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709B1 - 스마트 전기 충격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기 충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709B1
KR101872709B1 KR1020170140883A KR20170140883A KR101872709B1 KR 101872709 B1 KR101872709 B1 KR 101872709B1 KR 1020170140883 A KR1020170140883 A KR 1020170140883A KR 20170140883 A KR20170140883 A KR 20170140883A KR 101872709 B1 KR101872709 B1 KR 10187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cylinder
main body
disposed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인포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포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인포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4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09B1/ko
Priority to US16/172,170 priority patent/US1080904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F41H13/0025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for remote electrical discharge via conducting wires, e.g. via wire-tethered electrodes shot at a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target, e.g. flash ligh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4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pulse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는,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바디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를 이용하여 리볼버 타입으로 발사체를 발사하기 때문에 복수의 발사체를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더라도 카트리지의 발사체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턴 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전기 충격기{SMART ELECTRIC SHOCK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표적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무기들은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표적을 향해 하나 이상의 전극을 발사하여 표적에 전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여 표적의 운동을 억제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문헌 중 하나가 미국 등록특허 제8441771호(2013.05.14, 이하 선행문헌)이다. 선행문헌은 두 개의 전극이 발사되고, 발사된 두 개의 전극이 표적에 전기를 전달하여 표적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전기 충격기가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에 두 개의 발사체가 발사되면, 해당 발사체들이 장착된 카트리지는 더 이상 이용하지 못하는 일회용으로 이용된다. 즉,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충격기는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충격기를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발사체를 두 번 이상 발사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전기 충격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카트리지에 포함된 발사체가 모두 발사되면 해당 카트리지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 장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충격기에 높은 전압을 방전할 수 있는 스턴 건(stun gun)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 충격기는 장착된 카트리지의 발사체가 제거된 경우에만 스턴 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8441771호 (2013.05.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발사체가 장착되어 연속적으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으면서, 카트리지를 교체하지 않고 발사체 교체만으로도 연속적으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더라도 카트리지의 발사체를 제거하는 등의 추가 동작을 하지 않고, 스턴 건으로 동작할 수 있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는,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바디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해 조작되는 방아쇠;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고, 상기 발사체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부; 및 상기 고전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회로 동작 상태와 배터리 충전량을 표시하며, 제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아쇠에는 일 측에 방아쇠바가 형성되고, 상기 방아쇠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방아쇠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에 상기 발사체가 꽂히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복수의 레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방아쇠바 감지부는 제1 방아쇠바 감지부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를 감지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고, 상기 제2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를 감지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는, 상기 표시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구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의 발사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플래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기; 및 상기 표시기에 충전량을 표시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상기 2차 전지는 외부의 충전장치 없이 직류 전원의 공급으로 충전되도록 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에서 공급된 고전압의 전기를 방전하는 스턴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스턴발생부에서 고전압의 전기를 방출하기 위한 스턴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또는 스턴발생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턴발생부에서 고전압이 방전되면, 방전 후 상기 스턴발생부의 잔류 고전압의 전기를 제거하는 콘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상기 발사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일 측에 안전 레버바가 형성된 안전 레버; 및 상기 안전 레버바를 감지하는 안전 레버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 레버는 회전되도록 동작되며, 상기 안전 레버바 감지부는 상기 회전되는 안전 레버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바디에는 상기 실린더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시키는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걸림쇠를 풀어 상기 실린더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서 분리하기 위한 실린더 분리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와 실린더 바디는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되어 분리될 수 있다.
또, 상기 실린더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마그넷; 및 상기 실린더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감지부에서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상기 발사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된 커플러 베이스; 및 상기 커플러 베이스의 회전으로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커플러 리볼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 베이스는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조작되는 동안 회전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된 다음 발사체가 발사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방아쇠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사체는 상기 실린더에서 두 개가 발사되고, 상기 두 개의 발사체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발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는 두 개이고, 상기 두 개의 레이저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면, 상기 발사된 발사체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형성된 발사구를 통해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배치된 블레이드 회전체; 및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블레이드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는 상기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베이스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베이스의 홀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표적에 꽂히도록 일 측에 전극침이 배치된 발사체; 상기 발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발사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와이어; 일 측으로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타 측을 밀폐하도록 배치된 뇌관 케이스; 및 상기 뇌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뇌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뇌관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뇌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뇌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뇌관 홀더; 상기 뇌관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배치된 와드; 및 상기 뇌관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뇌관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상기 전극 패드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 패드를 통해 상기 뇌관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뇌관 케이스를 통해 상기 뇌관 홀더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뇌관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카트리지 삽입홀 내부에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배치된 제1 접촉부; 및 상기 실린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 케이스에 고전압의 전력을 전달하는 제2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발사체의 발사 각도가 설정된 소정의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자이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는,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포함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발사구를 통해 발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고전압의 전기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스턴발생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를 이용하여 리볼버 타입으로 발사체를 발사하기 때문에 복수의 발사체를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실린더에 하나의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리볼버 타입의 총에서 총알을 교체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복수의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턴발생부가 실린더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카트리지의 발사체 장착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를 스턴 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일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를 타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방아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안전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출력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발사체를 제거하지 않고 스턴 건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메인 바디와 실린더 바디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방아쇠 동작에 따라 실린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발사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절단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실린더에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 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일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를 타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는, 메인 바디(110), 실린더 바디(210) 및 발사체(317)를 포함하는 카트리지(31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발사체(317)가 도시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발사체(3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자세한 사항은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인 바디(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체(317)를 발사시키거나 스턴발생부(217)에서 전기가 방전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에는, 파지부(111), 방아쇠(113), 스턴 버튼(119), 안전 레버(121), 표시부(125), 가늠자(127), 실린더 분리버튼(129), 배터리(131), 스턴발생부(217)부(133) 및 통신모듈(139)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바디(110)에는 메인 바디(110)에 포함된 하나의 구성이 동작됨에 따라 다른 구성이 구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회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부(132)가 포함될 수 있다.
