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601A -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601A
KR20100085601A KR1020090004990A KR20090004990A KR20100085601A KR 20100085601 A KR20100085601 A KR 20100085601A KR 1020090004990 A KR1020090004990 A KR 1020090004990A KR 20090004990 A KR20090004990 A KR 20090004990A KR 20100085601 A KR20100085601 A KR 2010008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ndow
window
piece
emergency esca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601A/ko
Publication of KR2010008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하여 탈출이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타격에 의한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용부재와, 상기 파괴용부재의 일단을 내측과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비상탈출, 차량, 유리창, 파괴, 부착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Apparatus for breaking glass for emergency evacua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철 또는 건물 등의 유리창에 부착되어 갑작스런 사고로 인한 도어의 개방이 어려울 경우 사용자가 타격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보다 확실하게 파괴시켜 탈출가능하도록 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나 전철(지하철) 등에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유리는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긴급상황시 탈출에 여려움을 격게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버스 또는 전철)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유리창 파괴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리창 파괴용 망치를 위급한 상황에서 망치의 위치를 숙지하 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찾기란 쉽지 않으며, 또한 쉽게 분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흉기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유리창 파괴용 망치는 반드시 손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사고로 인한 사용자(승객)의 팔이 다칠 경우에는 상기 망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타격에 의한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용부재와, 상기 파괴용부재의 일단을 내측과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괴장치의 고정부재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체와, 상 기 고정체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단이 걸림되게 내설되고 타단은 관통하여 돌출되어 타격에 의한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체와, 상기 파괴체의 일단을 내측에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고정체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 캡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괴장치의 고정체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괴체는 캡을 타격시 유리창에 타격력을 증대시켜 타격가능하도록 유리창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따르면,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차량 예를 들면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유치창에 부착되어 긴급상황시 유리창을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충격을 가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유리창을 파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시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는, 유리창(A)(도 3 참조)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타격에 의한 유리창(A)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용부재(120)와, 상기 파괴용부재(120)의 일단을 내측과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파괴장치(100)의 고정부재(110)는 양면테이프(140)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A)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괴용부재(120)와 캡부재(130)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파괴용부재와 캡부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고정부재의 내부에서 일단이 유리창에 대하여 수직방향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 8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의 고정부재(110)는, 상기 양면테이프(140)를 매개로 유리창(A)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용부재(120)의 일단을 관통시도록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관통홀(112)은, 상기 파괴용부재(120)를 내설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턱(113)을 갖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110)는 양면테이프(140)를 매개로 유리창(A)에 고정되게 부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파괴용부재(120)는, 외주면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리창(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타격시 보다 확실하게 유 리창(A)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괴용부재(12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에 내설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13)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리창(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편(121a)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캡부재(130)의 내측면과 보다 확고하게 결합가능하도록 절취된 고정면(121b)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후술할 파괴용정(122)의 일단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21c)이 형성된 이동편(121)과, 상기 이동편(121)의 고정홈(121c)에 일단이 억지 삽입되거나 또는 공업용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파괴장치(100)에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A)을 파괴가능하도록 끝단이 뾰족한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파괴용정(12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파괴용정(122)의 일단 단면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상의 단면 이상의 단면(예를들면 사각, 오각, 육각 형상의 단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한 파괴용부재(120)는 이동편(121)과 파괴용정(122)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상기 이동편(121)과 파괴용정(122)이 결합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부재(130)는, 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파괴용부재(120)의 이동편(121) 일단을 내측으로 억지삽입시켜 고정되거나 또는 공업용 접착제를 매개 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캡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에 대응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상기 파괴용부재(120)가 보다 안정되게 이동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수용안내편(1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안내편(131)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에는 돌출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파괴용부재(120)의 이동편(121) 타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돌출된 고정편(13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결합시시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200)는, 유리창(B)(도 6 참조)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단이 걸림되게 내설되고 타단은 관통하여 돌출되어 타격에 의한 유리창(B)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체(220)와, 상기 파괴체(220)의 일단을 내측에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230)과, 상기 캡(230)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고정체(2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 캡(23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구비되는 탄성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파괴장치(200)의 고정체(210)는 양면테이프(250) 또는 접착 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B)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괴체(220)는 캡(230)을 타격시 유리창(B)에 타격력을 증대시켜 타격가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B)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고정체(210)는, 상기 파괴체(210)를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파괴체(210)의 일단을 걸림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체(240)의 타단을 걸림시키도록 외향 걸곡 연장된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1)으로부터 하향 및 외향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상기 양면테이프(250)를 부착시켜 유리창(B)에 부착가능하도록 부착편(212)이 형성되며 중심방향으로는 관통공(213)이 형성된 계단형의 단면으로 구비된다.
