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15A -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15A
KR20180082715A KR1020170003730A KR20170003730A KR20180082715A KR 20180082715 A KR20180082715 A KR 20180082715A KR 1020170003730 A KR1020170003730 A KR 1020170003730A KR 20170003730 A KR20170003730 A KR 20170003730A KR 20180082715 A KR20180082715 A KR 2018008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fire
disaster
space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551B1 (ko
Inventor
임원국
양인석
오윤철
송지원
임현정
조영민
김상환
정상귀
Original Assignee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5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B65D85/109Lighting means, e.g. matches or ligh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화 설비와 재난에 의해 비상구 확보가 불가능할 때에 강제로 비상구를 확보하도록 하는 비상구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은, 재난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 수단; 도어에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기체를 발생시키는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모듈; 및 상기 재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INDIVIDUAL HYBRID FIREFIGHTING SAFETY SYSTEM}
본 발명은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재난 감지, 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화 모듈, 재난 발생시 비상구 확보가 불가능할 때 강제로 비상구를 확보하도록 하는 비상구 개방 수단을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융통성 있게 포함할 수 있는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안전 시스템은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알리고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중요한 과제로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재의 신속한 진압과 동시에 차량, 건물 등의 구조물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건축물 등에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그 안에 있던 사람들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통상의 출입구 외에 비상구 또는 화재 대피구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 다만, 붕괴, 폭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했을 때 비상구 등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어 개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 기술들은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장치 또는 소방서 등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알림 장치만을 제시하여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제시된 바가 없다.
탈출구 확보와 더불어 화재 진압 수단 등의 구난 시스템을 설계,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해결책에 관해서 탐구가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945호 (공개일자: 2003.08.25) 등록특허공보 제10-1071917호 (등록일자: 2011.10.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수단과,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는 소화 수단과, 비상탈출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비상탈출구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비상구 개방 수단을 포함하되, 이들 수단을 개별적으로 구축 및 제어할 수 있는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산소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여, 특히 비상탈출구가 개방되지 않을 때, 재난이 발생한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사람들의 생존을 연장 및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은, 재난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 수단; 도어에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기체를 발생시키는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모듈; 및 상기 재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은,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은,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 및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을 포함하는 소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상기 공간 내에 공급되는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 수단; 상기 산소 저장 수단으로부터 산소가 공간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산소 공급 배관; 및 상기 산소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산소 공급 밸브를 포함하는 산소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공간 내의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 및 비상구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공간 내의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 화재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 진압단계; 및 비상구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 비상구가 개방되지 않을 때 강제적으로 비상구를 개방하여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소화 설비와 비상구 개방 수단을 독립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 요소들을 안전 및 구난 판단 등에 기초하여 융통성있게 설비들의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 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 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비상구의 출입문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그루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공간(3) 내의 천장, 벽면 등에 배치되어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 수단은 재난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28)에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28)는 재난의 유형에 대응하여 그 다음 작동될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 감지 수단은, 예를 들어,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리 센서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지진 등 자연 재해, 폭발, 붕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으며, 재난을 영상으로 감지하는 영상 센서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화재 발생 감지기(2)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센서 또는 감지기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 감지 수단은 화재발생 감지기(2)일 수 있다. 화재발생 감지기(2)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28)에 신호를 전달하고 경보장치(2a)를 작동하도록 한다.
화재발생 감지기(2)의 구체적인 유형으로는 주지된 모든 화재 발생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로서, 실내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할 때 작동하는 차동식 화재감지기 또는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는 정온식 화재감지기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발생 감지기(2)는 연기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연기감지기로서, 연기에 의해 이온 전류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이온화식 감지기 또는 연기에 의해 입사 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광전식 감지기일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감지기(2)는 자외선감지기 등의 불꽃감지기일 수 있다.
화재발생 감지기(2)는 전술한 감지기들 중 한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여러 종류를 조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의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발생 감지기(2)는 하나의 공간 내에도 그 공간의 면적 등 설계상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장소는 벽면, 천장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모듈(14)로서,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4) 및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4)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3)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에는 제어부(28)에 의해 제어되는 소화 밸브(10)가 설치되며,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은 공간(3) 내의 벽면, 천장 등에 설치된다.
