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21B1 -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21B1
KR102320121B1 KR1020210012580A KR20210012580A KR102320121B1 KR 102320121 B1 KR102320121 B1 KR 102320121B1 KR 1020210012580 A KR1020210012580 A KR 1020210012580A KR 20210012580 A KR20210012580 A KR 20210012580A KR 102320121 B1 KR102320121 B1 KR 10232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unit
main body
break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욱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더게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게러지 filed Critical (주)더게러지
Priority to KR102021001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로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 형상이며, 중단에 단턱을 구비한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가 관통된 실린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 중공은 상기 본체부(120) 중공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 보다 내경이 더 작은 기단부(125); 상기 기단부(125)의 실린더 중공에 가이드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일단은 뾰족한 첨단 형상인 파괴부(220); 내측에 상기 파괴부(220)의 타단을 고정하며, 내주면은 상기 본체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부(110); 일단이 상기 타격부(110)의 내측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본체부(120)의 내주면에 걸림되어, 타격부(11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210); 및 상기 본체부(120)의 단턱 아래에 배치되어 실린더 이동하며, 결합볼트(140)에 의해 상기 타격부(110)와 결합하는 결합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APPARATUS FOR BREAKING GLASS FOR EMERGENCY EVACUA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철 또는 건물 등의 유리창에 부착되어 비상상황 발생시 유리창에 충격력을 가하여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버스, 고층건물 등에 강화유리 등 강도가 높은 특수 유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 유리의 강도는 보통 유리의 5배 이상이며 일반 성인 남성이 망치나 햄머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힘껏 쳐도 잘 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나 고속버스의 전복, 유람선의 침몰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인명의 탈출이나 구조를 위해서는 반드시 유리창문을 깰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수유리는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긴급상황시 탈출에 여려움을 겪게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버스 또는 전철)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유리창 파괴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리창 파괴용 망치를 위급한 상황에서 망치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찾기란 쉽지 않으며, 또한 쉽게 분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흉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망치나 햄머의 경우 연기나 정전으로 찾기 힘들고, 사고로 사용자가 팔을 다칠 경우에 망치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버스 유리에 부착된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법이나,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버스 유리를 자동 파괴하는 기술 또한 개발되었지만, 이 또한 버스유리에 설치하기 위한 비용의 문제점과 함께 전기/전자적인 방법의 경우 이에 대한 안전성 문제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화재나 연기를 자동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오작동에 대한 불안이 항상 존재하며, 화재나 연기를 감지하기 이전에 유리를 파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85601 A KR 20-0439195 Y1 KR 10-1950716 B1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 형상이며, 중단에 단턱을 구비한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가 관통된 실린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 중공은 상기 본체부(120) 중공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 보다 내경이 더 작은 기단부(125); 상기 기단부(125)의 실린더 중공에 가이드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일단은 뾰족한 첨단 형상인 파괴부(220); 내측에 상기 파괴부(220)의 타단을 고정하며, 내주면은 상기 본체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부(110); 일단이 상기 타격부(110)의 내측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본체부(120)의 내주면에 걸림되어, 타격부(11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210); 및 상기 본체부(120)의 단턱 아래에 배치되어 실린더 이동하며, 결합볼트(140)에 의해 상기 타격부(110)와 결합하는 결합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괴부(220)는 그 중단이 기단부(125)의 하단에 걸림되게, 중단과 하단 사이에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괴부(220)의 일단은 타격부(110)을 타격시 유리창에 타격력이 증가되도록 기단부(125)의 하단부 보다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단부(12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유리창에 고정되는 접착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따르면,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일부 결합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상부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 및
도 6은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하부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는'은 전후 문맥상 논리적 배타합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으면', '논리적 배타합' 등의 직접적인 묘사가 없는 한, '및/또는'과 같은 의미, 즉, 논리합으로 해석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일부 결합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상부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 및 도 6은 본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의 하부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타격부(110), 본체부(120), 기단부(125), 결합링(130), 결합볼트(140), 접착부(160), 탄성부(210), 및 파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110)는 본체부(120)가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본체부(120)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타격부(110)는 타격부본체(111) 및 타격부본체(111)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112)를 포함할 있다. 