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070B1 -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070B1
KR102467070B1 KR1020200098081A KR20200098081A KR102467070B1 KR 102467070 B1 KR102467070 B1 KR 102467070B1 KR 1020200098081 A KR1020200098081 A KR 1020200098081A KR 20200098081 A KR20200098081 A KR 20200098081A KR 102467070 B1 KR102467070 B1 KR 10246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l
elastic
public transportation
glass windo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733A (ko
Inventor
최정윤
김동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 수단의 비상상황에서 유리창문을 파손하여 탈출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에 다수 구비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종래의 사용되던 망치의 개수부족, 승객으로부터 멀리 위치해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을 해결하고 승객의 빠른 대피를 돕는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ONE-TOUCH EMERGENCY EXIT HANDLE INSTALLED ON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를 대중교통 수단의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본체부가 연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는 송곳부를 구성하고, 송곳부와 본체부가 맞닿는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력을 지닌 탄성부를 구성하여 대중교통의 유리창문에 탄성부를 부착하여 본체부를 승객이 연결부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긴 뒤에 놓을 경우, 송곳부가 탄성부의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유리창문을 파손하는 발명이다.
대중교통 수단은 많은 인원을 수용하기 때문에 사고 또는 화재 발생 시, 창문이 폐쇄되거나 출입문이 닫히는 경우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에는 비상 탈출용 안전 망치를 의무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 발생 시 비상 탈출용 망치가 비치된 곳까지 이동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망치의 개수부족 및 관리소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승객들 중 망치의 개수 제한으로 인해 소수의 인원만이 망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망치를 소지한 탑승객이 유리창문을 파손하기까지 나머지 탑승객들은 대기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의 자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정거 등과 같은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승객의 흔들림, 무게중심 이탈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끈, 막대와 같은 부재를 통해 승객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활용하여 승객이 앉은 자리 또는 서 있는 자리에서 다수의 승객이 비상 시, 유리창문을 파손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 비상탈출 손잡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359709 B1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 수단의 비상상황에서 유리창문을 파손하여 탈출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에 다수 구비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종래의 사용되던 망치의 개수부족, 승객으로부터 멀리 위치해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을 해결하고 승객의 빠른 대피를 돕는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는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대중교통 수단의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송곳부; 및 일단이 상기 송곳부와 상기 본체부가 맞닿는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력을 지닌 띠 형태의 복수 개의 탄성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유리창문에 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승객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긴 뒤에 놓는 경우, 상기 송곳부가 상기 탄성부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유리창문을 파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리창문에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부착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유리창문의 모서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곳부 및 상기 탄성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원통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되, 측면의 일지점에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송곳부 및 상기 탄성부가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는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라운드진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서 형성되되, 일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끝이 점차 가늘어져 날카로운 형상의 송곳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되, 상기 송곳부가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부고정부; 상기 외부고정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외부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송곳부가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이 본체부를 파지하여 상기 플레이트부를 유리창문에 맞닿아 위치시킨 후, 상기 본체부를 상기 유리창문의 방향으로 가격하면 상기 송곳부는 상기 유리창문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리창문을 파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고정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내부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내부고정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과 맞닿아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탄성회복력을 지닌다.
