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612B1 -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612B1
KR101473612B1 KR20140069345A KR20140069345A KR101473612B1 KR 101473612 B1 KR101473612 B1 KR 101473612B1 KR 20140069345 A KR20140069345 A KR 20140069345A KR 20140069345 A KR20140069345 A KR 20140069345A KR 101473612 B1 KR101473612 B1 KR 10147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battery
impact
case
appl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선
Original Assignee
신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선 filed Critical 신동선
Priority to KR2014006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2Means for diverting, destroying or blocking the bag in case of dangerous deployment, e.g. during rescue operations or use of rear-facing childre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0)(120)(220)와; 충격인가부(20)(120)(2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와; 배터리(30)의 전원이 충격인가부(20)(120)(2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와;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Tempered glass destruction device for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은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유리 창문에 장착되어 비상상황시 그 강화유리 창문을 파괴시킴으로써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축건물이나 유람선의 경우, 시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닫이식 창문대신 강화유리를 밀폐식으로 장착한 창문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는 열처리되어 내구성이 매우 강하고 외부의 바람이나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는다.
그런데 화재나 전복사고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매우 혼란한 상황이 연출되는데, 이 상황에서 사람들은 비상통로를 통하여 탈출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긴급상황시 강화유리 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도록 작은 망치와 같은 파괴도구들이 여러곳에 비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런데 파괴용구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비치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분실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혼란스러운 긴급상황시 파괴용구를 찾기 어렵게 되고, 강화유리 창문을 깨고 나오지 못하게 되어 유독가스에 질식하거나 화에 노출되어 사망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시 강화유리 창문을 자동으로 파괴하여 탈출통로를 확보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대형 유람선의 전복 사고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어, 안전에 대한 인식이 새로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긴급상황시 강화유리 창문을 자동으로 파괴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2-0013033호에 차량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긴급상황시 강화유리 창문을 자동으로 파괴시켜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소형 및 경량으로 구현 가능하여, 기존의 강화유리 창문에 구조변경 없이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일 실시예는,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0)); 상기 충격인가부(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21a)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발사공(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21) 내에서 그 몸체(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22)과; 상기 타격블럭(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화약(23)과;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상기 화약(23)을 발화시키는 전기뇌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능력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시간(T) 이상 눌렀을 때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상버튼(7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하는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120); 상기 충격인가부(1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1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1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121a)이 형성된 몸체(121)와; 상기 발사공(1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1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121) 내에서 그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122)과; 상기 타격블럭(1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압착스프링(123)과; 상기 몸체(121)의 측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격블럭(122)이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타격블럭(122)의 위치를 구속하는 후크레버(124)와;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후크레버(124)가 상기 타격블럭(122)의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레버구속해제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20); 상기 충격인가부(2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2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2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구멍(221a)이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구멍(221a)으로 노출되는 전극(222a)(222b)이 형성되는 전극블럭(222)과; 배터리(3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223)와; 상기 전극(222a)(222b)이 상기 강화유리(G)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극블럭(222)을 구멍(221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상황시 관리자서버에서 조작되어 강화유리 창문을 파괴하거나, 승객이 직접 조작하여 강화유리 창문을 파괴시킬 수 있어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납작하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배터리로 작동전원을 인가받으므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강화유리 창문의 구조를 변경하기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특히 경량화가 가능하여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강화유리 창문에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강화유리 창문에 부착된 도 1의 파괴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충격인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충격인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강화유리 창문에 부착된 도 1의 파괴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는,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0)(120)(220)와; 충격인가부(20)(120)(2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와; 배터리(30)의 충전능력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와; 배터리(30)의 전원이 충격인가부(20)(120)(2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와;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와; 작동시간(T) 이상 눌렀을 때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상버튼(70)과; 케이스(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하는 태양전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는 강화유리(G)의 상단이나 구석등 외부에서 상대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장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소형 및 경량화로 구현되어야 하고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상을 가지며, 강화유리(G)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편편한 바닥면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10)는 강화유리(G)에 양면테이프(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편편한 바닥면을 가지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결합되는 커버(12)로 구성된다.
