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545A - 비상탈출용 기구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545A
KR20200076545A KR1020180165716A KR20180165716A KR20200076545A KR 20200076545 A KR20200076545 A KR 20200076545A KR 1020180165716 A KR1020180165716 A KR 1020180165716A KR 20180165716 A KR20180165716 A KR 20180165716A KR 20200076545 A KR20200076545 A KR 20200076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ody portion
present
emergency escape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호
엄규리
Original Assignee
강지호
엄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호, 엄규리 filed Critical 강지호
Priority to KR102018016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545A/ko
Publication of KR2020007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쪽이 비어 있는 링 형상을 가지는 바디부,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바디부와 연결되고 탄성을 가져 외력이 가해지면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라 움직이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되, 탄성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를 어느 한쪽으로 늘린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회복력에 의하여 타격부재가 대상물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기구{AN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등의 차량의 사고 시 밖으로 탈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창문을 깨는데 사용되는 비상탈출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버스 등 차량의 운행 중 화재, 가스폭발 등이 발생하였을 때 현재 버스에 배치되어 있는 비상용 망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창문을 깨뜨리기 불편하고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차량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용 망치는 피스로 고정이 되어 있어 위급한 상황에 빠르게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더한 경우에는 케이블 타이로 고정이 되어 있고 아예 구비되어 있지 않는 대중교통 수단도 많아 비상 시 날카로운 도구가 없는 이상 탈출하기가 어렵고, 또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로 인해 찾기 힘들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기존의 망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창문을 깨뜨릴 수 있고 개인이 휴대할 수도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577817호(2015.12.09.) 2. 공개개특허공보 제10-2005-0053404호(2005.06.08.)
본 발명은 버스 등의 차량의 사고 시 밖으로 탈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창문을 깨는데 사용되는 비상탈출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쪽이 비어 있는 링 형상을 가지는 바디부,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바디부와 연결되고 탄성을 가져 외력이 가해지면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라 움직이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되, 탄성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를 어느 한쪽으로 늘린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회복력에 의하여 타격부재가 대상물을 타격하는 비상탈출용 기구일 수 있다.
바디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지지부재를 접어 바디부에 접촉시키거나 지지부재를 펼쳐 지지부재를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아 바디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디부는 상부멤버와 하부멤버를 포함하되 상부멤버 하면의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 홈에 대응되도록 하부멤버 상면의 일부에는 하부 홈이 형성되고 상부멤버와 하부멤버가 조립된 경우 상부 홈과 하부 홈이 탄성부재 고정홈을 형성하고 탄성부재 고정홈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구를 사용하면 버스 등 차량사고 시 차량의 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비상탈출용 망치의 경우 창문을 깨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새총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훨씬 더 작은 힘을 이용하더라도 창문을 깰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존의 망치보다 크기와 무게를 줄여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가볍고 작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자가용 승용차 등에 자발적 소지가 가능하고, 기존 비상용 망치에 비해 도난으로 인한 피해가 적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백팩, 주머니 속에 소지하고 다닐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접을 수 있는 지지부재가 장착되어 있어 차량이 옆으로 누워 전복되어 있는 상태에도 발판을 밟아 몸을 지탱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비상탈출용 망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지지부재를 펼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를 늘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서 탄성부재를 늘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라는 표현은 순서,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지지부재를 펼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를 늘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서 탄성부재를 늘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디부(100), 탄성부재(40), 타격부재(30)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용 기구일 수 있다. 본 측면에 따른 비상탈출용 기구는 은 탄성부재(40)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40)를 어느 한쪽으로 늘린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0)의 회복력에 의하여 타격부재(30)가 대상물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100)는 안쪽이 비어 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각 변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 정오각형 등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0)로 인하여 발생하는 힘이 바디부(100)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힘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디부(100)의 두께나 너비 등은 바디부(100)가 견뎌야 하는 힘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소재 또한 바디부(100)가 견뎌야 하는 힘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의 경우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지만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을 수 있다.
바디부(100)는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를 결합하면 비로소 바디부(100)가 완성될 수 있다.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는 피스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를 접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피스나 볼트-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 경우에는 고장 등으로 인하여 다시 해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장점이 있지만,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해체하여 수리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부멤버(10) 하면의 일부에는 상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홈에 대응되도록 하부멤버(20) 상면의 일부에 하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가 조립된 경우 상부 홈과 하부 홈이 대응되어 하나의 탄성부재 고정홈(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홈(25)에 탄성부재(40)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홈 및 하부 홈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탄성부재(40)의 일단을 바디부(100)에 결합하고 나머지 타단도 바디부(100)와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부 홈 및 하부 홈은 최소한 2개 이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홈은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과 홈 사이의 각도가 동일한 간격이어야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타격부재(30)에 가해지는 힘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이 2개인 경우 홈은 서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홈이 3개인 경우에는 홈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홈이 4개인 경우에는 홈이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홈이 5개인 경우에는 72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홈이 6개인 경우에는 홈이 6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지지부재(50,51)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도 상부멤버(10)와 하부멤버(2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여기에 결합 핀(14)이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핀(14)을 통하여 지지부재(50,51)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 및 지지부재(50,5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로 밟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50,51)를 접어서 지지부재(50,51)를 바디부(100)에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지지부재(50,51)를 펼쳐 지지부재(50,51)를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아 바디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50,51)를 접으면 휴대가 용이하고, 탈출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디부(100)의 밑면에는 흡착판을 장착할 수 있다. 흡착판을 이용하여 바디부(100)를 창문에 밀착시킨 후에 타격부재(30)를 잡아당긴 후 놓음으로써 쉽게 창문을 깨뜨릴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외력이 가해지면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40)로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재(40)로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40)는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바디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바디부(100)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홈(2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의 단부에는 매듭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매듭부(41)는 탄성부재 고정홈(25)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매듭부(41)로 인하여 탄성부재(40)가 바디부(100)에 결합된 후 탄성부재(40)가 바디부(100)와 분리되지 않고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매듭부(41)의 크기가 탄성부재 고정홈(25)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탄성부재(40)가 바디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타격부재(30)는 탄성부재(40)에 결합되어 탄성부재(40)의 신축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탄성부재(40)에 연결된 타격부재(30)를 잡아당긴 후에 놓으면 탄성부재(40)의 원상 회복력에 의하여 타격부재(30)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데 그 위치에 대상물건을 배치하게 되면 타격부재(30)에 의하여 대상물은 파괴될 수 있다. 타격부재(30)를 얼마나 잡아당기느냐 및 탄성부재(40) 자체의 탄성 회복력이 얼마나 크냐 등에 따라 대상물에 가해지는 힘은 상이할 수 있다.
타격부재(30)에는 탄성부재(40)가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하여 타격부재(30)와 탄성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타격부재(3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되어 결합하는 탄성부재(40)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타격부재(30)에 형성된 홀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그 홀로 인하여 타격부재(30) 자체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타격 시 타격부재(30)가 파손될 수 있다.
타격부재(30)의 형상은 대상물과 부딪히는 부위를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다. 타격 부위가 뾰족한 경우 유리 등의 경우 더 쉽게 깨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 형상일 수 있다.
타격부재(30)의 소재는 대상물보다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것일 수 있다. 물론 그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동일한 크기라면 강도가 강한 금속 소재의 경우 대상물을 타격하는 힘이 크고,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타격 힘이 작을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금속 소재의 경우 플라스틱 소재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휴대 편의성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소재가 더 우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탄성부재(40)는 둥근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판의 중심에 타격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재(30)의 하부는 뾰족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잡아당기기 쉬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변형예의 경우에는 탄성부재(40)의 탄성 회복력이 더 크기 때문에 창문을 깨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상부멤버 11: 제2 돌출부
12: 제1 돌출부 14: 결합 핀
20: 하부멤버 25: 탄성부재 고정홈
30: 타격부재 40: 탄성부재
41: 매듭부 50: 지지부재
51: 지지부재 100: 바디부

