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29B1 -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 Google Patents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29B1
KR102489529B1 KR1020210100034A KR20210100034A KR102489529B1 KR 102489529 B1 KR102489529 B1 KR 102489529B1 KR 1020210100034 A KR1020210100034 A KR 1020210100034A KR 20210100034 A KR20210100034 A KR 20210100034A KR 102489529 B1 KR102489529 B1 KR 10248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riking rod
vertical frame
glas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수
박익종
Original Assignee
새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안전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단이 뾰쪽한 타격침봉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타격자의 손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가 형성된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은 평상시에 유리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측 몸체가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타격봉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관체부 및 상기 관체부 일측단부는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도록 플렌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관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타격봉이 끼워지고 일측단은 관체부의 단턱에 지지되어 유리창 파쇄시 타격봉을 가이드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가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관체부에 끼워진 타격봉의 손잡이가 힌지부에 의해 하향 90°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힌지부 일측 타격봉과 손잡이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여닫이커버의 닫힘에 의해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발생 등의 비상시에 소방관이 유리창을 간단 용이하게 파쇄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Firefighter entry safety window with shredding device}
본 발명은 비상시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안전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발생 등의 비상시에 소방관이 유리창을 간단 용이하게 파쇄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 강화유리나 페어유리 등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유리의 강도는 보통 유리의 5배 이상이어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파괴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을 감안할 때, 건물에 화재 발생시 소방관이 외부에서 유리창을 통하여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의 사람을 구해내지 못하게 됨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고층건물 유리창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파괴시 작은 조각으로 파쇄되어 쏟아져 내리면서 주변으로 비산되는 방식으로 부서지는 유리창과, 또는 유리창을 망치로 파괴시 유리가 깨지면서 일부는 부서지고 일부는 유리창에 그대로 날카롭게 남아 사람이 진입할 때 위험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방법규상 고층건물 유리창이나, 도로 주면에 위치한 건물의 유리창은 각층마다 하나의 유리창을 선택하여 소방관 진입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소방관 진입 유리창은 파괴시 유리가 쏟아지거나 비산되지 않도록 유리창 일면에 필름을 부착하여 유리창을 파괴시 유리가 깨진 상태에서 그대로 남아 있어 소방관이 안전하게 밀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2100999호(등록일자:2020.04.08)의 "복층유리창 파쇄장치"(이하 "선행기술" 이라함)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 유리창의 어느 일측 유리(1)에 관통 형성되는 타격홀(10); 복층 유리(1)(1') 사이에 설치되고, 타격홀(10)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22)이 형성되는 간봉(20); 및 상기 타격홀(10)에 삽입 설치되고, 단부에 타격홀(10)이 형성되지 않는 유리(1') 표면을 타격하는 제 1타격팁(32)과, 외주면에 일측 유리(1)의 타격홀(10) 주변부를 타격하는 제 2타격팁(34)이 구비되는 타격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인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는 관체부재(40)의 플랜지(42)를 접착제를 통하여 유리에 직접 부착하여 타격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손으로 타격부재를 타격시 파쇄되는 순간 타격자의 손이 유리와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파쇄장치는 가압부재(30a)와 관체부재(40) 사이에 탄성체(5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체(50)가 씌위지도록 자바라 형태의 커버(52)를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선행기술은 타격부재에 제1타격팁(32)와 제2타격팁(34)를 형성하여 가압레버를 누르면 타격부재의 제1타격팁이 사전에 유리에 형성된 타격홀(10)로 진입하면 제2타격팁이 전면에 위치한 유리(1)을 파쇄하고 제1타격팁이 간봉(20)의 관통홀(22)을 지나 유리(1')를 파괴하도록 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은 파쇄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사전에 유리(1)에 타격홀을 천공해야하는 관계로 겨울철과 여름철을 지나면서 간봉의 신축성이 떨어져 복층 유리와 유리 사이에 충진된 가스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유리창 파쇄장치는 외벽 유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관계로 여름철에는 외부의 반사열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위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접착제의 신축성이 떨어져 파쇄장치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격부재는 유리외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 탄성체(스프링)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면에 자바라형태의 커버를 설치하고 있으나 유리창파쇄장치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수년간을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됨으로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와 접착제 등의 수지는 삭아서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09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유리창의 일측 수직프레임에 설치하여 비상시에 소방관이 안전하게 유리창을 파쇄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발명은 유리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함으로서 손잡이부분을 타격하면 타격봉이 수직프레임 내측으로 진입하여 다중유리의 가장자리를 타격하여 파쇄함으로 파쇄되는 유리 등으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발명은 유리창 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하고 그 외면에 여닫이커버를 설치하여 여닫이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타격봉의 힌지부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여닫이커버를 열기 전까지는 타격봉이 유리측으로 전진이동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유리창 