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46B1 -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46B1
KR101305046B1 KR1020110115725A KR20110115725A KR101305046B1 KR 101305046 B1 KR101305046 B1 KR 101305046B1 KR 1020110115725 A KR1020110115725 A KR 1020110115725A KR 20110115725 A KR20110115725 A KR 20110115725A KR 101305046 B1 KR101305046 B1 KR 10130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irbag
module
vehic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583A (ko
Inventor
구준모
이성예
김창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0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auto-i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전복, 화재 혹은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시, 유리창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파괴하여 탈출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탈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창(F/W) 하부측의 대시보드(D/S) 혹은 뒷유리창(R/W) 하부측의 뒷좌석 뒷쪽선반(P/S)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비상시 작동시킴에 따라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car window destruction device for emergency escape from car}
본 발명은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중 전복, 화재 혹은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시, 유리창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파괴하여 탈출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탈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의 경우를 보면 사고 충격으로 인한 문의 손상으로 문이 열리지 않아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차량 사고 중에서도 차량이 물에 빠졌을 경우는 수압으로 인해 차량 내부로 물이 들어와서 차량 내외부의 압력 차가 해소될 때까지는 문이 열리지 않게 되고, 열리더라도 그만큼 차량에서 빠져나오는데 시간이 지체되므로 생존율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사고에 대비하여 차량의 앞유리창이나 뒷유리창을 파괴하여 탈출통로를 확보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444호(이하, '종래기술1' 이라 함)에는 긴급상황 발생시 곧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차량이 물에 빠졌을 경우 운전자가 즉시 상기 손잡이(21)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파괴추(22)가 도어 유리를 강타하여 부숴버리게 되는 자동차의 긴급탈출용 도어 유리 파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1-000084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사고 발생시 승차자가 스위치 안전캡(10)을 눌러 파괴한 뒤 스위치(6)를 눌러, 해제걸림부(4) 하단을 밀면, 해제걸림부(4)가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핀(3)으로부터 이탈되어 압축된 메인스프링(9)의 탄성복원력으로 유리 파괴부(1)가 전진 돌출하여 유리를 파괴하게 되는 자동차의 긴급탈출용 유리 파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13273호(이하, '종래기술3' 이라 함)에는 차량의 유리에 설치되는 와이어링과, 상기 와이어링에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를 파괴되게 하는 장력 발생수단으로 구성된 차량 유리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 중, 종래기술1의 경우에는 노약자나, 여성, 사고를 당하는 순간 신체적인 부상을 입는 상황을 고려할 때, 직접 힘을 써야 하므로 단단한 승용차 유리를 깨뜨리기란 쉽지 않을 수 있다. 종래기술2의 경우에는 기계식으로서 유리 파괴 장치가 차량의 유리창에 장착되어 상시 승차자가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미관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소형화할 경우에는 파괴력이 저하되는 등 동작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3은 전기적 작동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침수로 인해 차량의 전기적인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3은 차량 침수에 따라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유리 파괴 장치의 작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 탈출 장치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종래기술들 모두 차량 유리를 깨트리더라도 차량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외부의 물이 순간적으로 밀려 들어오면서 함께 깨어진 유리의 파편들에 대한 고려가 없어, 빨려 들어오는 물과 함께 휩쓸려 들어오는 파편 파에 의한 2차적인 부상을 운전자나 탑승객이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8831호(2009년05월1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0245호(2010년03월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11954호(2011년02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30519호(2009년03월2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긴급하게 빠져나와야 할 때, 탈출통로가 될 유리창에 에어백의 작동 원리로 큰 충격을 주어 신속하게 깨뜨려 운전자 및 탑승객의 탈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생존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 사고 중에서도 특히 차량이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에 따라 탈출을 위해 유리창을 파괴시, 차량 내외부의 압력 차로 인해 유리 파편들이 순식간에 물과 함께 차량 내부로 밀려 들어와서 유리 파편으로 인해 운전자 및 탑승객이 2차적으로 다치게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확실히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창 하부측의 대시보드 혹은 뒷유리창 하부측의 뒷좌석 뒷쪽선반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비상시 작동시킴에 따라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은, 화약점화식으로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유리창 파괴 위치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infl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팽창기(inflator)는,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도록 점화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는 점화회로와, 상기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은, 상기 팽창기의 점화회로에 연결되어 회로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며,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조작가능한 위치로 인출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의 표면에는 유리와의 충돌시 유리가 잘 깨어질 수 있도록 돕는 파쇄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복수 개의 파쇄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는,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의 작동에 의해 파괴된 유리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어모듈은, 하부면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장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 연결되는 방어막과, 상기 방어막 끝단에 