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16B1 -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16B1
KR101950716B1 KR1020170098822A KR20170098822A KR101950716B1 KR 101950716 B1 KR101950716 B1 KR 101950716B1 KR 1020170098822 A KR1020170098822 A KR 1020170098822A KR 20170098822 A KR20170098822 A KR 20170098822A KR 101950716 B1 KR101950716 B1 KR 10195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tempered glass
leaf spring
striking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28A (ko
Inventor
이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Priority to KR102017009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상황 발생시 강화유리의 파손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첨부(21)가 형성된 충격부(20)와; 상기 충격부(2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30)와; 상기 충격부(20)와 타격부(30) 사이에 구성되되, 양단부가 본체부(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곡률형상을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40)과; 강화유리(100)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접착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TEMPERED GLASS IMPACT DEVICE FOR EMERGENCY EXCAPE USING LEAF SPRING}
본 발명은 강화유리 충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발생시 강화유리에 충격력을 가하여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 강화유리나 페어유리 등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 유리의 강도는 보통 유리의 5배 이상이며 일반 성인 남성이 망치나 햄머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힘껏 쳐도 잘 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나 고속버스의 전복, 유람선의 침몰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인명의 탈출이나 구조를 위해서는 반드시 유리창문을 깰 수 있어야 하나 현재는 특수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망치나 햄머의 경우 위급상황에서는 연기나 정전으로 인해 이를 찾기 힘들고, 한번에 유리가 깨지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에 처한 사람의 심리상태에서는 평정을 유지할 수 없어 오히려 역효과가 유발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7001호('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안은 밀폐된 공간 내부의 온도 상승 또는 연기 발생 등을 통해 위급 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체의 타격력에 의해 강화유리를 파괴시킬 수 있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화재나 연기를 자동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오작동에 대한 불안이 항상 존재하며, 화재나 연기를 감지하기 이전에 유리를 파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동의 충분한 충격력을 확보하기 곤란하며, 유리가 파괴되지 않을 경우 대책이 전무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비상상황 발생시 누구나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며 보다 강화된 힘이 강화유리에 전달되어 강화유리 파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비상시 인명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강화유리 충격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첨부가 형성된 충격부와; 상기 충격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와; 상기 충격부와 타격부 사이에 구성되되, 양단부가 본체부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곡률형상을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과; 강화유리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타격력과 함께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더해짐으로서 강화유리 표면에 보다 강력한 충격력이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강화유리 충격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강화유리 충격장치는 휴대가 가능함으로서 비상상황 발생시 누구나 쉽게 원하는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화유리 충격장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강화유리 충격장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강화유리 충격장치의 강화유리 부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강화유리 충격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강화유리 충격장치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의 구성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선단부가 날카로운 첨부(21)가 형성된 충격부(20)가 구성되고, 충격부(20)의 후단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을 전달하기 위한 타격부(30)가 구비되며, 충격부(20)와 타격부(30) 사이에는 양단부가 본체부(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곡률형상을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40)이 연결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40)의 중단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충격부(20)와 타격부(30) 사이에는 지지통공(25)이 관통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리고, 본체부(10)의 선단측에는 강화유리(100)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부(50)가 구성된다.
삭제
한편, 충격부(20)의 재질은 전체적으로 금속 또는 탄소강 소재로 구비되거나, 첨부(21) 만을 인조 다이아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격부(20)와 타격부(30)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되, 상호 연결부위에 탄성스프링(60)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강화유리 충격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강화유리 충격장치는 차량 또는 대형건물의 유리면에 특정 위치에 고정식으로 부착시킬수도 있고, 개인이 휴대용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유리에 부착하여 현장 사용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즉, 이때에는 접착부(50)의 접착력으로 인해 강화유리(100) 표면에 부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량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타격부(30)를 눌러서 충격을 가하게 되면, 타격부(30)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더하여 판스프링(40)의 순간적인 탄성력이 충격부(20)에 전달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부(20)가 강한 탄성력을 받아 전진되어지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첨부(21)가 강화유리(100)를 타격하게 됨으로서 강화유리(100)가 깨지게 되어 외부로의 탈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장치는 휴대가 간편하며 현장에서 즉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비상상황 발생시 탈출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부(10) 내부에는 충격부(20)에 형성된 첨부(21)에 의한 부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70)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판(70)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보호판(70) 일측에는 안전핀(71)이 구비되며, 본체부(10)에는 보호판(70)의 제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1)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의 후단에는 타격부(30)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6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판(70) 및 안전핀(71)의 구성을 이루게 되면, 실수로 인하여 타격부(30)에 힘이 가해지거나 판스프링(40) 오작동으로 인해 충격부(20)가 전진되어짐으로서 강화유리(100)의 파손 내지는, 보관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상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스프링(60)이 타격부(30)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충격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충격부(20)와 타격부(30)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판스프링(40)의 탄성력이 충격부(30)에 보다 강하게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충격부(20)와 타격부(30)가 상호 이격 가능한 개별 구조물을 이루도록 제작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충격부
21 : 첨부 30 : 타격부
40 : 판스프링 50 : 접착부
100 : 강화유리

