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55B1 -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55B1
KR100517755B1 KR10-2000-7001211A KR20007001211A KR100517755B1 KR 100517755 B1 KR100517755 B1 KR 100517755B1 KR 20007001211 A KR20007001211 A KR 20007001211A KR 100517755 B1 KR100517755 B1 KR 10051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levels
fibrinogen
lactobacillus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617A (ko
Inventor
부코우스카한나
요한슨마리-루이즈
나루체비츠마렉
Original Assignee
프로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비 아베 filed Critical 프로비 아베
Publication of KR2001002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 Y10S435/856Lactobacillus case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 Y10S435/857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내 피브리노겐 및 경우에 따라서는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용 약제의 제조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제는 순환계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USE OF LACTOBACILLUS FOR REDUCTION OF THE FIBRINOGEN LEVEL IN BLOOD}
본 발명은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 및 경우에 따라서는 콜레스테롤 레벨도 감소시킬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브리노겐은 간에서 합성되는 혈장 단백질이며, 활성화된 트롬빈에 의한 혈액 응고 다단계 과정의 최종 단계에서 불용성 피브린으로 전환된다. 이 피브린은 피브린 분해 반응에서 다시 플라스민(피브리노라이신으로도 지칭됨)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 분해 과정은 소형 피브린 혈병을 순환계로부터 제거하는 정상적인 메카니즘이다.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중에 점진적으로 증가되는데, 20세에서의 평균 2.3 ㎎/㎖ 내지 70세에서의 평균 3.5 ㎎/㎖의 범위를 가진다. 증가는 동일한 기간에 걸쳐 내인성 피브린 분해 활성의 약 20%의 감소와 결부된다. 스트레스 또는 외상 상태하에서, 혈액 피브리노겐 레벨은 48 시간내에 2배 또는 3배가 될 수 있다. 혈액 피브리노겐은 미세순환에서의 혈액 및 혈장 점도, 적혈구 및 혈소판 응집 및 죽상 병변(atheromatous lesion)의 성장의 주요 결정인자로 확인되었다. 혈장의 유리 지방산(FFA) 레벨을 증가시키는 상태 또는 인자에 의해 혈액 피브리노겐 레벨은 증가되고, 내인성 피브린 분해 활성은 감소된다(Pickart, L., Pharmacology 23:271-280, 1981).
피브리노겐의 증가된 레벨은 증가된 적혈구 침전 속도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다시 오랜 동안 허혈성 심장 질병에 대한 위험과 상호 관련되어 왔다. 급성 심근 경색에서는 유리 지방산 레벨 뿐만 아니라 혈장 피브리노겐 레벨이 증가된다.
심혈관 위험 인자로서의 피브리노겐은 문헌[Ernst, E. 등,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8: 956-963, 1993]에 기재되어 있다. 6종의 유망한 역학적(疫學的) 연구에서 피브리노겐 레벨과 심근경색, 발작 및 말초 동맥 폐색 질병간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고, 관련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유망한 연구에서는 피브리노겐이 후속의 심근경색 또는 발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브리노겐은 심혈관 현상과 병태생리학적으로 관련이 있고, 주요 심혈관 위험 인자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건강 상태 및 질병 상태에서의 피브리노겐 레벨에 관한 여러가지 결정인자가 있는데, 그 중 나이, 성별 및 유전과 같은 몇가지 인자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변화에 민감한 다른 인자는 흡연, 앉은 상태로의 생활, 식사 및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유형적 인자이다.