상기 파괴체(220)는, 상기 고정체(210)에 일단이 유리창(B)에 대하여 흔들림(비틀림) 없이 수직방향 이동가능하게 내설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괴체(2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10)에 수직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유리창(B)에 직접 접촉하여 유리창(B)을 파괴가능하도록 돌출된 돌침편(221)이 형성되고, 아울러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210)의 걸림턱(211) 내측면에 걸림가능하도록 걸편(222)이 외향 연장된 금속재질의 단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파괴체(220)는, 단일체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 며,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상기한 돌침편만 금속재질로 성형하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재질로 인서트사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캡(230)은, 상기 고정체(210)를 관통하여 돌출된 파괴체(220)의 타단을 내측으로 억지삽입시켜 고정되거나 또는 공업용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체(210)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캡(2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타격에 의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체(210)의 걸림턱(211)을 수용하여 상기 파괴체(210)가 보다 안정되게 이동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가이드편(23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40)를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편(231)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에는 돌출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파괴체(220)의 타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돌출된 수용편(23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캡(230)에 항상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파괴체(220)를 유리창(B)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탄성체(240)는, 상기 캡(230)과 고정체(210) 사이에 내설되어 상기 캡(230)측으로 항상 탄성력을 부여가능하도록 중공의 원기둥체 단면 형상을 갖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탄성체(240)는 압축스프링을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탄성체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파괴체(220)는 금속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괴체(2200)는 고정체(2100)에 내설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2100)의 걸림턱(2110)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체(210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리창(C)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편(2210)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캡부재(2300)의 내측면과 보다 확고하게 결합가능하도록 절취된 고정면(2220)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후술할 파괴편(2220)의 일단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2213)이 형성된 이동편(2210)과, 상기 이동편(2210)의 고정홈(2213)에 일단이 억지 삽입되거나 또는 공업용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C)을 파괴가능하도록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파괴편(222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체(240)를 캡(230)에 수용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외주면이 외향 연장된 연장편(2310)을 갖는 캡(2300)의 연장편(2310)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일면에 양면테이프(2500)를 부착시켜 유리창(C)에 부착되는 고정체(2100)의 부착편(2110)의 타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기 캡(230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2400)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에 부착되어 타격에 의한 충격력으로 유리창을 쉽게 파괴하기 위한 유리창 파괴장치(300)는, 유리창(C)에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접촉되면이 유리창(C)에 대하여 수직방향 이동됨에 따른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내설되어 타겨시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리창파괴용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가이드부재(310)는 일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330)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C)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리창파괴부재(320)의 일단 외주면에는, 유리창(C)에 설치됨에 따른 유리창파괴부재(320)가 고정가이드부재(310)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용부재(350)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유리창파괴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가 유리창(C)에 대하여 파괴력을 증대시키도록 유리창(C)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됨에 따른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가능하도록 탄성부재(34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고정가이드부재(310)는 외주면이 다단의 단면을 갖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제2실시예의 고정체(2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유리창파괴부재(3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단일체의 금속재질로 성형된다.
즉, 상기한 유리창파괴부재(320)는, 선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40)를 내설시킴과 아울러 하향 이동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보다 안정되게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편(321)이 일방향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용편(32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 바닥면에는 유리창(C)을 직접 타격하기 위해 돌출되되, 돌출되면 면의 끝단은 뽀족한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의 파괴편(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괴편(3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용부재(350)를 억지 삽입시켜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시키도록 고정면(323)이 절취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부재(340)는, 상기 다단면을 갖는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외주면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의 내측 바닥면에 걸림되어 상기 유리창파괴부(320)재측으로 탄성력을 부여가능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탈방지용부재(350)는, 중앙부로 상기 파괴편(322)을 관통시켜 고정면이 고정되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판 형상의 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유리파괴용부재(320)를 걸림시키기 위한 구성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괴편(322)의 외주면에 고정면(32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면(323)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용부재(250)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상기 파괴편의 외주면에 홈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홈에 일단이 억지끼움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고정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140)에 의해 유리(A)창에 부착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의 캡부재(130) 중앙부를 사용자(피난자)는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캡부재(130)의 중앙부를 타격한다.