이때, 결합돌기(11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한 각격을 갖도록 타격부본체(111)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격부(110)는 내면에 파괴부(220)가 결합하는 결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3)는 파괴부(220)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결합부(113)는 파괴부(220)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위하여 결합부(113)는 파괴부(220)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113) 내부에는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격부(110)의 끝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결합부(113)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3)와 타격부(110)의 결합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형태, 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120)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20)는 중단에 단턱(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단턱(121)은 본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턱(121)은 타격부(110)의 내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턱(121)은 탄성부(210)에 의해 타격부(1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122)는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210)의 변형 시 탄성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부(210)가 변형되도록 탄성부(210)의 변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돌기(12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122)는 본체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돌기(122)는 복수개의 돌기(122)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본체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돌기(122)는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단부(125)는 본체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실린더 형상을 구비하고, 본체부(120)의 중공과 연결된 실린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기단부(125)의 중공은 본체부(120)의 중공 보다 내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단부(125)는 본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단부(125)는 본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단부(125)는 본체부(120)와 연결되는 바디(125-1), 바디(125-1)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25-1)에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125-2), 확장부(125-2)의 외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125-3) 및 확장부(125-2)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125-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5-1)는 본체부(120)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125-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25-1)와 확장부(125-2) 내부에는 홀이 형성됨으로써 파괴부(220)가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확장부(125-2)는 바디(125-1)로부터 지지부(125-4)까지 갈수록 높이 방향(또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장부(125-2)는 힘이 가장 많이 가해지는 지점(예를 들면, 지지부(125-4) 부분)의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5-4)의 면적이 확장부(125-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확장부(125-2)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25-4)가 유리창 등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5-4)는 유리창의 표면 등에 완전히 밀착함으로써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125-3)는 확장부(125-2)의 외면에 날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도보강부(125-3)는 본체부(120)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지지할 수 있으며, 확장부(125-2)가 구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160)는 기단부(12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유리창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160)는 지지부(125-4)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160)는 개구부를 가지며, 본 개구부는 본체부(120) 및 기단부(125)의 중공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160)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파괴부(220)는 기단부(125)의 실린더 중공에 가이드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괴부(220)는 그 중단이 기단부(125)의 하단에 걸림되게, 중단과 하단 사이에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파괴부(220)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유리창을 관통하여 파괴할 수 있다. 돌출된 형상은 원뿔형, 사각뿔형 등의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파괴부(220)의 일단은 타격부(110)을 타격시 유리창에 타격력이 증가되도록 기단부(125)의 하단부 보다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괴부(220)는 단면의 지름이 서로 상이한 제1슬라이딩부(221) 및 제2슬라이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괴부(220)는 제2슬라이딩부(222)의 끝단에 배치되는 돌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파괴부(2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1슬라이딩부(221)의 단면은 제2슬라이딩부(222)의 단면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딩부(221)는 타격부(110)와 연결됨으로써 타격부(110)에서 가해지는 힘을 파괴부에 온전히 전달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딩부(222)는 제1슬라이딩부(221)보다 단면이 작음으로써 돌출부(223)의 끝단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3)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뿔형, 사각뿔형 등의 뾰족한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타격부(110)에서 가해지는 힘을 증폭시킴으로써 유리창 등에 큰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2슬라이딩부(222)와 돌출부(223)는 타격부(11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지지부(125-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5-4)에는 제2슬라이딩부(222)와 돌출부(223)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홀(125-5)이 형성될 수 수 있다. 