Claims (3)

  1. 안쪽이 비어 있는 링 형상을 가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탄성을 가져 외력이 가해지면 늘어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라 움직이는 타격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어느 한쪽으로 늘린 후에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회복력에 의하여 상기 타격부재가 대상물을 타격하는, 비상탈출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를 접어 상기 바디부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를 펼쳐 상기 지지부재를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아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비상탈출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부멤버와 하부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멤버 하면의 일부에는 상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멤버 상면의 일부에는 하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멤버와 상기 하부멤버가 조립된 경우 상기 상부 홈과 상기 하부 홈이 탄성부재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홈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비상탈출용 기구.
KR1020180165716A 2018-12-19 2018-12-19 비상탈출용 기구 KR20200076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716A KR20200076545A (ko) 2018-12-19 2018-12-19 비상탈출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716A KR20200076545A (ko) 2018-12-19 2018-12-19 비상탈출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45A true KR20200076545A (ko) 2020-06-29

Family

ID=7140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716A KR20200076545A (ko) 2018-12-19 2018-12-19 비상탈출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5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404A (ko) 2003-12-02 2005-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비상탈출용 해머
KR101577817B1 (ko) 2015-11-24 2015-12-15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차량용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404A (ko) 2003-12-02 2005-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비상탈출용 해머
KR101577817B1 (ko) 2015-11-24 2015-12-15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차량용 비상탈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2994C (en) Adhesion-type holding structure mounted onto wall
US20070056618A1 (en) Double tang design articulating hub assembly
CN201970952U (zh) 汽车钢化玻璃破碎逃生器
US20140175246A1 (en) Automatic locking guitar holding rack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CN201907476U (zh) 一种直接安装在汽车车窗玻璃上的救生锤
CN203402119U (zh) 迷你破窗器
KR20200076545A (ko) 비상탈출용 기구
CN112854896B (zh) 一种具有外防护结构的建筑施工用安防装置
CN109131187B (zh) 一种小型折叠式车窗破碎自救器
KR102154992B1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CN201511920U (zh) 快速应急破窗贴
CN213142789U (zh) 一种柔性防撞措施
CN110428743B (zh) 一种应用于影院防外力撞击摆动的衔接led灯板
CN210912772U (zh) 一种用于船舶建造的固定装置
CN201824991U (zh) 钢化玻璃破碎逃生器
CN203586943U (zh) 一种伸缩型警棍
CN102673506A (zh) 一种弹片式安全逃生锤
TWM409140U (en) Lid capable of concentrating stress to break glass in two stages
CN216310883U (zh) 一种汽车遥控钥匙器总成
CN208145253U (zh) 车用安全救生锤
CN204323270U (zh) 救生锤
US20180361177A1 (en) Expandable baton structure with hidden smasher at rear end of handle and hidden smasher thereof
KR102083446B1 (ko) 비상 탈출용 장치
KR10225295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