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45B1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45B1
KR100552745B1 KR1020030079372A KR20030079372A KR100552745B1 KR 100552745 B1 KR100552745 B1 KR 100552745B1 KR 1020030079372 A KR1020030079372 A KR 1020030079372A KR 20030079372 A KR20030079372 A KR 20030079372A KR 100552745 B1 KR100552745 B1 KR 10055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oor
airbag
door
crash pad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334A (ko
Inventor
차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수석에어백 전개시 도어부위가 펼쳐지면서 전방 윈드 글래스에 부딪히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패드(C)의 조수석부위에 운전자용 에어백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조수석용 에어백(A)과, 이 에어백(A)이 수용된 크래쉬패드(C)를 가리면서 전개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통해 크래시패드(C)로부터 분리되는 메인도어(1)와, 이 메인도어(1)가 전방윈드글래스(FW)쪽으로 열려 젖혀지도록 그 일단과 도어힌지(2)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메인도어(1)의 열림 방향과 반대로 젖혀져 메인도어(1)의 거동을 제한하도록 크래쉬패드(C)로부터 분리되는 구속도어(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Opening structure of passenger's air bag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 전개시 전방윈드글래스쪽으로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도어 2 : 도어힌지
3 : 구속도어 4 : 연동플레이트
5 : 연결플레이트 6 : 연동힌지
7 : 절개단 8 : 패드
A : 에어백모듈 C : 크래쉬패드
FW : 전방윈드글래스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윈드 글래스와 충돌하지 않도록 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시의 충격을 차체에 설치된 센서로 검출하여 마이컴에 입력하면 충격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시킬지 여부를 판정해 전개 필요시 전기신호를 인플레이터로보내 가스 발생재를 연소시켜서 에어백을 팽창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승개의 머리 및 흉부를 보호하여 스티어링 휠 또는 윈드글래스에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차량의 충돌의 형태 및 충돌속도에 의해서 각각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충돌로부터 충돌판정까지의 시간은 10ms이고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에어백이 완전하게 팽창하기까지의 시간은 30-40ms로 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이와 같은 극히 짧은 순간에 에어백은 승객을 멈추게 하여 보호하며 동시에 가스에 배출되는 것에 의해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줄어드는데, 이러한 모든 작동 완료시간은 약 0.100.15초 정도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또한, 에어백 시스템은 사고시 확실하게 작동하지 않으면 안되고 반대로 작동이 필요치 않을 때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해야 되기 때문에 장치의 높은 신뢰도가 요구됨은 물론이다.
한편, 차량 충돌 사고시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은 상체부위가 관성에 의해 전방 윈드 글래스측으로 쏠리게 되므로 크래쉬패드(crash pad)에 부딪치거나 심한 경우에 앞 유리창에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즉,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접혀져 조수석 전방의 크래쉬패드 내측으로 내장되어 있다가,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가스가 에어백 내로 공급되면서 부풀어져 조수석 탑승자의 상체 전면에 전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수석용 에어백은 그 전개 특성상 크래쉬패드의 일부분인 도어부위가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분리되면서 전방 윈도 글래스쪽으로 빠르게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가 전방 윈드 글래스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에는(특히 어드밴스드 에어백 타입의 조수석용 에어백의 경우 빈번하게 발생됨)도어의 전개 속도로 인해 도어가 균열되거나 파손되면서 그 파편(PPF 재질임)으로 인해 승객에게 2차 부상을 입히는 현상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수석에어백 전개시 도어부위가 펼쳐지면서 전방 윈드 글래스에 부딪히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패드의 조수석부위에 운전자용 에어백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조수석용 에어백과,
이 에어백이 수용된 크래쉬패드를 가리면서 전개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통해 크래시패드로부터 분리되는 메인도어 및
이 메인도어가 전방윈드글래스쪽으로 열려 젖혀지도록 그 일단과 도어힌지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메인도어의 열림 방향과 반대로 젖혀져 메인도어의 거동을 제한하도록 크래쉬패드로부터 분리되는 구속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패드(C)의 조수석부위에 운전자용 에어백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조수석용 에어백(A)과, 이 에어백(A)이 수용된 크래쉬패드(C)를 가리면서 전개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통해 크래시패드(C)로부터 분리되는 메인도어(1)와, 이 메인도어(1)가 전방윈드글래스(FW)쪽으로 열려 젖혀지도록 그 일단과 도어힌지(2)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메인도어(1)의 열림 방향과 반대로 젖혀져 메인도어(1)의 거동을 제한하도록 크래쉬패드(C)로부터 분리되는 구속도어(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속도어(3)는 메인도어(1)에 인접되어 전방윈드글래스(FW)쪽으로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를 상 방향으로 꺾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도어(3)는 그 중앙부위를 상 방향으로 꺾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일단이 메인도어(1)쪽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절개단(7)을 매개로 크래쉬패드(C)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플레이트(4)와, 일단이 상기 연동플레이트(4)에 