이때, 인출홀(125-5)의 지름은 제2슬라이딩부(22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제2슬라이딩부(222)의 단면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반면, 인출홀(125-5)의 지름은 제1슬라이딩부(2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제1슬라이딩부(221)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격부(110)에 힘이 가해져 파괴부(220)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에도 파괴부(220)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이동이 멈출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타격부(11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파괴부(220)가 지지부(125-4)를 통과하여 외부로 날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타격부(110)는 내측에 파괴부(220)의 타단을 고정할 수 있다. 타격부(110)와 파괴부(220)는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타격부(110)의 내주면은 본체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탄성부(210)는 일단이 타격부(110)의 내측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본체부(120)의 내주면에 걸림되어, 타격부(11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탄성부(21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210)는 타격부(110) 상승하는 경우 타격부(110)에 결합된 파괴부(220)도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타격부(110)의 일단이 기단부(125)의 하단 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210)는 타격부(110)의 선형 운동 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210)는 압축 시 본체부(120) 내부에 배치된 돌기(122)에 의해 위치가 변하거나 틀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110) 내면과 본체부(120) 내면에는 탄성부(210)가 삽입되는 홈, 돌기, 타격부(110)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 등과 같은 결합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부는 탄성부(210)의 압축 시 탄성부(210)의 끝단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링(130)은 본체부(120)의 단턱 아래에 배치되어 실린더 이동할 수 있다. 결합링(130)은 결합볼트(140)에 의해 타격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130)은 링 형태로 형성된 결합링본체(131)와 결합링본체(1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링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돌기(132)는 결합돌기(1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링돌기(132)와 결합돌기(112)는 결합볼트(14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130)은 단턱(121)에 걸림으로써 타격부(110)가 본체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20)가 삽입되는 결합링(130)에 혈성된 홀의 지름은 타격부(110)의 내면의 지름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격부(110)의 내면의 지름은 결합링(130)에 형성된 홀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격부(110)의 내면에는 단턱(121)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단턱(121)은 결합링(13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격부(110)와 결합링(130)이 본체부(120)의 외면을 따라 선형 운동하는 경우 본체부(120)의 내면은 단턱(121)에 접촉하거나 근접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결합링(130)에 형성된 홀은 단턱(121)을 제외한 본체부(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결합링(130)은 일정한 범위에서 단턱(121)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13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이 하나의 결합링(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130)은 타격부(110)와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링(130)은 폐회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결합링(130)은 결합돌기(112)에 결합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결합링(130)은 본체부(120)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을 수 있으며, 타격부(110)에 결합하여 단턱(121)에 걸릴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링(130)은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 상태에서, 탄성부(210)는 타격부(110)를 상부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210)는 최초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타격부(110)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을 슬리이딩하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타격부(110)에 연결된 파괴부(220)는 기단부(125)의 공동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탄성부(210)는 최초 길이에 비하여 약간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타격부(110)는 결합볼트(140)에 의해 결합된 결합링(130)이 본체부(120)의 단턱(12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223)의 끝단은 기단부(125)의 하단 보다 상향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서 타격부(110)를 손바닥으로 타격을 가하면, 타격부(110) 및 파괴부(220)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파괴부(220)의 돌출부(223)의 첨단은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다. 타격부(110) 및 파괴부(220)의 슬리이딩 이동은 각각 본체부(120) 및 기단부(125)의 외주면 및 내부 공동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항상 유리창에 대해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타격에 의해 유리창을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탄성부(210)가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210)는 길이가 가변할 뿐만 아니라 타격부(11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밴딩될 수 있다. 즉, 탄성부(210)가 빠르게 압축하는 경우, 타격부(110) 전면에 압력(또는 힘)이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는 경우 탄성부(210)는 길이 발향과 상이한 방향(예를 들면, 탄성부(210)의 측면 등)으로 밴딩될 수 도 있다. 이때, 돌기(122)는 탄성부(2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부(210)가 길이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돌기(122)는 서로 일정한 각격으로 배열됨으로써 복수개의 돌기(122)는 탄성부(210)의 변형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210)가 압축되는 경우 타격부(110)는 본체부(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타격부(110)가 선형 운동하다가 본체부(120)의 끝단과 타격부(110)의 내면이 만나는 경우 또는 제1슬라이딩부(221)와 제2슬라이딩부(222)의 경계가 지지부(125-4)와 만나는 경우 타격부(110)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100)는 차량(버스 또는 전철 등)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과 발 모두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을 유리창으로 전달하는 파괴용부재를 유리창에 대하여 항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타격에 의해 유리창이 보다 쉽고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타격부 120: 본체부
125: 기단부 130: 결합링
140: 결합볼트 160: 접착부
210: 탄성부 220: 파괴부

Claims (4)