상기 캡부재(130)의 타격으로 캡부재(130)는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비틀림없이 수직 이동함과 동시에 파괴용부재(120)의 이동편(121)은 고정부재(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괴용부재(120)의 파괴용정(122)은 유리창(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A)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파괴용정(122)이 유리창(A)을 비틀림(흔들림)없이 수직방향으로 타격하므로 인하여 상기 유리창(A)은 도 3과 같이 쉽게 파괴되어 진다.
따라서, 피난자는 파괴된 유리창(A)을 통하여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사용하여 사고난 차량으로부터 유리창을 통하여 신속하게 피난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성체(240)에 의해 캡(230)이 항상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고, 파괴체(220)는 고정체(210)를 관통하여 캡(230)의 수용편(232)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유리창(B)에 대하여 이격되어 양면테이프(250)에 의해 유리창(B)에 부착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200)의 캡(230)을 피난자의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타격한다.
상기 캡(230)의 타격으로 캡(230)은 고정체(21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비틀림없이 수직 이동함과 동시에 파괴체(220)는 고정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리창에 대하여 수직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괴체(220)의 돌침편(221)은 유리창(B)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B)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돌침편(221)이 유리창(B)을 비틀림(흔들림)없이 수직방향으로 타격하므로 인하여 상기 유리창(B)은 도 6과 같이 적은 타격력으로도 쉽게 파괴되어 진다.
따라서, 피난자는 파괴된 유리창(B)을 통하여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괴용부재와 파괴체가 타격시 유리창에 대하여 수직으로 타격하게 되므로 비상시 확실하게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한 싱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싱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10 ; 고정부재
120 ; 파괴용부재 130 ; 캡부재
140,250,2500 ; 양면테이프 210 ; 고정체
220 ; 파괴체 230 ; 캡
240 ; 탄성체

Claims (21)

  1.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A)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은 타격에 의한 유리창(A)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용부재(120)와;
    상기 파괴용부재(120)의 일단을 내측과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장치(100)의 고정부재(110)는 양면테이프(140)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A)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양면테이프(140)를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파괴용부재(120)의 일단을 관통시도록 관통홀(11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12)는 파괴용부재(120)를 내설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턱(113)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용부재(120)는, 고정부재(110)에 내설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걸림턱(113)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리창(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편(121a)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캡부재(130)의 내측면과 결합가능하도록 절취된 고정면(121b)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고정홈(121c)이 형성된 이동편(121)과, 상기 이동편(121)의 고정홈(121c)에 일단이 삽입 고정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성되고, 타면은 파괴장치(100)에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A)을 파괴가능하도록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파괴용정(1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130)는,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수용안내편(1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안내편(131)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에는 파괴용부재(120)의 이동편(121) 타단을 수용하여 고정가능하도록 돌출된 고정편(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6.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2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B)에 일면이 고정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가능하게 일단이 걸림되게 내설되고 타단은 관통하여 돌출되어 타격에 의한 유리창(B)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체(220)와;
    상기 파괴체(220)의 일단을 내측에 고정시키고 내주면은 상기 고정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캡(230)과;
    상기 캡(230)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고정체(21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 캡(23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구비되는 탄성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장치(200)의 고정체(210)는 양면테이프(250)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B)에 고정가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체(220)는 캡(230)을 타격시 유리창(B)에 타격력을 증대시켜 타격가능하도록 유리창(B)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10)는, 파괴체(210)를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파괴체(210)의 일단을 걸림시킴과 아울러 탄성체(240)의 타단을 걸림시키도록 외향 걸곡 연장된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1)으로부터 하향 및 외향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양면테이프(250)를 부착시켜 유리창(B)에 부착가능하도록 부착편(212)이 형성되며 중심방향으로는 관통공(213)이 형성된 계단형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체(220)는, 고정체(210)에 수직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유리창(B)에 직접 접촉하여 유리창(B)을 파괴가능하도록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돌출된 돌침편(221)이 형성되고, 아울러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210)의 걸림턱(211) 내측면에 걸림가능하도록 걸편(222)이 외향 연장된 금속재질의 단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230)은, 고정체(210)의 걸림턱(211)을 수용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가이드편(231)이 형성되고, 탄성체(240)를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편(231)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에는 돌출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파괴체(220)의 타단을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돌출된 수용편(23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40)는, 캡(230)과 고정체(210) 사이에 내설되어 상기 캡(230)측으로 항상 탄성력을 부여가능하도록 중공의 원기둥체 단면 형상을 갖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체(2200)는 고정체(2100)에 내설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고정체(2100)의 걸림턱(2110)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체(210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리창(C)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편(2210)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캡부재(2300)의 내측면과 결합가능하도록 절취된 고정면(2220)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고정홈(2213)이 형성된 이동편(2210)과, 상기 이동편(2210)의 고정홈(2213)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C)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편(22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4.