파쇄장치를 여닫이커버로 씌운 상태가 됨으로 햇빛과 빗물,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수명이 오래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단이 뾰쪽한 타격침봉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타격자의 손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가 형성된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은 평상시에 유리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측 몸체가 하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타격봉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관체부 및 상기 관체부 일측 단부는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 되도록 플렌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관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타격봉이 끼워지고 일측단은 관체부의 단턱에 지지되어 유리창 파쇄시 타격봉을 가이드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가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관체부에 끼워진 타격봉의 손잡이가 힌지부에 의해 하향 90°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힌지부 일측 타격봉과 손잡이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여닫이커버의 닫힘에 의해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유리창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닫이커버는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유리창 파쇄장치를 씌울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 상에 여닫이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여닫이커버는 상부의 경첩을 중심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되 상부에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테두리에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봉은 힌지부와 타격침봉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타격침봉이 하우징 관체부의 단턱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에 스냅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부에 끼워진 스프링의 일단부와 힌지부 사이에는 가이드링이 설치되어 타격봉 일측을 절곡시 스프링이 일측으로 편심 수축되지 않고 가이드링에 의해 균일하게 수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유리창 파쇄장치를 보호하도록 씌워진 커버는 시인성이 용이하도록 적색 또는 형광색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시에 건물 유리창을 통하여 소방관이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단창 또는 2중창, 3중창으로 된 유리창(다중창)의 일측 수직프레임에 유리창 파쇄장치를 설치하여 소방관이 안전하게 유리창을 파쇄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명피해를 줄이고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창 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함으로서 타격봉의 손잡이부분을 타격하더라도 타격봉이 수직프레임 내측으로 진입하여 다중유리의 가장자리를 타격하여 파쇄함으로 파쇄되는 유리 등으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창 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하고 그 외면에 여닫이커버를 설치하여 여닫이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타격봉의 힌지부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여닫이커버를 열기 전까지는 타격봉이 유리측으로 전진이동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유리창 파쇄장치를 여닫이커버로 수납하듯이 씌워줌으로 햇빛과 빗물,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수명이 오래 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유리창 파쇄장치를 이용한 다중유리창을 파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여닫이커버로 씌워 보호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유리창파쇄장치가 유리창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다중유리을 파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파쇄장치의 타격봉 몸체를 절곡 및 펼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가 설치된 다중유리에 간봉과 단열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가 설치된 유리창에 소방관 진인창 표시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유리창을 파괴시켜 신속하게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도록 된 소방관 진입 안전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화재발생시 비상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이외의 진입 통로가 없는 관계로 화재진압이 지연되고 또한 대피를 못한 사람들은 연기에 의해 인명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고층건물에 화재발생시에는 옥상 또는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파쇄한 후 내부로 진입하게 되나 이때 유리창이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파쇄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쇄시 유리조각이 비산되어 아래로 낙하되는 문제점과, 또는 파쇄된 일부의 유리가 유리창에 잔류되어 소방관이 진입시 상처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방법규에서는 차도 또는 인도측에 위치한 건물의 유리창에 소방관진입 안전창 스티커 표시와 유리창을 안전하게 파쇄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리창은 파쇄시 쏟아져 내리거나 깨진 조각이 유리창에 잔류되지 않는 유리를 설치하여 파쇄시 유리조각이 깨진 상태에서 붙어 있도록 하여 깨진 유리창을 밀면 전체의 유리창이 내측으로 그대로 넘어가도록 설계한 유리창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리는 특성상 중앙부를 타격하여 파쇄하는 것 보다 가장자리를 타격하면 큰 힘들이지 않고 간단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리창 파쇄장치(100)를 유리창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 상에 설치하여 작은 힘으로 타격하더라도 단창 또는 다중유리(600)가 용이하게 파손되도록 설치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를 유리창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여닫이커버로 씌워 보호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가 유리창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의 타격봉(110)은 일측단이 뾰쪽한 타격침봉(111)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타격자의 손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상기 타격봉(110)은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변형이 안 생기고 신속하게 유리창을 파쇄하기 위해서는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112)는 자외선에 강한 플라스틱재질이나 고무재 또는 우레탄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타격봉(110)은 평상시에는 단창 또는 다중유리(6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2)측 타격봉(110)의 몸체와 손잡이(112)가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하향 절곡되어 손잡이(112)가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에 밀착시킨 후 수직프레임(300)에 설치된 여닫이커버(200)로 씌워지도록 한다.