연동힌지(6)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메인도어(1)의 하부에서 도어힌지(2)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5) 및 상기 연동플레이트(4)의 저면으로 덧대어지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8)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A)이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접혀져 조수석 전방의 크래쉬패드(C) 내측으로 내장되어 있다가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A) 내로 공급되면서 부풀어지고 이로 인해, 크래쉬패드(C)를 이루면서 에어백(A)을 가리고 있던 메인도어(1)가 분리되어 에어백(A)을 조수석 탑승자쪽으로 전개시켜 상체 전면을 보호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도어(1)는 크래쉬패드(C)에 형성된 절개선이 파단되면서 전방 윈도 글래스(FW)쪽으로 빠르게 이동되는 거동이 구속도어(3)에 의해 제한되는데 즉, 상기 메인도어(1)가 도어힌지(2)를 매개로 전방 윈도 글래스(FW)쪽으로 이동되면 이와 동시에 구속도어(3)가 메인도어(1)의 전개 방향(반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개(시계 방향)되게 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1)의 전개에 따라 메인도어(1)의 저면으로 위치된 연결플레이트(5)가 하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플레이트(5)에 연동힌지(6)를 매개로 힌지 결합된 연동플레이트(4)부위가 강하게 하 방향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게 되면, 상기 연동플레이트(4)부위에 가해지는 하 방향 힘으로 인해 크래쉬패드(C)에 형성된 절개단(7)부위가 찢어지면서 연동플레이트(4)가 분리되어진다.
이어, 상기 크래쉬패드(C)로부터 분리된 연동플레이트(4)가 전개되는 메인도어(1)로부터 가해지는 하 방향 힘에 의해 연동힌지(6)를 매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메인도어(1)의 전개 이동이 구속도어(3)를 이루는 연 동플레이트(4)의 삼각형상 돌출부로 인해 차단되면서 전방 윈도 글래스(FW)에 부딪히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전개시 전방 윈도 글래스쪽으로 빠르게 이동되는 메인도어의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께 전개되면서 메인도어의 거동을 구속해 전방 윈드 글래스와의 충돌에 의한 메인도어의 파손을 방지해 승객의 2차 부상을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크래쉬패드(C)의 조수석부위에 내장된 조수석용 에어백(A)과;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A) 전개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크래쉬패드(C)로부터 분리되는 메인도어(1) 및;
    일단이 상기 메인도어(1)쪽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절개단(7)을 매개로 크래쉬패드(C)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위가 상방으로 꺽여져 돌출형성된 연동플레이트(4)와, 일단이 상기 연동플레이트(4)에 연동힌지(6)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메인도어(1)의 하부에서 도어힌지(2)로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5)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도어(1)가 전방윈드글래스(FW)쪽으로 열려 젖혀질 때 상기 연동힌지(6)를 중심으로 메인도어(1)의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젖혀져 메인도어(1)의 거동을 제한하도록 된 구속도어(3);
    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30079372A 2003-11-11 2003-11-11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10055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372A KR100552745B1 (ko) 2003-11-11 2003-11-11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372A KR100552745B1 (ko) 2003-11-11 2003-11-11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334A KR20050045334A (ko) 2005-05-17
KR100552745B1 true KR100552745B1 (ko) 2006-02-20

Family

ID=3724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372A KR100552745B1 (ko) 2003-11-11 2003-11-11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19B1 (ko) 2008-07-25 2011-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01251661B1 (ko) 2006-10-24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61B1 (ko) 2006-10-24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101021119B1 (ko) 2008-07-25 2011-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33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8624B2 (ja) 自動車外の人を保護する装置
JP292200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00264146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6764452B2 (ja) 自動合致後方シート用エアバッグ
US20050173900A1 (en) Side airbag for a vehicle
US20060125215A1 (en) Airbag module
JP2933894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1094880B1 (ko) 3 챔버를 구비한 전면 에어백
JP2921996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552745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0301802Y1 (ko) 루프 에어백 구조
KR102602953B1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JP2938835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1781381B1 (ko) 자동차의 전방 에어백 장치
KR960003309B1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
JP7416659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JPH1071918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1046845B1 (ko) 무릎 에어백의 에어백 도어
KR10078818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050033712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장치
KR20080054310A (ko) 조수석 에어백용 도어의 개방각도 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