819A (en) * 1972-05-12 1976-03-09 Volkswagenwerk Aktiengesellschaft Safety belt tensioning device
DE2621983A1 (de) 1976-05-18 1977-12-01 Zinser Maschinenbau Kg Gurtkraftbegrenzende befestigungseinrichtung fuer fahrzeugsicherheitsgurte
JPS57113158U (ko) * 1980-12-29 1982-07-13
US4674801A (en) 1985-02-06 1987-06-23 Allied Corporation Energy absorber having a limited stroke
DE4224924A1 (de) * 1992-07-28 1994-02-03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mit Gurtstraffer
DE19511457A1 (de) * 1995-03-29 1996-10-02 Trw Repa Gmbh Kraftbegrenzung in einem Insassen-Rückhaltesystem
DE29608210U1 (de) * 1996-05-06 1996-09-12 Trw Repa Gmbh Linearantrieb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H1199908A (ja) * 1997-09-29 1999-04-13 Nippon Seiko Kk エネルギー吸収機構付きシートベルト
DE29718661U1 (de) * 1997-10-21 1998-02-19 Trw Repa Gmbh Kraftbegrenzer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H11129864A (ja) 1997-10-27 1999-05-18 Nippon Seiko Kk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308045A (ja) 2001-04-12 2002-10-23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GB2387575B (en) 2002-04-16 2004-04-14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JP4907249B2 (ja) * 2006-07-19 2012-03-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502008000990D1 (de) * 2007-02-12 2010-09-02 Takata Petri Ag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262133B2 (en) * 2008-04-23 2012-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retracto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JP5510647B2 (ja) * 2010-03-30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US20140217787A1 (en) * 2011-08-29 2014-08-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structure
JP2016097869A (ja) 2014-11-25 2016-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GB2522335A (en) 2014-12-16 2015-07-22 Daimler Ag Load limiting device for a seat belt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460A (ja) * 2011-07-14 2013-01-31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0262B1 (en) 2020-04-15
KR20190026565A (ko) 2019-03-13
US20190071053A1 (en) 2019-03-07
CN109421656A (zh) 2019-03-05
CN109421656B (zh) 2021-03-30
BR102018067280A2 (pt) 2019-03-26
RU2699167C1 (ru) 2019-09-03
JP2019043435A (ja) 2019-03-22
EP3450262A1 (en) 2019-03-06
JP6891742B2 (ja) 2021-06-18
US10703332B2 (en)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873B1 (ko) 3점식 시트벨트 장치
US10173622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11192521B2 (en) Vehicular seat belt device
JP2013018460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7124680A (ja) 乗員保護装置
JP2018090224A (ja) シートベルト内蔵車両用シート
JP2006199198A (ja) ラップアウタプリテンショナーの配設構造
JP5076789B2 (ja) ラップアウタープリテンショナーの配設構造
JP522876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28450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322531A (ja) バックル装置
JP2017178146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6825417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ガイド構造
WO2007071522A1 (en) Seat belt apparatus
KR100839293B1 (ko) 3점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KR10258575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안전 장치
JP7235413B2 (ja) ラッププリテンショナ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805856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6597522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898001B1 (ko) 안전벨트용 퓨즈벨트
JP691604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60266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JP6805922B2 (ja) 3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308043A (ja) ウェビング挿通部材
JP2022071614A (ja) バックル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