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583B1 -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583B1
KR101122583B1 KR1020090104940A KR20090104940A KR101122583B1 KR 101122583 B1 KR101122583 B1 KR 101122583B1 KR 1020090104940 A KR1020090104940 A KR 1020090104940A KR 20090104940 A KR20090104940 A KR 20090104940A KR 101122583 B1 KR101122583 B1 KR 10112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hole
glass window
de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232A (ko
Inventor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583B1/ko
Priority to PCT/KR2010/007016 priority patent/WO2011052912A2/ko
Priority to JP2012532026A priority patent/JP5383922B2/ja
Publication of KR2011004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또는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안전핀을 제거한 후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연약한 어린이 또는 여성 및 노양자가 사용하더라도 확실하고 신속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유리창에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를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자가 타격시 하향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 관통홀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비상탈출, 차량, 유리창, 파괴, 부착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Apparatus for breaking glass for emergency evacua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철 또는 건물 등의 유리창에 부착되어 갑작스런 사고로 인한 도어의 개방이 어려울 경우 유리창을 파괴하여 탈출가능하도록 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나 전철(지하철) 등에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유리는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긴급상황시 탈출에 어려움을 격게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버스 또는 전철)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유리창 파괴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리창 파괴용 망치를 위급한 상황에서 망치의 위치를 숙지하 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찾기란 쉽지 않으며, 또한 쉽게 분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흉기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또는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안전핀을 제거한 후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연약한 어린이 또는 여성 및 노양자가 사용하더라도 확실하고 신속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유리창에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를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자가 타격시 하향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 관통홀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부재의 상부를 수용하여 하향 이동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일단이 연결시켜 외력에 의해 덮개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유리창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를 내측으로 억지끼움되는 수용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일면에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안전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안전핀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홀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부재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을 수용가능하도록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고정부재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저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고정부재 내측으로 수용되는 파괴수단의 타단을 관통 돌출시킬 수 있도록 돌출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파괴수단은, 고정부재의 수용홀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지지편 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저면 중앙부에는 유리창을 직접 타격하여 파괴하기 위해 구비되는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핀을 관통시키도록 홀이 관통 형성되어 입설된 고정바를 포함한 파괴용부재와, 상기 파괴용부재의 고정바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일단은 상기 지지편에 걸림되고 타단은 덮개의 내측면에 압축 지지되어 상기 고정바의 홀에 관통되어 고정된 안전핀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괴용부재에 압축된 스프링력을 제공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따르면,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는, 유리창(도면부호 생략)에 일단이 고정용부재(예를 들면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자가 타격시 하향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에 의 관통홀(1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120)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120)를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130)과,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수용하여 하향 이동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를 일단이 연결시켜 외력에 의해 덮개부재(12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의 고정부재(1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13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관통홀(1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11) 내주면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괴수단(130)의 일단을 걸림시키도록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형성되며, 상기한 관통홀(111)의 내주면 상부에는 후술할 파괴수단(130)의 가압고정부재(133)와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나사부(115)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부재(110)는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A)에 고정되게 부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재(120)는,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일단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 파괴수단(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재(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막음되되, 내측 바닥면에는 후술할 파괴수단(130)의 연결바(131) 타단을 억지끼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고정홈(121)이 형성된 고정편(12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파괴수단(13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관통홀(111)의 내주면에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에 걸림되고 타단은 덮개부재(120)의 고정홈(121)에 억지끼움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120)를 사용자가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의해 걸림돌기(113)가 탈락됨과 동시에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괴수단(130)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돌기(113)에 일단이 걸림되도록 외주면에 걸림편(13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31a)의 저면 중앙부에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침(131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31a)의 상면에는 타단이 덮개부재(120)의 고정편(122)에 형성된 고정홈(12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가능하도록 연결바(131c)를 포함한 파괴부재(131)와, 상기 파괴부재(131)의 연결바(131c)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걸림편(131a)의 상면에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스프링(132)과, 상기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14)와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132)의 타단을 압축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131c)의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133a)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홀(133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132)의 타단은 압축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1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 방식에 의해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열융 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안전수단(140)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120)의 외주면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덮개부재(120)와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덮개부재(120)가 타격되더라도 파괴수단(130)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안전수단(140)은, 고정부재(1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141)과,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되게 덮개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연결홀(142)과, 상기 고정연결홀(142)과 고정홀(141)을 일단이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덮개부재(120)를 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용핀(143)과, 상기 안전용핀(143)의 타단에 형성된 홀(도면부호 생략)에 일단이 관통 걸림되어 상기 안전용핀(143)을 제거(뽑음)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거용고리(1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가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용부재 즉,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창을 파괴하여 차량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덮개부재(120)의 외주면에 고정된 안전수단(140)의 제거용고리(144)를 파지한 후 당김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120)로부터 안전수단(140)의 안전용핀(143)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덮개부재(120)로부터 안전수단(140)이 제거되면, 덮개부재(120)의 상부를 손 또는 발로 타격한다.
