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752B1 - 비상탈출용 망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망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752B1
KR102251752B1 KR1020190167396A KR20190167396A KR102251752B1 KR 102251752 B1 KR102251752 B1 KR 102251752B1 KR 1020190167396 A KR1020190167396 A KR 1020190167396A KR 20190167396 A KR20190167396 A KR 20190167396A KR 102251752 B1 KR102251752 B1 KR 10225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unit
emergency escape
guide par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희
Original Assignee
원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지희 filed Critical 원지희
Priority to KR102019016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Abstract

차량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유리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강제 파괴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망치가 제공된다. 비상탈출용 망치는 내부에 수납된 해머유닛을 차량의 유리창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핸들부가 구비된 몸체유닛을 포함하고, 핸들부의 회동에 따라 해머유닛을 돌출시켜 차량의 격벽 양측의 유리창을 각각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망치{Hammer for emergency}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비상탈출용 망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유리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강제 파괴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망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교통수단, 예컨대 시외버스, 고속버스 또는 관광버스 등과 같이 다수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대형 교통수단에는 화재나 교통사고로 인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유리창을 깨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 망치(hammer)가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다.
즉, 교통사고 발생시 승객들은 교통수단의 내부에 배치된 비상용 망치를 사용하여 유리창을 타격하여 파괴한 후, 승객들이 차량으로부터 비상 탈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버스 등의 대형 교통수단에 사용되는 유리창은 일반 유리와 다르게 안전을 고려하여 강화유리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으며, 유리창이 파손될 경우에도 유리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미세하게 휘어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제작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교통수단에서의 비상상황 발생시 승객들이 내부에 구비된 비상용 망치를 사용하여 강화유리로 제작된 유리창을 정확한 위치에서 타격하여 파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비상용 망치는 도난 또는 분실되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타이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창문 격벽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 시 승객들이 비상용 망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고정되어 있는 비상용 망치를 분리시켜 유리창을 타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승객의 구호에 큰 손실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차량의 유리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강제 파괴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망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망치는, 차량의 격벽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의 양측 유리창을 각각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용 망치는, 내부에 상기 유리창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해머유닛이 수납되며, 상기 해머유닛을 상기 유리창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핸들부가 구비된 몸체유닛; 및 상기 핸들부의 상단을 상기 격벽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는,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격벽에서 분리된 후 상기 핸들부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해머유닛이 상기 유리창으로 돌출되어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유닛은 일측이 상기 핸들부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격벽에 고정된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해머유닛이 수납된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창에 밀착되는 제3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핸들부의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홀을 통해 상기 제2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된 바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해머유닛이 수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의 몸체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라 전진 및 후진되고, 상기 해머유닛은 상기 몸체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리창을 타격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격벽의 양측 유리창 각각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3가이드부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머유닛은,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리창을 타격하는 해머; 상기 해머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에서 압축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에서 압축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머는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 수납되며, 해머의 돌출길이는 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망치는, 내부에 해머가 수납된 몸체유닛의 핸들부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해머를 외부로 돌출하여 유리창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때, 