증가된 콜레스테롤 레벨 뿐만 아니라 증가된 혈압이 심장 질병에 대한 기타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 혈청 콜레스테롤 레벨은 일반적으로 고밀도 지단백질(HDL) 및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배합물을 의미한다.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된 레벨은 죽상경화증의 병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반면에, 보다 고레벨의 HDL 콜레스테롤은 심장 질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혈장 FFA 레벨의 지속적인 감소 외에도 혈액 피브리노겐 농도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피브리노겐 및 항피브리노라이신의 간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브린 분해 활성을 명백히 증가시키는 항지질혈증 제제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문헌[Pickart, L., Pharmacology 23(5), 271-80, 1981] 참조). 생화학적으로 및 구조적으로 다양한 이들 제제의 예로는 마늘 및 양파의 활성 원액인 알릴프로필 이황화물과 지방산 유사체인 아세틸살리실산 및 클로피브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제제의 대부분은 성가시고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며, 보다 효과적인 제제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사람에서의 발효된 낙농 제품의 유력한 저콜레스테롤혈 효과와 관련하여 및 이들 제품의 섭취가 관상 심장 질병의 예방에 있어 어떠한 중요성을 가지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상충하는 데이터가 있다. 문헌[Gilliland, S.E. 등,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9(2): 377-381, 1985]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의 일부 균주가 위장관에서 콜레스테롤에 직접 작용하지만 다른 균주는 그러하지 않으며, 따라서, 혈청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에 있어 및 이로 인해 관상 심장 질병의 발생빈도를 낮춤에 있어 유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균주중 어떤 것은 담즙염을 분해하는(deconjugate) 능력을 가진다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물 모델로 돼지를 사용하였다.
현재까지는 위험 상태에 있는 환자의 피브리노겐 레벨을 안전하고 선택적으로 저하시키는 물질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경구 투여되는 생 락토바실러스 박테리아가 혈청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를 일으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결국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 약제의 제조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투여되는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또한 혈청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혈액에서 피브리노겐 레벨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용 약제의 제조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혈액에서 피브리노겐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용 약제의 제조에 항과지질혈 활성 물질과 함께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지단백질 감소용 약제(이것의 투여는 종종 심각한 부작용과 관련됨)를 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죽상경화증, 심혈관 질병, 관상 심장 질병,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 질병, 발작과 같은 순환계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의 바람직한 균주는 위를 통해 위장관으로 통과하여 살아 남을 수 있고, 소장에서 전이 증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두 가지 인자가 락토바실러스의 생태학적 효과의 발휘에 중대한 것으로 보인다. 첫번째 인자는 장에서 전이 증식하는 능력, 즉 생 박테리아의 최종 투여후에 일정 시간 동안 다수가 살아 남는 능력이다. 두 번째 인자는 장의 상피 세포에 직접 결합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전이 증식을 촉진하는 인자중 하나이나, 전이 증식에 필수적인 인자는 아니다. 상피에 부착하는 능력은 균주가 전이 증식할 수 있음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락토바실러스의 유용한 종의 예로는 엘. 플랜타룸 및 엘. 람노서스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의 상이한 균주가 국제 특허 출원 WO93/01823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출원은 생체내인 인간 장 점막상에 착상하고 또한 10일 이상 경구 투여후에 그 위에 잔류하는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분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출원은 특히 2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들은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라 1991년 7월 2일에 독일 브라운슈바이크에 소재하는 DSM(독일 미생물 배양 수집소)에 기탁되었는 바, 엘. 플랜타룸 299(수탁번호 DSM 6594) 및 엘. 카세이 ssp. 람노서스 271(수탁번호 6594) 뿐만 아니라 이들의 변형체가 그것이다. 바람직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299v인데, 이것은 수탁번호 DSM 9843으로 1995년 3월 16일에 DSM에 기탁되어 있다. 이 균주 뿐만 아니라 엘. 플랜타룸의 기타 균주는 국제 특허 출원 WO96/29083호에 기재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대장에서 균주의 생존능을 보존할 수 있는 임의의 음식 또는 약학 조성물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또는 직장으로, 예컨대, 관장제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위를 통해 장내에 또는 장내에 직접 삽입되는 카테터를 통해 장내 투여할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내 락토바실러스 균주에 대한 담체는 문제의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기질, 특히 전분 또는 우유에 기초한 것이다. 적합한 기질은 위장관에서 재흡수되지 않는 액체 또는 고체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전분 함유 기질의 예로는 귀리 및 밀과 같은 곡물, 옥수수, 감자와 같은 근식물 및 녹색 바나나와 같은 특정 과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바람직한 기재는 조성물에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제공하기도 하는 것으로서, WO 89/08405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오트밀을 기재로 한 영양액이다. 발효된 제품은 또한 식품, 바람직하게는 과일 또는 딸기, 예컨대, 로즈힙, 블루베리, 스트로베리와 혼합할 수 있으나, 불활성 고체나 염수 또는 물과 같은 액체 물질과도 혼합할 수 있다.