상기 덮개부재(120)를 타격하는 것에 의해 타격력은 파괴수단(130)으로 전달되고, 상기 파괴수단(130)으로 전달된 파격력에 의해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주면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이 탈락됨과 동시에 파괴수단(130)의 (131)은 타격력과 함께 압축스프링(132)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향 즉,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여 첨부된 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괴부재(131)의 파괴용돌침(131b)가 유리창을 파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리창 파괴장치는 약한 힘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리창을 파괴시켜 위기상황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안전핀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압출된 탄성부재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200)는, 저면에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수용홀(211)이 형성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억지끼움되는 수용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일면에 수 용홈(221)이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221)과 연통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22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일단이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220)의 관통홀(222)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안전핀(24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안전핀(24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홀(211)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고정부재(210)는, 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2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230)을 수용가능하도록 관통된 수용홀(21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덮개(220)는, 고정부재(2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덮는 것에 의해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돌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돌출된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핀(2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220)는, 고정부재(2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저면에는 수용홈(221)이 형성된 "n"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221)과 연통되어 상기 고정부재(210) 내측으로 수용되는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관통 돌출시킬 수 있도록 돌출용홀(22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220)의 상면에는 일단이 상기 돌출용홀(222)과 연통되어 상기 돌출용홀(222)을 통하여 돌출된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핀(240)을 수용하여 하기 위한 요홈(22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파괴수단(230)은, 상기 고정부재(210)의 수용홀(211)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되, 타단은 덮개(220)의 돌출용홀(222)을 관통하여 안전핀(24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안전핀(240)을 사용자가 제거하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파괴수단(230)은, 상기 고정부재(210)의 수용홀(2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지지편(23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31)의 저면 중앙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을 직접 타격하여 파괴하기 위해 구비되는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편(232)과, 상기 지지편(2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핀(240)을 관통시키도록 홀(233)이 관통 형성되어 입설된 고정바(234)를 포함한 파괴용부재(235)와, 상기 파괴용부재(235)의 고정바(234)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일단은 상기 지지편(231)에 걸림되고 타단은 덮개(220)의 내측면에 압축 지지되어 상기 고정바(234)의 홀(233)에 관통되어 고정된 안전핀(24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괴용부재(235)에 압축된 스프링력을 제공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23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200)가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용부재 즉,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창을 파괴하여 차량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덮개부재(220)의 상면 상부로 돌출된 파괴수단(230)의 고정바(234)에 형성된 홀(233)에 일단이 관통된 안전핀(240)을 파지한 후 당김시켜 상기 안전핀(240)을 파괴수단(230)의 파괴용부재(235)로부터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안전핀(240)을 파괴수단(230)의 고정바(234)에 형성된 홀(233)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괴수단(230)의 파괴용부재(235)는 압축되어 구비된 압축스프링(236)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향 즉, 유리창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파기용부재(235)의 파괴용돌침(232)가 유리창을 파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리창 파괴장치는 약한 힘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리창을 파괴시켜 위기상황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30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고정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관통된 홀(311)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막음시키되, 중앙부에는 관통홀(321)이 형성된 덮개부재(32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내측으 로 일단이 내설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320)에 형성된 관통흘(321)을 통하여 돌출되어 고정핀(340)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핀(340)을 회동시킨 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300)의 고정부재(310)는, 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3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33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수용홀(3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수용홀(311)의 내주면 하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파괴수단(330)의 일단 즉, 후술할 파괴용부재(335)의 일단을 걸림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340)이 회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걸림돌조(31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덮개부재(320)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억지끼움 