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39Y1 -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139Y1
KR200366139Y1 KR20-2004-0020154U KR20040020154U KR200366139Y1 KR 200366139 Y1 KR200366139 Y1 KR 200366139Y1 KR 20040020154 U KR20040020154 U KR 20040020154U KR 200366139 Y1 KR200366139 Y1 KR 200366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pressing
ball
guid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박우승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박우승
김형일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승, 김형일, 정관영 filed Critical 박우승
Priority to KR20-2004-0020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95Tools used in automobiles or automobil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인력에 의한 충격력을 받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충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타격부로부터 충격력을 받아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공이부와; 충격시 상기 타격부의 하면과 상기 공이부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타격부 또는 공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피난 또는 환기를 위해 강화유리를 파괴해야 할 경우에 사람의 힘에 의해, 또한 타격과 같이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Apparatus for breaking tempered glass in case of emergency}
본 고안은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화유리 파괴장치란 건물이나 차량 등에 사용되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를 배연, 탈출, 진입 등의 목적으로 파괴하는 장치이다.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근 들어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 강화유리나 페어유리 등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특수 유리의 강도는 보통 유리의 5배 이상이며 일반 성인 남성이 망치나 햄머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힘껏 쳐도 잘 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나 고속버스의 전복, 유람선의 침몰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인명의 탈출이나 구조를 위해서는 반드시 유리창문을 깰 수 있어야 하나 현재는 특수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망치나 햄머의 경우 위급상황에서는 연기나 정전으로 인해 이를 찾기 힘들고, 한번에 유리가 깨지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에 처한 사람의 심리상태에서는 평정을 유지할 수 없어 오히려 역효과가 유발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71007호('차량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안은 동력원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충격력을 확보하기 곤란하며, 유리가 파괴되지 않을 경우 대책이 전무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7001호('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안은 밀폐된 공간 내부의 온도 상승 또는 연기 발생 등을 통해 위급 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체의 타격력에 의해 강화유리를 파괴시킬 수 있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화재나 연기를 자동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오작동에 대한 불안이 항상 존재하며, 화재나 연기를 감지하기 이전에 유리를 파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동의 충분한 충격력을 확보하기 곤란하며, 유리가 파괴되지 않을 경우 대책이 전무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U.S.Pat. No. 5,791,056 'Emergency glass breaking tool'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자동차나 기타 밀폐공간에 갇힌 사람들이 유리 창문이나 벽을 파괴하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구조적으로 세로로 긴 실린더 형상의 스프링 수용 케이스가 요구되므로 평소에 유리창에 부착시켜 놓을 수는 없고 종래의 망치나 햄머와 같이 별도로 거치해 놓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U.S.Pa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0089755A1 'Device for breaking glass'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즉각폭파장치(IES)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어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자동차 또는 건물 내부에의 강제 진입을 위한, 또는 전술습격조의 건물이나 유사한 구조물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리창 파괴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흡착판을 이용하여 장치를 유리면에 부착시킨 후 레버를 조작하여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종래의 망치나 햄머와 같이 별도로 거치해 놓아야 하며, 비상시에 당황한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조작하기는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의 힘에 의해, 또한 타격과 같이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작동가능한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간에 보관, 거치하지 않고 일상시에도 유리창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위급상황에 처한 사람이 당황하지 않고 용이하게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화재 등 비상시에는 연기가 발생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더하여 정전까지 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거치된 장비를 찾아서 유리를 파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유리를 파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심리적으로 극도로 불안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침착하게 대피하지 못하게 되어 오히려 역효과를 유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비상시에는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요구되며, 그 작동방식 또한 유리창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타격을 가하는 것과 같이 매우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파괴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화유리 파괴장치
100 : 가압부
110 : 타격부
120 : 공이부
130 : 가이드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인력에 의한 충격력을 받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충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타격부로부터 충격력을 받아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공이부와; 충격시 상기 타격부의 하면과 상기 공이부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타격부 또는 공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지하철이나 고층건물 등 폐쇄공간에서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정된 유리창을 누구나 쉽게 파괴하여 화재시 발생될 수 있는 유독가스로부터 원활하게 환기를 시킬 수 있는 환기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신속하게 현장을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인명 구조를 위한 강화유리 파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100)의 상면은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의 상면은 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부(110) 또는 공이부(12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이부(120)의 단부에는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첨단부(122)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날개(1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30)의 하면에는 불투명한 필름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30)는 탄성체(14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100)는 이탈방지 고정턱(102)을,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이탈방지 고정턱(102)에 대응하여 이탈방지 걸림턱(1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100)는 회동목부(106)와 체결 걸림턱(104)과 걸림턱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체결 걸림턱(104)에 대응하여 체결 고정턱(136)과 고정턱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각각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타격부가 상기 공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이드부쪽으로 이동할 경우 서로 합치되며, 합치된 한쌍의 삽입홀에는 안전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압면(102), 타격부(110), 타격면(112), 전달면(114), 나사부(116), 가압부(100), 이탈방지 고정턱(102), 탄성체(140), 가이드부(130), 가이드홀(132), 이탈방지 걸림턱(134), 공이부(120), 걸림날개(124), 첨단부(122)가 도시되어 있다.