처리는 연속된 기간 중에 하루에 한번 또는 수차례 실시하여야 한다. 검출가능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약 1010 박테리아 이상의 일일 투여량으로 투여하여야 한다.
생물학적 시험
이 연구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299 v를 함유하는 식품(프로비바R)이 보통으로 상승된 콜레스테롤 농도를 가진 환자에서 혈청 지질, 특히 LDL 콜레스테롤 및 피브리노겐 레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프로비바R 식품은 귀리를 함유하는 로즈힙 드링크(귀리 가루 0.75g, 즉 귀리 섬유 0.07g/100㎖)였다. 이 식품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299 v 약 5x107 cfu/㎖ 및 DL-락트산 약 0.035g/100 ㎖를 함유하였다. 이 제품의 제조시에 발효된 귀리 및 로즈힙 드링크는 별개로 제조하고 발효된 귀리(귀리 가루 18.5%(vol/vol)를 함유함) 5%(vol/vol) 및 로즈힙 드링크 95%(vol/vol)의 비율로 함께 혼합하였다. 로즈힙 분말, 슈크로스, 증점제,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 및 물로 구성되는 보통의 로즈힙 드링크를 플라시보로 사용하였다. 두 제품은 모두 스케인메이저리어(스웨덴 루나프 소재)에서 제조된 것들이었다.
본 연구는 위장 징후, 약물처리, 흡연, 식사 습관 및 알콜 소모에 대해 사전 조사된 42.6 ±2.8세의 30인의 남성에게서 수행하였다. 심혈관 질병, 당뇨병 및 동맥 고혈압을 가진 사람은 이 연구로부터 배제시켰다. 체중, 키, 동맥 혈압 및 맥박수를 기록하고, 생화학적 시험을 위해 혈액을 채혈하였다. 플라시보와의 이중 블라인드 연구를 고안하고, 참가자를 무작위로 두 개의 동일한 군, 즉 각각 프로비바R 또는 플라시보 군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피험 대상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각 피험자는 6주 동안 매일 아침에 프로비바R 또는 플라시보를 200 ㎖ 소비하고 이전과 동일한 생활 유형을 유지하였다. 상기 기간의 말기에 참가자를 검사하고 다시 채혈하였다.
혈청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은 효소 키트(CHOD-PAP, GPO-PA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apoB를 함유하는 지단백질을 Mg2+의 존재하에 포스포텅스텐산으로 침전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은 LDL을 폴리비닐 설페이트로 침전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실험 절차는 베링거-만하임에서 얻은 시험 키트에 근거하였다. 아날코(PAP)에서 얻은 시험 키트 및 글루코스 옥시다제를 사용하여 글루코스를 측정하고, 혈장 피브리노겐 측정법은 트롬빈 시간에 근거한 클라우스의 방법을 따랐다(바이오메리오의 시험 키트).