또는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파괴수단(330)의 타단을 관통시켜 돌출시키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돌출된 파괴수단(330)의 타단을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핀(34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재(32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억지끼움 또는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고정돌기(3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고, 중앙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괴수단(330)의 타단을 관통시켜 돌출시키도록 관통홀(32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돌출된 파괴수단(33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핀(34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용면(323)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파괴수단(33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수용홀(311)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핀(340)을 회동시켜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용홀(311)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파괴수단(33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수용홀(311)에 삽입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조(313)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일단 외주면에는 안착돌기(331)가 외향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기(332)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타단에 고정핀(34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333)이 형성된 고정바(334)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파괴용부재(335)와, 상기 파괴용부재(335)의 고정바(334)를 중앙부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일단은 상기 안착돌기(331)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부재(310)의 상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고정된 덮개부재(320)의 고정돌기(322)의 저면에 걸림 지지되되, 상기 파괴용부재(335)의 안착돌기(331)가 걸림돌조(313)에 안착 걸림되는 것에 의해 압축되어 구 비되는 압축스프링(31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300)가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용부재 즉,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창을 파괴하여 차량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320)의 상면에 돌출된 파괴용부재(335)의 고정바(334)에 형성된 관통공(333)에 일단이 관통 삽입된 고정핀(340)을 일방향 즉, 왼쪽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고정핀(340)이 회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재(310)에 내설된 파괴수단(330)의 파괴용부재(335)가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걸림돌조(313)에 안착되어 걸림된 안착돌기(331)가 걸림 해제된다.
이후, 상기 고정핀(340)을 관통공(333)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것에 의해 제2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파괴수단(330)의 파괴용돌기(332)가 압축된 압축스프링(316)의 스프링력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리창 파괴장치는 약한 힘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리창을 파괴시켜 위기상황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 치(40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일단이 유리창에 고정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되, 내주면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한 쌍의 안착돌기(412)가 형성되어 구비된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되, 회전 및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420)와, 상기 고정부재(410)에 형성된 관통홀(411) 내측으로 수용되되, 일단은 상기 안착돌기(412)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덮개부재(420)에 억지끼움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420)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회전하여 상기 안착돌기(412)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430)과, 상기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전 및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단이 삽입 및 이탈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부재(410)로부터 덮개부재(420)를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수단(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고정부재(4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미도시함)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413)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술할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 일단을 수용하여 걸림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안착돌기(412)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내주면 상부에는 후술할 파괴수단(430)의 압축스프링(435)의 타단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438)를 나사 결합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나사부(413)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420)는,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전 및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 타단을 고정 연결시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재(420)는, 상기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수용홈(42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421)의 내측 바닥면에는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 타단을 억지끼움 고정시키도록 고정홈(422)이 요설된 고정용돌기(42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덮개부재(4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부재(4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는 파지용돌기(424)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킬 경우 미끌림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미끌림방지용돌가(425)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파괴수단(430)은, 상기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 걸림되고 타단은 덮개부재(420)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420)를 회전시 키는 것에 의해 걸림됨과 동시에 압축된 압축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괴수단(430)은, 