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63B1 - 전기충격용 호신봉 - Google Patents

전기충격용 호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63B1
KR102409663B1 KR1020210180183A KR20210180183A KR102409663B1 KR 102409663 B1 KR102409663 B1 KR 102409663B1 KR 1020210180183 A KR1020210180183 A KR 1020210180183A KR 20210180183 A KR20210180183 A KR 20210180183A KR 102409663 B1 KR102409663 B1 KR 10240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self
rod
defense
protecti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Original Assignee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filed Critical 권정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2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4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with electric stunning-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신봉의 끝단에 전기충격바늘이 결합되어 범법자의 제압 시 범법자의 의류를 뚫고 피부에 접하면서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내측 끝단에 구비되는 뾰족한 전기충격바늘이 평상시에는 호신봉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호신봉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범법자의 옷을 뚫고 피부에 접하며,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통해 전기를 충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범법자가 착용한 의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동안만 전기가 충격되고 자동적으로 전기의 충격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범법자를 쉽게 제압할 수 있으면서도, 범법자일지라도 소중한 인명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충격용 호신봉{self-defense rod for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전기충격용 호신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신봉의 끝단에 전기충격바늘이 결합되어 범법자의 제압 시 범법자의 의류를 뚫고 피부에 접하면서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에 관한 발명이다.
전기충격기는, 일반적인 호신용품과 달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고전압을 이용하여 치한을 퇴치할 수 있도록 제작됨으로써 상대방에게 심리적 공포심을 유발시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장 우수한 호신장비의 하나이다. 또한 전기충격기는 힘이 약한 노약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범죄 예방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기충격기는 두꺼운 옷을 입은 범법자에게는 사용을 하여도 전기 충격이 전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일정 거리 이상의 거리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테이저건(Taser Gun)과 같은 발사형 전기 충격기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전선이 달린 전극(전기 침) 두 개가 동시에 발사되고 이 전기 침에 맞으면 중추신경계가 일시적으로 마비되기도 한다.
이는 기절시키는 종이라는 의미로 스턴건(Stun gun)이라고도 하는데, 테이저건의 유효 사거리는 5~6미터로서, 전압은 법 규정상 6만 볼트이내로 되어 있으며, 전압은 매우 높은 반면, 전류는 수mA로 매우 적다.
그러므로, 치명적인 살상 능력은 없으나 탐침이 발사되어 피부에 박힌 형태로 장시간 충격을 가할 염려가 있으며, 피부 표면충격보다 훨씬 강한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특성상 충격이 중추신경계가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쓰러지기도 하고,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해외에선 사망사건들도 간간히 들려오고 있다.
또한, 다른 단점으로는 전기 침 끝단이 낚시 바늘 형태로 되어 바늘이 신체를 뚫고 들어간 상태에서 장시간 전기충격이 됨으로써, 범법자가 신경마비를 일으키거나 졸도를 하는 극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여 인명의 안전에 위협을 가할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70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범법자가 착용한 의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동안만 전기가 충격되고 자동적으로 전기의 충격이 정지되도록 하여 범법자에게 너무 과한 전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한 옷의 두께가 달라지는 겨울철과 여름철에 따라 간단하게 전기충격바늘의 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길이를 신축하여 휴대하고,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이를 길게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이용하여 범법자에게 충격을 가하기 전에 범법자가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범법자에게 전기충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내측 끝단에 구비되는 뾰족한 전기충격바늘이 평상시에는 호신봉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호신봉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범법자의 옷을 뚫고 피부에 접하며,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통해 전기를 충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충격바늘은 지지부에 형성되어 호신봉의 내측에 삽입 위치하며, 상기 호신봉의 끝단에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신봉의 외측을 감싸며 보호캡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끝단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형태의 걸림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보호캡의 끝단 사이에는 탄성체가 체결되어, 상기 보호캡이 탄성체를 가압하면서 전기충격바늘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캡이 원상태로 복귀하며 전기충격바늘이 보호캡의 내측에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캡의 끝단에는 상기 전기충격바늘이 노출 가능하도록 작동공이 관통 형성된 마개가 결합되며,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를 조절하여 상기 전기충격바늘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캡의 내측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를 보호캡에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 두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캡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측면에는 스프링볼이 탄성 결합되어,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의 스프링볼이 보호캡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시킨 후 걸림홈에 걸리도록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신봉은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2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의 호신봉은, 손잡이봉의 외측에 신축봉이 끼워져 결합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봉의 끝단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에는 횡방향으로 편심둘레홈이 형성되며, 상기 편심둘레홈에는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회동에 의하여 레버가 상기 편심둘레홈에 고정되면서 신축봉을 손잡이봉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신봉에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전기충격바늘에 전기를 공급시킨 후, 소정의 시간 후에는 자동으로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신봉의 끝단 측면에는 전기충격판이 더 구비되어, 범법자가 