파지부(111)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를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지기 위해 구비된다. 파지부(111)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수직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아쇠(11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체(317)를 발사하기 위해 구비되고,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방아쇠(113)는 사용자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체(317)가 발사될 수 있으며, 이때 방아쇠(113)는 외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방아쇠(113)는 파지부(111)의 일 측 방향에 배치되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부(111)를 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의 검지나 중지로 방아쇠(113)를 당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턴 버튼(119)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스턴발생부(217)에서 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턴 버튼(1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5)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며, 방아쇠(113)와 파지부(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턴 버튼(119)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안전 레버(121)는 파지부(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구동 여부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안전 레버(121)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며, 안전 레버(12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구동 여부가 설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안전 레버(121)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양측에 배치된 안전 레버(121)는 동시에 동작된다. 그에 따라 안전 레버(121)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위치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당겨도 발사체(317)가 발사되지 않고, 스턴 버튼(119)을 눌러도 스턴발생부(217)에서 전기가 방전되지 않는다.
물론, 필요에 따라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양측에 배치된 안전 레버(121)가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좌측에 배치된 안전 레버(121)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발사체(317) 발사 여부를 제어하고, 우측에 배치된 안전 레버(121)는 스턴발생부(217)의 전기 방전 여부를 제어하는 등과 같이, 양측에 배치된 안전 레버(121)가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25)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위치나 작동 로그(log)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25)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후면 상부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를 파지하였을 때, 쉽게 표시부(125)를 통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5)에 표시되는 정보는 회로 동작 상태와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표시부(125)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화면 터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고,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가늠자(127)는 실린더 바디(210)에 배치된 가늠쇠(227)와의 조합으로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되는 발사체(317)의 도달 위치를 가늠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에 따라 가늠자(127)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가지고, 홈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늠자(127)와 가늠쇠(227)를 통해 조준된 위치는 제1 발사구(213)에서 발사된 발사체(317)의 도달 위치를 가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린더 분리버튼(129)은 메인 바디(110)에서 실린더 바디(210)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실린더 분리버튼(129)을 누르면 메인 바디(110)에서 실린더 바디(21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바디(210)는 메인 바디(1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210)의 하부는 메인 바디(110)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실린더 분리버튼(129)이 눌리면, 실린더 바디(210)의 상부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1)에 카트리지(310)를 삽입하거나 실린더(211)에서 카트리지(310)를 제거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파지부(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31)는 필요에 따라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분리될 수 있게 장착된다. 그에 따라 파지부(111)의 후면에 배터리(131)를 분리하기 위한 배터리 분리버튼(131a)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사용자가 배터리 분리버튼(131a)을 누르면, 파지부(111)의 아래쪽으로 배터리(131)가 분리되는 구조로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31)의 하부면에 배터리(131)의 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131b, 예컨대 수 개의 LED)가 배치될 수 있고, 표시기(131b)의 일 측에 배터리(131)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버튼(131c)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131) 자체에 배터리(131)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버튼(131c)과 표시기(131b)가 배치됨에 따라 배터리(131)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나 분리되어 있을 때 어느 때라도 배터리(131)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31)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직류 전원이 배터리(131)에 공급되면 별도의 충전장치가 없더라도 배터리(131)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부(133)는 배터리(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131)에서 공급된 전력을 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고전압부(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3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부(133)에서 생성된 고접압의 전력은 내부 배선과 회로부(132)를 통해 실린더 바디(210)의 실린더(211)에 장착된 카트리지(310)에 전달되거나 또는, 스턴발생부(217)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모듈(139)은 본 실시예에서, 항법위성으로부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통신모듈(139)은 항법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안테나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부품과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39)을 통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가 통신모듈(139)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39)에 저장되는 정보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로그인 정보, 위치정보, 발사각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통신모듈(139)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발사체(317)의 발사 각도와 같은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자이로센서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체(317)의 발사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에서 감지된 발사체(317)의 발사 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소정의 각도 범위를 벗어나 발사체(317)가 발사되는 경우, 발사체(317)가 발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발사체(317)의 발사 각도에 따라 발사체(317)의 발사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회로부(132)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39)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부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무선 통신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기기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가 일정 거리(예컨대, 5m) 이상 이격되면, 무선 통신기기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39)은 외부의 무선 통신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통신기기에서 알람 등이 작동되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 바디(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며, 실린더 바디(210)의 일 측이 메인 바디(110)와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따라 실린더 바디(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210)의 하부가 메인 바디(11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 바디(210)는 실린더(211), 제1 발사구(213), 제2 발사구(215), 스턴발생부(217), 제1 레이저부(219), 제2 레이저부(221), 플래시(223) 및 가늠쇠(227)를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 바디(210)는 메인 바디(110)와 힌지 결합된 하부를 통해 메인 바디(110)에서 연장된 복수의 배선이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바디(110)에서 전달된 전력을 복수의 배선을 통해 카트리지(310), 스턴발생부(217), 제1 레이저부(219), 제2 레이저부(221) 및 플래시(223)로 전달할 수 있다.