상기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안착돌기(412)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록 일단 외주면에는 대향되는 위치에 걸편(431)이 형성되고, 상기 걸편(431)의 저면 중앙부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침(43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편(431)의 상면에는 타단이 덮개부재(420)의 고정홈(42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비회전가능하도록 양면이 절취되어 형성된 고정바(433)로 구성된 파괴용부재(434)와, 상기 파괴용부재(434)의 고정바(433)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걸편(431)의 상면에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스프링(435)과, 상기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413)와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435)의 타단을 압축시키면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바(433)의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436)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홀(437)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43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435)의 타단은 압축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438)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 방식에 의해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열융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상기한 안전수단(440)은,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정부재(4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덮개부재(420)와 고정부재(410)의 상부를 연결시킴으로써, 덮개부재(420)가 고정부재(4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안전수단(440)은, 고정부재(4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441)과,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홀(441)과 연통되게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연결홀(442)과, 상기 고정연결홀(442)과 고정홀(441)을 일단이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덮개부재(420)를 고정부재(4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용핀(443)과, 상기 안전용핀(443)의 타단에 형성된 홀(도면부호 생략)에 일단이 관통 걸림되어 상기 안전용핀(443)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거용고리(44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에 형성된 걸편(431)이 안착돌기(412)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그로 인하여 압축되어 구비되는 압축스프링(435)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괴용부재(434)가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바(433)를 관통시켜 구비되는 압축스프링(435)을 더욱 압축시켜 상기 걸편(431)이 안착돌기(412)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435)의 스프링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주면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 성된 안착돌기(412)의 상면은 상기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에 형성된 걸편(431)을 안착 걸림 및 덮개부재(4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파괴용부재(4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걸림되는 것을 해제시키되, 상기 파괴용부재(4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435)을 더 압축시키도록 상면이 원주방향으로 점차 상향 경사진 경사면(412a)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작동은 안전수단(440)을 덮개부재(420)로부터 제거시킨 후 덮개부재(420)를 회동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안착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유리창에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자가 타격시 하향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에 의 관통홀(1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120)에 고정된 파괴부재(131)와, 상기 파괴부재(131)를 관통시켜 구비되는 압축스프링(132)에 의해 상기 덮개부재(120)를 약한 힘으로 타격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고 그로 인해 상기 압축스프링(132)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괴부재(131)가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수용하여 하향 이동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를 일단이 연결시켜 외력에 의해 덮개부재(12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안전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파괴수단(13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관통홀(1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11) 내주면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괴수단(130)의 일단을 걸림시키도록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형성되며, 상기한 관통홀(111)의 내주면 상부에는 파괴수단(130)의 가압고정부재(133)와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나사부(115)가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재(120)는,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막음되되, 내측 바닥면에는 파괴수단(130)의 연결바(131) 타단을 억지끼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고정홈(121)이 형성된 고정편(122)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파괴수단(130)은,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돌기(113)에 일단이 걸림되도록 외주면에 걸림편(13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31a)의 저면 중앙부에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침(131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31a)의 상면에는 타단이 덮개부재(120)의 고정편(122)에 형성된 고정홈(12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가능하도록 연결바(131c)를 포함한 파괴부재(131)와, 상기 파괴부재(131)의 연결바(131c)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걸림편(131a)의 상면에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스프링(132)과, 상기 고정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14)와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132)의 타단을 압축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131c)의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133a)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홀(133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140)은, 고정부재(1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141)과,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되게 덮개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연결홀(142)과, 상기 고정연결홀(142)과 고정홀(141)을 일단이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덮개부재(120)를 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용핀(143)과, 상기 안전용핀(143)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 일단이 관통 걸림되어 상기 안전용핀(143)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거용고리(1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5.