본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스프링부와 맞닿지 않는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부는 상기 유리창문에 맞닿아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승객이 별도의 비상탈출 수단을 찾을 필요 없이, 대중교통 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를 분리하여 손잡이에 구성되는 본체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탄성부를 유리창문에 부착하여 손으로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송곳부를 유리창문을 향해 가압하여 유리창문을 파손시켜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객들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승객의 안정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가 대중교통 수단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 및 보호원통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창문을 파손하기 위한 사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유리창문이 송곳부에 가압되어 파손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문을 파손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같은 용어이나 구성, 형태 및 기능이 상이한 구성은 다른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100)는 본체부(110), 송곳부(120), 연결부(130), 탄성부(140) 및 보호원통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손잡이(100)는 대중교통 수단에서 입석 승객이 파지하여 급발진 및 급출발에 대비하여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100)는 조립이 가능한 형상으로 대중교통 수단의 프레임(F)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다양한 형태로 다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대중교통 수단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시, 종래의 손잡이(100)와 같이 입석 승객을 위한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나, 비상상황 발생 시, 분리하여 대중교통 수단에 위치한 유리창문(W)을 파손시켜 탈출로를 마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부(110)는 승객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며, 승객이 파지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급출발, 급정지 및 방향전환을 대비하여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본체부(110)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한 선행기술이 다수 존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송곳부(12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맞닿아 연장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곳부(120)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송곳의 형태이며 본체부(110)와 맞닿는 하부에서 프레임(F)을 향해 갈수록 뾰족한 형상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연결부(130)에 일부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덧붙여, 송곳부(120)는 후술할 유리창문(W)을 가격하여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승객을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결부(130)는 송곳부(120)를 통해 본체부(110)를 프레임(F)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며, 프레임(F)부의 하단에 맞닿아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미도시 되었지만, 내부에는 송곳부(12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연결부(130)는 송곳부(120)의 상측 일부가 연결부(130)의 내측에서 나사 결합하여 본체부(110)를 프레임(F)과 결합시켜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여 대중교통 수단에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130)와 송곳부(120)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승객이 비상상황에서 돌리기만 하면 손쉽게 탈거가 가능하여 승객이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비상탈출 수단을 찾기 위해 탈출시간을 낭비하지 않아 승객의 안전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140)는 일단이 송곳부(120)와 본체부(110)가 맞닿는 일측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닌 띠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140)는 높은 탄성력을 지니는 소재가 바람직하며 일 예로 고탄성의 합성고무가 바람직하다.
탄성부(140)의 타단은 후술할 유리창문(W)의 고리부(R)에 걸어져 부착이 가능하며, 본체부(110)를 승객이 연결부(130)로부터 분리하여 고리부(R)에 탄성부(140)를 결합시켜 잡아당긴 뒤에 놓는 경우, 송곳부(120)가 탄성부(14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서 유리창문(W)을 가격하여 파손하여 승객이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보호원통부(150)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의 형상이며, 측면의 일지점에 파여진 홈 형상의 삽입홈부(151)가 형성되고 송곳부(120) 및 탄성부(140)를 삽입홈부(151)를 통해 삽입하여 외측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감싸게 된다.
또한, 보호원통부(150)는 송곳부(120)를 외측에서 감싸기 때문에 승객이 송곳부(120)의 나사산에 접촉하여 다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비상상황 시, 승객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보호원통부(150)는 승객이 손쉽게 벌려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유리창문(W)을 가격하여 파손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승객은 비상상황 발생 시, 보호원통부(150)를 탈착하여 제거하고 본체부(110)를 파지하여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본체부(110)를 돌려 연결부(130)로부터 본체부(110)를 분리하게 된다.
이후, 승객이 탄성부(140)의 타단을 유리창문(W)의 모서리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고리부(R)에 걸어 고정하게 되고 본체부(110)를 손으로 잡아당겨 탄성부(140)를 인장시키면 도 3의 형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객은 유리창문(W)을 파손하여 탈출로를 형성하기 위해 본체부(110)를 잡았던 손을 놓거나 또는 본체부(110)를 잡고 유리창문(W)을 향해 가격하게 되면, 탄성부(140)의 탄성회복력과 송곳부(120)의 뾰족한 형상에 의해 타격되는 힘이 한 곳에 집중되어 쉽게 유리창문(W)을 파손하여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비상탈출로를 찾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이 유리창문(W)을 파손하여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며, 비상상황 시 안전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100)는 대중교통 수단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마련된 비상탈출 망치 또는 비상탈출을 위해 유리창문(W)을 파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비를 찾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차와 같이 천장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100)가 구비되지 않는 교통수단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탈출 손잡이(200)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좌석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의자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의자부(10)의 상부 일측에는 'U' 형상의 입석 승객들이 파지하여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대중교통 수단이 전복, 사고 및 비상상황 시, 손잡이부(200)를 의자부(10)로부터 분리하여 유리창문(W)을 파손할 수 있는 비상탈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전술한 비상탈출을 위해 별도의 구비된 비상탈출 장치를 찾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승객의 탈출시간을 줄이게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0)는 본체부(210), 송곳부(220), 내부고정부(230), 스프링부(240), 외부고정부(250) 및 고정플레이트부(26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승객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U' 또는 '└┘' 형상이 바람직하다.