실린더(21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실린더 바디(210)에 결합된다. 실린더(211)에는 카트리지(310)가 삽입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여섯 개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이 형성된다.
실린더 바디(210)의 전면에는 제1 발사구(213), 제2 발사구(215), 스턴발생부(217), 제1 레이저부(219), 제2 레이저부(221) 및 플래시(223)가 형성된다.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는 방아쇠(113)가 당겨지면 발사체(317)가 발사되기 위해 구비되며,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에서 동시에 발사체(317)가 각각 발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일정 각도로 벌어져 배치될 수 있다(예컨대, 각 2도)
스턴발생부(217)는 스턴 버튼(119)이 눌려지면 전기가 방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턴발생부(217)는 두 개의 전극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두 개의 전극은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두 개의 전극 사이에서 고전압의 전기가 방전될 수 있다.
스턴발생부(217)에서 방전되는 전기는 고전압부(133)에서 인가된 고전압의 전기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턴 버튼(119)을 눌러 스턴발생부(217)에서 고전압의 전기가 방전된 다음, 사용자가 스턴발생부(217)와 접촉하면 사용자가 스턴발생부(217)에 잔류된 고전압의 전기에 의해 감전될 위험이 있다. 그에 따라 고전압부(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덴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콘덴서는 스턴발생부(217)에 잔류된 고전압의 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콘덴서는 회로부(13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는 실린더 바디(2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1 레이저부(219)는 제1 발사구(2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레이저부(221)는 제2 발사구(215)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레이저부(219)에서 방출된 레이저는 표적에 제1 발사구(213)에서 발사된 발사체(317)가 도달하는 위치에 조사되고, 제2 레이저부(221)에서 방출된 레이저는 표적에 제2 발사구(215)에서 발사된 발사체(317)가 도달하는 위치에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는 사용자가 안전 레버(121)를 사용 위치로 이동하면 발광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표시부(125)가 터치패드로 구비되어, 표시부(125)에서의 조작으로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실린더 바디(2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레이저부(22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사용자가 안전 레버(121)를 사용 위치에 위치하면 발광된다. 또한, 플레시(223)는 표시부(125)에서의 조작으로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카트리지(310)는 내부에 하나의 발사체(317)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내부에 배치된 발사체(317)가 발사된다. 이러한 카트리지(310)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는 두 개의 메인 바디커버(110a)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 바디(210)는 두 개의 실린더 바디커버(210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각 세부 구성의 동작에 대해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방아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방아쇠(113)의 동작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아쇠(113)는 여러 구성이 포함된 모듈의 구조를 가지며, 방아쇠(113)의 뒤쪽에 방아쇠바(113a)가 배치된다. 방아쇠바(113a)는 방아쇠(113)와 같이 움직인다. 그리고 메인 바디(110) 내에 방아쇠바(113a)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가 배치된다.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는 각각 중앙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홈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그에 따라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는 방아쇠바(113a)가 중앙의 홈 내에 위치하는지 중앙의 홈에서 벗어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는 각각 위치 센서일 수 있다.
즉,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내에 방아쇠바(113a)가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방아쇠(113)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방아쇠바(113a)가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 사이에 위치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5, 117) 모두에서 벗어나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방아쇠(113)가 당겨지고 있는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살짝 당긴 상태이다. 또한,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 내에 방아쇠바(113a)가 위하고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방아쇠(113)가 완전히 당겨진 상태이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5, 117)를 이용하여 세 가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방아쇠바 감지부(115) 내에 방아쇠바(113a)가 위치한 경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는 동작하지 않는다. 방아쇠바(113a)가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5, 117)의 사이에 위치한 경우, 방아쇠(113)가 조금 당겨진 상태로,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에 전원이 공급되어 각각 레이저가 발광될 수 있다.
