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162U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162U
KR19990029162U KR2019970041816U KR19970041816U KR19990029162U KR 19990029162 U KR19990029162 U KR 19990029162U KR 2019970041816 U KR2019970041816 U KR 2019970041816U KR 19970041816 U KR19970041816 U KR 19970041816U KR 19990029162 U KR19990029162 U KR 19990029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deployed
occup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162U/ko
Publication of KR19990029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162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차내측으로 찌그러지는 루프 및 깨진 도어의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의 신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라이닝(1)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차내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1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 내에 접힌 상태로 안치되는 에어백(31)(32)과; 작동신호 입력시, 상기 에어백(31)(32)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31)(32)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20); 그리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개방구에 덮여지며, 전개되는 에어백(31)(32)의 압력에 의하여 일측이 절개되며 개방되는 커버(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차내측으로 찌그러지는 루프 및 깨진 도어의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의 신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 of Car)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장치는, 탑승자를 위한 안전 장치로서,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와 차량 구조물 사이에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부딪쳐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차량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전방 충돌시 탑승자의 상체 및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내부 및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와, 측면 충돌시 탑승자와 도어 사이에 펼쳐져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 내측에 장착된 에어백 장치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탑승자의 전면과 측면만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전복(rollover)시 차내측으로 함몰되며 찌그러지는 루프에 의하여 탑승자가 상해를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차량의 루프와 탑승자 사이에 전개됨으로써, 차내측으로 찌그러지는 루프로부터 탑승자의 신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차량의 도어와 탑승자 사이에 전개됨으로써, 내측으로 함몰되며 찌그러지는 도어 및 도어의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헤드라이닝, 10:에어백 하우징, 10a:장착 브래킷, 20:인플레이터, 30:에어백, 31:제 1 에어백, 32:제 2 에어백, 40:커버, 41:노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라이닝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차내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접힌 상태로 안치되는 에어백과; 작동신호 입력시,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 그리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개방구에 덮여지며,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하여 일측이 절개되며 개방되는 커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백 하우징(10), 인플레이터(20), 에어백(30) 및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백 하우징(10)은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타측 후면에 장착 브래킷(10a)이 형성되는 수납부재로서, 상기 장착 브래킷(10a)에 의하여 차량의 헤드라이닝(1) 측단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2)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개방구가 차량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30)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내측에 접힌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인플레이터(20)는, 차량의 충돌이나 전복시 이를 감지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30)에 공기를 주입시키게 되며, 상기 에어백(30)은 상기 인플레이터(20)로부터의 공기 주입시, 차량의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30)은 제 1 에어백(31)과 제 2 에어백(3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1 에어백(31)은 차량의 헤드라이닝(1)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전개됨으로써 탑승자와 헤드라이닝(1) 사이에 펼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에어백(32)은 헤드라이닝(1)의 측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전개됨으로써 차량의 도어와 탑승자 사이에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이 개방부에 덮여져, 에어백 하우징(10) 내측의 접힌 상태로 배설된 에어백(30)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에어백(30)의 전개시,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하여 일측이 절개되며 개방될 수 있도록 내면 일측을 따라 노치부(4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시, 이를 감지한 센서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20)로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플레이터(20)로부터 에어백(31)(32)으로 공기가 주입된다. 이때, 에어백(31)(32)은 그 전개 압력으로 상기 커버(40)를 개방시키며 차체와 탑승자 사이에 전개되게 된다. 즉, 제 1 에어백(31)은 헤드라이닝(1)의 하부를 따라 전개되어 차내측으로 찌그러지는 헤드라이닝(1)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며, 제 2 에어백(32)은 차량의 도어와 탑승자 사이에 전개되어 차내측으로 함몰되는 도어 및 깨진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 2 에어백(32)은, 차량의 루프 측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깨진 도어의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에어백 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 및 전복시, 탑승자의 측면과 상부에 각각 에어백이 전개됨으로써, 차내측으로 함몰되며 찌그러지는 루프 및 깨진 도어 유리 파편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헤드라이닝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차내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접힌 상태로 안치되는 에어백과;
    작동신호 입력시,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 그리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개방구에 덮여지며,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하여 일측이 절개되며 개방되는 커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헤드라이닝 하부를 따라 전개되는 제 1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헤드라이닝 측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전개되는 제 2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2019970041816U 1997-12-29 1997-12-29 에어백 장치 KR199900291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16U KR19990029162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16U KR19990029162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162U true KR19990029162U (ko) 1999-07-15

Family

ID=6967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816U KR19990029162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1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46B1 (ko) * 2011-11-0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428244B1 (ko) * 2012-12-05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46B1 (ko) * 2011-11-0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KR101428244B1 (ko) * 2012-12-05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JPH07108903A (ja) ピラーエアバッグ装置
US6164685A (en) Deployment door for air bag module
JPH07186870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9990029162U (ko) 에어백 장치
KR10057973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필라 트림 결합구조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00580015B1 (ko) 커튼 에어백의 가이드 장치
KR100792423B1 (ko) 커튼에어백 보호쿠션의 파손방지구조
KR100579452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141565Y1 (ko) 차량용 에어 백 도어의 전개장치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9990029174U (ko) 후방시트 탑승객용 에어백 장치
KR100711577B1 (ko) 커튼 에어백 전개구조
KR20050114489A (ko) 커튼 에어백의 전개를 위한 가이드 구조
KR20220146020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KR100205583B1 (ko) 에어백쿠션
KR20070070267A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0579724B1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KR100938530B1 (ko) 무릎 에어백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JPH061028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