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167B1 - 유리 파손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파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4167B1 KR101744167B1 KR1020170023683A KR20170023683A KR101744167B1 KR 101744167 B1 KR101744167 B1 KR 101744167B1 KR 1020170023683 A KR1020170023683 A KR 1020170023683A KR 20170023683 A KR20170023683 A KR 20170023683A KR 101744167 B1 KR101744167 B1 KR 101744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punch
- base plate
- glass breakage
- break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8—Supports; Devices for holding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in work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95—Tools used in automobiles or automobil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파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동차 유리(glass)의 일측에 부착 고정시키는 부착 고정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유리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유리를 파손시키는 유리 파손용 펀치; 및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유리를 타격하도록 동작시키는 펀치 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 파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glass)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유리 파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자동차가 강 등에 빠진 경우, 탑승객이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유리를 파손해야 한다.
특히, 탑승객이 많은 버스의 경우에는 출입문이 비좁다는 점에서 신속하게 유리를 파손해야 하며, 그래야만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기차를 비롯하여 버스에 적용되는 유리는 일반 유리가 아닌 특수 유리라서 손이나 발로 가격을 하더라도 잘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버스에는 유리를 파손할 수 있도록 비상망치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유리는 버스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비상망치는 1개 혹은 2개 정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전부라는 점에서 비상상황에 대처하기에 다소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실질적으로 눈에 보이는 장소에 비상망치를 설치해야 하나 그 공간이 부족한 이유이기도 하다.
해서,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2487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39071호 등에 보면 유리를 파손하기 위한 별도의 유리 파손장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순간적인 가압력, 즉 펀치력으로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가 파손되게 하는 원리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하여 종래기술에 개시된 유리 파손장치 역시,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망치처럼 눈에 보이는 위치에 놓여 있거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유리 파손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glass)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유리 파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동차 유리(glass)의 일측에 부착 고정시키는 부착 고정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유리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유리를 파손시키는 유리 파손용 펀치; 및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유리를 타격하도록 동작시키는 펀치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손장치 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펀치 동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며, 일측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 상기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의 단차부에 연결되는 힌지 샤프트; 일단부가 상기 힌지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타단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결합되는 펀치 회동블록; 및 상기 힌지 샤프트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펀치 회동블록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단차형 고정블록의 스토퍼에 지지되며,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유리를 타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 회동블록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배치홈 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와 상기 펀치 동작부를 보호하는 외관 케이싱; 상기 외관 케이싱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되 상기 외관 케이싱으로부터 오픈(open)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허용되어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유리를 타격하도록 하는 펀치 조작용 덮개; 및 상기 외관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펀치 조작용 덮개의 임의 오픈(open)을 저지시키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 동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서포팅 플레이트; 일단부가 제1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은닉 가능한 펀칭 케이스; 및 상기 펀칭 케이스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재와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에 결합되되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펀칭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glass)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유리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리 파손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4는 펀치 동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단계별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리 파손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4는 펀치 동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단계별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유리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1의 유리 파손장치의 동작도, 도 4는 펀치 동작부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100)는 유리(glass)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0), 부착 고정부(120), 유리 파손용 펀치(130), 그리고 펀치 동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100)의 하단부를 이루는 평평한 면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도 3처럼 관통공(111)을 통해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통과되면서 유리를 타격하여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다.
부착 고정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배면에 마련되며, 도 1 및 도 2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자동차 유리의 일측에 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착 고정부(12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부착 고정되는 위치는 자동차 유리에서 가장 약한 부분, 즉 코너 부분일 수 있다.
부착 고정부(120)는 접착력이 강한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하지만, 접착제나 기타 흡착판으로 부착 고정부(12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유리 파손용 펀치(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연결되며, 도 3처럼 관통공(111)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통과하여 유리를 타격함으로써 유리를 파손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리 파손용 펀치(130)는 펀치 동작부(140)의 동작에 의해 도 3처럼 관통공(111)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통과하여 유리를 타격할 수 있다. 유리 파손용 펀치(130)는 특수 유리인 자동차 유리를 타격에 의해 파손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 이상의 무게를 갖는 금속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펀치 동작부(140)는 유리 파손용 펀치(130)와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며,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유리를 타격하도록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펀치 동작부(140)는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1,142), 힌지 샤프트(143), 펀치 회동블록(144), 그리고 제1 탄성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1,14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는 금속 블록이다.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1,14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1,142)에는 무게 감소를 위해 제1 및 제2 단차부(141a,142a)가 형성된다.
힌지 샤프트(143)는 제1 및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1,142)의 제1 및 제2 단차부(141a,142a)에 연결되는 봉 타입의 축이다.
펀치 회동블록(144)은 일단부가 힌지 샤프트(143)에 결합되어 힌지 샤프트(143)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타단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결합되는 금속 블록이다.