베이스(11)에는 충격인가부(20)(120)(220), 배터리(30),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 작동제어부(50), 작동신호수신부(60)가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11)의 중앙에는 구멍(11a)이 형성되어 그 구멍(11a)으로 충격인가부(20)(120)(220)의 충격단(20a)(120a)(220a)이 노출된다. 이러한 베이스(11)의 바닥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15)가 부착되며, 양면테이프(15)에는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어 유통된다. 이때 베이스(11)는 양면테이프를 대체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하여 강화유리(G)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12)는 베이스(11)에 결합되며, 그 전면에는 비상버튼(70) 및 태양전지(80)가 설치된다.
상기한 케이스(10)는 베이스(11)와 커버(12)가 결합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구현된다.
배터리(30)는, 케이스(10)에 일체로 내장되어 본원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30)는 후술할 태양전지(80)에 의하여 충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는 배터리(30)의 수명이 다하여 충전능력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때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배터리교체 신호를 발생한다. 배티리교체 신호는 본원의 파괴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구축된 와이파이망이나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관리자서버(PC)로 전송되며, 관리자서버는 배터리교체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교체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터리교체등(45)이 점멸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서버를 이용하지 않고도, 배터리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배터리(30)의 수명은 본원발명이 설치되는 주위 환경의 습도조건이나 온도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수명이 거의 다 되면 충전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충전능력이 떨어지면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긴급상황시 정상작동을 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는 배터리(30)의 충전능력을 검지하여 그 충전능력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 그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배터리교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즉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의 설치환경에 따라 배터리(30)의 수명이 다르더라도, 배터리(30)의 교체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는 한번 설치하면 강화유리(G)가 파괴될때가지 반영구적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30)의 충전능력을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작동제어부(50)는 배터리(30)의 전원이 충격인가부(20)(120)(2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제어부(50)는 후술할 작동신호수신부(60)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던지, 비상버튼(70)을부터 전송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작동신호수신부(60)는,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다. 관리자서버(PC)는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람선이 전복될 때 작동신호를 발생하며, 작동신호수신부(60)는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30)의 전원이 충격인가부(20)(120)(220)가 공급되도록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킨다.
비상버튼(70)은 작동시간(T), 예를 들면 5초 이상 눌렀을 때 작동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비상버튼(70)은 관리자서버(PC)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신호와는 별도로,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긴급상황시 화재나 정전이 발생하여 관리자서버(PC)에 다운되거나 고장 날 경우에도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유람선의 강화유리 창문에 장착될 경우, 유람선이 전복되면 정전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관리자서버(PC)는 다운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경우 승객들은 비상버튼(70)을 눌러서 강화유리 창문을 파괴시킬 수 있어 탈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비상버튼(70)은 아이들이 호기심에 잠시 누르거나, 창문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잠시 눌리어지더라도 작동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작동시간(T) 이상 눌렀을 때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태양전지(80)는 케이스(10)의 전방측에 하부측에 설치되어 주위의 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로 배터리(30)를 충전시킨다. 이러한 태양전지(80)를 채용함으로써 수년동안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충격인가부(20)(120)(220)는, 강화유리(G)가 파괴될 수 있도록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충격인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충격인가부(20)(120)(220)는 본원발명을 소형화 및 경량화로 구현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납작하게 구조되어야 하고, 강화유리 창문(G)을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파괴충격을 발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충격인가부(20)의 제1실시예는,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21a)이 형성된 몸체(21)와; 중앙에 발사공(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21) 내에서 그 몸체(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22)과; 타격블럭(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화약(23)과; 전기를 인가하였을 대 화약(23)을 발화시키는 전기뇌관(24)과; 몸체(21)의 상부측과 타격블럭(22) 사이에 설치되어 타격블럭(22)을 몸체(21)의 상부측과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5);을 포함한다.
