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950A -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 Google Patents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950A
KR20030033950A KR1020020064258A KR20020064258A KR20030033950A KR 20030033950 A KR20030033950 A KR 20030033950A KR 1020020064258 A KR1020020064258 A KR 1020020064258A KR 20020064258 A KR20020064258 A KR 20020064258A KR 20030033950 A KR20030033950 A KR 2003003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lactobacillus
lactis
lb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리나
정대균
우희종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3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6Bacteri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장 지질 함량, 지질과산화 및 염증성 전구물질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동맥경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억제제는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시키면서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소시키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염증성 전구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Arteriosclerosis inhibitory agent comprising cytoplasmic fraction or debris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장 지질 함량, 지질과산화 및 염증성 전구물질의 생성 등을 조절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동맥경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국인의 식생활 양상이 서구화됨에 따라 각종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로 인하여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등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고, 한국인 사망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순환기계 질환은 여러가지 복합적인 인자에 의해 유발되며, 환경적인 요인 및 식생활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과잉의 지방 섭취는 지질대사의 이상을 초래하며, 식이지방 중의 콜레스테롤 및 포화 지방산은 혈장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질의 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Grundyet al.,AM. J. Clin. Nutr. 30:985, 1977).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은 죽상경화증이라고도 하며, 동맥벽에 지방분이 침착되어 딱딱해지고, 점점 동맥내경이 좁아져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증상은 빠르게는 20대에 시작되어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점점 진행하게 된다. 초기에는 동맥 내벽에 지방질이 침착하여 작은 지방분을 형성하고 점점 지방분의 침착이 많아지면, 동맥벽을 구성하고 있는 평활근 세포의 증식이 일어나동맥 내경이 좁아지고 혈류의 장애가 생기게 되며, 말초조직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벽은 딱딱하게 섬유화가 되며 칼슘이 침착하여 석회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전신의 동맥 어디에나 생길 수 있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 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유발되면 심근경색증이 되어 생명을 잃기도 하고, 가슴에 심한 통증이 생기는 협심증이 되기도 한다. 또한,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유발되면 뇌경색증이 되어 신체의 일부가 마비되기도 하며, 신장으로 가는 혈관이 막히면 신장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신혈관성 고혈압이라는 병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물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마늘, 버섯 등과 같은 식품 및 동충하초, 삼백초 등과 같은 한방 재료를 이용한 동맥경화의 예방 효과에 관한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인체에 무독하면서 동맥경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 아직 미미한 편이다.
한편,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세균 중에서 가장 오래전부터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균으로서, 특히, 발효 유제품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유산균은 영양소의 흡수를 개선하고, 유당불내성(lactose intolerance)을 완화시키며, 장의 운동성을 개선하고 항암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인체에 유용하며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던 중, 유산균의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이 혈장 지질 함량, 지질과산화 및 염증성전구물질의 생성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억제함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장 지질 함량, 지질과산화 및 염증성 전구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래트 뇌 분쇄물(rat brain homogenate)에서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각 유산균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소의 폐동맥 내피세포(bov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 후,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 p<0.005
도 3은 뮤린대식세포(murine macrophage cell)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 후,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 p<0.05
도 4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이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 p<0.05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 + 3%Lbul(F)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식이군
HF + 3%Lbul(W)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균을 첨가한 식이군
도 5는 고지방 식이로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의 간 미크로좀(microsome)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세포질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 + 3%Lbul(F)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식이군
HF + 3%Lbul(W)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균을 첨가한 식이군
도 6은 고지방 식이로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의 혈장에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 첨가에 의한 8-이소-프로스타글란딘 F(8-iso-prostaglandin F)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 + 3%Lbul(F)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식이군
HF + 3%Lbul(W)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균을 첨가한 식이군
도 7은 고지방 식이로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 첨가에 의한 TNF-α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05의 유의성이 있음.
** : 고지방 식이군과 비교하여 p<0.005의 유의성이 있음.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 + 3%Lbul(F)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식이군
HF + 3%Lbul(W)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균을 첨가한 식이군
도 8은 고지방 식이로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 첨가에 의한 MCP-1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 + 3%Lbul(F)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식이군
HF + 3%Lbul(W)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균을 첨가한 식이군
도 9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이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3%Lbul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pla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euco : 고지방 식이에 3%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도 10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이 혈장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3%Lbul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pla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euco : 고지방 식이에 3%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도 11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이 혈장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 : 정상 식이군
HF : 고지방 식이군
HF+3%Lbul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pla : 고지방 식이에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HF+3%Leuco : 고지방 식이에 3%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산균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kissp.bulgaricus; Lbul),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Sthe),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us lactisssp. cremoris; Lcre),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Lca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on),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lactisssp.lactis; Llac),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ad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la),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 Leuco) 또는 페디오코코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Pedio)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다.