한번의 타격으로 유리창 파괴가 실패할 경우에, 핸들부를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해머를 통한 유리창의 타격을 반복함으로써, 유리창의 파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는 차량에 교통사고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내부의 사용자, 즉 승객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차량 유리창의 정확한 위치를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어 승객의 대피 및 구호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는 몸체유닛 내부에 한 쌍의 해머가 삽입되고, 이들 각각은 차량의 창틀을 중심으로 좌/우측의 유리창 각각에 대응됨으로써, 핸들부의 동작에 따라 한 쌍의 해머를 통해 한 쌍의 유리창을 동시에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어 내부 승객의 대피 및 구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는 차량의 격벽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분실이나 도난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유닛에 의해 핸들부가 격벽에 고정됨으로써 평시에 비상탈출용 망치가 오동작 되어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망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가 결합된 후 Ⅱ~Ⅱ'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망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가 결합된 후 Ⅱ~Ⅱ'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대형 버스 등의 교통수단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 등에 의한 비상상황 시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 즉 승객의 용이한 대피 및 구호를 위하여 교통수단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버스 등의 유리창은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강화유리의 특성 상 모서리 부분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유리창의 모서리 부분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차량의 창틀, 예컨대 격벽(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격벽(210)의 양측 유리창(211a, 211b) 각각의 모서리 부분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고정유닛(110), 몸체유닛(120) 및 해머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110)은 몸체유닛(120)의 상부, 예컨대 몸체유닛(120)의 핸들부(121) 상단을 격벽(21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유닛(110)의 상부는 격벽(210)에서 분리된 상태이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기 위하여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11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외부의 힘,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격벽(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고정유닛(110)에 의해 격벽(210)에 고정되어 있던 몸체유닛(120)의 상단이 격벽(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정유닛(110)은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 즉 격벽(210)에서의 분리 용이성을 위하여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10)은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그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외면에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110)은 그 배치된 높이가 차량의 좌석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고정유닛(11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몸체유닛(120)은 내부에 해머유닛(130)을 수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머유닛(130)을 돌출시킬 수 있다. 몸체유닛(120)은 핸들부(121), 서포트부(122) 및 가이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21)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21)의 상단은 고정유닛(110)에 의해 격벽(210)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부(121)의 하단은 서포트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1)의 하단은 결합핀(122a)을 통한 힌지 결합 구조로 서포트부(12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정유닛(110)의 분리에 의해 핸들부(121)의 상단이 격벽(210)에서 분리되면, 핸들부(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합핀(122a)의 회동에 따라 서포트부(122)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21)의 하단은 후술될 가이드부(125)의 내측, 예컨대 제2가이드부(12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121)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2가이드부(127)는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서포트부(122)는 몸체유닛(120)을 격벽(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서포트부(122)는 일측이 결합핀(122a)을 통해 핸들부(121)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격벽(21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125)는 서포트부(12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25)는 격벽(210)을 중심으로 양측 유리창(211a, 211b)에 최대 근접되어 배치되며, 가이드부(125)의 단부는 유리창(211a, 211b)에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125)는 격벽(210)을 감싸는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125)의 양측 단부는 유리창(211a, 211b) 각각에 밀착되거나 근접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25)는 격벽(210)을 중심으로 양측 유리창(211a, 211b) 각각에 대응되는 제1가이드부(126), 제2가이드부(127) 및 제3가이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26)는 서포트부(122)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26)는 서포트부(122)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바(bar) 형태의 제1몸체(126a)와 상기 제1몸체(126a)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 즉 유리창(211a, 211b)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제1돌출부(126b)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26)는 내부에 제2가이드부(1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7)는 제1가이드부(12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7)는 바(bar) 형태의 제2몸체(127a)와 상기 제2몸체(127a)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제2돌출부(127b)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7)의 제2몸체(127a)는 핸들부(121)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가이드부(126)의 제1몸체(126a)에는 핸들부(121)의 하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7a)는 제1몸체(126a) 내부에서 핸들부(121)의 회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7)의 제2돌출부(127b)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127b)의 내부에는 해머유닛(130)이 수납될 수 있다. 