제1 탄성부재(145)는 힌지 샤프트(143)에 연결되되 일단부(145a)는 펀치 회동블록(144)에 지지되고 타단부(145b)는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2)의 스토퍼(142b)에 지지되며, 도 3의 점선에서 실선처럼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유리를 타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스프링이다. 제1 탄성부재(14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서의 제1 탄성부재(145)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펀치 회동블록(144)에는 제1 탄성부재(145)의 일단부(145a)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 배치홈(14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 배치홈(144a) 내에는 제1 탄성부재(145)의 일단부(145a)를 지지하는 지지대(144b)가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제1 탄성부재(145)의 타단부(145b)는 제2 단차형 고정블록(142)의 스토퍼(142b)에 지지된다.
한편, 도 3의 점선에 배치된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도 3의 실선처럼 동작되기 위해서는 제1 탄성부재(145)를 구속했던 힘을 풀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100)에는 외관 케이싱(151), 펀치 조작용 덮개(152), 그리고 로커(153)가 더 마련된다.
외관 케이싱(15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며, 유리 파손용 펀치(130)와 펀치 동작부(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펀치 조작용 덮개(152)는 외관 케이싱(15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되 도 2에서 도 3처럼 외관 케이싱(151)으로부터 오픈(open)될 때, 제1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이 허용되어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유리를 타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펀치 조작용 덮개(152)가 평상 시 오픈(open)되지 않도록 로커(153)가 마련된다. 로커(153)는 외관 케이싱(151)의 일측에 마련되며, 펀치 조작용 덮개(152)의 임의 오픈(open)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커(153)는 후크 타입 등 여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도 2에서 도 3처럼 로커(153)를 이용해서 펀치 조작용 덮개(152)를 오픈(open)시키면 제1 탄성부재(145)를 구속했던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제1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이 허용되어 펀치 회동블록(144)이 도 3의 점선에서 실선으로 회전되고, 이의 작용으로 인해 관통공(111)을 통해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통과되면서 유리를 타격하여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시 유리의 파손 부분을 통해 탈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20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110), 부착 고정부(120), 유리 파손용 펀치(130), 그리고 펀치 동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펀치 회동블록(144)에는 유리 파손용 펀치(130)의 반대편에 무게 보상용 웨이트(230)가 더 마련된다. 무게 보상용 웨이트(230)는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유리를 타격할 때, 타격의 힘을 가이드하거나 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30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110), 부착 고정부(120), 유리 파손용 펀치(330), 그리고 펀치 동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유리 파손용 펀치(330)의 일단부에는 뾰족한 첨예부(331)가 형성된다. 이처럼 유리 파손용 펀치(330)의 일단부에 첨예부(331)가 형성되면 유리 파손용 펀치(330)의 자체 힘 외에도 첨예부(331)의 작용으로 유리가 좀 더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유리 파손용 펀치(330)의 타단부에는 나사부(332)가 형성된다. 나사부(332)는 펀치 회동블록(14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나사부(332)로 인해 펀치 회동블록(144)에서의 유리 파손용 펀치(330)에 대한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40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110), 부착 고정부(120), 유리 파손용 펀치(130), 그리고 펀치 동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한편, 펀치 동작부(140)를 동작시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펀치 동작부(140)가 임의로 동작되어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유리를 타격하면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한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동작되더라도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직적 유리를 타격하지 못하도록 안전용 슬라이딩 도어(460)가 마련된다.
안전용 슬라이딩 도어(4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통공(111)의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도 8처럼 안전용 슬라이딩 도어(46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관통공(111)을 차폐한 경우, 설사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동작되더라도 유리 파손용 펀치(130)가 직적 유리를 타격하지 못한다. 따라서 비상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할 있다.
비상상황이라면 도 9처럼 안전용 슬라이딩 도어(460)를 이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관통공(111)을 개방시킨 후에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단계별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장치(500) 역시, 관통공(511)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부착 고정부(520), 유리 파손용 펀치(530), 그리고 펀치 동작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외관 케이싱(551), 펀치 조작용 덮개(552) 및 로커(553)가 마련된다. 외관 케이싱(551), 펀치 조작용 덮개(552) 및 로커(553)는 그 구조가 제1 실시예와 약간 상이할 뿐 기능은 동일하다.