몸체(21)는, 발사공(21a)이 형성된 상부몸체(21b)와, 상부몸체(21b)에 결합되는 하부몸체(21c)로 구성되며, 상,하부몸체(21b)(21c)는 각각의 상부몸체(21b)와 하부몸체(21c)에 형성된 나사결합단(21b')(21c')에 의하여 상호 나사결합된다.
타격블럭(22)은, 몸체(21) 내부에 설치되어 화약(23)이 폭발할 때 그 폭발 압력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추진되어 충격단(22a)을 발사공(21a)로부터 순간 돌출시킨다. 순간 돌출된 충격단(22a)은 강화유리(G)를 타격하여 금이 가게 하거나 파괴된다.
화약(23)은 전기뇌관(24)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폭발하면서 타격블럭(22)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화약은 납작한 동전 형태로 제조되어 몸체(21) 내부에 내장되고, 전기뇌관(24)은 몸체(21) 바닥측에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5)은 평소 타격블럭(22)을 몸체(21) 의 상부측에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약(23)의 폭발에 의하여 타격블럭(22)이 발사공(21a) 측으로 추진되면 압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기뇌관(24)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화약(23)이 폭발하면서 타격블럭(22)을 전방측으로 강하게 추진시키고, 이에 따라 충격단(22a)은 발사공(21a)으로부터 돌출 발사되면서 강화유리(G)를 파괴할 정도의 파괴력을 인가한다.
도 7은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충격인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인가부(120)의 제2실시예는,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121a)이 형성된 몸체(121)와; 중앙에 발사공(1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1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121) 내에서 그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122)과; 타격블럭(1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압착스프링(123)과; 몸체(121)의 측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격블럭(122)이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타격블럭(122)의 위치를 구속하는 후크레버(124)와;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후크레버(124)가 타격블럭(122)의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레버구속해제부(125);를 포함한다.
압착스프링(123)은 소형이면서 강한 압축력을 포함하는 금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레버(124)는 몸체(121)의 측부에 형성된 힌지(h)에 축결합되는 레버몸체(124a)와, 레버몸체(124a)의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121)에 형성되는 관통공(121b)을 통하여 진입하여 타격블럭(122)의 가장자리에 걸치어지는 후크(124b)와, 레버몸체(124a)의 타측에 형성된 레버작동단(124c)을 포함한다.
이때 후크레버(124)는 몸체(121)의 측부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후크(124b)는 타격블럭(122)의 가장자리를 대칭으로 구속하여 압착스프링(123)의 압착력이 타격블럭(122)에 치우치게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구속해제부(125)는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후크(124b)가 타격블럭(122)의 가장자리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버구속해제부(125)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몸체(121) 또는 케이스(10)에 솔레노이드(125a)를 설치하고, 솔레노이드(125a)에서 출몰되는 로드(125b)를 레버작동단(124c)과 연결되는 별도의 로드나 와이어(125c)로 연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구속해제부(125)의 솔레노이드(125a)에 상기한 배터리(30)로부터 전기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125a)는 자력을 발생하여 로드(125b)를 출몰시킴으로써 후크레버의 레버작동단(124c)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레버작동단(124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24b)를 타격블럭(122)의 가장자리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버구속해제부(125)로 전기가 인가되면 레버구속해제부(125)는 후크레버(124)가 타격블럭(122)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이 경우 타격블럭(122)은 압착스프링(123)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강하게 추진된다. 이에 따라 충격단(122a)은 발사공(121a)으로부터 돌출 발사되면서 강화유리(G)를 파괴할 정도의 파괴력을 인가한다.
삭제
도 9는 도 3의 충격인가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인가부(220)의 제3실시예는,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구멍(221a)이 형성된 몸체(221)와; 중앙에 구멍(221a)으로 노출되는 전극(222a)(222b)이 형성되는 전극블럭(222)과; 배터리(3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223)와; 전극(222a)(222b)이 강화유리(G)에 밀착되도록 전극블럭(222)을 구멍(221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224)은 전극블럭(222)과 몸체(2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된다.
승압부(223)는 수만V 이상으로 전압을 승압시켜 스파크를 형성하고, 이러한 스파크는 강화유리 창문(G)을 파괴된다.