그리고 방아쇠바(113a)가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 내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를 통해 각각 발사체(317)가 발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방아쇠(113)를 당겨 방아쇠바(113a)가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7) 내에 계속 위치는 경우, 카트리지(310)에 지속적으로 고전압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안전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레버(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로 구성되며,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안전 레버(121)가 회전되는 회전축의 하부에 안전 레버바(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 레버바(121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레버바(121a)의 하부에 안전 레버바 감지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안전 레버바 감지부(123)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115, 117)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양측이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안전 레버바 감지부(123)는 홈에 안전 레버바(121a)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 레버바(121a)가 안전 레버바 감지부(123) 내에 위치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전원이 켜(On)지며, 안전 레버바(121a)가 안전 레버바 감지부(123)에서 벗어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가 안전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안전 레버바(121a)의 위치에 따른 설정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가 안전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당기더라도 발사체(317)가 발사되지 않으며, 스턴 버튼(119)을 누르더라도 스턴발생부(217)에 전기가 방전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출력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발사체를 제거하지 않고 스턴 건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고전압부(133)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의 전력은 스턴발생부(2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카트리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부(133)에서 발생된 고전압의 전력이 스턴발생부(217)를 통해 방전시키기 위해 스턴 버튼(119)이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부(133)에서 발생된 고전압의 전력이 카트리지(310)에 전달되도록 방아쇠(113)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고전압부(133)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의 전력을 별도의 스위치 회로부(134)를 구성하여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카트리지(310)의 발사체(317)를 제거하는 등의 추가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스턴발생부(217) 및 카트리지(310)에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메인 바디와 실린더 바디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메인 바디(110)와 실린더 바디(210)는 실린더 분리버튼(129)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와 실린더 바디(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 분리버튼(129)을 누르면,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실린더 바디(210)에 걸림쇠(U1)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110)에 걸림홈(U2)이 형성된다. 즉, 실리더 바디와 메인 바디(110)의 결합은 걸림쇠(U1)가 걸림홈(U2)의 삽입되고,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걸림쇠(U1)가 걸려 실리더 바디와 메인 바디(110)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분리버튼(129)은 걸림홈(U2)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걸림쇠(U1)의 걸림을 푸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되어 있는 동안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는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 분리된 상태에서 방아쇠(113)가 당겨지면, 카트리지(310)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으로 고전압의 전력이 전달되고, 그로 인해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에서 전기가 방전될 위험이 있다. 또한,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스턴 버튼(119)이 눌리면, 실린더 바디(210)의 전면에 배치된 스턴발생부(217)에서 전기가 방전될 수 있다. 이렇게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가 동작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전기 충격이 가해질 위험이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는 마그넷(135)과 자기감지부(235)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포함된다. 마그넷(135)은 실린더 바디(210)에 배치되고, 자기감지부(235)는 메인 바디(110)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면, 자기감지부(235)에서 마그넷(135)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자기감지부(235)에서 마그넷(135)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는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자기감지부(235)에서 마그넷(135)의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별도로 안전 레버(121)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모든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서 분리되어 자기감지부(235)에서 마그넷(135)의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안전 레버(121)가 안전모드로 설정된 것과 같이,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방아쇠 동작에 따라 실린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당겨 발사체(317)를 발사한 다음, 실린더(211)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발사체(317)를 발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211)는 여섯 개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이 형성되므로 연속적으로 세 번에 걸쳐 발사체(317)를 발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아쇠(113)의 동작에 따라 실린더(211)를 회전시키기 위해 커플러 베이스(137) 및 커플러 리볼버(237)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구비된다. 커플러 베이스(137)는 메인 바디(110)에 배치되고, 커플러 리볼버(237)는 실린더 바디(210)에 배치된다. 