이때 여닫이커버(200)는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90°절곡된 손잡이(112)와 타격봉(110) 몸체가 수직프레임(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씌워지므로 타격봉(110)은 절곡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타격봉(110)의 선단부 타격침봉(111)이 다중유리(600)로 된 유리창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타격봉(110)이 끼워지는 하우징(130)은 "ㅓ"형으로 형성되어 플랜지(134) 부분이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 상에 피스 등으로 고정되고 타격봉(110)은 하우징(130)의 관체부(131 ) 통공(132)에 끼워져 타격침봉(111)이 수직프레임(300) 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된다(도3 및 도4참조).
상기 하우징(130)의 관체부(131) 통공(132)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타격봉(110)은 스프링(150)이 끼워지고, 스프링(150) 일측 단부는 관체부(131) 말단 내측에 형성된 단턱(133)에 지지되고 스프링(150) 타측은 가이드링(160)이 대응되도록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링(160)은 스프링(150) 일측 단부와 대응되도록 타격봉(110)에 끼워지고 타격봉(110)은 차후 유리창의 다중유리(600)를 파쇄하기 위해 타격봉(110)이 이동시 방해받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일측 플랜지(134)가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30) 관체부(131)에 끼워진 타격봉(110)의 손잡이(112)가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90°로 절곡시킨 다음 수직프레임(300 )에 설치된 여닫이커버(200)가 닫히도록 하면 여닫이커버(200)는 닫힌 상태에서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절곡된 타격봉(110) 일측 몸체와 손잡이(112)를 누르는 형상으로 씌워져 고정된 것으로 타격봉(110)은 90°로 절곡된 상태에서 "ㄱ"형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는 타격봉(110)이 90°로 절곡상태에서 여닫이커버(200)에 씌워져 고정됨으로 외부의 바람, 햇빛, 빗물, 자외선으로부터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됨으로 타격봉(110)과 손잡이(112)의 수명이 길게 되고, 색상이 퇴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여닫이커버(200)는 외면에 식별이 용이한 적색(붉은색) 또는 형광색이 도포되어 시인성을 갖도록 하며, 도색안료는 자외선에 내성을 갖는 도료를 혼합하여 퇴색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가 설치되는 다중유리(600)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간봉(170)이 설치되고 간봉(170) 일측으로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을 타격봉(110)의 타격침봉(111)이 타격하도록 한다.
상기 여닫이커버(200)는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에 설치된 유리창 파쇄장치(100)를 씌울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300) 상에 여닫이커버(200)가 설치되며, 상기 여닫이커버(200)는 상부의 경첩을 중심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되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테두리에 가스켓이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다중유리창을 파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파쇄장치의 타격봉 몸체를 절곡 및 펼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는 평상시에는 절곡된 상태로 여닫이커버(200)에 의해 고정되고,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 소방관이 유리창을 통하여 진입시 유리창의 수직프레임(300)에 설치된 유리창 파쇄장치(100)의 여닫이커버(200)를 열고 손잡이(112)를 올려 수평으로 펼친 후 손잡이(112)를 타격하면 타격봉(110)이 앞으로 전진되면서 선단의 타격침봉(111)이 다중유리(600)를 차례로 타격하게 됨으로 타격된 유리는 파쇄된다(도5참조).