스프링(224)은 전극블럭(222)을 강화유리 창문(G) 측으로 밀어서, 전극(222a)(222b)이 강화유리 창문(G)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승압부(223)로 전기가 인가되면 수만V 이상으로 승압된 전압이 전극(222a)(222b)로 인가되고, 전극(222a)(222b)에서 인가되는 스파크는 강화유리 창문(G)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 파괴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는, 긴급상황시 관리자서버에서 제어되어 강화유리 창문(G)을 파괴하거나, 승객이 직접 조작하여 강화유리 창문(G)을 파괴시킬 수 있어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납작하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배터리(30)로 작동전원을 인가받으므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강화유리 창문(G)의 구조를 변경하기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특히 경량화가 가능하여 양면테이프(15)에 의하여 강화유리 창문(G)에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베이스
11a ... 구멍 12 ... 커버
30 ,, 배터리 40 ...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
45 ... 배터리교체등 50 ... 작동제어부
60 ... 작동신호수신부 70 ... 비상버튼
80 ... 태양전지
20 ... 충격인가부의 제1실시예
21 ... 몸체 21a ... 발사공
21b ... 상부몸체 21c ... 하부몸체
21b', 21c' ... 나사결합단 22 ... 타격블럭
23 ... 화약 24 ... 전기뇌관
25 ... 스프링
120 ... 충격인가부의 제2실시예
121 ... 몸체 121a ... 발사공
121b ... 관통공 123 ... 압착스프링
124 ... 후크레버 124a ... 레버몸체
124b ... 관통공 124c ... 레버작동단
125 ... 레버구속해제부 123a ... 솔레노이드
125b ... 로드 125c ... 와이어
220 ... 충격인가부의 제3실시예
221 ... 몸체 222 ... 전극블럭
222a, 222b ... 전극 223 ... 승압부
224 ... 스프링

Claims (7)

  1.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0));
    상기 충격인가부(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21a)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발사공(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21) 내에서 그 몸체(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22)과; 상기 타격블럭(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화약(23)과;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상기 화약(23)을 발화시키는 전기뇌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능력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교체신호 발생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시간(T) 이상 눌렀을 때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상버튼(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하는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5. 삭제
  6.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120);
    상기 충격인가부(1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1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1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발사공(121a)이 형성된 몸체(121)와; 상기 발사공(121a)으로 노출되는 뾰족한 충격단(122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121) 내에서 그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타격블럭(122)과; 상기 타격블럭(122)과 몸체(21)의 바닥측 사이에 개재되는 압착스프링(123)과; 상기 몸체(121)의 측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격블럭(122)이 몸체(121)의 상부측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타격블럭(122)의 위치를 구속하는 후크레버(124)와;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후크레버(124)가 상기 타격블럭(122)의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레버구속해제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7. 강화유리(G)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시 상기 강화유리(G)에 파괴충격을 인가하기 위한 충격인가부(220);
    상기 충격인가부(220)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30);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이 상기 충격인가부(220)로 공급되도록 작동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50); 및
    상기 작동제어부(5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외부에서 전송받는 작동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인가부(220)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G) 측으로 개구된 구멍(221a)이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구멍(221a)으로 노출되는 전극(222a)(222b)이 형성되는 전극블럭(222)과; 배터리(3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223)와; 상기 전극(222a)(222b)이 상기 강화유리(G)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극블럭(222)을 구멍(221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KR20140069345A 2014-06-09 2014-06-09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KR10147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9345A KR101473612B1 (ko) 2014-06-09 2014-06-09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9345A KR101473612B1 (ko) 2014-06-09 2014-06-09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612B1 true KR101473612B1 (ko) 2014-12-26

Family