송곳부(220)는 본체부(210)로부터 멀어질수록 뾰족한 송곳의 형상을 지니며, 후술할 유리창문(W)에 직접 맞닿아 가격하여 파손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내부고정부(230)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중공부에 송곳부(220)가 삽입되면서, 본체부(210)의 내측으로 내부고정부(230)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다시 말해, 내부고정부(230)의 중공부에 송곳부(220)가 관통하면서 삽입되고, 내부고정부(230)는 후술할 외부고정부(250)에 끼워져 본체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봤을 때, 외부고정부(250)에 삽입되어 외부고정부(250)를 통해 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고정부(230)는 후술할 스프링부(240)의 일단을 지지하여 스프링부(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 및 스프링부(240)에 맞닿아 가압하게 된다. 상세한 기능은 후술하도록 한다.
스프링부(240)를 설명하면, 스프링부(240)는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스프링 형상이다.
스프링부(240)는 외부고정부(250)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일단은 내부고정부(230)와 맞닿아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할 외부고정부(250)의 플레이트부(251)의 내측에 맞닿게 된다.
스프링부(240)는 승객이 본체부(210)를 손으로 잡아 유리창문(W)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수축되며, 승객이 힘을 빼거나 본체부(210)를 놓을 경우 탄성회복력으로 원상태로 복구되어 송곳부(220)의 잦은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내구성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탄성회복력으로 복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프링부(240)를 원 상태로 복구시키는 과정없이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외부고정부(250)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의 형상이며 플레이트부(251)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251)는 중심이 개방된 원판의 형상이며, 외부고정부(250)의 양 끝단에서 어느 하나에 연장 형성되며 지름은 외부고정부(25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부(251)는 후술할 유리창문(W)에서 손잡이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창문(W)에 맞닿아 지지되며, 송곳부(220)를 정확하게 유리창문(W)에 가격하기 위해 가이드를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플레이트부(260)는 중심이 개방된 원판 형상이며 고정플레이트부(260)의 지름은 플레이트부(25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플레이트부(260)는 플레이트부(25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를 활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부(260)는 유리창문(W)을 파손하기 위해 유리창문(W)에 맞닿게 될 때, 정확한 파손을 위해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같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손잡이부(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체부(210)의 내부에는 외부고정부(250)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다.
중공부에 외부고정부(25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서 본체부(210)의 중공부에 위치한 송곳부(220)의 외측면에 '┐' 형상의 걸림부(221)가 형성되고, 걸림부(221)는 후술할 끼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굽혀질 수 있으나, 복원력으로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프링부(240)가 외부고정부(25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스프링부(240)가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위치한 후, 내부고정부(230)를 외부고정부(250)의 내측에 삽입시킨다.
내부고정부(230)가 외부고정부(250)의 중공부에 삽입되면 외부고정부(250)를 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시키게 된다. 외부고정부(250)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송곳부(220)의 걸림부(221)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 형상의 고정부걸림부(252)가 내측면에 형성된다.
덧붙여, 고정부걸림부(252) 또한 걸림부(221)와 동일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21)와 고정부걸림부(252)는 외부고정부(250)가 본체부(210)의 중공부에 삽입될 때 맞닿아 굽혀지게 되고, 굽혀진 상태로 억지끼워 삽입된 후 걸림부(221)와 고정부걸림부(252)가 맞닿지 않을 때까지 삽입되면 걸림부(221)와 고정부걸림부(252)는 원 상태로 복구되어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221)와 고정부걸림부(252)는 원 상태로 복구되어 각각 '┐' 형태와 '└' 형태가 되면 맞물리게 되어 본체부(210) 및 외부고정부(250)를 상호 끼워져 지지하게 되어 외부고정부(250)가 본체부(21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외부고정부(250)는 본체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중공부로는 움직일 수 있되, 우측 방향으로 이동 시, 걸림부(221)와 고정부걸림부(252)가 서로 맞물려 더 이상 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 후, 승객이 본체부(210)를 파지하여 유리창문(W)을 파손하기 위해 가격하면 내부고정부(230)가 스프링부(240)의 일단을 가압하게 되고, 타단이 플레이트부(251)에 지지되어 압축되고 송곳부(220)가 내부고정부(230), 스프링부(240) 및 플레이트부(251)의 중공부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플레이트부(251)의 외부로 돌출되어 유리창문(W)을 가격할 수 있다.
