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781B1 -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781B1
KR101287781B1 KR1020130039913A KR20130039913A KR101287781B1 KR 101287781 B1 KR101287781 B1 KR 101287781B1 KR 1020130039913 A KR1020130039913 A KR 1020130039913A KR 20130039913 A KR20130039913 A KR 20130039913A KR 101287781 B1 KR101287781 B1 KR 10128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orrosion
batter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기
Original Assignee
권현기
(주)정도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기, (주)정도에너텍 filed Critical 권현기
Priority to KR102013003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다수의 태양광모듈(10)(10')(1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2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된 전원을 상기 배터리(20)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콘트롤러(30); 상기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을 부식대상물인 관로(P)로 인가하기 위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 및 상기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에서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에 관련된 전원인가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corrosion of pipe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환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생산된 전원으로 관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액화 천연가스 등의 수송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는 철 계열의 금속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로가 부식에 의하여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에 전기를 흘러주어 부식을 전기적으로 억제하는 전기방식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전기방식법이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6-75580에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본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부식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의 전기 부식방지장치는, 부식방지 대상물인 관로(1)에 근접한 곳에 부설된 양극(2)과, 상용전력을 60V 교류로 변환시키는 변압기(3), 변압기(3)에서 변환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기(4)를 포함한다. 이때 양극(2)과 관로(1), 정류기(4) 및 변압기(3)는 AC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AC 상용전원 공급선(5)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AC 상용전원 공급선(5)을 통하여 변압기(3)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은 정류기(2)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고, 이후 양극(2) 및 관로(1)에 인가되어 인위적으로 관로(1)가 낮은 전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전기 부식방지장치는, 한전으로부터 AC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장소에 매설된 관로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환경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전기를 이용한 부식방지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생산된 전원을 이용하여 관로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모듈 및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다수의 태양광모듈(10)(10')(1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2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된 전원을 상기 배터리(20)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콘트롤러(30); 상기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을 부식대상물인 관로(P)로 인가하기 위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 상기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에서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에 관련된 전원인가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 상기 관로(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및 상기 관로(P)의 저항값에 연동되어 상기 관로(P)가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필요전력계산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값 측정부(60); 상기 전력값 측정부(60)에서 측정된 각각의 상기 전력값을 상호 비교하는 비교부(70); 및 상기 비교부(70)에서 비교된 각각의 전력값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의 충전능력이 저하될 때 배터리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신호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신호를 원격지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는,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상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의 전압을 감압하는 전압감압부(41) 및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상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용 전류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류부(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P)로 인가되는 전원을 자가 발전함으로서 한전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오지등의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로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에 관련된 전원인가신호나, 태양광모듈이 이상동작할 때 발생되는 전력값 이상신호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배터리 교체신호가 원격지로 무선송신되므로, 원격지에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부식방지 대상인 관로의 길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력소모량을 알 수 있으므로, 적용할 수 있는 태양광모듈 및 배터리의 용량을 알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은 일본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부식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관로와 연결되는 부식방지 전원인가부 및 관로 저항값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2의 부식방지 전원인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전력값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관로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식방지 전원인가부 및 관로 저항값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2의 부식방지 전원인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전력값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직류 전원을 생산하는 다수의 태양광모듈(10)(10')(10")과; 태양광모듈(10)(10')(10")에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20)와;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된 전원을 배터리(20)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콘트롤러(30)와;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을 부식대상물인 관로(P)로 인가하기 위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와;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에서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에 관련된 전원인가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와; 태양광모듈(10)(10')(10")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값 측정부(60)와; 전력값 측정부(60)에서 측정된 각각의 전력값을 상호 비교하는 비교부(70)와; 비교부(70)에서 비교된 각각의 전력값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와; 관로(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관로 저항값 측정부(90)와; 관로(P)의 저항값에 연동되어 관로(P)에서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필요전력계산부(100)와; 배터리(20)의 충전능력이 저하될 때 배터리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와; 전원인가신호, 전력값 이상신호, 배터리 교체신호를 원격지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 전력값 측정부(60), 비교부(70),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필요전력계산부(100),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 및 무선송신부(120)는 제어부(미도시)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부식방지 대상물인 관로(P)는 물을 공급하거나 가스를 이용하는 관로로서 수중에 설치되거나 땅에 매설된다.