호신봉을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전기충격판을 통해 전기가 충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범법자가 착용한 의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동안만 전기가 충격되고 자동적으로 전기의 충격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범법자를 쉽게 제압할 수 있으면서도, 범법자일지라도 소중한 인명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범법자가 착용한 옷의 두께가 달라지는 겨울철과 여름철에 따라 간단하게 전기충격바늘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길이를 신축하여 휴대하고,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이를 길게 늘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범법자가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범법자에게 전기충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신축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전기충격바늘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의 일부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의 일부 단면 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전기 충격용 호신봉의 손잡이봉과 신축봉의 연결부위의 단면 작동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에서 보호캡과 마개에 나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예시도
도 8은 마개가 보호캡에 나사 결합된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얇은 옷을 입은 범법자의 신체에 접촉시키고, 가압하는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예시도
도 9는 마개가 보호캡에 나사 결합된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두꺼운 옷을 입은 범법자의 신체에 접촉시키고, 가압하는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용 호신봉에서 보호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마개에는 스프링볼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예시도
도 11은 마개와 보호캡이 스프링볼에 의해 결합된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얇은 옷을 입은 범법자의 신체에 접촉시키고, 가압하는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예시도
도 12는 마개와 보호캡이 스프링볼에 의해 결합된 전기충격용 호신봉을 두꺼운 옷을 입은 범법자의 신체에 접촉시키고, 가압하는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7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봉(110)과, 신축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신축봉(120), 그리고, 신축봉(120)의 끝단에 결합되는 보호캡(130)과 전기충격바늘(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봉(110)과 신축봉(120)은 신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봉(110)의 끝단에는 걸림단(111)이 형성되며, 걸림단(111)에는 횡방향으로 편심둘레홈(112)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편심둘레홈(112)에는 대략 단면이 T자 형상의 레버(113)의 기초면(114)이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데,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면서도 손잡이봉(110)의 회동에 의해 레버(113)가 편심둘레홈(11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레버(113)의 기초면(114) 위쪽에 튀어나온 돌출편(115)이 신축봉(12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방향홈(121)에 끼워져 신축봉(120)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손잡이봉(100)의 회동에 의하여 레버(113)가 편심둘레홈(11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봉(110)의 걸림단(111)에 형성된 편심둘레홈(11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는 편심원이며, 레버(113)의 기초면(114)이 움직일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봉(110)을 회동시키면, 레버(113)의 돌출편(115)이 손잡이봉(110)의 길이방향홈(121)에 유지된 상태에서 레버(113)의 기초면(114)이 얕은 홈으로 이동되어, 어느 정도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113)가 기초면(114)이 견고히 밀착되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유지되어서 손잡이봉(110)과 신축봉(120)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캡(130)은 신축봉(120)의 끝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신축봉(120)의 끝단에는 돌기부(122)가 돌출 형성되고, 보호캡(130)의 일측 끝단에는 돌기부(122)에 걸리는 형태의 걸림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캡(130)의 내측에는 지지부(141)와 접하도록 탄성체(150)가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보호캡(130)의 끝단에는 탄성체(150)를 지지하는 마개(1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마개(160)는 전기충격바늘(140)이 노출 가능하도록 작동공(16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캡(130)의 끝단 내측과 마개(160)의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개(160)를 보호캡(130)과 결합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마개(160)가 보호캡(130)의 내측으로 삽입 되면서 전기충격바늘(140)의 노출 길이가 상이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3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홈(132)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32)의 끝단에는 복수의 걸림홈(13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개(160)의 측면에는 스프링볼(162)을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여름철과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32)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길이가 다른 가이드홈(132)의 끝단에 걸림홈(133)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홈(133)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마개(160)의 스프링볼(162)이 보호캡(13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32)과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슬라이딩 시키면, 스프링볼(162)이 탄성 가압되면서 미끄러져 걸림홈(133)에서 돌출되면서 걸려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전기충격용 호신봉(110), 즉, 신축봉(120)의 끝단 내부에는 전기충격바늘(140)이 구비되는 지지부(141)가 삽입 결합되며, 전기충격바늘(140)은 손잡이봉(110)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116)와 연결되어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116)는 충전이 가능한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116)로부터 전기충격바늘(14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70)가 구비되며, 작동스위치(170)의 작동에 의해 전기충격바늘(140)에 전기를 공급한 후, 소정의 시간, 예를들어 미리 설정하여 둔, 예를들어 10초, 15초, 20초 등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 후에는 전기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전기 충격으로 인하여 범법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의 끝단, 바람직하게는 신축봉(120)의 끝단에는 작동스위치(170)의 작동에 의해 전기충격바늘(140)과 함께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는 동판으로 되는 전기충격판(171)이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의 신축봉(120)을 잡아당겨 늘린 후 회전시킨다.