한 번에 유리창문(W)이 파손되지 않아 여러 번 반복하기 위해 승객이 손의 힘을 빼기만 하면 스프링부(240)의 탄성회복력으로 내부고정부(230)가 가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본체부(210)가 뒤로 밀려 재가격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걸림부(221) 및 고정부걸림부(252)의 구조는 승객이 본체부(210)를 파지하여 고정플레이트부(260)를 유리창문(W)에 맞닿게 하고 유리창문(W)을 파손시키기 위해 유리창문(W)의 방향으로 가압할 시, 송곳이 유리창문(W)을 가격하여 파손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동작을 실시하더라도 외부고정부(250)가 빠지지 않아 안정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반복적으로 유리창문(W)을 가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억지끼움구조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을 위한 부재가 필요 없어 경제적이며, 손쉬운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과정을 바탕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승객은 도 10(a)의 도시처럼 유리창문(W)에 손잡이부(200)를 위치시킨 후 유리창문(W)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송곳부(220)가 돌출되어 유리창문(W)을 관통하게 되고, 파손되어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탈출부재(망치, 도끼)를 찾기 위해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이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고, 대중교통 수단에 복수 개로 존재하는 손잡이를 단순히 탈거하여 탈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성 및 효율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본체부,
120 : 송곳부, 130 : 연결부,
140 : 탄성부, 150 : 보호원통부,
151 : 삽입홈부, W : 유리창문,
R : 고정부, 10 : 의자부,
200 : 손잡이부, 210 : 본체부,
220 : 송곳부, 230 : 내부고정부,
240 : 스프링부, 250 : 외부고정부,
221 : 걸림부, 252 : 고정부걸림부,
251 : 플레이트부, 260 : 고정플레이트부.

Claims (6)

  1.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대중교통 수단의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송곳부; 및
    일단이 상기 송곳부와 상기 본체부가 맞닿는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력을 지닌 띠 형태의 복수 개의 탄성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유리창문에 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승객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긴 뒤에 놓는 경우, 상기 송곳부가 상기 탄성부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유리창문을 파손하고,
    상기 유리창문에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부착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유리창문의 모서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는 것인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곳부 및 상기 탄성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원통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되, 측면의 일지점에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송곳부 및 상기 탄성부가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것인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8081A 2020-08-05 2020-08-05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KR10246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81A KR102467070B1 (ko) 2020-08-05 2020-08-05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81A KR102467070B1 (ko) 2020-08-05 2020-08-05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33A KR20220017733A (ko) 2022-02-14
KR102467070B1 true KR102467070B1 (ko) 2022-11-14

Family

ID=8025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81A KR102467070B1 (ko) 2020-08-05 2020-08-05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709B1 (ko) 2012-06-22 2014-02-07 이민하 비상탈출용 안전장치
KR101721962B1 (ko) * 2015-07-21 2017-04-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용 손잡이 장치
KR20200034259A (ko) * 2018-09-21 2020-03-31 이선하 잡아당겨서 창문을 부수는 비상 버스탈출용 망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33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6240A (en) Rope grab
US9874034B2 (en) Anti-panic cable grab
EP1304918B1 (en) Lead with ergonomic handgrip
US5349977A (en) Adjustable walker
US3310333A (en) Reach pendant for attaching external cargo to a hovering aircraft
KR101970535B1 (ko)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FR2796297A1 (fr) Harnais d'encordement a longe d'accrochage deportee
KR102467070B1 (ko)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US5603479A (en) Bottle holder with frangible joint
US20090229642A1 (en) Safety cane strap
KR101776221B1 (ko) 화재 감지기 탈부착 장치
US4779896A (en) Ski pole
US6216998B1 (en) Fishing rod hold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6994182B2 (en) Escape device for building
JPH10512787A (ja) 登高安全システムのための拘束装置
US6755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t and bite protection from dangerous persons
US3944269A (en) Seal
US5072897A (en) Pilot harness fitting incorporating restraints for arms, legs, and aid of gravity
ES2160974T3 (es) Grapa para bifurcacion de mazos cableados, aparato para montaje de mazos cableados y metodo de construccion de mazos cableados.
US11219789B1 (en) Regulator cover device for flight vest
KR102022851B1 (ko) 사고시 비상 탈출용 버스 창문 구조
JP3615719B2 (ja) 車両のつり革構造
JP4919943B2 (ja) 吊掛装置
JPH04261677A (ja) 打球具、特にテニス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