해머유닛(130)은 제2가이드부(127)의 움직임, 즉 핸들부(121)에 의한 제2가이드부(127)의 제2몸체(127a) 및 제2돌출부(127b)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제2돌출부(127b)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제2돌출부(127b)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8)는 제2가이드부(127)의 일단, 즉 제2가이드부(127)의 제2돌출부(127b)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8)의 끝단은 유리창(211a, 211b)에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가이드부(128)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접촉에 의해 유리창(211a, 211b)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8)는 제2가이드부(127)에 수납된 해머유닛(130)이 유리창(211a, 211b)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차량 유리창(211a, 211b)의 두께가 5T이므로, 해머유닛(130)은 제3가이드부(128)로부터 5mm 이상의 길이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해머유닛(130)은 가이드부(125)의 내측에 수납되며, 핸들부(121)의 회동에 따른 제2가이드부(127)의 전진에 의해 제2가이드부(127) 및 제3가이드부(128)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유리창(211a, 211b)을 타격할 수 있다. 해머유닛(130)은 해머(135), 상기 해머(135)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스프링(133) 및 제2스프링(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해머(135)는 유리창(211a, 211b)을 파괴할 수 있는 강도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해머(135)의 일단은 제2가이드부(127)의 제2돌출부(127b) 내측에 수납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유리창(211a, 211b)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도록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해머(135)는 제2돌출부(127b)의 내부에 소정 경사진 형태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에, 해머(135)의 타단 일부는 제3가이드부(128)의 내측벽에 접촉된 상태로 제2돌출부(127b)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제1스프링(133)은 해머(13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프링(133)의 일단은 제2돌출부(127b)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스프링(133)의 타단은 해머(135)의 타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프링(131)은 제1스프링(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프링(131)의 일단은 제1스프링(133)과 함께 제2돌출부(127b)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프링(131)의 타단은 제3가이드부(128)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해머유닛(130)은 제1스프링(133) 및 제2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제2가이드부(127)에 수납된 해머(135)가 강한 힘으로 돌출됨으로써, 해머(135)에 의해 유리창(211a, 211b)이 타격되어 파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10)이 제거된 상태에서 핸들부(121)가 하방으로 소정 회동되면, 핸들부(121)의 하단부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가이드부(127)를 밀어 제1길이만큼 전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이드부(127)는 제1가이드부(126)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가이드부(127)의 제2몸체(127a)는 핸들부(121)에 의해 제1가이드부(126)의 제1몸체(126a) 내부에서 전진될 수 있다. 이에, 제2가이드부(127)의 제2돌출부(127b)는 제1가이드부(126)의 제1돌출부(126b)의 끝단에서 소정 돌출되도록 전진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126)의 제1몸체(126a)는 내부에 배치된 제2가이드부(127)의 제2몸체(127a)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진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21)에 의해 제2가이드부(127)가 전진함에 따라 제2가이드부(127) 내부에 수납된 해머유닛(130)의 제1스프링(133)과 제2스프링(131)은 제2가이드부(127)와 제3가이드부(128)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해머유닛(130)의 해머(135)의 타단은 제3가이드부(128)의 내측벽에 걸쳐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스프링(133)과 제2스프링(13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1)가 하방으로 더 회동되면, 핸들부(121)의 하단부가 제2가이드부(127)를 더 밀어 제2길이만큼 전진시킬 수 있다.
이에, 제2가이드부(127)의 제2돌출부(127b)는 제1가이드부(126)의 제1돌출부(126b)의 끝단에서 더욱 돌출되어 제3가이드부(128)와 함께 유리창(211a)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해머유닛(130)의 제1스프링(133)과 제2스프링(131)은 제2가이드부(127)와 제3가이드부(128) 사이에서 더욱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부(127)의 전진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해머유닛(130)의 해머(135)가 제3가이드부(128)의 내측벽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해머(135)를 감싸는 제1스프링(133)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해머(135)가 제2돌출부(127b)로부터 제3가이드부(128)를 통과하여 이에 접촉되어 있는 유리창(211a)을 강한 힘으로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창(211a)은 해머(135)의 타격으로 인해 파괴될 수 있다.
이때, 해머(135)의 돌출길이는 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해머(135)는 유리창(211a)의 모서리에 인접된 부분을 타격할 수 있다.