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유리창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수용홀(211)이 형성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억지끼움되는 수용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일면에 수용홈(221)이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221)과 연통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22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일단이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220)의 관통 홀(222)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안전핀(24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안전핀(24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홀(211)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2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230)을 수용가능하도록 관통된 수용홀(211)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덮개(220)는, 고정부재(2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저면에는 수용홈(221)이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홈(221)과 연통되어 상기 고정부재(210) 내측으로 수용되는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관통 돌출시킬 수 있도록 돌출용홀(222)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파괴수단(230)은, 고정부재(210)의 수용홀(211)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외향 연장된 지지편(23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31)의 저면 중앙부에는 유리창을 직접 타격하여 파괴하기 위해 구비되는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편(232)과, 상기 지지편(231)의 상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핀(240)을 관통시키도록 홀(233)이 관통 형성되어 입설된 고정바(234)를 포함한 파괴용부재(235)와, 상기 파괴용부재(235)의 고정바(234)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일단은 상기 지지편(231)에 걸림되고 타단은 덮개(220)의 내측면에 압축 지지되어 상기 고정바(234)의 홀(233)에 관통되어 고정 된 안전핀(24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괴용부재(235)에 압축된 스프링력을 제공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2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20)의 상면에는 일단이 돌출용홀(222)과 연통되어 상기 돌출용홀(222)을 통하여 돌출된 파괴수단(230)의 타단을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핀(240)을 수용하여 하기 위한 요홈(22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8.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유리창에 고정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관통된 홀(311)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막음시키되, 중앙부에는 관통홀(321)이 형성된 덮개부재(32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내측으로 일단이 내설되어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부재(320)에 형성된 관통흘(321)을 통하여 돌출되어 고정핀(340)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핀(340)을 회동시킨 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3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파괴수단(33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수용홀(3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수용홀(311)의 내주면 하부에는 내측으로 수용되는 파괴수단(330)의 파괴용부재(335) 일단을 걸림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340)이 회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걸림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걸림돌조(31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재(32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고정돌기(3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고, 중앙부에는 파괴수단(330)의 타단을 관통시켜 돌출시키도록 관통홀(32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돌출된 파괴수단(33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핀(34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용면(323)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파괴수단(33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수용홀(311)에 삽입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조(313)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일단 외주면에는 안착돌기(331)가 외향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기(332)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타단에 고정핀(34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333)이 형성된 고정바(334)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파괴용부재(335)와, 상기 파괴용부재(335)의 고정바(334)를 중앙부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일단은 상기 안착돌기(331)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부재(310)의 상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고정된 덮개부재(320)의 고정돌기(322)의 저면에 걸림 지지되되, 상기 파괴용부재(335)의 안착돌기(331)가 걸림돌조(313)에 안착 걸림되는 것에 의해 압축되어 구비되는 압축스프링(3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0.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고정용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유리창에 고정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되, 내주면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한 쌍의 안착돌기(412)가 형성되어 구비된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되, 회전 및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420)와;