제어부(28)는 화재 발생 감지기(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약제를 공간(3) 내에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화재 진압을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제어부(28)가, 예를 들어, 소화 밸브(10)를 구동시키는 소화 밸브 구동기(12)를 작동시키면 소화 밸브(10)가 개방된다. 소화 밸브(10)가 개방되면, 소화 약제 저장용기(4)로부터 소화 약제가 유동하여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에 의해 공간(3) 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약제는 주지된 모든 소화 약제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압축가스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은 공간(3) 내에 소화 약제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는 주지된 이용 가능한 모든 분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밸브(1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된 이용 가능한 모든 밸브를 포함하며, 특히 선택 밸브 일 수 있다.
도 1에는 구성 요소들이 하나 또는 특정 수만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의 간소화를 위함이며 각 구성요소는 설계상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단수 또는 복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건축물의 붕괴 등 외력에 의한 파손 또는 비상구의 오작동 등으로 비상구가 개방되지 않을 때를 대비하여 비상구의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에어백 모듈(24)이 비상구(16)의 출입문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24)은 팽창기체 생성수단(20) 및 에어백(22)을 포함한다. 팽창기체 생성수단(20)이 제어부(28)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백(22)을 팽창시키는 팽창기체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에어백(22)이 작동하여 출입문을 개방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팽창기체 생성수단(20)이 제어부(28)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점화기에 의해 질소 또는 아르곤 기체 등이 급속하게 발생되는 화학반응이 생성되고, 이로 인하여 에어백(22)이 팽창된다. 이에 의하여 비상구(16)가 강제적으로 개방되고, 탈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간(3) 내가 정전 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시청각적으로 탐지가 어려울 때 에어백의 동작에 의해 비상 통로에 대해 시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22)의 팽창 메커니즘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변형을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에어백 시스템에서는, 주로 가속도계 등으로부터 정보를 받은 충돌 감지 수단에 의해 에어백 팽창의 지시가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자동차 분야에서 주로 이용되는 충돌 감지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연기감지기, 충돌감지기, 진동감지기, 후술되는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26) 등 여러 종류의 감지 수단에 의해 에어백이 자동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22)은 비상구(16)의 출입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출입문의 두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및 두께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출입문의 재료의 강도, 예산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비상구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백의 팽창에 의한 비상구의 출입문의 개방이 더욱 용이하도록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내측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의 내측의 그루브는 에어백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출입문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형태에는 특히 제한이 없다. 도 5a 및 도 5b에는 예시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에어백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므로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파열된 문의 일부 등이 공간 내로 날아들어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에어백이 개방될 때 비상구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이 에어백의 개방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백 개방 알림을 시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수단, 예를 들어 알람, 형광 사인 등을 비상구 주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들 에어백 개방 알림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에어백 개방 대략 수 초 내지 수 분 전에 수행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설치된 비상구의 출입문마다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비상구보다 적게 또는 더 많은 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비상구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26)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26)은 비상구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8)에 개폐여부의 신호를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8)가 비상구(16)의 폐쇄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8)는 에어백 모듈(24)의 팽창기체 생성수단(20)이 에어백(22)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26)은 문, 창문 등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주지된 모든 센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상구 출입문의 문틈 등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그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일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공간(3) 내에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 저장 수단(32), 산소 저장 수단(32)에 연결되는 산소 공급 배관(34) 및 산소 저장 수단(32)으로부터 산소 공급 배관(34)을 통한 산소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소 공급 밸브(36)를 포함하는 산소 공급 모듈(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 공급 모듈(38)의 하나의 양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공급 밸브(36)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8)가 산소 공급 밸브 구동기(40)에 산소 공급 밸브 개방 신호를 전달하면 산소 공급 밸브(36)가 개방되고, 산소 저장 수단(32)에 저장된 산소는 산소 공급 배관(34)을 유동하여 산소 공급 헤드(42)를 통해 공간(3)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공간(3) 내에 있는 사람들이 탈출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8)에 신호를 전달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30)에 의해 산소 공급의 필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진압된 후, 공간(3) 내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30)이 공간(3)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제어부(28)는, 상기 제어부(28)에 미리 설정된 인간의 호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산화탄소 농도 허용치와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30)이 감지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비교 및 산소 공급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공간(3) 내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한다.