Claims (4)

  1.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첨부(21)가 형성된 충격부(20)와;
    상기 충격부(2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30)와;
    상기 충격부(20)와 타격부(30) 사이에 구성되되, 양단부가 본체부(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곡률형상을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40)과;
    상기 판스프링(40)의 중단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충격부(20)와 타격부(30) 사이에 관통 형성된 지지통공(25)과;
    강화유리(100)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접착부(50);
    상기 충격부(20)의 전진을 제한하기 위해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는 보호판(70)과;
    상기 보호판(70)의 제거를 위해 일측에 연결 구비되는 안전핀(71);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8822A 2017-08-04 2017-08-04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10195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22A KR101950716B1 (ko) 2017-08-04 2017-08-04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22A KR101950716B1 (ko) 2017-08-04 2017-08-04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28A KR20190014828A (ko) 2019-02-13
KR101950716B1 true KR101950716B1 (ko) 2019-02-21

Family

ID=6536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822A KR101950716B1 (ko) 2017-08-04 2017-08-04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11-02 (주)더게러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651A (zh) * 2019-10-30 2019-12-31 杭州欣茂科技有限公司 一种非专业人员紧急情况使用防空砍消防斧
KR102252958B1 (ko) *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CN111976641A (zh) * 2020-09-04 2020-11-24 中车大连电力牵引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玻璃的智能破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549B2 (ja) 2000-06-28 2002-04-30 有限会社新工 緊急脱出用ガラス破壊具
JP2003135615A (ja) 2001-11-02 2003-05-13 Busrail Sl 安全強化ガラス用分断打撃装置
KR101122583B1 (ko) * 2009-11-02 2012-03-1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601A (ko) * 2009-01-21 2010-07-29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549B2 (ja) 2000-06-28 2002-04-30 有限会社新工 緊急脱出用ガラス破壊具
JP2003135615A (ja) 2001-11-02 2003-05-13 Busrail Sl 安全強化ガラス用分断打撃装置
KR101122583B1 (ko) * 2009-11-02 2012-03-1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11-02 (주)더게러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28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16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CN102773840B (zh) 安全锤
KR200439195Y1 (ko)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US8495777B1 (en) Rescue punch for diver knife
JP3279549B2 (ja) 緊急脱出用ガラス破壊具
US20050091856A1 (en) Insitu apparatus and method for breaking glass
KR101280902B1 (ko)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KR200366139Y1 (ko)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KR20230069432A (ko) 휴대용 비상탈출 도구
CN107643214A (zh) 一种建筑工地安全帽性能检测装置及方法
CN203832423U (zh) 一种车载用的消防安全锤
KR20200057326A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CN106904145B (zh) 贮能阵列式破窗逃生器
GB2265406A (en) Glass breaker
KR20180045851A (ko) 비상용 망치
KR200384315Y1 (ko) 유리파쇄침이 부착된 호신용 경봉
KR101412044B1 (ko) 안전 망치
TWM409140U (en) Lid capable of concentrating stress to break glass in two stages
CN203744830U (zh) 防身救生便携安全锤
CN102620602A (zh) 便携式防身救生两用安全锤
KR200492929Y1 (ko) 비상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CN205698940U (zh) 一种消防安全锤
CN217292217U (zh) 一种消防工程日常训练用电锤
TWM549086U (zh) 手柄後端具隱藏式擊破器之伸縮式警棍結構及其隱藏式擊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