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902B1 -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 Google Patents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02B1
KR101280902B1 KR1020110045746A KR20110045746A KR101280902B1 KR 101280902 B1 KR101280902 B1 KR 101280902B1 KR 1020110045746 A KR1020110045746 A KR 1020110045746A KR 20110045746 A KR20110045746 A KR 20110045746A KR 101280902 B1 KR101280902 B1 KR 10128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scape
vehicle
hammer
handl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942A (ko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to KR102011004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2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manual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을 가격 시에는 유리창 파손부로부터 사용자의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유리창 가격에 의한 파쇄 시에는 비산되는 유리파편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및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어 그 보호 범위가 매우 확장된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비상시 유리창 등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차량 등에 비치되는 비상 탈출용 해머에 있어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애물을 파쇄하는 타격부 및 타격부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헤드부에 마련되는 보호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대 및 유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호대의 가로방향 최대 폭보다 큰 가로방향 폭을 갖는 면상의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보호대에 부착 구비되는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SAFETY HAMMER FOR EMERGENCY ESCAPE FROM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비상 탈출용 해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을 가격 시에는 유리창 파손부로부터 사용자의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유리창 가격에 의한 파쇄 시에는 비산되는 유리파편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및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어 그 보호 범위가 매우 확장된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고속철 등은 전복, 화재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시 개폐문을 통한 정상적인 탈출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 탈출용 해머가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차량 등의 사고 발생시 탑승자는 내부에 구비된 비상 탈출용 해머를 사용하여 유리창을 가격 파쇄함으로써 비상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비상 탈출용 해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비상탈출용 해머는 보호대(1)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와, 손잡이(2)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헤드부(3)와, 상기 헤드부(3)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타격부(4)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2)를 파지한 채 상기 타격부(4)를 유리창에 가격함으로써 유리창을 깨뜨리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종래 비상 탈출용 해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한계가 있었다. 즉, 유리창 파쇄 과정에서 유리파편 등이 사용자의 얼굴 등으로 직접 튀어 부상 야기하였고, 특히 손잡이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은 유리창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며 유리창 가격 파쇄함에 따라 상기 과정에서 유리창 파손부 내지 비산되는 유리파편으로 인해 손 부위가 긁히거나 베이는 등 부상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비상 탈출용 해머의 경우 일반적인 스틸 소재(예컨데, 일반구조용 탄소강)로 형성하였는데, 상기 경우 버스 등과 같이 단일 또는 이중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창은 1분 이내로 신속히 깨뜨리고 비상 탈출할 수 있었으나, 고속철과 같이 3장 이상의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창은 그 파손을 위한 타격과정에서 타격부의 선단이 마모되며 무뎌짐에 따라 유리창의 완전한 파쇄까지 수분이 넘게 걸리거나 심지어 파쇄에 실패하여 비상 탈출이 늦어지거나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머의 무게중심이 해머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중심축보다 전방으로 크게 쏠리게 되어 사용자가 유리창을 가격시 충격력을 충분히 발생시키기 어려웠고, 또한 발생된 충격력이 유리창으로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일부는 헤드부의 후방으로 소산되어 유리창 파쇄 작업이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을 가격 시에는 유리창 파손부로부터 사용자의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유리창 가격에 의한 파쇄 시에는 비산되는 유리파편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및 손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창의 파쇄를 위한 충격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효율적으로 유리창에 전달할 수 있어 유리창을 더욱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 등과 같이 단일 또는 이중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창은 물론, 고속철과 같이 3장 이상의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창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쇄 완료할 수 있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비상시 유리창 등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차량 등에 비치되는 비상 탈출용 해머에 있어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애물을 파쇄하는 타격부와, 타격부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헤드부에 마련되는 보호가드와, 손잡이의 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대 및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보호대의 적어도 가로방향 최대 폭보다 큰 가로방향 폭을 갖는 면상의 커버로 구성되어 