전술한 산소 공급은 비상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생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산소 저장 수단(32)은 산소 탱크 등 산소를 안전하게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며, 산소 공급 헤드(42)는 공간(3) 내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주지된 모든 산소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의 동작방법의 흐름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3) 내의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발생이 감지되면 시스템(1)에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면 비상구 개방 여부를 탐지하여 비상구가 폐쇄된 경우 비상구의 에어백(22)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26)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재난발생 감지 후 곧이어 에어백(22)을 작동시킨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3)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비상구 개방 감지 여부에 관계없이, 에어백 작동단계에서, 에어백 작동단계만이 실행될 수도 있고, 에어백 작동단계와 함께 공간 내의 인명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산소공급단계가 먼저 수행되고 에어백 작동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산소 공급 단계 이전에 공간(3)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위험 수치인지 판단하여 산소 공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발생 감지단계 중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발생 탐지단계(S10)를 포함한다. 화재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소화모듈(14)을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모듈 작동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이 있는 경우 비상구 개방 여부를 탐지하는 비상구 개방 여부 감지단계(S30)의 수행 후 비상구가 폐쇄된 경우 에어백(22)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개방단계(S40)를 수행하고,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이 없는 경우 재난발생 감지 후 에어백 개방단계(S40)를 수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작동단계와 동시에, 순차로 또는 택일적으로 산소 공급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비상구 개방 감지 여부에 관계없이, 에어백 작동단계에서, 에어백 작동단계만이 실행될 수도 있고, 에어백 작동단계와 함께 공간(3) 내의 인명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산소공급단계가 먼저 수행되고 에어백 작동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산소 공급 단계 이전에 공간(3)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위험 수치인지 판단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2: 화재 발생 감지기
2a: 경보장치 3: 공간
4: 소화 약제 저장용기 6: 소화 약제 공급 배관
8: 소화 약제 분사 수단 10: 소화 밸브
12: 소화 밸브 구동기 14: 소화모듈
16: 비상구 20: 팽창기체 생성수단
22: 에어백 24: 에어백 모듈
26: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 28: 제어부
30: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32: 산소 저장 수단
34: 산소 공급 배관 36: 산소 공급 밸브
38: 산소 공급 모듈 40: 산소 공급 밸브 구동기
42: 산소 공급 헤드

Claims (7)

  1. 재난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 수단;
    도어에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기체를 발생시키는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모듈; 및
    상기 재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팽창기체 생성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 및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을 포함하는 소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상기 공간 내에 공급되는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 수단; 상기 산소 저장 수단으로부터 산소가 공간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산소 공급 배관; 및 상기 산소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산소 공급 밸브를 포함하는 산소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5. 공간 내의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 및
    비상구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
  6. 공간 내의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발생 감지단계;
    화재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단계; 및
    비상구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70003730A 2017-01-10 2017-01-10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191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30A KR101915551B1 (ko) 2017-01-10 2017-01-10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30A KR101915551B1 (ko) 2017-01-10 2017-01-10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15A true KR20180082715A (ko) 2018-07-19
KR101915551B1 KR101915551B1 (ko) 2018-11-07

Family

ID=6305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30A KR101915551B1 (ko) 2017-01-10 2017-01-10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31B1 (ko) *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825A (ja) * 1996-04-02 1997-10-14 Yuzuru Tatsuke 転倒防止機構付き家具
KR20030068945A (ko)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KR20040072159A (ko) * 2003-02-10 2004-08-18 유규식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60025675A (ko) * 2004-09-17 2006-03-22 김순식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71917B1 (ko)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KR101305046B1 (ko) * 2011-11-0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478691B1 (ko)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353B1 (ko) * 2016-11-18 2017-01-05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방화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825A (ja) * 1996-04-02 1997-10-14 Yuzuru Tatsuke 転倒防止機構付き家具
KR20030068945A (ko)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KR20040072159A (ko) * 2003-02-10 2004-08-18 유규식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60025675A (ko) * 2004-09-17 2006-03-22 김순식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71917B1 (ko)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05046B1 (ko) * 2011-11-0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KR101478691B1 (ko)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353B1 (ko) * 2016-11-18 2017-01-05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31B1 (ko) *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551B1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075B2 (ja) 火災感知装置、火災自動消火装置、及び火災自動消火システム
US9573005B2 (en) Protection device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JP6755139B2 (ja) 航空機内の複数の閉鎖空間のための火災抑制システムを有する航空機、および火災抑制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70102042A (ko) 차량 화재 자동 진압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1915551B1 (ko)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JP5864593B2 (ja) 危険制御および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80082714A (ko)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JP2003038673A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JP4768485B2 (ja) 消火設備
JP3397382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336057B2 (ja) 防災監視装置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JP3948858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JP500417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106368736B (zh) 一种矿山火灾预警阻隔装置
KR101034068B1 (ko) 대중교통시설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264802B1 (ko)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US20240001160A1 (en) Method and system of locating an emergency air fill station of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mplemented in a structure for access of breathable air in low visibility
JPH08308951A (ja) 消火設備
KR102404409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JPH085725Y2 (ja) ガス充満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