가압면(102)은 스폰지나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한다. 본 고안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사람이 맨손으로 타격하는 등 특별한 장치없이 작동되도록 고안되었으므로, 사람의 손이 닿는 부위에는 스폰지나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도록 하여 작동시 손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면(102)을 별도의 재질로 구성하여 가압부(100)의 상면에 부착하였다.
한편, 상기 가압면(102)은 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비상시에는 주로 정전 등이 되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압면에 야광도료를 바르거나 축광물질을 포함하도록 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눈에 띄어 작동시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타격부(110)는 타격력을 효과적으로 받도록 넓은 면적을 가진 타격면(112), 타격에 의한 충격력을 공이부(120)에 전달하는 전달면(114), 타격부(110)가 가압부(100)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나사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110)와 공이부(120)는 충격력을 전달하여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부분이므로 유리보다 강도 및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리 파괴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00)는 타격면(112), 타격부(110)와 일체가 되어 움직이며, 비상시에 사람이 가압면(102)에 충격력을 가하면, 상기 가압부(100)는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이부(120)에 충격력을 전달하게 된다. 가이드부(130)는 강화유리에 고정되는 부분이자, 가압부(100) 및 타격부(110)가 힘을 받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이부(120)에 유효하게 충격력을 전달하도록 그 이동을 구속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130)와 가압부(100)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속되어 있도록 이탈방지 걸림턱(134)과 이탈방지 고정턱(10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가압부(100)는 평상시에 가이드부(1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탄성체(14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140)는 가압부(100)가 가이드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탄성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타격력을 감쇄시키지 않도록 적당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이드부(130)는 파괴대상이 되는 유리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그 하면에는 유리에의 부착을 위한 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가이드부(130)를 유리면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서 특정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을 유리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방법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1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00)와의 결속을 위한 이탈방지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공이부(1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가이드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유리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되므로 유리창의 바깥쪽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30)의 하면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밖에서 볼 때 본 장치의 내부구조 대신에 장식물이나 광고 등이 보이게 하여 미적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이드부(130)의 하면에 장식 또는 광고문안이 형성된 불투명한 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필름은 본 장치가 작동될 때 공이부(120)가 유리를 타격하는 데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비닐 등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이부(120)는 타격부(110)로부터 충격력을 전달받아 그 힘을 받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부분이므로, 가이드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2)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그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공이부(120)의 유리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같은 충격력을 받아도 보다 큰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첨단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이부(120)에 있어서 첨단부(122)의 반대쪽면에는 타격에 의해 공이부(120)가 가이드부(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날개(124)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홀(132)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날개(124)보다 작은 단면적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이부(120)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공이부(120)의 첨단부(122)는 강화유리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이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공이부(120)의 첨단부(122)의 반대쪽 단부에는 가이드홀(132)보다 큰 단면적의 걸림날개(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가이드홀(132)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걸림날개(124)보다 작은 단면적의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걸림날개(124)는 공이부(120)가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130)로부터 이탈하는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이부(120)의 길이 및 걸림날개(124)의 형성위치는 강화유리가 충분히 파괴될 정도의 충격력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100), 이탈방지 고정턱(102), 타격부(110), 가이드부(130), 이탈방지 걸림턱(134), 탄성체(14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강화유리 파괴장치에서 상기 가압부(100)는 비상시에 사람에 의한 타격을 받는 부분이고, 상기 가이드부(130)는 타격에 의해 상기 타격부(110)가 상기 공이부(120)에 유효하게 충격력을 전달하도록 이동을 구속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3과 같이 타격부(110)와 공이부(120)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가압부(100)가 가이드부(13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채로 설치되는 것이 충격력을 전달하는데에 효과적이며, 비상시 가압부(100)에 타격을 가하면 가압부(100)와 일체로 거동하는 타격부(110)가 공이부(120)에 충격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는 마치 석재를 파괴할 때 파괴대상이 되는 석재에 정을 대고 망치로 정의 머리부분을 타격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이다.