부착되어 도어 개방시 개구부를 통해 내려와 펼쳐지도록 상기 방어막에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weigh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어모듈은,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의 동작에 의한 전방 혹은 후방 유리창의 파괴 전에 운전자 및 탑승객과 유리창 사이에 방어막이 펼쳐질 수 있도록, 차량 천장의 전방 혹은 후방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유리 파편 방어모듈은, 차량 천장에 설치되는 에어백 커튼 모듈로서, 전개(展開)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과 파괴되는 유리창 사이에 넓고 얇게 펼쳐지게 되는 판형(板型)의 에어백 커튼과, 상기 에어백 커튼을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infl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과 방어용인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은 동시에 작동하거나,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 작동 후에 시차를 두고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이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특히 승용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긴급하게 빠져나와야 할 때, 탈출통로를 제공하게 될 유리창에 큰 충격을 주어 신속하게 깨뜨릴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시, 침수에 의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스위치 조작만으로 에어백이 작동하여 순간적인 팽창력에 의해 유리창을 쉽게 깨트릴 수 있으므로, 차량 긴급 탈출을 위한 유리창 파괴 장치의 제품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시, 탈출을 위해 유리창을 깨뜨릴 때, 차량 내외부의 압력 차로 인해 물과 함께 차량 내부로 밀려 들어오는 유리 파편을 미리 내려오는 방어막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객이 깨어진 유리 파편으로 인해 2차적으로 부상당하게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장할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괴 장치의 차량 설치 위치를 예시한 평면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측면 개요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파괴 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은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 작동 전의 상태도
도 4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 작동 후의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부가되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5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작동 전 상태도
도 6은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도어가 개방된 직후의 상태도
도 7은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방어막이 펼쳐진 상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8은 도 5의 대응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대응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대응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편 방어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1은 에어백 커튼 작동 전의 상태도
도 12는 에어백 커튼 작동 후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과 에어백 커튼 모듈의 작동회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파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는, 차량의 앞유리창(F/W) 하부측의 대시보드(D/S : Dashboard) 혹은 뒷유리창(R/W) 하부측의 뒷좌석 뒷쪽선반(P/S: Parcel Shelf)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로서, 비상시 작동시킴에 따라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은, 전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에어백(110)과, 상기 에어백(110)을 유리창 파괴 위치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120)(infl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리 파괴용인 에어백(110)의 표면에는 유리와의 충돌시 유리가 잘 깨어질 수 있도록 돕는 파쇄돌기(1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파쇄돌기(111)는 유리보다 단단한 금속 등의 재질로서 복수 개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110)에는 작동가스에 의해 부풀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작동가스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작은 구멍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팽창기(120)(inflator)는,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도록 점화제(미도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는 점화회로(미도시)와, 상기 점화제의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은, 상기 팽창기(120)의 점화회로(미도시)에 연결되어 회로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며,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조작가능한 위치(예; 핸들축 혹은 계기판)로 인출된 작동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는,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작동에 의해 파괴된 유리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은, 하부면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door)가 설치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장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20)와, 상기 탄성부재(220)의 끝단에 연결되는 방어막(230)과, 상기 방어막(230) 끝단에 부착되어 도어 개방시 개구부를 통해 내려와 펼쳐지도록 상기 방어막(230)에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240)(weigh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은,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동작에 의한 전방 혹은 후방 유리창의 파괴 전에 운전자 및 탑승객과 유리창 사이에 방어막(230)이 펼쳐질 수 있도록, 차량 천장의 전방 혹은 후방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차량 전복의 경우를 보면 사고 충격으로 인한 문의 손상으로 문이 열리지 않아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 혹은 탑승객의 작동스위치(미도시) 조작에 의해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여 앞유리창(F/W) 및/또는 뒷유리창(R/W)을 파괴함으로써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먼저, 차량이 물에 빠진 경우를 제외한 차량 사고에 있어서, 사고 충격으로 인한 문의 손상으로 문이 열리지 않아 앞쪽 혹은 뒤쪽 유리창을 파괴하고 탈출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리 파괴장치가 차량 앞뒤에 모두 적용된 승용차에 있어서 운전자(미도시)만이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 전복에 의해 문이 열리지 않고 앞 유리창을 통한 탈출보다는 뒷유리창(R/W)을 통해 탈출하는 것이 유리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만약 문이 열리지 않는 상태에서 뒷유리창(R/W)을 깨고 나가고자 한다면, 운전자는 본 발명의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조작 가능한 위치(예컨대, 핸들축 혹은 운전석 앞쪽 계기판 노출면)로 인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찾아 스위치를 누른다.