    상기 고정부재(410)에 형성된 관통홀(411) 내측으로 수용되되, 일단은 상기 안착돌기(412)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덮개부재(420)에 억지끼움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재(420)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회전하여 상기 안착돌기(412)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수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전 및 하향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단이 삽입 및 이탈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부재(410)로부터 덮개부재(420)를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안전수단(440)이 더 구비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고정용부재(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도록 일단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413)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 일단을 수용하여 걸림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안착돌기(412)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내주면 상부에는 파괴수단(430)의 압축스프링(435)의 타단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438)를 나사 결합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나사부(413)가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재(420)는, 고정부재(410)의 타단을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수용홈(42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421)의 내측 바닥면에는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 타단을 억지끼움 고정시키도록 고정홈(422)이 요설된 고정용돌기(42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파괴수단(430)은,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측으로 일단 이 삽입되어 안착돌기(412)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록 일단 외주면에는 대향되는 위치에 걸편(431)이 형성되고, 상기 걸편(431)의 저면 중앙부에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역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괴용돌침(43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편(431)의 상면에는 타단이 덮개부재(420)의 고정홈(42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비회전가능하도록 양면이 절취되어 형성된 고정바(433)로 구성된 파괴용부재(434)와, 상기 파괴용부재(434)의 고정바(433)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걸편(431)의 상면에 일단이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스프링(435)과, 상기 고정부재(410)의 관통홀(411)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413)와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435)의 타단을 압축시키면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바(433)의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436)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홀(437)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고정부재(4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440)은, 고정부재(4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441)과,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홀(441)과 연통되게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연결홀(442)과, 상기 고정연결홀(442)과 고정홀(441)을 일단이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덮개부재(420)를 고정부재(4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안전용핀(443)과, 상기 안전용핀(443)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 일단이 관통 걸림되어 상기 안전용핀(443)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거용고리(4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420)는, 사용자가 덮개부재(4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는 파지용돌기(424)가 형성되고 아울러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덮개부재(42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킬 경우 미끌림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덮개부재(4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미끌림방지용돌가(425)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412)의 상면은, 상기 파괴수단(430)의 파괴용부재(434)에 형성된 걸편(431)을 안착 걸림 및 덮개부재(4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파괴용부재(4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걸림되는 것을 해제시키되, 상기 파괴용부재(4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435)을 더 압축시키도록 상면이 원주방향으로 점차 상향 경사진 경사면(412a)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0090104940A 2009-11-02 2009-11-02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112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40A KR101122583B1 (ko) 2009-11-02 2009-11-02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CT/KR2010/007016 WO2011052912A2 (ko) 2009-11-02 2010-10-14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JP2012532026A JP5383922B2 (ja) 2009-11-02 2010-10-14 非常脱出用ガラス窓破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40A KR101122583B1 (ko) 2009-11-02 2009-11-02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32A KR20110048232A (ko) 2011-05-11
KR101122583B1 true KR101122583B1 (ko) 2012-03-16

Family

ID=4392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40A KR101122583B1 (ko) 2009-11-02 2009-11-02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83922B2 (ko)
KR (1) KR101122583B1 (ko)
WO (1) WO2011052912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38B1 (ko) * 2014-05-22 2014-08-21 김정식 고정형 유리파괴장치
KR101886410B1 (ko) 2018-02-08 2018-08-09 (주)동해공영 유리 파쇄장치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102107151B1 (ko) 2019-10-02 2020-05-07 주식회사 동해공영 비상용 안전진입탈출창 시스템
KR102100999B1 (ko) 2020-01-30 2020-05-15 주식회사 동해공영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KR20200080085A (ko) * 2018-12-26 2020-07-06 홍상우 유리 타격식 비상탈출장치
KR20200084998A (ko) 2019-01-04 2020-07-14 김법년 포터블 구인구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212360B1 (ko) * 2019-09-25 2021-02-03 정두인 유리 파손장치
KR102561677B1 (ko) 2022-05-11 2023-08-01 새론테크 주식회사 소방관 진입 안전유리창 파쇄장치
