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140Y1 -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140Y1
KR200142140Y1 KR2019970009074U KR19970009074U KR200142140Y1 KR 200142140 Y1 KR200142140 Y1 KR 200142140Y1 KR 2019970009074 U KR2019970009074 U KR 2019970009074U KR 19970009074 U KR19970009074 U KR 19970009074U KR 200142140 Y1 KR200142140 Y1 KR 200142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airbag
driver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390U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09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1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승객을 태우는 영업용 택시나 호의로 모르는 사람을 탑승시킨 자가용의 경우 동승자가 돌연 강도로 변신하여 운전자를 위협할 때 운전자는 그에 대한 적절한 방어조치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어서 목숨을 잃거나 피해를 보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 1스위치(SW1)를 스티어링휠에,제 2스위치(SW2)를 페달 부근에 설치하여 상기 제 1스위치(SW1)에 제 1릴레이(RY1)를 직렬연결하고,상기 제 2스위치(SW2)에 제 2릴레이(RY2)를 직렬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1a)를 상기 제 2릴레이 코일(2b)에 연결하고,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2a)를 에어백 인플레이터(3)에 연결하여 상기 제 1,2스위치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온시켜 상기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해 신변위협자에게 치명타를 입힘으로써 순간적인 위기를 모면하여 자신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 사고시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는데,시트벨트가 충돌 사고시 운전자를 1차적으로 구속하는 장치라고 한다면 에어백은 시트벨트와 더불어 2차적으로 운전자를 구속하는 장치로서 운전석의 경우 스티어링휠에,조수석의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 패드에 설치되어 충돌 순간 에어백이 팽창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안면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의 위험이나 부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2차 충격흡수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고있는 에어백은 상술한 바와같이 시트벨트를 장착했을 경우를 위한 약간 소형이면서 주로 안면보호만을 목적으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에어백외에도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을때 안면과 상체보호를 위한 대형 에어백과 측면충돌로 인한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등이 있다.
이와같은 에어백의 팽창방식은 충돌을 충격센서에 의하여 전기로 감지하고 인플레이터에 통전(通電)착화하는 방식으로,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때에도 사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는 통상 에어백 시스템에서 점화장치에 의하여 가스 발생제를 순식간에 불태워서 질소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 발생장치이다.
한편,승객을 태우는 영업용 택시나 호의로 모르는 사람을 탑승시킨 자가용의 경우 동승자가 돌연 강도로 변신하여 운전자를 위협할 때 운전자는 그에 대한 적절한 방어조치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어서 목숨을 잃거나 피해를 보게된다.
상술한 바처럼 자동차내에서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에 대비한 호신장치가 없어 당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상술한 안전장치인 에어백을 호신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내에서 신변위협을 당했을 때 운전자가 이에 대한 적절한 방어조치로서 조수석 또는 사이드 에어백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신변위협자에게 충격을 가하여 자동차내에서 탈출하는등 위기를 모면함으로써 자신의 신변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스위치를 스티어링휠에,제 2스위치를 페달 부근에 설치하여 상기 제 1스위치와 제 2스위치에 릴레이를 각각 직렬연결하고,상기 각 릴레이를 상호연결하는 한편 상기 어느 한 릴레이를 에어백 인플레이터에 연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 1스위치와 제 2스위치를 동시에 수동으로 온시켰을 때 각 릴레이 스위치가 온되어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작동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SW2 : 제 1,2스위치 RY1,RY2 : 제 1,2릴레이
1a,1a : 제 1,2릴레이 스위치 1b,2b : 제 1,2릴레이 코일
3 : 에어백 인플레이터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의 회로도로서,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 1스위치(SW1)를 스티어링휠에,제 2스위치(SW2)를 페달 부근에 설치하여 상기 제 1스위치(SW1)에 제 1릴레이(RY1)를 직렬연결하고,상기 제 2스위치(SW2)에 제 2릴레이(RY2)를 직렬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1a)를 상기 제 2릴레이 코일(2b)에 연결하고,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2a)를 에어백 인플레이터(3)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스위치(SW1)는 스티어링휠에 설치함으로써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핸드스위치가 되는 것이고,제 2스위치(SW2)는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발로 작동시킬 수 있는 풋스위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 풋스위치는 매뉴얼의 경우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릴레이(RY1)와 제 2릴레이(RY2)의 연결은 제 1릴레이 코일(1b)을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2a)에 연결하고,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1a)를 에어백 인플레이터(3)에 연결하여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에어백은 조수석 또는 사이드 에어백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여 제 1,2스위치(SW1)(SW2)중 어느 하나만을 온시키면 에어백 인플레이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작동되지 않지만 제 1,2스위치(SW1)(SW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온시키게 되면 제 1,2릴레이 스위치(1a)(2a)가 온되면서 에어백 인플레이터(3)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내장된 화약이 점화되어 질소가스가 발생되면서 에어백이 팽창하게 된다.
에어백은 0.03초이내에 팽창하기 때문에 팽창속도가 시속 320㎞에 달해 신변위협자에게 치명타를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 1,2스위치를 동시에 온시켜야만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작동되도록 한 것은 실수나 차량정비시 또는 어린이들의 잘못으로 인해서 작동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전을 감안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내에서 운전자가 신변위협을 당했을 때 자구책의 하나로서 조수석 또는 사이드 에어백을 작동시켜 신변위협자에게 일시적인 충격을 가해 자동차내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할 수 있어 자신의 신변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는 자동차내에서 운전자가 동승자에 의해 신변위협을 당할 경우에 조수석 또는 사이드 에어백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에어백의 순간적 폭발력으로 동승자에게 충격을 가하여 위기를 모면함으로써 자신의 신변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

  1. 제 1스위치(SW1)에 제 1릴레이(RY1)를 직렬연결하고,제 2스위치(SW2)에 제 2릴레이(RY2)를 직렬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 1릴레이(RY1)와 상기 제 2릴레이(RY2)를 상호연결하고,상기 어느 한 릴레이를 에어백 인플레이터(3)에 연결하여 상기 제 1,2스위치를 수동으로 온시켰을 때 상기 제 1,2릴레이 스위치(1a)(2a)가 온되어 에어백 인플레이터(3)가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제 1스위치를 스티어링휠에 설치하여 손으로,제 2스위치를 페달 부근에 설치하여 발로 동시에 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KR2019970009074U 1997-04-29 1997-04-29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KR200142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074U KR200142140Y1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074U KR200142140Y1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90U KR19980064390U (ko) 1998-11-25
KR200142140Y1 true KR200142140Y1 (ko) 1999-06-01

Family

ID=194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074U KR200142140Y1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1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90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79813A (ja) 開放車輌ライダ保護装置及び方法
KR20050110301A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JPH0131464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305046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20014214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KR970001746B1 (ko) 뒷자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EP1203702B1 (en) Safety system with a plurality of expandable and releasable protective elements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9980024576U (ko)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0118505Y1 (ko) 차량 충돌시의 화재예방을 위한 에어백 회로장치
WO2001044023A8 (de) Induktiv aktivierbare zündkapsel für insassen-rückhaltesysteme und prüfschaltung für diese zündkapsel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0158356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폭발회로
KR100203187B1 (ko) 워터 에어백 시스템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JPH04300776A (ja) 自動車の運転乗員保護装置
JPH081604U (ja) ヘルメット
KR20040088200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이 구비된 차량
KR19990023580U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KR19980048507A (ko) 에어백이 장착된 조향핸들의 제어장치
KR19980049064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가스배출조절장치
KR19990028122A (ko) 자동차의 충돌시 무릎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