신축봉(120)의 회전에 의해 레버(113)의 기초면(114)이 길이방향홈(121)의 깊은 홈에서 얕은 홈으로 이동하면서 손잡이봉(110)에서 신축봉(120)이 견고히 고정되어 움직임이 제어된다.
그리고, 작동스위치(170)를 작동시켜 전기가 전기충격바늘(140) 측으로 공급되게 한 후 범법자의 신체를 찌른다. 평상시에는 보호캡(130)의 내측에 위치하던 전기충격바늘(140)은, 보호캡(13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전기충격바늘(140)이 범법자가 착용한 옷(10)을 뚫고 들어가 신체(20)에 접하면서, 범법자에게 순간적으로 전기 충격을 하게 되어, 범법자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즉, 보호캡(130)이 범법자의 신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슬라이딩하면서 밀리게 되고, 탄성체(150)도 가압되면서 전기충격바늘(140)이 점차 노출되게 되어 범법자의 옷(10)을 뚫고 들어갈 정도로 길게 노출되게 된다.
이때, 겨울철 등 범법자가 두꺼운 옷(10)을 착용한 경우에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충격바늘(140)의 노출이 더 길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보호캡(130)에 결합되는 마개(160)가 보호캡(130)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깊숙히 결합시킨다. 따라서, 전기충격바늘(140)은 외부로 긴 길이로 노출됨으로써, 두꺼운 옷(10)을 뚫고 들어가 범법자의 피부(20)를 찌르면서 전기 충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여름철 등 범법자가 얇은 옷(10)을 착용한 경우에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60)를 보호캡(130)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게 결합함으로써, 전기충격바늘(140)이 외부로 조금만 튀어나오게 되고, 범법자의 피부(20)에 얇게 찌르면서 전기 충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마개(160)를 보호캡(130)에 나사 결합시키면서 마개(1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마개(160)에 구비된 스프링볼(162)을 보호캡(130)의 가이드홈(132)에 위치시킨 후 가이드홈(132)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면, 스프링볼(162)이 가이드홈(132)을 따라 움직인 후 걸림홈(133)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홈(132)에 걸림홈(133)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는 첫번째 걸림홈(133)은 여름철에 사용하고 더 깊은 위치의 걸림홈(133)은 겨울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132)이 복수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 걸림홈(13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여름철에는 짧은 길이로 되는 가이드홈(132)을 이용하고, 겨울철에는 긴 길이로 되는 가이드홈(132)을 사용하여 전기충격바늘(140)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을 이용하여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할 때, 범법자가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을 손으로 잡고 전기 충격을 피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의 끝단에 구비된 전기충격판(171)에서도 전기가 공급되어 범법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범법자를 제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범법자를 제압하기 위해 작동스위치(170)를 작동시킨 후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기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범법자에게 장시간 전기가 충격되어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기충격용 호신봉(100)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신축봉(120)의 길이를 늘릴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레버(113)의 기초면(114)이 길이방향홈(121)의 얄은 홈에서 깊은 홈으로 이동하면서 손잡이봉(110)에서 신축봉(120)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신축봉(120)을 손잡이봉(110)과 중첩되도록 한 후, 다시 신축봉(120)을 회전시켜 고정시킨 후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100 : 전기충격용 호신봉 110 : 손잡이봉
111 : 걸림단 112 : 편심둘레홈
113 : 레버 114 : 기초면
115 : 돌출편 120 : 신축봉
121 : 길이방향홈 122 : 돌기부
130 : 보호캡 131 : 걸림대
132 : 가이드홈 133 : 걸림홈
140 : 전기충격바늘 141 : 지지부
150 : 탄성체 160 : 마개
161 : 작동공 162 : 스프링볼
170 : 작동스위치 171 : 전기충격판

Claims (9)

  1. 전기충격용 호신봉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용 호신봉의 내측 끝단에 구비되는 뾰족한 전기충격바늘이 평상시에는 호신봉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범법자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호신봉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범법자의 옷을 뚫고 피부에 접하며, 상기 전기충격바늘을 통해 전기를 충격하며,
    상기 전기충격바늘은 지지부에 형성되어 호신봉의 내측에 삽입 위치하며,
    상기 호신봉의 끝단에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호신봉의 외측을 감싸며 보호캡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끝단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형태의 걸림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보호캡의 끝단 사이에는 탄성체가 체결되어,