보호대에 부착 구비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유리창 파쇄 시 발생하는 유리파편이 사용자의 안면 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유리창 가격 과정에서 유리창에 접촉되기 쉬운 손부위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바, 유리파편에 의한 안면 부상 방지는 물론 그 보호범위를 더 확대하여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부위가 유리창 파손부에 긁히거나 베이는 경우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열처리 공정을 거친 기계구조용 탄소강을 채용하여 본 발명의 타격부를 형성함에 따라, 일반차량의 단일 또는 이중의 유리창은 물론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창도 1분 이내의 시간 내에 완전히 파손시킬 수 있는 바, 차량 유리창의 다양한 종류와 구조에 상관없이 비상 탈출용 해머의 온전한 기능(즉, 유리창의 신속한 완전 파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후단에 구비된 무게추에 의해 유리창 파쇄를 위해 필요한 충격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충격력의 대부분이 유리창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바, 유리창 파쇄를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비상 탈출용 해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후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차량 비상 탈출을 위한 유리창 타격시 작업자의 안면은 물론 해머 손잡이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부위도 비산되는 유리파편과 유리창 파손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창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는 기술 특징을 개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비상시 유리창 등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차량 등에 비치되는 기구로서, 손잡이(20), 헤드부(30), 타격부(40), 보호가드(50), 보호대(10) 및 무게추(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도록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헤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보호대(10)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30)는 타격부(40)가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직선형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손잡이(2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타격부(40)는 헤드부(3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유리창 등의 장애물을 실질적으로 가격하여 파쇄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타격부(40)의 선단부는 창문을 원활하게 파손시킬 수 있도록 첨예한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20)와 헤드부(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적어도 타격부(40)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특히 본 발명의 타격부(40)는 종래 비상 탈출용 해머의 문제점(즉, 고속철 등의 3중 강화유리창 파쇄시 타격부(40) 선단의 마모에 따른 무뎌짐으로 인한 유리창 파손 지연 내지 실패)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히 외마모성이 월등히 높은 금속재를 채용하여 타격부(40)를 형성하였고, 구체적으로 탄소(C): 0.42~0.48%, 규소(SI): 0.15~0.35%, 망간(Mn): 0.60~0.90%, 인(P): 0.030% 이하, 황(S): 0.035% 이하, 니켈(Ni): 0.20%이하, 크롬(Cr): 0.20%이하, 나머지 철(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담금질(Quenching)과 뜨임(Tempering)의 열처리 공정을 거친 기계구조용 탄소강 (KS: SM45C, JIS규격: S45C, DIN규격: C45)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타격부(40)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일반차량의 단일 또는 이중의 유리창은 물론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창도 1분 이내의 시간 내에 완전히 파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유리창의 다양한 종류와 구조에 상관없이 비상 탈출용 해머의 온전한 기능(즉, 유리창의 신속한 완전 파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보호가드(50)는 타격부(40)로 유리창을 가격하여 파쇄시 해머의 후방으로 비산되는 유리파편을 차폐하기 위한 구성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호가드(50)는 바람직하게는 타격부(4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헤드부(30)에 장착되어 헤머의 후방, 특히 사용자의 안면측으로 튀는 유리파편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가드(50)는 오목한 나발형상으로 구성되어 보호가드(50)의 중심축은 타격부(4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며 헤드부(30)에 부착된다.
또한, 보호가드(50)는 비산되는 유리파편에 찢어지지 않는 내구성을 지니면서도 유리창 가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유연한 탄성 재질(예컨데, 합성수지 등)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유리창을 가격시 목적하는 타격 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파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연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유리창 가격시 보호가드(50)가 유리창과 접촉되어 유리창 파쇄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타격부(40)의 적어도 선단부는 보호가드(50)의 주연부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 실시예의 보호가드(50)는 오목한 나발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타격부(4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형성하되 평탄한 평면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호대(10)는 사용자가 유리창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손잡이(20)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이 유리창에 접촉하거나 유리파편이 손 부위로 튀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해 주는 구성부로서 손잡이(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대(10)는 도 2와 같이 대략 환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의 상부는 손잡이(20)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손잡이(20)의 하측에 고정되어 보호대(10)의 외측 세로부와 손잡이(20)의 전방측 면(즉, 유리창 가격시 유리창에 대향하게 되는 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손잡이(20)를 파지하게 되고, 손잡이(20)를 파지한 손가락은 보호대(10)의 세로부에 의해 보호된다.