이때 파쇄된 유리 일측면에는 필름지(400)가 부착된 상태이므로 파쇄된 유리는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진입하는 소방관이 안전하게 밀어 유리창을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타격봉(110)은 타격침봉(111)과 힌지부(120) 사이에 고정홈(113)이 형성되고 이에 스냅링(140)이 끼워져 하우징(130)의 관체부(131) 단턱(133) 전방에 위치 함으로 타격침봉(111) 측은 관체부(131)의 통공(132)측으로 이동하지 않게되며 타격시 타격봉(110)이 전진 이동시 함께 전진한다.
또한 스프링(150)은 타격봉(110)에 끼워져 관체부(131)내의 통공(132 )에 위치하며,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손잡이(112)를 펼치면 스프링(150)은 본래의 크기 만큼 늘어난 상태가 되고 타격봉(110)을 타격하여 전방으로 밀면 스프링(150)이 타격봉(110)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손잡이(112) 측이 전진하면서 스프링(150)과 대응된 가이드링(160)을 밀어 스프링(150)을 압축한다.
상기 타격봉(110)의 힌지부(120)는 축(121)을 중심으로 몸체가 절곡되록 하되 힌지부(120)의 축(121)을 중심으로 손잡이(112)측 몸체 단부가 상부는 각으로된 모서리부(122)가 형성되고, 모서리부(122) 하단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알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봉(110)을 힌지부(120)를 이용하여 절곡시 손잡이(112)측 타격봉(110) 몸체 단부의 알부(123)가 회전하면서 손잡이(112)가 하향으로 절곡되고, 손잡이(112)를 펼침시에는 알부(123)가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되고 상부 모서리부(122)는 대응된 타격참봉(111)측의 몸체 홈 단부와 대응되어 더 이상 절곡되지 않도록 저지함으로서 손잡이(112)는 타격봉(110)과 수평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더이상 상부로 절곡되지 않게 된다.
이때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타격봉(110)을 절곡하고자 하면 스프링(150)과 대응된 가이드링(160)을 밀어 스프링(150)을 수축 시킨 다음 절곡한 후 여닫이커버(200)를 닫아 절곡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는 화재시에 유리창이 파쇄된 후에는 새로 교체해야 함으로 최초 설치시에만 타격봉(110)을 절곡할 때 가이드링(160)으로 스프링(150)을 밀어 수축시킨 후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손잡이(112)를 하향으로 절곡한 다음 여닫이커버(200)를 닫아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150)은 신축되는 탄성이 약하고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된 것으로 완력이 크게 작용할 필요는 없다.
도7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가 설치된 다중유리에 간봉과 단열부재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2중창 또는 3중창으로된 다중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와 유리 사이에는 간봉(170)이 설치되어 유리와 유리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유리 말단부의 수직프레임(300) 사이에는 단열재(180)가 설치되어 각각의 정해진 기밀등급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는 다중유리(600)의 끝단부가 한쌍으로 된 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프레임(300)과 수직프레임(300) 일측은 그 사이에 위치한 유리와 유리 사이 및 유리와 프레임 사이에는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봉(170)이 설치되어 유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간봉(170)과 수직프레임(300) 사이에는 단열재(180)를 설치하여 유리와 수직프레임(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300)과 하우징(130)의 플렌지(134) 사이에는 기밀패킹을 설치하여 관체부(131)가 설치된 수직프레임(300) 상의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300)과 플렌지(134) 사이에 기밀패킹을 설치하고 여닫이커버(200)와 수직프레임(300)이 맞닿는 부분에 가스켓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100)를 수직프레임(300)에 설치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누설을 차단하여 유리창의 기밀등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8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쇄장치가 설치된 유리창에 소방관진입창 표시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건물에 화재 또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소방관이 유리창을 파쇄하고 진입해야 할 경우 진입할 유리창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식별스티커(500)를 부착한 것이다.