두 개의 피험자 군의 특성
변수 프로비바R 플라시보
개체수 15 15
나이(세) 43.0 ±2.0 42.3 ±3.0
BMI(㎏/㎡) 26.6 ±3.7 25.9 ±2.6
심장 수축압(㎜Hg) 133 ±12 125 ±15
심장 확장압(㎜Hg) 88 ±7 83 ±9
프로비바R 또는 플라시보의 소비후의 피험자의 생화학적 변수
변수(㎎/㎗) 프로비바R 플라시보
6주전 6주후 6주전 6주후
트리글리세라이드 122 ±61 121 ±52 127 ±42 112 ±32
콜레스테롤 233 ±36 216 ±33* 216 ±31 208 ±40
LDL-콜레스테롤 156 ±36 141 ±34* 140 ±32 134 ±41
HDL-콜레스테롤 47 ±10 46 ±10 48 ±10 46 ±8
글루코스 110 ±11 112 ±11 104 ±10 109 ±16
피브리노겐 319 ±82 276 ±58** 320 ±85 307 ±60
* p<0.01 ** p<0.001
결과
나이, 체중 지수(BMI), 심장 수축압 또는 심장 확장압에 대해 군 사이에 유의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생화학적 시험의 결과는 표 2에 제시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피브리노겐의 초기 농도는 두 군에서 보통으로 상승되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HDL-콜레스테롤치는 정상 한계내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 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는 ㎎/㎗로 표현하였다. 평균치 및 표준편차는 생화학적 변수에 대해 계산하고, 군들 사이에서 무조(unpaired) 스튜던트 t-시험을 실시하거나 각 군내에서 조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05로 얻어졌다. 실험 6주후에, 프로비바R군의 피브리노겐 레벨은 319 ±82㎎/㎗로부터 276 ±58㎎/㎗(p<0.001)로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초기 값 대비 13.5%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유사하게,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은 각각 7.3%(233 ±33으로부터 216 ±31로) 및 9.6% (156 ±36으로부터 141 ±34로) 감소하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루코스 및 HDL-콜레스테롤 레벨은 이 군에서 변화하지 않은 채로 유지되었다.
플라시보군에서는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 수준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락토바실러스의 특정 균주를 함유하는 식품이 혈액 콜레스테롤 레벨을 감소시킨다는 종래의 관찰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균주가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최초로 확인된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에 의한 규정식 보충이 심혈관 질병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면서 보통으로 상승된 콜레스테롤 농도를 가진 환자에게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피브리노겐이 허혈성 심장 질병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이고 혈액내 그 레벨은 유전적 및 환경적 인자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바 있다. 프로비바가 피브리노겐 레벨 및 콜레스테롤 레벨을 둘다 감소시킨다는 발견에 의해, 프로비바는 허혈성 심장 질병의 초기 예방에 있어 유망한 식품이 될 수 있다.

Claims (6)

  1.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서의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 약제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종의 균주를 포함하는 약제.
  2. 혈액내의 피브리노겐 레벨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레벨의 감소용 약제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종의 균주를 항과지단백질혈 활성 물질(antihyperlipoproteinemically active substance)과의 배합물로 포함하는 약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종의 균주가 혈액내 콜레스테롤 레벨도 감소시키는 것인 약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죽상경화증, 심혈관 질병, 관상 심장 질병,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 질병, 발작과 같은 순환계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인 것인 약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종의 균주가 수탁번호 DSM 9843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299v인 것인 약제.
KR10-2000-7001211A 1997-08-05 1998-07-30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KR100517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2860A SE510753C2 (sv) 1997-08-05 1997-08-05 Användning av en stam av Lactobacillus för tillverkning av ett läkemedel för reduktion av fibrinogenhalten i blod
SE9702860-9 1997-08-05
PCT/SE1998/001423 WO1999007827A1 (en) 1997-08-05 1998-07-30 Use of lactobacillus for reduction of the fibrinogen level in bl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617A KR20010022617A (ko) 2001-03-26
KR100517755B1 true KR100517755B1 (ko) 2005-09-30

Family

ID=2040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211A KR100517755B1 (ko) 1997-08-05 1998-07-30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214336B1 (ko)
EP (1) EP0990024B1 (ko)
JP (1) JP4651814B2 (ko)
KR (1) KR100517755B1 (ko)