태양광모듈(10)(10')(10")은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구현되는 것으로서, 각각 발생된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접속단자함(10a)(10a')(10a")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함(10a)(10a')(10a")은 각각의 태양광모듈(10)(10')(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태양광모듈(10)(10')(10")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 즉 전압과 전류를 수집하여 콘트롤러(30)로 인가한다.
태양전지셀 한개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약 0.6V에 달하고, 전력생산용량은 크기에 따라 다르나 태양전지셀 한 개당 1.5와트(W) 정도 된다. 이러한 태양광모듈(10)(10')(1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셀의 개수는 관로(P)에서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 및 배터리(20)의 충전용량에 용량에 맞추어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태양광모듈을 3개로 한정하고, 각각의 태양광모듈(10)(10')(10")에 접속단자함(10a)(10a')(10a")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부식대상물인 관로(P)의 길이에 따라 많아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콘트롤러(30)는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된 전원이 배터리(20)에 충전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며 24V 또는 48V 로 변환한다.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되는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은 일사량이나 시간, 또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데, 콘트롤러(30)는 이러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값에도 배터리(20)가 전원을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배터리(20)는 콘트롤러(30)에 의하여 24V 또는 48V 로 변환된 전원을 충전하며, 배터리(20)의 충전용량은 부식대상물인 관로(P)에서 하루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의 적어도 3 배 이상이다. 이는 장마기간이나 흐린 날씨가 지속되어 태양광모듈(10)(10')(10")이 전력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관로(P)로 지속적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태양광모듈(10)(10')(10")이 수일동안 전원을 생산하지 못하더라도 배터리(20)는 관로(P)로 지속적인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 전원을 + 전극(40a) 및 - 전극(40b)을 통하여 관로(P)로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는 배터리(20)로부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의 전압을 감압하는 전압감압부(41)와, 배터리(20)로부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용 전류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류부(42)를 포함한다.
이때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는 관로(P)로 인가되는 전원을 태양광모듈이 아닌 배터리(20)로부터 공급받으므로, 태양광모듈(10)(10')(10")이 전원을 생산하지 않는 시간때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관로(P)에서 발생되는 부식은 부식전위(corrosion potential)에 의한 부식전류 (corrosion Current)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부식전위는 관로(P)를 구성하는 금속성분 및 저항값에 따라 다르다. 통상 부식전위는 수V, 예를 들면 -850 ~ - 2,500mV에 불과하다. 상기한 전압감압부(31)는 상기한 부식방지 전원의 전압값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20)로부터 출력되는 24V 또는 48V 의 전압을 수 V 내외로 감압하기 위한 것이다.
관로(P)를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발생하는 부식전류는 통상 수 mA 내외, 예를 들면 29.16 ~ 85.78mA 이다. 이러한 부식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부식전류의 크기만큼 부식방지용 전류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는데, 이때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용 전류가 일정하지 않으면 오히려 부식이 조장될 수 있다. 상기한 정전류부(32)는 배터리(20)의 충전용량에 관계없이 관로(P)로 일정한 양의 부식방지용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는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에서 관로(P)로 인가되는 전원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즉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는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에 해당하는 전원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압값 및 전류의 값은 후술할 무선송신부(120)에 의하여 관리서버(미도시)로 송신되어, 관리자는 관로(P)로 부식방지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는지를 원격지에서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력값 측정부(60)는, 태양광모듈(10)(10')(10") 각각에서 발생되는 전력(전압과 전류)을 측정한다. 각각의 태양광모듈(10)(10')(10")은 그를 구성하는 태양전지셀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쇼트나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생산되는 전력양이 변하게 되는데, 이상동작시 전력량의 변화를 전력값 측정부(60)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력값 측정부(60)는, 전압검지부(61)와, 전류검지부(62)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3)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전압검지부(61)는, 해당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검지하되 태양광모듈의 출력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3)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으로 분압하여 출력함으로써 정밀한 전압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류검지부(62)는, 해당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자계회로와 홀센서로 구성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3)는 측정된 전압 및 전류값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비교부(70)는, 전력값 측정부(60)에서 측정된 각각의 태양광모듈(10)(10')(10")의 전력값을 상호 비교한다. 즉, 비교부(70)는 다수의 태양광모듈(10)(10')(10")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전력값을 상호 비교하는데, 특정 태양광모듈의 전력값이 다른 다수의 태양광모듈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는 비교부(70)에서 상호 비교된 각각의 전력값의 차이가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즉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는, 특정한 태양광모듈의 전력값과 다른 다수의 태양광모듈의 전력값을 비교하였을 때, 전력값의 차이가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값 이상신호가 발생되면, 특정 전력 태양광모듈에 이상동작(고장)이 발생된 것이다.