커플러 리볼버(237)는 실린더(211)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210)가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면, 커플러 베이스(137)와 커플러 리볼버(237)가 서로 일면이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커플러 베이스(137)와 커플러 리볼버(237)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아쇠(113)의 동작에 의해 커플러 베이스(137) 및 커플러 리볼버(237)는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211)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며,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당겼다가 놓는 동안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당기는 동안 및 당긴 상태에서 커플러 베이스(137) 및 커플러 리볼버(237)는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가 방아쇠(113)를 놓아 방아쇠(113)가 원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에 커플러 베이스(137) 및 커플러 리볼버(237)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두 개의 발사체(317)가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에서 표적을 향해 발사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된 두 개의 발사체(317)는 나란한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발사체(317)는 t1의 각도(예컨대, 4도)를 가지고 발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두 개의 발사체(317)는 발사되는 동안 서로의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발사체(317)가 발사되는 각도와 마찬가지로,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에서 발광된 레이저의 각도도 t2의 각도(예컨대, 4도)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레이저부(219) 및 제2 레이저부(221)에서 발광된 레이저들의 위치를 향해 두 개의 발사체(317)가 발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발사구(213)를 통해 발사된 발사체(317)는 수평 방향의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t1/2의 각도(예컨대, 2도)로 발사될 수 있고, 제2 발사구(215)를 통해 발사된 발사는 수평 방향의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t1/2의 각도(예컨대, 2도)로 발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211)는 회전축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실린더(211)의 회전축은 앞서 설명한 수평 방향의 가상의 선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실린더(211)의 회전축에서 연장된 선이 수평 방향의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린더(211)에 형성된 카트리지 삽입홀(211a)들은 실린더(211)의 회전축과 t1/2(예컨대, 2도) 만큼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에서 발사체에 연결된 와이어(W)를 절단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사체(317)가 발사되는 동안 발사체(317)에는 와이어(W)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사체(317)가 발사되어 표적에 발사체(317)가 꽂인 동안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고전압의 전력을 발사체(317)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한번 발사체(317)를 발사한 다음, 다음의 발사체(317)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발사체(317)에 연결된 와이어(W)를 끊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아쇠(113)가 당겨진 다음 원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 실린더(211)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절단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와이어(W)를 절단하기 위해 실린더(211)의 전방에 블레이드 회전체(239)가 배치될 수 있고, 블레이드 회전체(239)의 전방에 블레이드 회전체(239)와 일면이 맞닿도록 블레이드 베이스(241)가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회전체(239)는 실린더(211)에 형성된 복수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실린더(211)와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블레이드 베이스(241)는 실린더 바디(210)에 형성된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발사구(213) 및 제2 발사구(215)에 대응되도록 두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 베이스(241)는 실린더(211)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되지 않고, 실린더 바디(21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린더(211)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에 배치된 카트리지(310)에서 발사체(317)가 발사되면, 블레이드 회전체(239) 및 블레이드 베이스(241)에 각각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발사될 수 있다. 발사체(317)가 발사되면, 발사체(317)에 연결된 와이어(W)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연결된 상태인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회전체(239) 및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을 관통하여 와이어(W)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W)가 블레이드 회전체(239) 및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실린더(211)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 회전체(239)가 회전하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회전체(239)의 홀과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이 어긋날 수 있다. 블레이드 회전체(239)의 홀과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이 어긋남에 따라 블레이드 회전체(239)와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을 관통하는 와이어(W)가 절단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41a)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베이스(241)의 홀에 형성된 경사면(241a)으로 인해, 블레이드 회전체(239)와 블레이드 베이스(241)는 가위와 같이 동작하여 와이어(W)를 절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실린더에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 포함된 실린더(211)는 여섯 개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211)의 외면에 제1 접촉부(S1)의 일부가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제1 접촉부(S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카트리지(31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311), 내부 케이스(313), 전면 커버(315), 발사체(317), 뇌관 케이스(321), 와드(323)(wads), 뇌관 홀더(325), 뇌관(327) 및 전극 패드(329)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311)는 양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 측에 전면 커버(315)가 결합되고, 타 측에 뇌관 케이스(321)가 결합된다. 이때, 전면 커버(315)는 외부 케이스(311)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스(311)는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311)의 내측에 내부 케이스(313)가 배치되고, 내부 케이스(313)의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W)가 감겨 있을 수 있다. 내부 케이스(313)에 감긴 와이어(W)는 일단이 외부 케이스(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313)는 외부 케이스(311)와 마찬가지로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313)는 외부 케이스(311)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 케이스(313)와 외부 케이스(311)가 결합되는 위치에 뇌관 케이스(321)가 내부 케이스(313)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뇌관 케이스(321)는 대부분 내부 케이스(313)의 중공에 배치되고, 일단이 외부 케이스(311)의 중공을 덮도록 내부 케이스(31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케이스(313)는 외부 케이스(311)와 같이 전기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없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사체(317)는 내부 케이스(313)의 중공에 배치되고, 일 측에 전극침(319)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침(319)은 발사체(317)의 일 측에 결합되고, 전극침(319)의 일단에 표적에 꽂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발사체(317)는 전극침(319)을 비롯하여 몸체가 금속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사체(317)의 타 측에 와이어(W)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사체(317)와 외부 케이스(311)는 와이어(W)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311)를 통해 전달된 고전압의 전력이 와이어(W)를 따라 발사체(317)의 전극침(319)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발사체(317)가 발사되면서, 외부 케이스(311)에 결합된 전면 커버(315)를 밀어 전면 커버(315)가 외부 케이스(3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발사체(317)의 후방에 와드(323)가 배치될 수 있고, 와드(323)는 뇌관 케이스(321)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뇌관 케이스(321)는 타단이 외부 케이스(311)를 덮도록 형성되고, 일 측에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드(323)는 뇌관 케이스(321)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뇌관 케이스(321)의 내부에 뇌관 홀더(325) 및 뇌관(327)이 배치될 수 있다. 