CN (1) CN1142995C (ko)
AR (1) AR016798A1 (ko)
AT (1) ATE326524T1 (ko)
AU (1) AU729413B2 (ko)
BR (1) BR9811825A (ko)
CA (1) CA2297023C (ko)
DE (1) DE69834560T2 (ko)
ES (1) ES2259457T3 (ko)
IL (1) IL134113A0 (ko)
NO (1) NO324881B1 (ko)
NZ (1) NZ502610A (ko)
PL (1) PL194697B1 (ko)
SE (1) SE510753C2 (ko)
WO (1) WO1999007827A1 (ko)
ZA (1) ZA9867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4011B2 (en) 1998-10-01 2003-08-07 Probi Ab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factors
JP4193269B2 (ja) * 1999-03-04 2008-12-10 ビーエイチピーエイチ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新規な生体浄化活性型乳酸菌製剤
SE523771C2 (sv) * 1999-05-21 2004-05-18 Probi Ab Sportdryck innehållande mikronäringsämnen i kombination med levande laktobaciller
AUPR101600A0 (en) * 2000-10-25 2000-11-16 Atheromastat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SE0004124D0 (sv) * 2000-11-10 2000-11-10 Probi Ab New use
GB0124580D0 (en) * 2001-10-12 2001-12-05 Univ Reading New composition
KR20030033950A (ko) * 2001-10-20 2003-05-01 주식회사 알엔에이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FR2831395B1 (fr) * 2001-10-25 2004-06-11 Triballat Laiteries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fermentes a base de soja, produits fermentes obtenus par ce procede et ferments correspondants
TWI241912B (en) * 2002-10-30 2005-10-21 Food Industry Res & Dev Inst Novel Acid-and bile salt-resistant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the ability to lower and assimilate cholesterol
SE527555C2 (sv) * 2003-04-04 2006-04-11 Probi Ab Anti-inflammatorisk komposition innehållande tannasproducerande Lactobacillusstammar
CN1207382C (zh) * 2003-04-11 2005-06-22 上海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植物乳杆菌st-iii菌株及其在调节血脂方面的应用
US8877178B2 (en) 2003-12-19 2014-11-04 The Iams Company Methods of use of probiotic bifidobacteria for companion animals
US20050158294A1 (en) 2003-12-19 2005-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nine probiotic Bifidobacteria pseudolongum
US7001756B1 (en) * 2004-02-19 2006-02-21 Genmont Biotech Inc. Microorganism strain of GM-020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its use for treating obesity
GB0424552D0 (en) * 2004-11-05 2004-12-08 Cambridge Theranostics Ltd Methods and means
AU2006253006B8 (en) 2005-05-31 2011-09-15 Alimentary Health Ltd Feline probiotic Lactobacilli
BRPI0611492B1 (pt) 2005-05-31 2021-10-13 Mars, Incorporated Bifidobactéria probiótica felina
US20080254011A1 (en) * 2007-04-11 2008-10-16 Peter Rothschild Use of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for reducing atherosclerosis
KR100909586B1 (ko) * 2007-06-01 2009-07-27 신현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 효과적인 유산균 및 이들의혼합균주
SE532899C2 (sv) * 2007-06-08 2010-05-04 Probi Ab Förfarande genom fermentering med Lactobacillus plantarum för tillhandahållande av en insulinsvarsreducerande produkt och dess användning farmaceutiskt eller i livsmedel
JP5469873B2 (ja) * 2008-03-11 2014-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
US9771199B2 (en) 2008-07-07 2017-09-26 Mars, Incorporated Probiotic supplement, process for making, and packaging
JP5140791B2 (ja) * 2008-11-27 2013-02-13 森下仁丹株式会社 乳酸菌含有血中ホモシステイン低減剤
US9474773B2 (en) 2009-02-18 2016-10-2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actobacillus supplement for alleviating type 1 diabetes
ES2729765T3 (es) * 2009-06-19 2019-11-06 Dupont Nutrition Biosci Aps Bifidobacterias para el tratamiento de la insuficiencia cardíaca congestiva
US10104903B2 (en) 2009-07-31 2018-10-23 Mars, Incorporated Animal food and its appearance
CN102031229B (zh) * 2009-09-24 2012-05-30 家医国际生化股份有限公司 具有肠胃道吸附能力及排除胆固醇能力的植物乳杆菌
PL2521769T3 (pl) * 2010-01-08 2017-01-31 Gervais Danone Sa Pałeczki kwasu mlekowego z działaniem przeciwutleniającym