관로 저항값 측정부(90)는 부식방지가 진행되는 관로(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관로(P)의 저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방지 전원을 인가하는 + 전극(40a) 및 - 전극(40b) 사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저항값에 따라 관로(P)가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값은 달라진다.
예를 들면, 관로(P)와 연결되는 + 전극(40a)과 - 전극(40b) 사이의 길이가 클 경우 + 전극(40a)과 - 전극(40b) 사이에서 저항값이 커지고, 반대로 관로(P)와 연결되는 + 전극(40a)과 - 전극(40b) 사이의 거리가 작을 경우 저항값은 작아진다.
필요전력계산부(100)는 관로 저항값 측정부(90)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연동되어, 부식방지를 위하여 관로(P)가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계산한다. 즉 필요전력계산부(100)는 관로 저항값 측정부(90)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의하여 특정 관로(P)에서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전력계산부(100)에 의하여, 본 관로부식 방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는 용량을 정할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및 필요전력계산부(100)에 의하여, 관로(P)에서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련된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의 용량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로(P)에서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이 크게 계산될 경우, 태양광모듈의 개수를 늘리고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할 것이다.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는, 불특정한 외부의 원인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20)의 충전능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다될 경우, 배터리 교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송신부(120)는 상기한 전원인가신호, 전력값 이상신호, 배터리 교체신호를 무선으로 관리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의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은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환경에 설치되므로, 상기한 전원인가신호, 전력값 이상신호, 배터리 교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유선라인을 설치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상기한 무선송신부(120)를 채용함으로써, 별도의 유선라인을 시공하지 않고도 전원인가신호, 전력값 이상신호, 배터리 교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송신부(120)에서 송신된 전원인가신호, 전력값 이상신호 및 배터리 교체신호는 원격지에 떨어진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전송되어, 원격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은 한전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 주로 설치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람이 잘 접근하지 않는 장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소에 설치된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는 지속적인 관리가 되지 않으며, 외부의 기온이나 습도요인, 과도한 눈이나 비에 의하여 예상치 못한 상태에서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상황에 의하여,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이상동작이 발생되면, 전력값 측정부(60), 비교부(70) 및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하여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배터리(20)의 충전능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다하면, 관로(P)로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부식방지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20)의 충전용량이 설정값보다 낮아질 경우,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는 배터리 교체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부식방지 대상인 관로(P)의 총 길이에 따라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값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적용되는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의 용량이 달라진다. 이러한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의 용량은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및 필요전력계산부(100)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관로(P)로 인가되는 전원을 자가 발전함으로서 한전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오지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관로(P)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원인가신호나, 태양광모듈(10)(10')(10")이 이상동작할 때 발생되는 전력값 이상신호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배터리 교체신호가 무선송신부(120)에 의하여 멀리 떨어진 원격지로 송신되므로, 원격지에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및 필요전력계산부(100)에 의하여, 부식방지 대상인 관로(P)의 총 길이에 따른 부식방지에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적용하기 위한 태양광모듈(10)(10')(10") 및 배터리(20)의 용량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10', 10" ... 태양광모듈 10a, 10a', 10a" ... 접속함
20 ... 배터리 30 ... 콘트롤러
40 ... 부식방지 전원인가부 40a, 40b ... + 및 - 전극
41 ... 전압감압부 42 ... 정전류부
50 ... 전원인가신호 발생부 60 ... 전력값 측정부
61 ... 전압검지부 62 ... 전류검지부
63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70 ... 비교부
80 ...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 90 ... 관로 저항값 측정부
100 ... 필요전력계산부 110 ...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
120 ... 무선송신부

Claims (6)

  1.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다수의 태양광모듈(10)(10')(1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 생산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20);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서 생산된 전원을 상기 배터리(20)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콘트롤러(30);