ID=5267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9345A KR101473612B1 (ko) 2014-06-09 2014-06-09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61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219A (ko) * 2016-10-25 2018-05-0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101891516B1 (ko) 2017-07-12 2018-08-24 최민수 강화 유리 자동 파괴 장치
WO2018169194A1 (ko) * 2017-03-15 2018-09-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파괴장치
KR20180105316A (ko) * 2017-03-15 2018-09-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 파괴 장치
KR101909411B1 (ko) * 2018-02-13 2018-10-17 배제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914484B1 (ko) * 2018-03-05 2018-11-02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1958771B1 (ko) * 2018-09-14 2019-03-15 김법년 비상시 유리창 파괴장치
KR102081787B1 (ko) * 2018-09-12 2020-02-26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2212360B1 (ko) 2019-09-25 2021-02-03 정두인 유리 파손장치
KR102252958B1 (ko) *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01Y1 (ko) * 2003-06-12 2003-09-19 주식회사 제이아이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20040106866A (ko) * 2003-06-12 2004-12-18 주식회사 제이아이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101287781B1 (ko) * 2013-04-11 2013-07-19 권현기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KR20140038583A (ko) * 2012-09-20 2014-03-31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01Y1 (ko) * 2003-06-12 2003-09-19 주식회사 제이아이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20040106866A (ko) * 2003-06-12 2004-12-18 주식회사 제이아이엔 자동식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 장치
KR20140038583A (ko) * 2012-09-20 2014-03-31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1287781B1 (ko) * 2013-04-11 2013-07-19 권현기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23B1 (ko) * 2016-10-25 2018-09-1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20180045219A (ko) * 2016-10-25 2018-05-04 김정식 유리파괴장치
KR101916571B1 (ko) * 2017-03-15 2019-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 파괴 장치
WO2018169194A1 (ko) * 2017-03-15 2018-09-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파괴장치
KR20180105316A (ko) * 2017-03-15 2018-09-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 파괴 장치
KR101891516B1 (ko) 2017-07-12 2018-08-24 최민수 강화 유리 자동 파괴 장치
KR101909411B1 (ko) * 2018-02-13 2018-10-17 배제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914484B1 (ko) * 2018-03-05 2018-11-02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2081787B1 (ko) * 2018-09-12 2020-02-26 손수희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KR101958771B1 (ko) * 2018-09-14 2019-03-15 김법년 비상시 유리창 파괴장치
WO2020055205A1 (ko) * 2018-09-14 2020-03-19 김법년 비상시 유리창 파괴장치
KR102212360B1 (ko) 2019-09-25 2021-02-03 정두인 유리 파손장치
KR102252958B1 (ko) * 2020-01-03 2021-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탈출용 유리 파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612B1 (ko)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KR102371781B1 (ko) 전도형 전기 무기에서 점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990061B1 (ko) 배치 유닛 검출을 구비한 전자식 무기류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9530B1 (ko) 전자식 무기를 위한 전개 유닛
KR101872709B1 (ko) 스마트 전기 충격기
US10184760B2 (en) Tactical deterrent devices
US20090127397A1 (en) Wireles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mpact cargo parachute automatic release system
CN101262048A (zh) 电池组及便携式电子设备
US10234248B1 (en) Micro-electric-pyrotechnic energy-harvesting apparatus for munitions
US9168387B2 (en) Reserve battery operated power supplies
CN203298663U (zh) 一种液体聚能爆炸物失能装置
CN108211149A (zh) 一种可重复使用无线遥控手动双启动破窗器
CN101693449B (zh) 玻璃紧急破碎装置
CN106798979A (zh) 一种应急用车窗玻璃微型爆破器
KR20100086120A (ko) 비상용 차량 유리 제거 시스템
KR200492172Y1 (ko) 건전지를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KR20080043770A (ko) 다중 기능 전자식 무기류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49343B1 (ko) 수중 파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4917B1 (ko) 호신용 전기 충격기
US10697739B1 (en) Electronic flashbang
CN105993086A (zh) 用于电池的开关装置及具有这种开关装置的电池
US7475508B1 (en) Inflatable electrical shocking weapon
CN102205532B (zh) 公共营业场所破玻璃窗应急逃生及救援装置
CN103330996B (zh) 手持式钢化夹胶玻璃破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