뇌관 홀더(325)는 내부에 뇌관(327)이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뇌관 케이스(321)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뇌관(327)은 뇌관 홀더(325) 내에 배치되며, 일 측이 뇌관 홀더(325)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타 측이 뇌관 홀더(325) 및 뇌관 케이스(321)를 관통하여 카트리지(310)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뇌관 홀더(325) 및 뇌관 케이스(321)를 관통하여 카트리지(310) 외부로 노출되는 뇌관(327)의 타 측은 뇌관 홀더(325) 및 뇌관 케이스(321)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뇌관 홀더(325)의 외부로 돌출된 뇌관(327)의 일 측은 뇌관 홀더(325)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뇌관 케이스(321)의 내부에 소정의 화약(GP)이 배치될 수 있으며, 와드(323)가 뇌관 케이스(321)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므로 화약(GP)이 뇌관 케이스(321)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극 패드(329)는 뇌관 케이스(321)의 타면에 배치되며, 카트리지(310)의 후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전극 패드(329)는 뇌관 케이스(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 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체(317)를 발사하기 위해 카트리지(310)에 전기신호를 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110)에 배치된 회로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이 배치된다. 제1 전극(P1)은 전극 패드(329)와 접촉되어, 뇌관 케이스(321)를 통해 뇌관 홀더(325)에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2 전극(P2)은 전극 패드(329)를 통해 뇌관(327)에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뇌관 홀더(325) 및 뇌관(327)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 뇌관(327)에 일정의 전력이 전달되고, 그에 따라 뇌관(327)과 접촉된 화약(GP)이 폭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약(GP)이 폭발됨에 따라 와드(323)가 내부 케이스(313)의 개방된 일면 방향으로 밀리면서 발사체(317)를 밀어 발사체(317)가 스마트 전기 충격기(100)에서 발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 충격기의 카트리지에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트리지(310)에서 발사체(317)가 발사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체(317)가 발사되면서, 내부 케이스(313)의 외주면에 감긴 와이어(W)가 풀리면서 발사체(317)와 외부 케이스(311)를 연결된다. 그에 따라 외부 케이스(311)와 발사체(317)는 와이어(W)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사체(317)를 발사시키기 위해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지만, 발사체(317)가 발사된 이후에는 외부 케이스(311)를 통해 발사체(317)에 고전압의 전력이 공급된다.
그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310)의 외부 케이스(311)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접촉부(S1) 및 제2 접촉부(S2)가 구비된다. 제1 접촉부(S1)는 일 측이 외부 케이스(311)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타 측이 제2 접촉부(S2)와 접촉된다. 그에 따라 제2 접촉부(S2)를 통해 공급된 고전압의 전력이 제1 접촉부(S1)를 통해 외부 케이스(311)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S1)는 실린더(211)에 배치되며, 제2 접촉부(S2)와 접촉되는 타단의 일부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310)의 외부 케이스(311)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S1)의 일단이 실린더(211)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의 내벽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S1)는 실린더(211)에 형성된 카트리지 삽입홀(211a)마다 배치되므로, 여섯 개의 카트리지 삽입홀(211a)이 형성된 실린더(211)에는 여섯 개의 제1 접촉부(S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촉부(S2)는 실린더 바디(210)에 배치되고, 메인 바디(110)에 배치된 고전압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접촉부(S2)는 두 개가 구비되어 실린더(211)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실린더 바디(210)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제2 접촉부(S2)는 실린더(211)의 회전으로 제1 접촉부(S1)와 접촉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S1) 및 제2 접촉부(S2)는 각각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전기 충격기
110: 메인 바디
110a: 메인 바디커버 111: 파지부
113: 방아쇠 113a: 방아쇠바
115: 제1 방아쇠바 감지부 117: 제2 방아쇠바 감지부
119: 스턴 버튼
121: 안전 레버 121a: 안전 레버바
123: 안전 레버바 감지부
125: 표시부 127: 가늠자
129: 실린더 분리버튼
131: 배터리 131a: 배터리 분리버튼
131b: 표시기(131a) 131c: 확인 버튼
132: 회로부 133: 고전압부
134: 스위치 회로부 135: 마그넷
137: 커플러 베이스 139: 통신모듈
210: 실린더 바디
210a: 실린더 바디커버
211: 실린더 211a: 카트리지 삽입홀
213: 제1 발사구 215: 제2 발사구
217: 스턴발생부
219: 제1 레이저부 221: 제2 레이저부
223: 플래시 227: 가늠쇠
235: 자기감지부 237: 커플러 리볼버
239: 블레이드 회전체 241: 블레이드 베이스
241a: 경사면
310: 카트리지
311: 외부 케이스 313: 내부 케이스
315: 전면 커버 317: 발사체
319: 전극침 321: 뇌관 케이스
323: 와드 325: 뇌관 홀더
327: 뇌관 329: 전극 패드
W: 와이어
P1: 제1 전극 P2: 제2 전극
S1: 제1 접촉부 S2: 제2 접촉부
U1: 걸림쇠 U2: 걸림홈
GP: 화약

Claims (34)

  1.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된 커플러 베이스; 및
    상기 커플러 베이스의 회전으로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커플러 리볼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바디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해 조작되는 방아쇠;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고, 상기 발사체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부; 및
    상기 고전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회로 동작 상태와 배터리 충전량을 표시하며, 제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에는 일 측에 방아쇠바가 형성되고,
    상기 방아쇠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방아쇠바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적에 상기 발사체가 꽂히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복수의 레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방아쇠바 감지부는 제1 방아쇠바 감지부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를 감지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고,
    상기 제2 방아쇠바 감지부에서 상기 방아쇠바를 감지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는, 상기 표시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구동 여부가 제어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의 발사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플래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기; 및
