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958B1 -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958B1
KR102252958B1 KR1020200000909A KR20200000909A KR102252958B1 KR 102252958 B1 KR102252958 B1 KR 102252958B1 KR 1020200000909 A KR1020200000909 A KR 1020200000909A KR 20200000909 A KR20200000909 A KR 20200000909A KR 102252958 B1 KR102252958 B1 KR 10225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ll
pair
tong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명은
황윤규
박우렬
변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본체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곡선 형상이고, 볼록한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핀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되는 경우 유리를 타방향으로 타격하여 파괴하는 구비되는 공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공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공이부를 돌출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 유리를 파괴하기 위하여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고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 빠르게 유리를 파괴하여 탈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ESCAPE GLASS BREAKER USING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및 한 쌍의 집게를 손잡이와 결합시켜,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당기면 한 쌍의 집게의 간격이 벌어지고 스프링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공이가 순간적으로 돌출하여 타격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더 빠른 속도로 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 전복 사고시 사고의 충격으로 인해 문이 손상되어 문이 열리지 않아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나 전철 등에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유리는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긴급상황시 탈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유리창 파괴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에 부착된 유리창 파괴용 망치를 사용하여 유리를 부수는 경우, 직접적인 힘을 써야 하므로 여성, 노약자 또는 아동 등이 사용하여 탈출하기에는 힘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강북소방서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성인 여성의 경우, 탈출용 망치를 사용해 유리를 부수는 시간이 약 1분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사고 이후 차량에서 탈출하는 시간이 지연된다면 화재 등의 2차적인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차량 사고 이후에 탑승자들이 신속히 사고 현장을 빠져나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위급한 상황에서 적은 힘으로 빠르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56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583호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및 한 쌍의 집게를 손잡이와 결합시켜, 손잡이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한 쌍의 집게의 간격이 벌어지고 스프링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공이가 순간적으로 돌출하여 타격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더 빠른 속도로 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는 본체부;, 사용자가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곡선 형상이고, 볼록한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핀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되는 경우 유리를 타방향으로 타격하여 파괴하는 공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공이부와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공이부를 돌출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외측 및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원형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내측면이 내측에 위치한 상기 원형 고정부와 맞닿은 채로 상기 원형 고정부를 따라 슬라이딩 하며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상기 공이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리를 파괴하는 공이; 및 상기 공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공이보다 너비가 넓어 상기 공이부의 측면에 단차가 생기도록 하는 공이 턱;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공이와 상기 공이 턱 사이의 단차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공이부도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부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늘어나고, 그 반대작용시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스프링이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상기 스프링부는 타단부가 상기 공이 턱과 연결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판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이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축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공이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상기 공이부는 상기 유리를 타격하는 부분인 상기 공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 시 상기 공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를 타격하여 유리를 파괴하는 공이부가 스프링과 연결되어, 종래 유리를 파괴하기 위하여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고 손잡이를 당기는 힘으로 스프링에 탄성력을 저장하여,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 빠르게 유리를 파괴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탈출용 망치를 사용하는 경우, 휘두르는 등의 동작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경우 사용 공간의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손잡이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면서 집게부가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손잡이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면서 공이부가 집게부를 이탈하여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공이부가 돌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괴장치의 공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동시에 수직하는 z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외측 방향"이란 내측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은 xy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면" 및 "하면"은 xy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괴 장치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괴 장치는 본체부(100), 손잡이부(200), 집게부(300), 공이부(400), 스프링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집게부(300), 공이부(400), 스프링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고정되고,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이다.
손잡이부(200)는 후술할 집게부(300) 및 스프링부(500)와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손잡이부(200)를 당기면, 손잡이부(200)를 통해 스프링부(500), 집게부(300) 및 집게부(300)와 맞닿고 있던 공이부(400)에도 힘이 전달되어 타방향으로 유리를 타격할 수 있는 원동력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집게부(300)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집게부(310) 및 제2 집게부(320)를 포함한다. 제1 집게부(310) 및 제2 집게부(32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곡선 형상으로써, 제1 집게부(310) 및 제2 집게부(320)는 볼록한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집게부(300)의 일단부는 손잡이부(200)의 하단과 맞닿고, 손잡이부(200)와 핀(610)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2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집게부(300) 또한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집게부(300)의 타단부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집게부(3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집게부(300)가 회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는 공이부(400)와 맞닿는다. 이때,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짧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이 턱(420)과 맞닿는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2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한 쌍의 집게부(300) 뿐 아니라 한 쌍의 집게부(300)에 결합된 공이부(400)도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괴 장치의 공이부(40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이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공이부(400)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이(410) 및 공이(4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공이(410)보다 너비가 넓어 공이부(400)의 측면에 단차가 생기도록 하는 공이 턱(420)을 포함한다.
공이부(400)는 후술할 제2 스프링(520)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즉, 공이(410) 및 공이 턱(420) 사이의 단차 부분에 제1 집게부(310) 및 제2 집게부(320)의 타단부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3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공이부(400)도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이부(400)가 한 쌍의 집게부(300)로부터 이탈하여 돌출되는 경우 타방향으로 유리를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때, 유리를 타격하는 부분인 공이(410)의 외측면에 고무패드(43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에 의해 유리를 타격할 때 공이(4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부(500)는 일단부가 손잡이부(20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판형 고정부(620)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스프링(510) 및 일단부가 판형 고정부(620)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부가 공이 턱(420)과 연결되는 제2 스프링(520)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510)은 손잡이부(200)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늘어나고, 그 반대작용시 탄성 회복력에 의해 손잡이부(200) 및 제1 스프링(510)이 원복된다.