따라서 소방관은 긴박한 상황에서도 진입해야할 유리창을 쉽게 찾아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유리창을 파쇄하기 위해 별도의 망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많은 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유리창 파쇄장치가 변형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시에 소방관이 안전하게 유리창을 파쇄하고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유리찬 파쇄장치 110:타격봉
111:타격침봉 112:손잡이
113:고정홈 120:힌지부
121:축 122:모서리부
123:알부 130:하우진
131:관체부 132:통공
133:단턱 134:플렌지
140:스냅링 150:스프링
160:가이드링 170:간봉
180:단열재 200:여닫이커버
300:수직프레임 400:필름지
500:식별스티커 600:다중유리

Claims (5)

  1. 일측단이 뾰쪽한 타격침봉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타격자의 손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가 형성된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은 평상시에 유리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측 몸체가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타격봉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관체부 및 상기 관체부 일측단부는 유리창의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도록 플렌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관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타격봉이 끼워지고 일측단은 관체부의 단턱에 지지되어 유리창 파쇄시 타격봉을 가이드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가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관체부에 끼워진 타격봉의 손잡이가 힌지부에 의해 하향 90°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힌지부 일측 타격봉과 손잡이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여닫이커버의 닫힘에 의해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커버는 유리창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유리창 파쇄장치를 씌울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 상에 여닫이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여닫이커버는 상부의 경첩을 중심으로 열고 닫히도록 하되 상부에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테두리에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은 힌지부와 타격침봉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타격침봉이 하우징 관체부의 단턱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에 스냅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에 끼워진 스프링의 일단부와 힌지부 사이에는 가이드링이 설치되어 타격봉 일측을 절곡시 스프링이 일측으로 편심 수축되지 않고 가이드링에 의해 균일하게 수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유리창 파쇄장치를 보호하도록 씌워진 여닫이커버는 시인성이 용이하도록 적색 또는 형광색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KR1020210100034A 2021-07-29 2021-07-29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KR10248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34A KR102489529B1 (ko) 2021-07-29 2021-07-29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34A KR102489529B1 (ko) 2021-07-29 2021-07-29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529B1 true KR102489529B1 (ko) 2023-01-17

Family

ID=8511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34A KR102489529B1 (ko) 2021-07-29 2021-07-29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23B1 (ko) * 2016-10-25 2018-09-1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101966546B1 (ko) * 2016-12-21 2019-04-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용 비상 탈출 장치
KR102107151B1 (ko) * 2019-10-02 2020-05-07 주식회사 동해공영 비상용 안전진입탈출창 시스템
KR102100999B1 (ko) 2020-01-30 2020-05-15 주식회사 동해공영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KR102251752B1 (ko) * 2019-12-16 2021-05-12 원지희 비상탈출용 망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23B1 (ko) * 2016-10-25 2018-09-1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101966546B1 (ko) * 2016-12-21 2019-04-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용 비상 탈출 장치
KR102107151B1 (ko) * 2019-10-02 2020-05-07 주식회사 동해공영 비상용 안전진입탈출창 시스템
KR102251752B1 (ko) * 2019-12-16 2021-05-12 원지희 비상탈출용 망치
KR102100999B1 (ko) 2020-01-30 2020-05-15 주식회사 동해공영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8554C (en) A glass breaking device
KR102107151B1 (ko) 비상용 안전진입탈출창 시스템
EP0624223B1 (en) Release device for multi-glazing air cushion
US20080016772A1 (en) Revolving Door
US6319571B1 (en) Shrapnel mitigation and fragmentation control system
KR102489529B1 (ko)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KR101886410B1 (ko) 유리 파쇄장치
KR102100999B1 (ko) 복층 유리창 파쇄장치
KR102561677B1 (ko) 소방관 진입 안전유리창 파쇄장치
CN203308359U (zh) 多功能窗户
EP1279415A1 (en) Hammer for braking tempered safety glass
US9080371B2 (en) Security screen
GB2538045A (en) Improvements to letter-plates
CN210396564U (zh) 一种双向防火疏散门
GB2412687A (en) Glazing breaker
KR102251752B1 (ko) 비상탈출용 망치
US20090229201A1 (en) Hurricane and break-in resistant apparatus and method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339882Y1 (ko) 방화문용 도어 스토퍼 제어장치
US20030178154A1 (en) Hurricane resistant window and screen combination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CN201110108Y (zh) 一种防护窗
CN220791063U (zh) 一种新型防火门及其安装结构
KR102370777B1 (ko) 내부 투시형 옥내 소화전
CN218324614U (zh) 一种方便逃生的建筑钢结构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