상기 탄성체(140)는 동력원이 아니고, 평상시에 가압부(100)가 가이드부(13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하는 역할만 하므로, 타격에 의한 충격력을 감쇄시킬 정도로 필요 이상의 강한 탄성력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134)과 이탈방지 고정턱(102)은 상기 탄성체(140)의 탄성력으로 인해 가압부(100)가 가이드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부(100)를 가이드부(130)에 결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100), 체결 걸림턱(104), 걸림턱 경사면(105), 회동목부(106), 타격부(110), 공이부(120), 가이드부(130), 체결 고정턱(136), 고정턱 경사면(137), 탄성체(14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평상시에는 가압부(100)와 가이드부(130)가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가 타격시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타격을 해도 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가 비상시 타격 등 간단한 조작으로 작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결속구조(이탈방지 걸림턱 및 이탈방지 고정턱) 이외에 다른 결속구조가 요구된다.
상기 가압부(100)에 회동목부(106)와 체결 걸림턱(104)과 걸림턱 경사면(105)을 더 포함시키고 상기 가이드부(130)에는 이에 대응하는 체결 고정턱(136)과 고정턱 경사면(137)을 더 포함시켜, 평상시에는 상기 체결 걸림턱(104)을 상기 체결 고정턱(136)에 결속시켜 가압부(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타격에 의해 체결 걸림턱(104)이 체결 고정턱(13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다시 가압부(100)에 타격을 가하여 공이부(120)에 충격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가압부(100)에 포함된 타격부(110)가 상기 가이드부(130)에 포함된 공이부(120)와 접촉할 정도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가압부(100)에 체결 걸림턱(104)과 걸림턱 경사면(105)이, 가이드부(130)에 체결 고정턱(136)과 고정턱 경사면(13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걸림턱(104)과 인접하여 회동목부(10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시에 가압부(100)에 타격을 가하면 걸림턱 경사면 및 고정턱 경사면에 의해 상기 체결 걸림턱(104)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체결 걸림턱(104)에 인접하여 형성된 회동목부(106)에 의해 체결 걸림턱(104)이 형성된 부분은 바깥쪽으로 회동되게 된다.
상기 체결 걸림턱(104)과 체결 고정턱(136)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채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타격시 체결 걸림턱(104)은 고정턱 경사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회동하면서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목부(106)는 탄성이 없도록 하여 바깥쪽으로 회동이 된 후에는 그 상태가 유지되어야 본 장치의 타격시 다시 결속이 되지 않게 된다.
바깥쪽으로 회동된 체결 걸림턱(104)이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않을 경우 상기 가압부(100)는 상기 탄성체(140)로 인해 상기 가이드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게 되어 작동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목부(106)는 체결 걸림턱(104)이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부(100)의 일부를 주변보다 얇게 형성하는 등 탄성이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압부를 가이드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안전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압부와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삽입홀을 각각 형성하고, 타격부가 공이부와 접촉하도록 가압부를 가이드부에 접근시켜 상기 삽입홀을 서로 합치시킨 후, 합치된 삽입홀에 안전핀을 삽입하여 가압부를 가이드부에 체결하게 된다.
본 고안 파괴장치는 일상시에도 유리창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될 것을 상정한 것이나, 흡착판을 포함하는 경우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의 흡착강도는 강화유리 파괴시의 충격력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본 고안 파괴장치가 유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유리를 파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파괴대상이 되는 유리에 부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 크기 및 부착위치, 밑면에 부착하는 필름의 종류 등은 사용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켜가며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수준에서 변형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피난 또는 환기를 위해 강화유리를 파괴해야 할 경우에 사람의 힘에 의해, 또한 타격과 같이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비상시에 사용하는 안전장치이지만 별도의 공간에 보관, 거치하지 않고 일상시에도 유리창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이 당황하지 않고 용이하게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다.
지하철의 경우, 대구지하철 사고에서 알 수 있듯이 지하철 화재시 대부분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였으며 이는 지하철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는 환기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1차적으로 고정된 유리창을 용이하게 파괴하여 환기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유리창을 통해 탈출할 수 있는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다.