상기 작동 스위치가 눌러지면, 뒷좌석 뒷쪽선반(P/S)에 설치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게 되는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구성하는 팽창기(120)의 점화회로(미도시)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면, 상기 스파크로 인해 점화제(미도시)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고, 상기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가스발생제(미도시)가 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하게 되며, 상기 작동가스에 의해 에어백(110)이 급속히 팽창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110)은 급속한 팽창에 의해 전개과정에서 뒷유리창(R/W)에 충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뒷유리창(R/W)이 파괴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110)의 표면에는 유리창에 비해 단단한 재질로 된 복수 개의 파쇄돌기(111)가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리창에 충돌시 유리가 잘 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팽창한 에어백(110)에 의해 뒷유리창(R/W)이 파괴되면, 운전자는 파괴된 뒷유리창을 통해 비상 탈출이 가능하다.
한편,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만을 작동시키고 유리 파편 방어 모듈은 작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뒷유리창(R/W)의 파괴를 통한 비상탈출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앞유리창(F/W)을 통해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량 앞쪽의 대시보드(D/S)에 설치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켜 앞유리창(F/W)을 파괴한 다음, 앞유리창을 통해 탈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차량이 물에 빠진 차량 사고에 있어서, 수압으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아 앞쪽 혹은 뒤쪽 유리창을 파괴하고 탈출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사고 중에서도 차량이 물에 빠졌을 경우는 수압으로 인해 차량 내부로 물이 들어와서 차량 내외부의 압력 차가 해소될 때까지는 문이 열리지 않게 되고, 그만큼 차량에서 빠져나오는데 시간이 지체되므로 생존율도 낮아지게 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 생존율을 높이게 된다.
즉, 차량이 물에 빠졌을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는 수압의 해소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즉시 운전자는 본 발명의 유리 파괴 장치를 작동시켜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 유리 파괴장치가 적용된 승용차에 있어서 운전자(미도시)만이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이 물에 빠진 상태에서 차량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아 뒷유리창(R/W)을 통해 탈출해야만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탈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물에 빠지면 운전자는 유리파괴시 수압으로 인해 차내로 밀려 들어오는 유리파편에 의해 부상당하지 않도록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키기에 앞서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도어를 개방하면 웨이트(240)의 하중으로 인해 방어막(230)이 천장에서 운전자 등 뒤로 내려와 운전자를 커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바로 운전자는 본 발명의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조작 가능한 위치(예컨대, 핸들축 혹은 운전석 앞쪽 계기판 노출면)로 인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 작동 스위치를 찾아 스위치를 누른다.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작동 스위치가 눌러지면, 뒷좌석 뒷쪽선반(P/S)에 설치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게 되는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구성하는 팽창기(120)의 점화회로(미도시)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고, 상기 스파크로 인해 점화제가 점화되며, 상기 점화제에 의해 팽창기(120)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면 상기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가스발생제(미도시)(예: 질소함유물질)가 연소되어 작동가스(예: 질소)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작동가스에 의해 에어백(110)이 급속히 팽창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110)은 급속한 팽창에 의해 전개과정에서 앞유리창(F/W)에 충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110)의 충격 작용에 의해 앞유리창(F/W)이 파괴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110)의 표면에는 유리창에 비해 단단한 재질로 된 복수 개의 파쇄돌기(111)가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리창에 충돌시 유리가 잘 깨어지도록 돕게 됨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백(110)에 의해 앞유리창(F/W)이 파괴되면, 수압으로 의해 파괴된 유리파편이 차내로 급속히 유입되는데, 미리 내려온 방어막(230)에 의해 운전자는 유리 파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리고, 방어막(230)에 의한 보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차량 내부와 외부의 수압차도 해소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유리가 제거된 뒷유리창(R/W)을 통해 비상 탈출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뒷유리창(R/W)의 파괴를 통한 비상탈출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어막(230)이 운전자 앞쪽으로도 내려올 수 있도록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만약 앞유리창(F/W)을 통해 탈출하는 것이 유리할 경우에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을 작동시켜 운전자 안면 앞쪽으로 방어막(230)이 내려오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의 대시보드(D/S)에 설치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켜 앞유리창(F/W)을 파괴한 다음에, 이를 통해 탈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평상시에 만약 오작동 및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해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의 방어막(230)이 불필요하게 내려오게 되는 경우, 상기 방어막(230)은 손쉽게 제자리로 되돌릴 수 있다.