    상기 표시기에 충전량을 표시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에서 공급된 고전압의 전기를 방전하는 스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스턴발생부에서 고전압의 전기를 방출하기 위한 스턴 버튼이 배치된 스마트 전기 충격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또는 스턴발생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상기 발사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일 측에 안전 레버바가 형성된 안전 레버; 및
    상기 안전 레버바를 감지하는 안전 레버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안전 레버는 회전되도록 동작되며,
    상기 안전 레버바 감지부는 상기 회전되는 안전 레버바를 감지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에는 상기 실린더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시키는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걸림쇠를 풀어 상기 실린더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서 분리하기 위한 실린더 분리버튼이 배치된 스마트 전기 충격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실린더 바디는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되어 분리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마그넷; 및
    상기 실린더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감지부에서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상기 발사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18. 삭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베이스는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조작되는 동안 회전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된 다음 발사체가 발사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방아쇠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회전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상기 실린더에서 두 개가 발사되고,
    상기 두 개의 발사체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발사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저부는 두 개이고,
    상기 두 개의 레이저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사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2.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바디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면, 상기 발사된 발사체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형성된 발사구를 통해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배치된 블레이드 회전체; 및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블레이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체는 상기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베이스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베이스의 홀은 경사면이 형성된 스마트 전기 충격기.
  25.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바디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표적에 꽂히도록 일 측에 전극침이 배치된 발사체;
    상기 발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발사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와이어;
    일 측으로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타 측을 밀폐하도록 배치된 뇌관 케이스; 및
    상기 뇌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뇌관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뇌관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뇌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뇌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뇌관 홀더;
    상기 뇌관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배치된 와드; 및
    상기 뇌관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뇌관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상기 전극 패드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 패드를 통해 상기 뇌관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중 하나는 상기 뇌관 케이스를 통해 상기 뇌관 홀더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뇌관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카트리지 삽입홀 내부에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배치된 제1 접촉부; 및
    상기 실린더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 케이스에 고전압의 전력을 전달하는 제2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3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상기 2차 전지는 외부의 충전장치 없이 직류 전원의 공급으로 충전되도록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3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턴발생부에서 고전압이 방전되면, 방전 후 상기 스턴발생부의 잔류 고전압의 전기를 제거하는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발사체의 발사 각도가 설정된 소정의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자이로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34. 표적에 꽂혀 상기 표적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자부품이 포함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실린더에서 발사되는 상기 발사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발사구를 통해 발사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서의 조작으로 고전압의 전기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바디의 전면에 스턴발생부가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표적에 꽂히도록 일 측에 전극침이 배치된 발사체;
    상기 발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발사체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와이어;
    일 측으로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타 측을 밀폐하도록 배치된 뇌관 케이스; 및
    상기 뇌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뇌관을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 충격기.
KR1020170140883A 2017-10-27 2017-10-27 스마트 전기 충격기 KR10187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83A KR101872709B1 (ko) 2017-10-27 2017-10-27 스마트 전기 충격기
US16/172,170 US10809040B2 (en) 2017-10-27 2018-10-26 Smart electric sh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83A KR101872709B1 (ko) 2017-10-27 2017-10-27 스마트 전기 충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709B1 true KR101872709B1 (ko) 2018-07-02

Family

ID=6291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883A KR101872709B1 (ko) 2017-10-27 2017-10-27 스마트 전기 충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09040B2 (ko)
