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221U -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221U
KR19980053221U KR2019960066408U KR19960066408U KR19980053221U KR 19980053221 U KR19980053221 U KR 19980053221U KR 2019960066408 U KR2019960066408 U KR 2019960066408U KR 19960066408 U KR19960066408 U KR 19960066408U KR 19980053221 U KR19980053221 U KR 199800532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ont seat
gas reservoir
sensor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0568Y1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6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56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36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who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electric or electronic trigg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1)의 차량 바깥쪽 하단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2)가 설치되고, 이 프런트시이트(1)의 반대쪽 하단이 차량의 바닥면에 선회핀(3)을 통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2)에 고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4)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4)를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5)가 차량의 측면도어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와 충격감지센서(7) 및 시동스위치(8)를 통하여 밧데리(9)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차체의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개스리저버에서 고압의 개스가 프런트시이트의 하단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유입되어 프런트시이트를 차량의 안쪽으로 회동시키므로써 이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객을 측면 충격으로부터 최소한의 보호를 해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프런트시이트가 차량의 안쪽으로 기울어져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승객을 직접적인 충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예컨대 자동차가 정면에서 충돌하는 경우에는 고압의 압축개스가 유입되는 에어백이 운전자나 동승자의 신체를 감싸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주도록 한 에어백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백시스템을 차량의 측면에 설치하여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역시 고압의 압축개스가 이 에어백으로 유입되어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해 주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특히 에어백시스템을 차량의 측면도어에 설치해주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운전자나 동승자를 측면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런트시이트의 차량 바깥쪽 하단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가 설치되고, 이 프런트시이트의 반대쪽 하단이 차량의 바닥면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에 고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를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차량의 측면도어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와 충격감지센서 및 시동스위치를 통하여 밧데리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에는 차속 및 거리판독기가 연결되어 있고, 차량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물체의 속도와 거리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판독기로 그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판독기에서는 해당인자의 입력값을 기준값과 비교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전기의 공급을 온/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차량의 측면에서 이상물체가 소정 속도 이상으로 다가와 충돌하면, 개스리저버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개스가 프런트시이트의 바깥쪽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실린더에 유입되어, 이 실린더를 이완작동시키므로써 프런트시이트가 차량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하므로써이 프런트시이트에 앉아 있던 탑승자를 측면충돌로부터 보호해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런트시이트2:작동실린더
3:선회핀4:개스리저버
5:솔레노이드6:차속 및 거리감지센서
7:충격감지센서8:시동스위치
9:밧데리10:차속 및 거리판독기
11:개스커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회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프런트시이트(1)의 차량 바깥쪽 하단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2)가 설치되고, 이 프런트시이트(1)의 반대쪽 하단이 차량의 바닥면에 선회핀(3)을 통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2)에 고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4)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4)를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5)가 차량의 측면도어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와 충격감지센서(7) 및 시동스위치(8)를 통하여 밧데리(9)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와 충격감지센서(7)사이에는 차속 및 거리판독기(10)가 연결되어 있어, 차량의 측면에서 닥아오는 물체의 속도와 거리를 상기 감지센서(6)가 감지하여 이 판독기(10)로 그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판독기(10)에서는 해당인자의 입력값을 기준값과 비교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린상태에서 즉 시동스위치(8)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에서 이상물체가 소정속도이상으로 다가오면,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가 그 속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판독기(10)로 입력시키고, 이 판독기(10)에서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기준값과 입력된 신호값을 비교판단한 후 입력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전기회로를 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9)의 전원이 개스리저버(4)의 솔레노이드(5)에 인가되어 이 개스리저버(4)의 개스통로를 차단하고 있던 개스커버(11)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개스리저버(4)에 저장되어 있던 고압의 개스가 작동실린더(2)로 유입된다. 그 결과 작동실린더(2)가 신장작동되면서 프런트시이트(1)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이 프런트시이트(1)가 선회핀(3)을 중심으로하여 도면에서 점선의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프런트시이트(1)에 착석하고 있던 탑승자의 몸이 차량의 안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프런트시이트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의 몸이 측면도어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직접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그 만큼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충격감지센서와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를 설치하고, 프런트시이트(1)의 아래에 고압의 개스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2)를 설치하는 한편, 이 작동실린더에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개방용 솔레노이드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전원과 연결시켜두므로써, 차량의 측면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프런트시이트의 아래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고압의 개스가 유입되면서, 이 프런트시이트를 차량의 안쪽으로 기울여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프런트시이트(1)의 차량 바깥쪽 하단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실린더(2)가 설치되고, 이 프런트시이트(1)의 반대쪽 하단이 차량의 바닥면에 선회핀(3)을 통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2)에 고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4)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4)를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5)가 차량의 측면도어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와 충격감지센서(7) 및 시동스위치(8)를 통하여 밧데리(9)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차속 및 거리감지센서(6)와 충격감지센서(7) 사이에 차속 및 거리판독기(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KR2019960066408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KR200240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08U KR20024056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08U KR20024056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21U true KR19980053221U (ko) 1998-10-07
KR200240568Y1 KR200240568Y1 (ko) 2001-11-22

Family

ID=5400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408U KR200240568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3803A (zh) * 2018-08-31 2018-12-11 吉林大学 汽车侧向碰撞乘员保护安全座椅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19B1 (ko) * 2002-04-04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측면충격 보호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3803A (zh) * 2018-08-31 2018-12-11 吉林大学 汽车侧向碰撞乘员保护安全座椅及其控制方法
CN108973803B (zh) * 2018-08-31 2024-02-20 吉林大学 汽车侧向碰撞乘员保护安全座椅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568Y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3221U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US5318146A (en) Electric circuit for activating an occupant safety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KR0132587Y1 (ko) 자동차의 연료공급 차단장치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KR100224220B1 (ko) 자동차용 앞유리 보호용 에어백
KR100195489B1 (ko) 자동차 사고시 유리파괴장치
KR0124788Y1 (ko) 리어 범퍼 에어백
KR100224228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0135214Y1 (ko) 에어 백 작동시 창문 개방 장치
KR0181454B1 (ko) 연료 펌프 정지형 에어백 작동장치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100203422B1 (ko) 차량 에어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960007314A (ko)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KR0113359Y1 (ko) 에어백 정비시의 쇼트방지 장치
KR200222316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승객 보호장치
KR200158325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대비 안전장치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75215A (ko)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9980049720A (ko) 에어 백 연동 전원 차단 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980007673U (ko) 차량의 에어 백 장치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