고층빌딩의 경우, 화재 발생시 탈출 및 화재진압에 많은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화재진압의 목적이 화재 현장의 인명구조가 아니나 화재가 번지는 사태를 막고, 화재 발생 현장 인근의 인명을 대피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본 고안은 화재 현장의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지하철의 경우에서와 같이 화재 당사자는 특수 강화유리로 된 고정창을 쉽고 빠르게 파괴하여 탈출 및 구조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방관은 파괴된 유리창을 통해 화재현장으로 신속히 접근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인력에 의한 충격력을 받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충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타격부로부터 충격력을 받아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공이부와;
    충격시 상기 타격부의 하면과 상기 공이부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타격부 또는 공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상면은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상면은 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 또는 공이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의 단부에는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첨단부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날개를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불투명한 필름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체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는 이탈방지 고정턱을,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탈방지 고정턱에 대응하는 이탈방지 걸림턱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회동목부와 체결 걸림턱과 걸림턱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체결용 걸림턱에 대응하여 체결 고정턱과 고정턱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각각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타격부가 상기 공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이드부쪽으로 이동할 경우 서로 합치되며, 합치된 한쌍의 삽입홀에는 안전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2004-0020154U 2004-07-15 2004-07-15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0366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54U KR200366139Y1 (ko) 2004-07-15 2004-07-15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54U KR200366139Y1 (ko) 2004-07-15 2004-07-15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139Y1 true KR200366139Y1 (ko) 2004-11-03

Family

ID=4935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154U KR200366139Y1 (ko) 2004-07-15 2004-07-15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139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76B1 (ko) * 2005-11-24 2007-08-01 박규태 긴급탈출용 유리파괴장치
WO2011052912A2 (ko) * 2009-11-02 2011-05-05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1047133B1 (ko) 2009-11-02 2011-07-0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80001551U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동아엔프라 축광 비상탈출 망치
KR101914484B1 (ko) * 2018-03-05 2018-11-02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2081787B1 (ko) * 2018-09-12 2020-02-26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200125334A (ko) 2019-04-27 2020-11-04 김한울 자동, 반자동 강화유리 파괴 시스템
KR102195481B1 (ko) * 2019-08-14 2020-12-29 대원이엔티 주식회사 긴급 탈출용 유리창 타격안내표지 및 그 타격수단
KR102313355B1 (ko) * 2021-07-08 2021-10-15 (주)샤픈고트 유리파쇄장치
KR20230048815A (ko) 2021-10-05 2023-04-12 김병창 비상 탈출용 복층 강화유리창 파괴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76B1 (ko) * 2005-11-24 2007-08-01 박규태 긴급탈출용 유리파괴장치
WO2011052912A2 (ko) * 2009-11-02 2011-05-05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1047133B1 (ko) 2009-11-02 2011-07-0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WO2011052912A3 (ko) * 2009-11-02 2011-10-13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1122583B1 (ko) * 2009-11-02 2012-03-16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80001551U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동아엔프라 축광 비상탈출 망치
KR101914484B1 (ko) * 2018-03-05 2018-11-02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2081787B1 (ko) * 2018-09-12 2020-02-26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200125334A (ko) 2019-04-27 2020-11-04 김한울 자동, 반자동 강화유리 파괴 시스템
KR102195481B1 (ko) * 2019-08-14 2020-12-29 대원이엔티 주식회사 긴급 탈출용 유리창 타격안내표지 및 그 타격수단
KR102313355B1 (ko) * 2021-07-08 2021-10-15 (주)샤픈고트 유리파쇄장치
WO2023282393A1 (ko) * 2021-07-08 2023-01-12 (주)샤픈고트 유리파쇄장치
JP7412807B2 (ja) 2021-07-08 2024-01-15 シャッフェンゴ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ガラス破砕機
KR20230048815A (ko) 2021-10-05 2023-04-12 김병창 비상 탈출용 복층 강화유리창 파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6139Y1 (ko)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US8740030B2 (en) Glass breaking device
US20050091856A1 (en) Insitu apparatus and method for breaking glass
KR20110048232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0439195Y1 (ko)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950716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KR101886410B1 (ko) 유리 파쇄장치
KR101744167B1 (ko) 유리 파손장치
WO2003106796A3 (en) TANK LOCK RESPONDING TO A CHANGE OF PRESSURE
KR102113841B1 (ko) 자동차 비상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KR200422704Y1 (ko) 유리판 파괴장치
KR102100999B1 (ko)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KR102452673B1 (ko)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200384315Y1 (ko) 유리파쇄침이 부착된 호신용 경봉
JP2007100991A (ja) 防護盾および防護システム
GB2265406A (en) Glass breaker
KR100538429B1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KR102629196B1 (ko) 비상 탈출용 복층 강화유리창 파괴장치
KR20040042215A (ko) 비상용 해머
KR200339882Y1 (ko) 방화문용 도어 스토퍼 제어장치
KR101794241B1 (ko) 유리 파손장치
KR200372118Y1 (ko) 비상 탈출용 안전 망치
KR102489529B1 (ko)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KR100828612B1 (ko) 글라스 일체형 햄머 장치
TW200642610A (en) Air bag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