GB201319540D0 (en) * 2013-11-05 2013-12-18 Optibiotix Health Ltd Composition
GB201319538D0 (en) 2013-11-05 2013-12-18 Optibiotix Health Ltd Composition
GB201709763D0 (en) * 2017-06-19 2017-08-02 Probi Ab Biological materials and methods
CN110786435B (zh) * 2019-11-19 2022-08-23 四川农业大学 产高活性纤溶酶原激活剂的植物乳杆菌及用其发酵的果蔬汁饮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551B2 (ja) * 1986-12-01 1994-06-2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血圧降下剤
JP2676250B2 (ja) * 1989-03-20 1997-11-1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血圧降下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2855290B2 (ja) * 1990-11-30 1999-02-1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脂質代謝改善剤
JPH04264034A (ja) * 1991-02-18 1992-09-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生体内過酸化脂質抑制剤
JPH0525055A (ja) * 1991-07-22 1993-02-02 Yakult Honsha Co Ltd 血圧降下剤
SE469875C (sv) * 1991-07-25 1997-02-05 Probi Ab Stam av tarmkoloniserande Lactobacillus samt komposition för profylax eller behandling av infektioner i magtarmkanalen
JPH06116155A (ja) * 1992-10-08 1994-04-26 Yakult Honsha Co Ltd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JP2801479B2 (ja) * 1992-10-09 1998-09-21 株式会社トクヤマ 補綴材料の製造方法
JP2992945B2 (ja) * 1994-03-11 1999-12-20 カルピス株式会社 ラクトバチルス・アシドフィルス乳酸菌
JPH08208512A (ja) * 1995-02-03 1996-08-13 Nippon Chem Res Kk 血栓形成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4113A0 (en) 2001-04-30
DE69834560T2 (de) 2006-11-02
JP4651814B2 (ja) 2011-03-16
EP0990024A1 (en) 2000-04-05
AU8372698A (en) 1999-03-01
SE510753C2 (sv) 1999-06-21
NO20000268L (no) 2000-01-19
EP0990024B1 (en) 2006-05-17
AR016798A1 (es) 2001-08-01
DE69834560D1 (de) 2006-06-22
KR20010022617A (ko) 2001-03-26
US6214336B1 (en) 2001-04-10
BR9811825A (pt) 2000-08-15
CN1142995C (zh) 2004-03-24
JP2001512747A (ja) 2001-08-28
ES2259457T3 (es) 2006-10-01
NO20000268D0 (no) 2000-01-19
CN1265141A (zh) 2000-08-30
NO324881B1 (no) 2007-12-27
NZ502610A (en) 2000-12-22
SE9702860D0 (sv) 1997-08-05
CA2297023C (en) 2010-03-30
PL194697B1 (pl) 2007-06-29
AU729413B2 (en) 2001-02-01
WO1999007827A1 (en) 1999-02-18
ZA986769B (en) 1999-02-02
CA2297023A1 (en) 1999-02-18
SE9702860L (sv) 1999-02-06
PL338578A1 (en) 2000-11-06
ATE326524T1 (de)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755B1 (ko)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KR100886728B1 (ko) 대사 증후군에 관련된 위험인자를 감소시키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균주 포함 약물
USRE46718E1 (en) Compositions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n combination with tannin and new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KR20050057259A (ko)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AU2002214486A1 (en) Use of a strain of Lactobacillus reducing the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metabolic syndrome
Hata et al. Clinical effects of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wakame), on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subjects
JP3572306B2 (ja) ナットウキナーゼ及び乳発酵産物を含有する健康食品
US6830750B1 (en)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factors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EP220952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L.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m lacti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functional bowel disorder
EP4185309A1 (en) Microbial therapy
KR20050076104A (ko) 심혈관계 질환 개선 조성물
US20220143070A1 (e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ysbiosis
US20190091270A1 (en) Probiotics for use in relieving symptom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disorders
JP2018002693A (ja) 下痢型過敏性腸症候群抑制剤及び食品組成物
US20040131636A1 (en) Blood fluidity-improving health foods
JP2007246408A (ja) Ldl酸化抵抗性改善剤
JP2019064985A (ja) 下痢型過敏性腸症候群抑制剤及び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