KR20240037587A (ko) 2022-09-15 2024-03-22 이맹우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83B1 (ko) * 2009-11-02 2012-03-1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N102501819A (zh) * 2011-11-07 2012-06-20 同济大学 拍击式逃生玻璃破碎装置
CN102874200A (zh) * 2012-10-15 2013-01-16 青岛欧特美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击碎机动车门窗玻璃的逃生装置
CN103157201B (zh) * 2013-03-19 2017-02-15 丘学文 紧急逃生用玻璃粉碎装置
WO2016077947A1 (zh) * 2014-11-17 2016-05-26 东莞市洁都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车载破窗器
CN104325958A (zh) * 2014-11-17 2015-02-04 东莞市洁都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车载破窗器
CN104309567A (zh) * 2014-11-17 2015-01-28 东莞市洁都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车载破窗器
WO2016077946A1 (zh) * 2014-11-17 2016-05-26 东莞市洁都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车载破窗器
KR101687694B1 (ko) * 2014-12-31 2017-01-03 평화산업주식회사 차량용 2중 절연 하이드로 마운트
JP6811122B2 (ja) * 2017-03-07 2021-01-13 吉田 英夫 緊急脱出用具およびその取付け装置
KR102004450B1 (ko) 2017-12-22 2019-07-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고에너지 물질 복합체를 이용하는 유리 파괴 장치 및 방법
US10619972B1 (en) * 2019-06-10 2020-04-14 Bryan B. Glauber Glass break apparatus
JP6989225B2 (ja) * 2019-11-27 2022-01-05 弘之 大塚 強化ガラス破壊具
CN112843511A (zh) * 2021-01-25 2021-05-28 南京蒂凡亚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公交车车窗破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087A (ja) 1998-02-05 1999-08-17 Shiro Matsuo 自動車の窓ガラス破壊器
WO2001087419A1 (es) * 2000-05-05 2001-11-22 Busrail S.L. Percutor fragmentador de vidrios de seguridad templados
US20040050607A1 (en) * 2002-09-16 2004-03-18 Douglas Souther Body-mountable vehicle safety escape apparatus
KR200366139Y1 (ko) * 2004-07-15 2004-11-03 박우승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177Y2 (ko) * 1984-11-21 1988-10-03
GB2173237B (en) * 1985-03-19 1988-05-05 Harry Taylor Double glazing
US5605271A (en) * 1995-06-06 1997-02-25 Russell; Michael W. Nail driver
JPH11188660A (ja) * 1997-12-24 1999-07-13 Asahi Plastic Kogyo Kk 窓ガラス破壊装置
JP2000168895A (ja) * 1998-12-10 2000-06-20 Takatsugu Chiba 飲料容器のストロ―穴開け器
JP2001354090A (ja) * 2000-06-14 2001-12-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のガラス破砕装置
JP3279549B2 (ja) * 2000-06-28 2002-04-30 有限会社新工 緊急脱出用ガラス破壊具
KR100381091B1 (ko) * 2000-12-28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옆면 유리 파괴장치
US6418628B1 (en) * 2001-03-22 2002-07-16 Task Force Tips, Inc. Spring-loaded car window breaker and retractable safety sheath
JP2003135615A (ja) * 2001-11-02 2003-05-13 Busrail Sl 安全強化ガラス用分断打撃装置
KR200439195Y1 (ko) * 2007-03-23 2008-03-26 손오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122583B1 (ko) * 2009-11-02 2012-03-1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087A (ja) 1998-02-05 1999-08-17 Shiro Matsuo 自動車の窓ガラス破壊器
WO2001087419A1 (es) * 2000-05-05 2001-11-22 Busrail S.L. Percutor fragmentador de vidrios de seguridad templados
US20040050607A1 (en) * 2002-09-16 2004-03-18 Douglas Souther Body-mountable vehicle safety escape apparatus
KR200366139Y1 (ko) * 2004-07-15 2004-11-03 박우승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38B1 (ko) * 2014-05-22 2014-08-21 김정식 고정형 유리파괴장치
KR2019001482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101950716B1 (ko) * 2017-08-04 2019-02-21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101886410B1 (ko) 2018-02-08 2018-08-09 (주)동해공영 유리 파쇄장치
KR20200080085A (ko) * 2018-12-26 2020-07-06 홍상우 유리 타격식 비상탈출장치
KR102215604B1 (ko) * 2018-12-26 2021-02-15 홍상우 유리 타격식 비상탈출장치
KR20200084998A (ko) 2019-01-04 2020-07-14 김법년 포터블 구인구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212360B1 (ko) * 2019-09-25 2021-02-03 정두인 유리 파손장치
KR102107151B1 (ko) 2019-10-02 2020-05-07 주식회사 동해공영 비상용 안전진입탈출창 시스템
KR102100999B1 (ko) 2020-01-30 2020-05-15 주식회사 동해공영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KR102561677B1 (ko) 2022-05-11 2023-08-01 새론테크 주식회사 소방관 진입 안전유리창 파쇄장치
KR20240037587A (ko) 2022-09-15 2024-03-22 이맹우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912A3 (ko) 2011-10-13
JP5383922B2 (ja) 2014-01-08
KR20110048232A (ko) 2011-05-11
JP2013505806A (ja) 2013-02-21
WO2011052912A2 (ko)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583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EP3013436B1 (en) Fall arrester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EP2826947B1 (en) Vertical lifeline for elevated work
KR101047133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EP1717135B1 (en) Bicycle lock
KR20110048230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N205852852U (zh) 一种火灾紧急消防用斧头
JP2019513027A (ja) 消火器の安全ハンドル及びその安全ハンドルを備えた消火器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200366139Y1 (ko)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CN211874176U (zh) 一种基于互联网居家隔离开门报警器
KR100930689B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416311Y1 (ko) 방재용 강제 도어록 제거장치
KR101916571B1 (ko) 유리 파괴 장치
TWM549086U (zh) 手柄後端具隱藏式擊破器之伸縮式警棍結構及其隱藏式擊破器
KR200457900Y1 (ko) 도어 해정장치
KR200386002Y1 (ko) 소화기 안전장치
JP4709182B2 (ja) 墜落防止用安全器
US20120108370A1 (en) Bat safety restraint
KR102467070B1 (ko)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손잡이
EP2375390B1 (en) Type A dual action extinguisher release call point
KR20090012619U (ko) 화재발신기의 구조
TWM367253U (en) Safety snap hook capable of ensuring dual locking
JP5021832B1 (ja) 昇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