한편, 해머유닛(130)의 제2스프링(131)은 핸들부(121)의 회동에 따른 제2가이드부(127)의 전진에 의해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들부(121)를 놓거나 또는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2스프링(131)의 압축이 해제되어 제2가이드부(12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부(127)에서 돌출되었던 해머유닛(130)은 다시 제2가이드부(127)의 내측, 즉 제2돌출부(127b)의 내부에 수납되며, 해머유닛(130)의 해머(135)는 경사진 상태로 수납되어 그 타단이 제3가이드부(128)의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된 핸들부(121)를 하방으로 회동하여 해머유닛(130)에 의한 유리창(211a)의 타격이 반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핸들부(121)의 간단한 조작을 통한 제1 및 제2스프링(131, 1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해머(135)를 돌출시켜 차량의 유리창(211a, 211b)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1)는 상방 및 하방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됨으로써, 해머(135)를 통한 유리창(211a, 211b) 타격을 반복하여 유리창(211a, 211b)의 파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차량에 교통사고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내부의 사용자, 즉 승객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차량 유리창(211a, 211b)을 파괴할 수 있어 승객의 대피 및 구호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내부에 한 쌍의 해머유닛(130)이 구비되어 격벽(210)을 중심으로 좌/우측의 유리창(211a, 211b) 각각을 동시에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어 내부 승객의 대피 및 구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상탈출용 망치(100)는 차량의 격벽(210)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분실이나 도난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유닛(110)을 통해 핸들부(121)의 상단을 격벽(210)에 고정하여 평시에 비상탈출용 망치(100)가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비상탈출용 망치110: 고정유닛
120: 몸체유닛121: 핸들부
121a: 축122: 서포트부
122a: 결합핀125: 가이드부
126: 제1가이드부127: 제2가이드부
128: 제3가이드부130: 해머유닛
131: 제2스프링133: 제1스프링
135: 해머

Claims (10)

  1. 차량의 격벽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의 양측 유리창을 각각 타격하여 파괴하는 비상탈출용 망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리창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해머유닛이 수납되며, 상기 해머유닛을 상기 유리창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핸들부가 구비된 몸체유닛; 및
    상기 핸들부의 상단을 상기 격벽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탈출용 망치는,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격벽에서 분리된 후 상기 핸들부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해머유닛이 상기 유리창으로 돌출되어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은,
    일측이 상기 핸들부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격벽에 고정된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해머유닛이 수납된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창에 밀착되는 제3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의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부의 홀을 통해 상기 제2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된 바 형태의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양단에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해머유닛이 수납된 한 쌍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라 전진 및 후진되고, 상기 해머유닛은 상기 제2몸체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리창을 타격하거나 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격벽의 양측 유리창 각각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유닛이 상기 제3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는 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유닛은,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리창을 타격하는 해머;
    상기 해머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에서 압축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에서 압축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해머는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유닛은 상기 유리창의 모서리 부분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망치.

KR1020190167396A 2019-12-16 2019-12-16 비상탈출용 망치 KR10225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96A KR102251752B1 (ko) 2019-12-16 2019-12-16 비상탈출용 망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96A KR102251752B1 (ko) 2019-12-16 2019-12-16 비상탈출용 망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752B1 true KR102251752B1 (ko) 2021-05-12

Family

ID=7591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396A KR102251752B1 (ko) 2019-12-16 2019-12-16 비상탈출용 망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529B1 (ko) * 2021-07-29 2023-01-17 새론테크 주식회사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951Y1 (ko) * 2004-12-03 2005-03-08 조영준 차량의 유리 파괴장치
KR101743188B1 (ko) * 2016-11-23 2017-06-02 양필성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장치
KR20180045219A (ko) * 2016-10-25 2018-05-0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20190059108A (ko) * 2017-11-22 2019-05-30 조경민 차량용 비상탈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951Y1 (ko) * 2004-12-03 2005-03-08 조영준 차량의 유리 파괴장치
KR20180045219A (ko) * 2016-10-25 2018-05-0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101743188B1 (ko) * 2016-11-23 2017-06-02 양필성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장치
KR20190059108A (ko) * 2017-11-22 2019-05-30 조경민 차량용 비상탈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529B1 (ko) * 2021-07-29 2023-01-17 새론테크 주식회사 파쇄장치를 갖는 소방관 진입 안전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2956A (en) Emergency Hammer
KR102251752B1 (ko) 비상탈출용 망치
KR200439195Y1 (ko)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743188B1 (ko) 버스 창호용 강화유리 파쇄장치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0999552B1 (ko) 비상탈출장치
JP2002011107A (ja) 緊急脱出用ガラス破壊具
KR102154992B1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EP1279415A1 (en) Hammer for braking tempered safety glass
KR101878718B1 (ko) 구난장비 유리 타격 및 제거기
KR100538429B1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CN101362453B (zh) 车窗玻璃自动破碎器
CN209092559U (zh) 破窗装置
KR100371007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0461252B1 (ko)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CN110898343A (zh) 一种用于公交车逃生的破窗装置
KR19980038180U (ko) 도어 글래스 파괴 장치
KR102113841B1 (ko) 자동차 비상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KR100828612B1 (ko) 글라스 일체형 햄머 장치
KR20050122150A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창문파괴장치
CN107158589A (zh) 远距离反恐救援破窗器
KR20030016006A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장치
CN210228923U (zh) 车用玻璃击碎装置
JP2006062629A (ja) ガラス割りシート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