즉, 상기 방어막(230)에는 인장력을 받는 탄성부재(220)가 연결되어 있어, 웨이트(240)를 떠받쳐 올리면 방어막(230)이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로 끌려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를 다시 닫게 되면 유리 파편 방어모듈(2)은 처음과 같이 새로 작동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2]
이하, 본 발명의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편 방어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 천장의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 커튼 모듈(3)로서,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은, 전개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과 파괴되는 유리창 사이에 넓고 얇게 판 형태로 펼쳐지게 되는 에어백 커튼(310)과, 상기 에어백 커튼(310)을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팽창기(320)는, 전술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팽창기(12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도록 점화제(미도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는 점화회로(미도시)와, 상기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을 동작시키는 작동스위치(미도시)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작동스위치(미도시)를 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튼(310)은 전개시에,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구성하는 에어백(110)과의 간섭이 배제되는 한, 가급적 유리창의 경사각에 가깝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어백 커튼(310)은, 차체 천장의 설계 구조에 의해서나 에어백 커튼 자체의 설계 구조에 의해 팽창시 가급적 유리창의 경사각에 가깝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팽창기(120)의 점화회로(미도시)와,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의 팽창기(320)의 점화회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를 경우에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유리 파편 방어용인 에어백 커튼 모듈(3)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은 동일 작동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유리 파편 방어를 위한 에어백 커튼 모듈(3)이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리 파괴장치가 적용된 승용차에 있어서 운전자(미도시)만이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이 물에 빠진 상태에서 수압으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아 뒷유리창(R/W)을 통해 탈출해야만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실시 예의 유리 파편 방어를 위한 에어백 커튼 모듈(3)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이 물이 빠졌을 때, 운전자가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 스위치는 에어백 커튼 모듈(3)의 작동 스위치를 겸하므로 두 모듈이 동시에 작동한다.
즉, 에어백 커튼 모듈(3)을 구성하는 에어백 커튼(310)이 급속히 전개되어 뒷좌석과 뒷유리창(R/W) 사이를 가로막게 되는 한편,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구성하는 에어백(110)이 급속히 팽창하여 뒷유리창(R/W)에 충돌하여 유리창을 파괴하게 된다(도 12 참조).
상기 에어백(110)에 의해 뒷유리창(R/W)이 파괴되는 순간, 수압으로 인해 파괴된 유리파편이 차내로 급속히 유입되는데, 뒷좌석 후방을 차폐하도록 드리워진 에어백 커튼(310)에 의해 운전자는 차량 뒷유리창(R/W) 쪽을 통해 유입되는 유리 파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리고, 에어백 커튼(310)에 의한 운전자 보호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차량 내부와 외부의 수압 차가 해소되며, 수압 차가 해소됨에 따라 운전자는 유리가 제거된 앞유리창(F/W)을 통해 비상 탈출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괴용 에어백 모듈과 에어백 커튼 모듈의 작동회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 블럭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이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의 작동 후에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도록 작동 시점에 시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지연회로(미도시)를 둔 경우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2]에서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방어용인 에어백 커튼 모듈(3)의 점화회로(미도시)가 작동스위치(미도시)의 조작시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방어용인 에어백 커튼 모듈(3)의 작동 후에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도록 두 모듈의 작동 시점에 시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지연회로(미도시)를 둘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13에서와 같이 작동스위치(미도시)는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동작시키는 작동스위치와 방어용인 에어백 커튼 모듈(3)을 동작시키는 작동스위치를 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문이 열리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긴급하게 빠져나와야 할 때, 스위치 조작만으로 에어백(110)이 작동하여 순간적인 팽창력에 의해 유리창을 쉽게 깨트릴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이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시에 침수로 인해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스위치 조작만으로 에어백(110)을 작동시켜 순간적인 팽창력에 의해 유리창을 쉽게 깨트릴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압력차로 인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유리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는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된 유리 파편 방어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어모듈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조석에 앉은 탑승객이나 뒷좌석에 앉은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개수나 설치위치 등이 달라지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뒷유리창(R/W)을 통한 비상 탈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출 경로를 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양쪽 유리창을 동시에 비상 탈출 경로로 택하도록 본 발명 장치가 차량에 적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미도시) 역시, 반드시 운전자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비상시 다른 탑승객도 조작할 수 있도록 그 개수 및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방어용인 에어백 커튼 모듈(3)은 작동 여부를 사용자가 각각 별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점화회로(미도시) 및 작동스위치(미도시)가 각각 모듈별로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을 부풀리는 방식 중에서 화약점화식인 에어백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로는, 에어백 모듈안에 일정량의 가스를 보관해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작동시 보관해 놓았던 가스에 의해 에어백이 부풀게 하는 소위 하이브리드 방식의 에어백 모듈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에어백이 부풀게 하는 기타 여하의 작동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 110: 에어백