    상기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을 부식대상물인 관로(P)로 인가하기 위한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
    상기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에서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에 관련된 전원인가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인가신호 발생부(50);
    상기 관로(P)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관로 저항값 측정부(90); 및
    상기 관로(P)의 저항값에 연동되어 상기 관로(P)가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필요전력계산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10)(10')(10")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값 측정부(60);
    상기 전력값 측정부(60)에서 측정된 각각의 상기 전력값을 상호 비교하는 비교부(70); 및
    상기 비교부(70)에서 비교된 각각의 전력값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전력값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전력값 이상신호 발생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의 충전능력이 저하될 때 배터리 교체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교체신호 발생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신호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신호를 원격지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 전원인가부(40)는,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상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 전원의 전압을 감압하는 전압감압부(41) 및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상기 관로(P)로 인가되는 부식방지용 전류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류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KR1020130039913A 2013-04-11 2013-04-11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KR10128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13A KR101287781B1 (ko) 2013-04-11 2013-04-11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13A KR101287781B1 (ko) 2013-04-11 2013-04-11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781B1 true KR101287781B1 (ko) 2013-07-19

Family

ID=4899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913A KR101287781B1 (ko) 2013-04-11 2013-04-11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612B1 (ko) * 2014-06-09 2014-12-26 신동선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604A (en) * 1993-06-29 1994-11-22 Stilley Troy R Solar powered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system
KR20090047279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지하철 주변 누설전류 저감용 분산형 외부전원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20110136470A (ko) * 2010-06-15 2011-12-21 정영재 배터리 컨트롤러 및 그 배터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604A (en) * 1993-06-29 1994-11-22 Stilley Troy R Solar powered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system
KR20090047279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지하철 주변 누설전류 저감용 분산형 외부전원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20110136470A (ko) * 2010-06-15 2011-12-21 정영재 배터리 컨트롤러 및 그 배터리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612B1 (ko) * 2014-06-09 2014-12-26 신동선 강화유리 창문 파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3308B2 (en) Multi-circuit direct current monitor with Modbus serial output
US7349813B2 (en) Fault tolerant power system architecture for fluid flow measurement systems
ES2398819B1 (es) Aparato para la supervision del aislamiento de una red de tensión continua sin puesta a tierra, en especial una instalación fotovoltaica, e instalación con un aparato de este tipo
CN102812610B (zh) 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5557820B2 (ja) 太陽光発電設備
RU2441105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истемы катодной защиты с внешним током для пит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JP2010263027A (ja) 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及び方法
KR200457335Y1 (ko) 스마트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60001249A (ko)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219882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무선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11910188A (zh) 埋地钢质管道阴极保护的全智能测试装置以及测试桩
CN111206252A (zh) 基于同步授时的牺牲阳极状态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20090047279A (ko) 지하철 주변 누설전류 저감용 분산형 외부전원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101287781B1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관로 부식방지 시스템
CN110512215A (zh) 一种分布式易拆卸管道阴极保护及监控系统
US10720771B2 (en) Current/voltage control apparatus
KR20130005979A (ko) 태양광발전장치의 통합관리시스템
CN202872471U (zh) 利用环境微弱能量供电的间隙性数字式传感器工作电源
KR20210026665A (ko) 서버
JP2014033545A (ja) 発電効率保証装置及び発電効率保証方法並びに発電効率保証装置を備えた発電システム
KR101962329B1 (ko) 태양광발전 장치
Trung et al. A study on IoT/LPWA-based low power solar panel monitoring system for smart city
KR102227890B1 (ko) 비상전력 계통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10000191A (ko) 임피던스 추정을 이용한 전기방식 장치 및 방법
KR20200017585A (ko) 주택용 태양광발전 홈 에너지저장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