KR (1) KR10187270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8388B1 (en) 2015-12-28 2019-05-14 Taser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rtridge used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KR102015777B1 (ko) 2018-10-09 2019-08-29 대한민국 테이저건 레이저 조준점 변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테이저건
KR102102261B1 (ko) * 2018-12-28 2020-04-20 이화정 발사형 전기 충격기 및 발사형 전기 충격기의 제어 방법
WO2020096545A3 (en) * 2018-07-20 2020-07-09 Albayraklar Savunma Teknoloji̇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novel electroshock weapon
WO2020180404A3 (en) * 2019-01-18 2020-12-03 Axon Enterprise, Inc. Unitary cartridge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WO2021002922A3 (en) * 2019-04-30 2021-03-11 Axon Enterprise, Inc. Polymorphic conducted electrical weapon
KR102409663B1 (ko) 2021-10-20 2022-06-16 권정수 전기충격용 호신봉
US11920903B2 (en) 2021-06-11 2024-03-05 Axon Enterprise, Inc. Magazine interposer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994369B2 (en) 2020-01-17 2024-05-28 Axon Enterprise, Inc. Vehicle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1953B2 (en) * 2017-03-30 2020-08-04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deployment unit of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CN117367215A (zh) 2020-03-05 2024-01-09 安克森企业有限公司 用于传导型电动武器的串行电极部署
TW202311697A (zh) * 2021-06-21 2023-03-16 美商愛克勝企業公司 用於傳導式電性武器之彈藥筒識別符
CA3232730A1 (en) * 2021-09-22 2023-09-14 Michael E. Gish Weapon with indicator activated based on 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48Y1 (ko) * 2002-08-24 2003-01-29 임택순 착탈형 분사기와 전자충격기
KR101044587B1 (ko) * 2005-09-13 2011-06-29 테이저 인터내셔널 아이앤씨 다중 기능 전자식 무기류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105382B (zh) * 2007-07-25 2012-01-25 陆宝兴 一种五连发多功能防暴枪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178A (en) * 1877-05-22 Improvement in revolving fire-arms
US7100514B2 (en) * 2003-08-13 2006-09-05 Harrington Group Ltd. Piezoelectric incapacitation projectile
US9025304B2 (en) * 2005-09-13 2015-05-05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weaponry
US8441771B2 (en) 2009-07-23 2013-05-14 Taser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weaponry with current spreading electrode
EP3019811A2 (en) * 2013-07-09 2016-05-18 Berger, Rory Projectile delivery system with variable velocity control
US10015871B2 (en) * 2016-02-23 2018-07-03 Taser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48Y1 (ko) * 2002-08-24 2003-01-29 임택순 착탈형 분사기와 전자충격기
KR101044587B1 (ko) * 2005-09-13 2011-06-29 테이저 인터내셔널 아이앤씨 다중 기능 전자식 무기류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105382B (zh) * 2007-07-25 2012-01-25 陆宝兴 一种五连发多功能防暴枪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1255B2 (en) 2015-12-28 2022-01-25 Axon Enterpris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rtridge used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828572B2 (en) 2015-12-28 2023-11-28 Axon Enterprise, Inc. Cartridge cap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0288388B1 (en) 2015-12-28 2019-05-14 Taser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rtridge used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530904B2 (en) 2018-07-20 2022-12-20 ALBAYRAKLAR SAVUNMA TEKNOLOJi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Electroshock weapon
WO2020096545A3 (en) * 2018-07-20 2020-07-09 Albayraklar Savunma Teknoloji̇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novel electroshock weapon
KR102015777B1 (ko) 2018-10-09 2019-08-29 대한민국 테이저건 레이저 조준점 변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테이저건
KR102102261B1 (ko) * 2018-12-28 2020-04-20 이화정 발사형 전기 충격기 및 발사형 전기 충격기의 제어 방법
WO2020180404A3 (en) * 2019-01-18 2020-12-03 Axon Enterprise, Inc. Unitary cartridge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041698B2 (en) 2019-01-18 2021-06-22 Axon Enterprise, Inc. Unitary cartridge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846493B2 (en) 2019-01-18 2023-12-19 Axon Enterprise, Inc. Polymorphic conducted electrical weapon
WO2021002922A3 (en) * 2019-04-30 2021-03-11 Axon Enterprise, Inc. Polymorphic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867481B2 (en) 2019-04-30 2024-01-09 Axon Enterprise, Inc. Polymorphic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994369B2 (en) 2020-01-17 2024-05-28 Axon Enterprise, Inc. Vehicle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11920903B2 (en) 2021-06-11 2024-03-05 Axon Enterprise, Inc. Magazine interposer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KR102409663B1 (ko) 2021-10-20 2022-06-16 권정수 전기충격용 호신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9040B2 (en) 2020-10-20
US20190128650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09B1 (ko) 스마트 전기 충격기
US78911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 and remote stun functions in electronic weaponry
KR100989530B1 (ko) 전자식 무기를 위한 전개 유닛
US20240035794A1 (en) Separating primer cup of a propulsion module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201202622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Control Device With Deactivation Alert
TWI326351B (en) System and methods for multiple function electronic weaponry
TW202314186A (zh) 用於傳導式電子武器之具有內表面溝槽之彈筒
TWI836461B (zh) 用磁鐵偵測彈匣種類的方法、彈匣以及應用其的傳導式電子武器
CN213902095U (zh) 警用远程电击器
TW202311698A (zh) 用磁鐵偵測彈匣種類的方法
RU2762943C1 (ru) Способ экстракции картриджа электрошо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артридж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 электрошо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картридж
TW202328627A (zh) 由傳導式電性武器的槍套感測
TW202223328A (zh) 一種新的電擊武器
KR20240028433A (ko) 전도성 전기 무기용 카트리지 식별기
CN114279269A (zh) 一种警用远程电击器
TW202307391A (zh) 用於導電武器的安全開關
TW202328628A (zh) 基於位置啟用指標器的武器
TW202307389A (zh) 用於導電性武器的匣插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