111: 파쇄돌기 120: 팽창기
2: 유리 파편 방어모듈 210: 하우징
220: 탄성부재 230: 방어막
240: 웨이트 3: 에어백 커튼 모듈
310: 에어백 커튼 320: 팽창기
F/W: 앞유리창 R/W: 뒷유리창
D/S: 대시보드 P/S: 뒷좌석 뒷쪽선반

Claims (9)

  1. 차량의 앞유리창(F/W) 하부측의 대시보드(D/S) 혹은 뒷유리창(R/W) 하부측의 뒷좌석 뒷쪽선반(P/S)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비상시 작동시킴에 따라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설치되되,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은,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백(110)과,
    상기 에어백(110)을 유리창 파괴 위치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120)(inflator)와,
    상기 팽창기(120)를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110)의 표면에는 팽창에 의해 유리창에 충돌시 유리창이 잘 깨어질 수 있도록 돕는 파쇄돌기(11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120)는,
    내부의 화약이 기폭하도록 점화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는 점화회로와;
    상기 점화제 내부의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뜨거운 열기에 의해 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작동에 의해 파괴된 유리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6. 차량의 앞유리창(F/W) 하부측의 대시보드(D/S) 혹은 뒷유리창(R/W) 하부측의 뒷좌석 뒷쪽선반(P/S)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시 작동시킴에 따라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작동에 의해 파괴된 유리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파편 방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은,
    하부면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 일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탄성부재(220)와, 상기 탄성부재(220)의 끝단에 연결되는 방어막(230)과, 상기 방어막(230) 끝단에 부착되어 도어 개방시 개구부를 통해 내려와 펼쳐지도록 상기 방어막(230)에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240)(weigh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은,
    차량 천장에 설치되는 에어백 커튼 모듈(3)로서,
    전개(展開)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과 파괴되는 유리창 사이에 넓고 얇게 펼쳐지게 되는 판상의 에어백 커튼(310)과, 상기 에어백 커튼(310)을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편 방어모듈은,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의 동작에 의해 파괴되는 전방 혹은 후방 유리창의 파편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호될 수 있도록,
    차량 천장의 전방 혹은 후방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과 방어용인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은 동시에 작동하거나, 상기 에어백 커튼 모듈(3) 작동 후에 시차를 두고 유리 파괴용 에어백 모듈(1)이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20110115725A 2011-11-08 2011-11-08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30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25A KR101305046B1 (ko) 2011-11-08 2011-11-08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25A KR101305046B1 (ko) 2011-11-08 2011-11-08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83A KR20130050583A (ko) 2013-05-16
KR101305046B1 true KR101305046B1 (ko) 2013-09-06

Family

ID=4866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25A KR101305046B1 (ko) 2011-11-08 2011-11-08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41U (ko) * 2015-01-29 2016-08-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탈출 장치
KR20180082715A (ko) * 2017-01-10 2018-07-19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42B1 (ko) 2019-06-05 2020-01-30 주식회사 동아테크 침수 차량 탈출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162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에어백 장치
KR20020052367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162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에어백 장치
KR20020052367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41U (ko) * 2015-01-29 2016-08-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탈출 장치
KR200481703Y1 (ko) * 2015-01-29 2016-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탈출 장치
KR20180082715A (ko) * 2017-01-10 2018-07-19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83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6926B1 (en) Gas generator deployed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1754889B (zh) 行人保护气囊系统
JP5685755B2 (ja) 安全性能が改善された後方エアバッグ装置
KR101305046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JP201105714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148847B1 (en)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force deployment airbag and inflation
JP483826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H0131464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CN105235627A (zh) 一种安全气囊装置
KR102452472B1 (ko) 차량용 탑승자의 발목 보호 장치
US20140232151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1094880B1 (ko) 3 챔버를 구비한 전면 에어백
JP2008037246A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2602953B1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JP2006151139A (ja) 乗員保護装置
KR20130125995A (ko) 커튼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모듈
WO2013158980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0552745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970001746B1 (ko) 뒷자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KR20014214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수동 작동장치
KR100844639B1 (ko) 측면 에어백용 승객 보호 시스템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00792423B1 (ko) 커튼에어백 보호쿠션의 파손방지구조
KR200398232Y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