제2 스프링(520)은 한 쌍의 집게부(300)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공이부(4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축되고,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제2 스프링(5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공이부(40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600)는 핀(610), 판형 고정부(620) 및 원형 고정부(630)을 포함한다.
핀(610)은 손잡이부(200)의 하단과 집게부(30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판형 고정부(620)는 직육면체의 판 형태이며, 제1 스프링(510) 및 제2 스프링(520) 사이에 위치하고, 밑면이 본체부(1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일면에는 제1 스프링(510)이 부착되어 있고, 타면에는 제2 스프링(520)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부(500)가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경우 그 기준점이 된다.
원형 고정부(630)는 제1 집게부(310) 및 제2 집게부(320)의 외측 및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하며, 밑면이 본체부(100)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는 원형 고정부(630)를 4개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소한의 개수를 나타낸 것뿐이며 원형 고정부(63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집게부(300)의 이동 또는 회전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손잡이부(200)를 일방향으로 당기면서 집게부(300)가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손잡이부(200)를 일방향으로 당기면서 공이부(400)가 집게부(300)를 이탈하여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공이부(400)가 돌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괴 장치의 공이부(400)가 돌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할 때,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파지하고 일방향으로 당기면, 손잡이부(200), 손잡이부(200)와 핀(610)으로 결합된 한 쌍의 집게부(300) 및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에 의해 받쳐진 공이부(400)가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공이부(4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스프링(520)이 일방향으로 힘을 받아 수축하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집게부(3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300)의 내측에 위치한 원형 고정부(630)와 맞닿게 되고, 한 쌍의 집게부(300)의 내측면이 내측에 위치한 원형 고정부(630)와 맞닿은 채로 원형 고정부(630)를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당기는 힘이 점점 강해질수록,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점점 더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공이 턱(420)의 너비보다 한 쌍의 집게부(300)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는 경우 공이부(400)는 한 쌍의 집게부(300)를 이탈하게 되고, 제2 스프링(5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공이부(400)가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손잡이부,
300 : 집게부,
310 : 제1 집게부,
320 : 제2 집게부,
400 : 공이부,
410 : 공이,
420 : 공이 턱,
430 : 고무패드,
500 : 스프링부
510 : 제1 스프링,
520 : 제2 스프링,
600 : 고정부,
610 : 핀
620 : 판형 고정부,
630 : 원형 고정부

Claims (6)

  1. 본체부;
    사용자가 파지하여 일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곡선 형상이고, 볼록한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핀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되는 경우 유리를 타방향으로 타격하여 파괴하는 공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공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공이부를 돌출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외측 및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원형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내측면이 내측에 위치한 상기 원형 고정부와 맞닿은 채로 상기 원형 고정부를 따라 슬라이딩 하며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리를 파괴하는 공이; 및 상기 공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공이보다 너비가 넓어 상기 공이부의 측면에 단차가 생기도록 하는 공이 턱;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공이와 상기 공이 턱 사이의 단차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집게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공이부도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부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늘어나고, 그 반대작용시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스프링이 원복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타단부가 상기 공이 턱과 연결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판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이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축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공이부가 돌출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는
    상기 유리를 타격하는 부분인 상기 공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 시 상기 공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KR1020200000909A 2020-01-03 2020-01-03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KR10225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09A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0-01-03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09A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0-01-03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958B1 true KR102252958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909A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0-01-03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9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10-07-29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30050583A (ko) 2011-11-08 2013-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473612B1 (ko) * 2014-06-09 2014-12-26 신동선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KR20150143047A (ko) * 2014-06-13 2015-12-23 이경영 비상탈출용 타격장치
CN106730449A (zh) * 2017-03-27 2017-05-31 盐城师范学院 高性能汽车玻璃应急破碎器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10-07-29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30050583A (ko) 2011-11-08 2013-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473612B1 (ko) * 2014-06-09 2014-12-26 신동선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KR20150143047A (ko) * 2014-06-13 2015-12-23 이경영 비상탈출용 타격장치
CN106730449A (zh) * 2017-03-27 2017-05-31 盐城师范学院 高性能汽车玻璃应急破碎器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95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JP2002052095A (ja) ゴーグル
DE50210514D1 (de) Klemm- oder spreizzange
US20020095708A1 (en) Full face mask with rapidly detachable strap
US9522736B2 (en) Fixation device comprising a toggle joint, for an aircraft seat
JPH11132364A (ja) 線条体用クリップ
ES2087798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a separacion fisica de dos cuerpos solidarios unidos electricamente entre si.
KR102154992B1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KR100552047B1 (ko) 차량 비상탈출용 해머
JP2023117171A (ja) コーンバーおよびそロードコーン・コーンバー組立セット
JP2007137312A (ja) 緊急脱出補助用具
KR20180045851A (ko) 비상용 망치
KR100435709B1 (ko) 다웰핀 제거장치
KR100328184B1 (ko) 비상 탈출용 해머
KR20140049112A (ko) 차량 사고시 비상 탈출용 도구
JP3836681B2 (ja) ベルト用連結クリップ
JP2001260040A (ja) 開閉工具
KR20200076545A (ko) 비상탈출용 기구
JP2007270962A (ja) 固定用樹脂装置
KR20200041534A (ko) 위험표지판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위험표지판을 전력선에 간접적으로 체결하는 방법
KR20240000319U (ko) 견고하게 고정되는 집게
JP2011042023A (ja) クリップ取付け工具構造
JP2003065307A (ja) 部材間の仮止め構造
KR20090063721A (ko) 차량용 퓨즈 풀러
US1343847A (en) Robe-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