참고로, 보호대(10)는 도 2와 같이 환형의 링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컨데, 보호대를 "┏" 자 형태로 구성하여 그 상부를 손잡이(20)의 상측에 고정시키고 "┏" 자 보호대의 외측 세로부는 손잡이(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며 고정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무게추(60)는 헤드부(30)의 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30)의 무게 중심을 후방측으로 분산시켜주는 구성부에 해당한다. 참고로, 종래 비상 탈출용 해머의 경우 도 1과 같이 타격부(40)가 구비된 헤드부(30)는 손잡이(2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측 단부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타격부(40)가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구조의 종래 비상 탈출용 해머의 경우, 해머의 무게중심이 해머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중심축보다 전방으로 크게 쏠리게 되어 사용자가 유리창을 가격시 충격력을 충분히 발생시키기 어려웠고, 또한 발생된 충격력이 유리창으로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일부는 헤드부(30)의 후방으로 소산되어 유리창 파쇄 작업이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의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부(40)에 의한 무게중심 쏠림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헤드부(30)의 전방측 일단에 형성된 무거운 중량의 타격부(40)에 대응하여 헤드부(30)의 후방측 타단에는 상기 타격부(40) 중량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중량(바람직하게는, 타격부(40)와 비슷한 중량)을 갖는 부재(즉, 무게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게추(60)는 헤드부(30)의 후방측 타단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그 재질은 금속재와 같이 단위부피당 고중량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30)의 후단에 구비된 무게추(60)를 통해, 본 발명의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유리창 파쇄를 위해 필요한 충격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충격력의 대부분이 유리창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바, 유리창 파쇄를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후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손잡이(20), 헤드부(30), 타격부(40), 보호대(10), 무게추(60) 및 보호패드(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손잡이, 헤드부, 타격부, 보호대 및 무게추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손잡이, 헤드부, 타격부, 보호대 및 무게추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즉, 제2 실시예의 구성 요소인 보호패드(7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보호패드(70)는 보호대(10)에 구비되어 헤머의 후방, 특히 손잡이(20)를 파지하고 있는 손 부위로 튀는 유리파편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70)는 보호대(10)의 가로방향 최대 폭보다 큰 가로방향 폭을 갖는 면상의 커버로 구성되어, 그 중심축이 보호대(10)의 외측 세로부의 세로축 상에 부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호패드(70)의 좌측면적부(71)는 보호대(10) 세로부의 좌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고, 우측면적부(72)는 상기 세로부의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보호패드(70)는 유리창 타격시 유리창 내지 유리파편에 접촉하더라도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면서, 손잡이(20)를 파지하고 있는 손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유연 재질로는 구체적으로 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및 직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보호패드(70)의 후면에는 보호패드(7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당김고리(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당김고리(80)는 보호패드(70)에 견고하게 부착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넣어 손쉽게 잡아당길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상, 재질, 개수 및 구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데, 도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김고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고리형태로 형성하여 보호패드(70)의 좌측면적부(71) 후면에 한 개(80a) 그리고 우측면적부(72) 후면에 한 개(80b)씩 장착하였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죽 재질로 형성된 타원형의 고리로 형성하여 좌측면적부(71) 후면에 한 개, 우측면적부(72) 후면에 두 개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용 상태도이다. 참고로,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보호가드(50)와 제2 실시예의 보호패드(70)를 조합 구성한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의 사용 상태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복, 화재 등의 사고로 인해 유리창을 통한 비상 탈출이 요구될 시, 차량 탑승자는 차량에 구비된 비상 탈출용 해머를 탈거하여 타격부(40)의 선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손잡이(20)를 파지한 후 유리창을 가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보호패드(70)의 후면에 구비된 당김고리에 손가락을 걸어(예컨데, 도 5의 좌측면적부(71)의 당김고리(80a)에는 엄지손가락을 끼워 걸고, 우측면적부(72)의 당김고리(80b)에는 검지손가락을 끼워 걸음) 손잡이(20)를 잡고 있는 손 부위로 당기면, 보호패드(70)의 좌,우측 면적부(71,72)는 각각 후방으로 휘어지며 상기 손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그리고, 유리창을 가격하는 타격부(40)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보호가드(50)가 방사형으로 펼쳐져 있어 후방으로 튀는 유리파편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는 유리창 파쇄 시 발생하는 유리파편이 사용자의 안면 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유리창 가격 과정에서 유리창에 접촉되기 쉬운 손부위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바, 유리파편에 의한 안면 부상 방지는 물론 그 보호범위를 더 확대하여 손잡이(20)를 잡고 있는 손부위가 유리창 조각에 긁히거나 베이는 경우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보호대 20: 손잡이