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400)는, 외주면이 외향 연장된 연장편(2310)을 갖는 캡(2300)의 연장편(2310)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은 일면에 양면테이프(2500)를 부착시켜 유리창(C)에 부착되는 고정체(2100)의 부착편(2110)의 타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5. 유리창에 부착되어 타격에 의한 충격력으로 유리창을 쉽게 파괴하기 위한 유리창 파괴장치(3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리창(C)에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접촉되면이 유리창(C)에 대하여 수직방향 이동됨에 따른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내설되어 타겨시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리창파괴용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장치(300)는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일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330)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유리창(C)에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리창파괴부재(320)의 일단 외주면에는, 유리창(C)에 설치됨에 따른 유리창파괴부재(320)가 고정가이드부재(310)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용부재(350)가 고정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유리창파괴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가 유리창(C)에 대하여 파괴력을 증대시키도록 유리창(C)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됨에 따른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가능하도록 탄성부재(3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는, 일면 중앙부에 유리창(C)을 직접 타격하기 위해 돌출되되, 돌출되면 면의 끝단은 뽀족한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 파괴편(322)이 단일체의 금속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의 선단부에는 탄성부재(340)의 일단이 이탈됨을 방지하고 아울러 하향 이동시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안정되게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편(321)이 일방향 더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파괴부재(320)는, 타격시 유리창(C)의 파괴가 가능하도록 단일체의 금속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0090004990A 2009-01-21 2009-01-21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00085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90A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09-01-21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90A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09-01-21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01A true KR20100085601A (ko) 2010-07-29

Family

ID=4264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990A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09-01-21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60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5799E1 (en) 2010-06-11 2015-11-10 Sony Corporation Content alert upon availability for internet-enabled TV
CN107454236A (zh) * 2017-08-15 2017-12-08 李仁华 一种多功能破窗手机保护套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20200006750A (ko) * 2018-07-11 2020-01-21 홍상우 비상 탈출용 장치
WO2020159221A1 (ko) * 2019-01-30 2020-08-06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키트
KR20200094551A (ko) * 2019-01-30 2020-08-07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펀치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11-02 (주)더게러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WO2023282393A1 (ko) * 2021-07-08 2023-01-12 (주)샤픈고트 유리파쇄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5799E1 (en) 2010-06-11 2015-11-10 Sony Corporation Content alert upon availability for internet-enabled TV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CN107454236A (zh) * 2017-08-15 2017-12-08 李仁华 一种多功能破窗手机保护套
KR20200006750A (ko) * 2018-07-11 2020-01-21 홍상우 비상 탈출용 장치
WO2020159221A1 (ko) * 2019-01-30 2020-08-06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키트
KR20200094551A (ko) * 2019-01-30 2020-08-07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펀치
CN113382781A (zh) * 2019-01-30 2021-09-10 皮诺斯道瑞株式会社 紧急逃生工具包
JP2022519218A (ja) * 2019-01-30 2022-03-22 ピノストー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緊急脱出用キット
KR102252958B1 (ko)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11-02 (주)더게러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WO2023282393A1 (ko) * 2021-07-08 2023-01-12 (주)샤픈고트 유리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1122583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0439195Y1 (ko)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20170037894A (ko) 펀치 디바이스
KR101950716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20100025399A (ko) 비상탈출장치
CN108289531A (zh) 用于个人约束系统的负载指示器以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KR20180124648A (ko)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
KR101062805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JP2002104048A (ja) ハンマー付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047133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KR102154992B1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EP1279415A1 (en) Hammer for braking tempered safety glass
KR102251752B1 (ko) 비상탈출용 망치
KR100538429B1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CN115943017A (zh) 玻璃破碎装置
KR20190066275A (ko) 비상 탈출용 해머 수납 구조
KR100516738B1 (ko) 비상용 햄머
KR100328184B1 (ko) 비상 탈출용 해머
KR101794241B1 (ko) 유리 파손장치
KR20180001357U (ko)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고정된 해머
KR20170082473A (ko) 구난장비 유리 타격 및 제거기
KR102467070B1 (ko)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KR102320121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