한편, 펀치 동작부(54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상에 지지되는 서포팅 플레이트(541)와, 일단부가 제1 힌지부재(542)에 의해 서포팅 플레이트(5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유리 파손용 펀치(530)가 연결되며, 내부에 유리 파손용 펀치(530)가 은닉 가능한 펀칭 케이스(543)와, 펀칭 케이스(543)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재(544)와 유리 파손용 펀치(530)에 결합되되 유리 파손용 펀치(530)가 펀칭 케이스(543)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5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0에서 도 11처럼 로커(553)를 이용해서 펀치 조작용 덮개(552)를 오픈(open)시키면 제2 탄성부재(545)를 구속했던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제2 탄성부재(545)의 탄성력이 허용되어 펀칭 케이스(543) 내에 은닉되었던 유리 파손용 펀치(530)가 펀칭 케이스(543)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도 12의 A 방향으로 펀칭 케이스(543)를 타격하면 유리 파손용 펀치(530)가 관통공(111)을 통해 통과되면서 유리를 타격하여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시 유리의 파손 부분을 통해 탈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리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리(glass)에 강한 충격을 가해 유리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기차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이 비상상항 하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유리 파손장치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 : 관통공 120 : 부착 고정부
130 : 유리 파손용 펀치 140 : 펀치 동작부
141 : 제1 단차형 고정블록 141a : 제1 단차부
142 : 제2 단차형 고정블록 142a : 제2 단차부
142b : 스토퍼 143 : 힌지 샤프트
144 : 펀치 회동블록 144a : 삽입 배치홈
144b : 지지대 145 : 제1 탄성부재
145a : 일단부 145b : 타단부
151 : 외관 케이싱 152 : 펀치 조작용 덮개
153 : 로커
111 : 관통공 120 : 부착 고정부
130 : 유리 파손용 펀치 140 : 펀치 동작부
141 : 제1 단차형 고정블록 141a : 제1 단차부
142 : 제2 단차형 고정블록 142a : 제2 단차부
142b : 스토퍼 143 : 힌지 샤프트
144 : 펀치 회동블록 144a : 삽입 배치홈
144b : 지지대 145 : 제1 탄성부재
145a : 일단부 145b : 타단부
151 : 외관 케이싱 152 : 펀치 조작용 덮개
153 : 로커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동차 유리(glass)의 일측에 부착 고정시키는 부착 고정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유리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유리를 파손시키는 유리 파손용 펀치; 및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유리를 타격하도록 동작시키는 펀치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동작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서포팅 플레이트;
일단부가 제1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은닉 가능한 펀칭 케이스; 및
상기 펀칭 케이스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재와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에 결합되되 상기 유리 파손용 펀치가 상기 펀칭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683A KR101744167B1 (ko) | 2017-02-22 | 2017-02-22 | 유리 파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683A KR101744167B1 (ko) | 2017-02-22 | 2017-02-22 | 유리 파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4167B1 true KR101744167B1 (ko) | 2017-06-07 |
Family
ID=5922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3683A KR101744167B1 (ko) | 2017-02-22 | 2017-02-22 | 유리 파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416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4241B1 (ko) * | 2017-08-10 | 2017-12-01 | 김강희 | 유리 파손장치 |
KR20200057326A (ko) * | 2018-11-16 | 2020-05-26 | 이은수 |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
KR102212360B1 (ko) | 2019-09-25 | 2021-02-03 | 정두인 | 유리 파손장치 |
-
2017
- 2017-02-22 KR KR1020170023683A patent/KR10174416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4241B1 (ko) * | 2017-08-10 | 2017-12-01 | 김강희 | 유리 파손장치 |
KR20200057326A (ko) * | 2018-11-16 | 2020-05-26 | 이은수 |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
KR102154992B1 (ko) * | 2018-11-16 | 2020-09-11 | 이은수 |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
KR102212360B1 (ko) | 2019-09-25 | 2021-02-03 | 정두인 | 유리 파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4167B1 (ko) | 유리 파손장치 | |
US8382169B2 (en) | Device for securing doors using magnetic attraction | |
WO2006093915A3 (en) | Slidable bolt assembly | |
US20100192326A1 (en) | Door safety mechanism | |
FI963106A0 (fi) | Hälytyksen laukaiseva kiinnipitolaite suojattavan oven tai ikkunan lukko- ja/tai saranakohtaa varten | |
EP1689935A4 (en) | BARRIER SYSTEM FOR VEHICLES | |
CA2229668A1 (en) | Arresting/release device for a swing catch of a working current door opener | |
JP5222618B2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US4082133A (en) | Sectional garage door spring container | |
US4303266A (en) | Entry impedient device | |
KR100693352B1 (ko) | 도어 자석 스토퍼 | |
US2554542A (en) | Locator and wear shoe for frameless window screens | |
US7000354B2 (en) | Cable failur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including the same | |
KR102212360B1 (ko) | 유리 파손장치 | |
KR200194824Y1 (ko) | 힌지문 닫힘 방지 장치(문고정장치) | |
KR101794241B1 (ko) | 유리 파손장치 | |
JP6350888B2 (ja) | 衝撃吸収機構付きドアストッパー | |
KR200372118Y1 (ko) | 비상 탈출용 안전 망치 | |
KR101896791B1 (ko) | 타격음이 감소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 |
GB2249126A (en) | A lock mechanism for safes etc | |
CN2174531Y (zh) | 双爪垂直式门锁的锁爪体保护件 | |
JPH10153022A (ja) | 扉のロック機構及び耐防犯性機器装置 | |
KR100368406B1 (ko) |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 |
US1632170A (en) | Burglar alarm | |
KR200267066Y1 (ko) | 문짝손잡이용 충격 완충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