30: 헤드부 40: 타격부
50: 보호가드 60: 무게추
70: 보호패드 80: 당김고리

Claims (6)

  1. 삭제
  2. 비상시 유리창 등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차량 등에 비치되는 비상 탈출용 해머에 있어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애물을 파쇄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를 중심으로 방사 형태로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는 보호가드;
    손잡이의 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대; 및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대의 적어도 가로 방향 최대 폭보다 큰 가로 방향 폭을 갖는 면상의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보호대에 부착 구비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의 후면에는,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어 상기 보호패드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당김고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질은 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및 직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후방측 단부에는 상기 타격부 중량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중량을 갖는 무게추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열처리 공정을 거친 기계구조용 탄소강(KS: SM45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KR1020110045746A 2011-05-16 2011-05-16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KR10128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46A KR101280902B1 (ko) 2011-05-16 2011-05-16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46A KR101280902B1 (ko) 2011-05-16 2011-05-16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42A KR20120127942A (ko) 2012-11-26
KR101280902B1 true KR101280902B1 (ko) 2013-07-02

Family

ID=4751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46A KR101280902B1 (ko) 2011-05-16 2011-05-16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450B1 (ko) * 2016-10-26 2019-09-30 (주)송광산업 비상용 망치
KR20190066275A (ko)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상 탈출용 해머 수납 구조
KR102136012B1 (ko) * 2018-11-16 2020-07-22 부산광역시 기밀 파괴 장치가 구성된 소화기 거치대
KR102650237B1 (ko) 2023-10-10 2024-03-25 대한민국 차량 유리 파쇄 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956A (en) * 1983-08-29 1989-11-28 Gebr. Happich Gmbh Emergency Hammer
JPH07251383A (ja) * 1993-10-22 1995-10-03 Hokusei:Kk 緊急脱出用ハンマー
KR20010054532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안 비상 탈출용 해머
KR20040042215A (ko) * 2002-11-13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비상용 해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956A (en) * 1983-08-29 1989-11-28 Gebr. Happich Gmbh Emergency Hammer
JPH07251383A (ja) * 1993-10-22 1995-10-03 Hokusei:Kk 緊急脱出用ハンマー
KR20010054532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안 비상 탈출용 해머
KR20040042215A (ko) * 2002-11-13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비상용 해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42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902B1 (ko) 차량 비상 탈출용 안전 해머
KR101950716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20100025399A (ko) 비상탈출장치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KR101991450B1 (ko) 비상용 망치
KR20110131873A (ko) 비상탈출용 햄머
KR20180003560U (ko) 토션스프링 비상탈출용 망치
US20080216619A1 (en) Fireman's Rescue Tool
KR100545754B1 (ko) 보안면
JP4180081B2 (ja) 緊急脱出補助用具
KR100440053B1 (ko) 비상용 해머
KR20230069432A (ko) 휴대용 비상탈출 도구
CN209862396U (zh) 一种加强保护的焊接手套
KR100200268B1 (ko) 긴급 탈출용 햄머
KR101644616B1 (ko) 브레이커의 프론트 헤드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CN203905667U (zh) 一种车用门锁外释放连杆的保护装置
KR20100113243A (ko) 작업용 안면안전마스크
CN102553203A (zh) 美式橄榄球运动安全护具
CN206995634U (zh) 一种安全背包
CN218947587U (zh) 一种安全防护型扁铲
JP2007010295A (ja) 防護盾
US2337127A (en) Metal stamping die
CN205027211U (zh) 一种大型特种防暴盾牌
CN116336872A (zh) 列阵式防暴盾牌及其使用方法
KR20140049112A (ko) 차량 사고시 비상 탈출용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