  1. 내부가 관통된 중공 형상이며, 중단에 단턱을 구비한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가 관통된 실린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 중공은 상기 본체부(120) 중공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 보다 내경이 더 작은 기단부(125);
    상기 기단부(125)의 실린더 중공에 가이드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일단은 뾰족한 첨단 형상인 파괴부(220);
    내측에 상기 파괴부(220)의 타단을 고정하며, 내주면은 상기 본체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타격부본체(111) 및 타격부본체(111)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112)를 구비하는 타격부(110);
    일단이 상기 타격부(110)의 내측면에 걸림되고, 타단이 본체부(120)의 내주면에 걸림되어, 타격부(110)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210); 및
    상기 본체부(120)의 단턱 아래에 배치되어 실린더 이동하며, 결합볼트(140)에 의해 상기 타격부(110)의 결합돌기(112)와 결합하는 결합링돌기(132)를 구비하는 결합링(130)을 포함하고,
    상기 기단부(125)는 상기 본체부(120)와 연결되는 바디(125-1), 상기 바디(12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125-1)에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125-2), 상기 확장부(125-2)의 외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125-3), 및 상기 확장부(125-2)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125-4)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20)는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122)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122)는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탄성부(210)가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탄성부(210)의 변형을 가이드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부(220)는 그 중단이 기단부(125)의 하단에 걸림되게, 중단과 하단 사이에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파괴부(220)의 일단은 타격부(110)을 타격시 유리창에 타격력이 증가되도록 기단부(125)의 하단부 보다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12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유리창에 고정되는 접착부(160)을 더 포함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25-2)는 상기 바디(125-1)로부터 상기 지지부(125-4)로 갈수록 높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5-4)의 면적은 상기 확장부(125-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상기 확장부(125-2)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125-3)는 상기 확장부(125-2)의 외면에 날개 형태로 형성되는,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부(220)는 상기 타격부(110)와 연결된 제1슬라이딩부(221),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221)과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221)의 길이 방향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제2슬라이딩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파괴부(220)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222)의 끝단에 배치되는 돌출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125-4)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222)와 상기 돌출부(223)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홀(125-5)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홀(125-5)의 지름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222)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221)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은,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0210012580A 2021-01-28 2021-01-28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10232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580A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01-28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580A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01-28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21B1 true KR102320121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580A KR102320121B1 (ko) 2021-01-28 2021-01-28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056A (en) * 1996-11-22 1998-08-11 Messina; Gary D. Emergency glass breaking tool
KR200439195Y1 (ko) 2007-03-23 2008-03-26 손오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10-07-29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N205850023U (zh) * 2016-07-27 2017-01-04 贵州大学 一种安全锤的锤头结构
KR101950716B1 (ko) 2017-08-04 2019-02-21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056A (en) * 1996-11-22 1998-08-11 Messina; Gary D. Emergency glass breaking tool
KR200439195Y1 (ko) 2007-03-23 2008-03-26 손오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20100085601A (ko) 2009-01-21 2010-07-29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N205850023U (zh) * 2016-07-27 2017-01-04 贵州大学 一种安全锤的锤头结构
KR101950716B1 (ko) 2017-08-04 2019-02-21 주식회사 스토리월드 판스프링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강화유리 충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8554C (en) A glass breaking device
CN102773840B (zh) 安全锤
KR102320121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TWI804818B (zh) 抗扭矩性安全鈎
CN201907476U (zh) 一种直接安装在汽车车窗玻璃上的救生锤
HUE024992T2 (hu) Kapu
CN107351804A (zh) 一种消防安全用消防锤
KR20100025399A (ko) 비상탈출장치
US11021176B2 (en) Energy absorption device and rail vehicle having same
CN205661402U (zh) 一种由两种弹簧制成的保险杠
CN206688044U (zh) 一种安全性高的破窗器
KR102452673B1 (ko)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CN104626063A (zh) 一种手柄式破窗器
KR20120006822A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200488042Y1 (ko) 이중 돌출점 클램핑 스프링 음향 발생 키보드 스위치
CN206596709U (zh) 一种建筑用多功能安全帽
CN106477493B (zh) 一种自行式高空作业平台可伸缩防撞装置
CN205411951U (zh) 一种便携固定两用超薄破玻装置
CN202549664U (zh) 触发按钮和具有该触发按钮的开关
CN218324458U (zh) 一种防撞玻璃门
CN204279328U (zh) 一种车用救生锤
CN203727322U (zh) 自由粘贴式玻璃破碎器
KR102629196B1 (ko) 비상 탈출용 복층 강화유리창 파괴장치
CN204472743U (zh) 一种击打式车窗玻璃破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