    상기 보호캡이 탄성체를 가압하면서 전기충격바늘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캡이 원상태로 복귀하며 전기충격바늘이 보호캡의 내측에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끝단에는 상기 전기충격바늘이 노출 가능하도록 작동공이 관통 형성된 마개가 결합되며,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를 조절하여 상기 전기충격바늘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내측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를 보호캡에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 두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측면에는 스프링볼이 탄성 결합되어,
    범법자가 착용한 의복에 따라 상기 마개의 스프링볼이 보호캡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시킨 후 걸림홈에 걸리도록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신봉은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2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단의 호신봉은,
    손잡이봉의 외측에 신축봉이 끼워져 결합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봉의 끝단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에는 횡방향으로 편심둘레홈이 형성되며,
    상기 편심둘레홈에는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회동에 의하여 레버가 상기 편심둘레홈에 고정되면서 신축봉을 손잡이봉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신봉에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전기충격바늘에 전기를 공급시킨 후, 소정의 시간 후에는 자동으로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신봉의 끝단 측면에는 전기충격판이 더 구비되어,
    범법자가 호신봉을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상기 전기충격판을 통해 전기가 충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용 호신봉.
  9. 삭제
KR1020210180183A 2021-10-20 2021-12-15 전기충격용 호신봉 KR10240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53 2021-10-20
KR20210139953 202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663B1 true KR102409663B1 (ko) 2022-06-16

Family

ID=8221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83A KR102409663B1 (ko) 2021-10-20 2021-12-15 전기충격용 호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532U (ja) * 2000-01-26 2000-08-04 株式会社岩田エレクトリック 金属探知器内蔵警棒装置
KR20020096255A (ko) * 2001-06-19 2002-12-31 실버레이 주식회사 전기충격기
KR101872709B1 (ko) 2017-10-27 2018-07-02 (주)인포스테크놀러지 스마트 전기 충격기
JP6464328B1 (ja) * 2017-06-05 2019-02-06 將二 寺田 護身用威嚇撃退装置
KR102308467B1 (ko) * 2020-12-03 2021-10-05 권정수 전기 충격용 신축 호신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532U (ja) * 2000-01-26 2000-08-04 株式会社岩田エレクトリック 金属探知器内蔵警棒装置
KR20020096255A (ko) * 2001-06-19 2002-12-31 실버레이 주식회사 전기충격기
JP6464328B1 (ja) * 2017-06-05 2019-02-06 將二 寺田 護身用威嚇撃退装置
KR101872709B1 (ko) 2017-10-27 2018-07-02 (주)인포스테크놀러지 스마트 전기 충격기
KR102308467B1 (ko) * 2020-12-03 2021-10-05 권정수 전기 충격용 신축 호신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564769B1 (de) Geraet zum Ausueben eines Elektroschocks im menschlichen Koerper
US3362711A (en) Night stick with electric shock means
US7525786B1 (en) Extendable electronic immobilization staff
US20120243141A1 (en) T.o.u.c.h.
CA2397197A1 (en) Animal stun gun
KR102409663B1 (ko) 전기충격용 호신봉
US6021572A (en) Hand-held self defense weapon with protective cover
US95994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lose quarters weapon
JPH09294816A (ja) 虫刺されの傷などを治療するための持ち歩き可能なデバイス
US8544178B2 (en) Weed cutter and chemical applicator
US5728003A (en) Pressure point device
GB2153054A (en) Defensive device
KR102308467B1 (ko) 전기 충격용 신축 호신봉
JP6464328B1 (ja) 護身用威嚇撃退装置
US4489943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KR200386061Y1 (ko) 강력 그물이 발사되는 체포 도구
DE1917161A1 (de) Granatwerfer mit Wurfgranate
JP2009047342A (ja) 刺股
CN209926987U (zh) 一种防暴约束网
US20070184907A1 (en) Guard Baton with Three Detachable Prongs
US20240027171A1 (en) Hand held anti-assault weapon
US4565372A (en) Personal defense device
CN216049431U (zh) 一种军用匕首
DE202012009521U1 (de) Handwaffe zur Erzeugung von Elektroimpulsen
RU2570519C1 (ru) Электрошок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