동맥경화는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장 콜레스테롤의 농도 상승으로 인해 유도되며,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에 의한 지질과산화에 의해서도 유도된다. 상기 지질과산화는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동맥경화, 당뇨 등과 같은 병변 현상을 유도한다. 또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은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시켜 사이토카인 (cytokine)을 분비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과산화 및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맥경화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kissp.bulgaricus; Lbul),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Sthe),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us lactisssp. cremoris; Lcre),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Lca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on),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ssp.lactis; Llac),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ad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la),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 Leuco) 및 페디오코코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Pedi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은 유산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유산균을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상기 현탁된 유산균을 파쇄하여 유산균 파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산균 파쇄물로부터 세포 침전물 및 세포벽을 분리, 제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회수된 유산균의 현탁에 사용되는 완충용액으로는 트리스 버퍼(Tris buffer),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완충용액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현탁된 유산균의 파쇄는 호모지나이즈(homogenize), 초음파분쇄(sonication)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유산균 파쇄물로부터 세포 침전물 및 세포벽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원심분리(centrifugation) 방법을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억제제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이용상의 편의 등을 위하여 세포 침전물, 세포벽 등을 제거하는 전 단계, 즉,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을 얻기 전 단계의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부터 세포질 분획물을 분리한 후, 지질과산화에 대한 각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래트 뇌 분쇄물(rat brain homogenate)의 지질과산화를 유도한 후, 상기 유산균의 각 세포질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의 세포질 분획물 순으로 지질과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1 참조), 특히,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이후 "Lbul"이라 함)의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Lbul 세포질 분획물의 혈관내피 세포 및 대식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상기 혈관내피세포로는 소의 폐동맥 내피세포(bovine pulmonary artery endotherial cell)를 사용하였고, 대식세포로는 뮤린대식세포(murine macrophagecell)를 사용하였다. 상기 두 세포를t-BHP(t-butylhydroperoxide, Sigma)를 사용하여 산화적 손상을 유도시킨 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세포의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산화적 손상 후에도 Lbul 세포질 분획물을 처리한 세포의 증식이 Lbul 세포질 분획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증가되었다. 따라서, Lbul 세포질 분획물이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동맥경화를 유도한 후, 상기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동맥경화 억제 효과를 Lbul 자체에 의한 동맥경화 억제 효과와 비교하였다. 동맥경화 억제 활성 정도는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과산화 억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조사되었다.
우선, 고지방 식이에 의하여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에서의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되었고, Lbul 세포질 분획물이 첨가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또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간으로부터 미크로좀(microsome)을 분리한 후,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억제 정도는 MDA(malondialdehyde)의 생성량 억제도로 평가하였다. 상기에서 MDA는 지질과산화시 생성되는 물질로서 지질과산화 측정에 지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하여 MDA 생성이 가장 억제되었으며, 따라서, 상기 Lbul 세포질 분획물이 보다 효과적으로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8-이소-프로스타글란딘 F(8-iso-prostaglandin F2α,이후, "8-iso-PGF"라 함) 또한 지질과산화 정도 측정시 지표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혈관을 수축시키며, 동맥경화의 잠재적 중재물질로 알려져 있다(Morrowet al.,Biochem. Biophys. Acta., 1210:244-248, 1994). 본 발명에서는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상기 8-iso-PGF 생성 억제 정도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군에서 8-iso-PGF의 생성이 증가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Lbul 세포질 분획물이 첨가된 고지방 식이군에서 8-iso-PGF의 생성이 가장 감소되었고, 따라서, Lbul 세포질 분획물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병변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맥경화 병변 과정에서 그 생성량이 증가하는 염증성 전구물질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및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생성에 대한 본 발명의 Lbul 세포질 분획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기에서 TNF-α및 MCP-1은 케모카인(chemokine)의 일종으로서 동맥경화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 상태에서 그 발현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Nelkenet al.J. Clin. Invest., 88:1121-1127, 1991).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동맥경화가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를 분리한 후, TNF-α및 MCP-1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군에서 두 물질의생성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급격히 증가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Lbul 세포질 분획물이 첨가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는 상기 두 물질의 생성이 Lbul 자체가 첨가된 고지방 식이군에서 보다 훨씬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Lbul 세포질 분획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산균 파쇄물에 의한 동맥경화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동맥경화억제 효과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HDL-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여 조사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HDL-콜레스테롤은 혈관과 같은 다른 조직으로부터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혈중 HDL-콜레스테롤이 많으면 혈관 내부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것이 억제된다. 반면, LDL-콜레스테롤은 간으로부터 혈관과 같은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혈중 LDL-콜레스테롤이 많으면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며, 이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게 되고 혈관자체도 굳어져서 동맥경화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많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이 적으면 동맥경화를 억제하고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동맥경화를 유도한 후, Lbul, Lpla 및 Leuco 파쇄물에 의한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Lbul 및 Leuco, Lpla 파쇄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Lpla 파쇄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군은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 식이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Lbul, Lpla 및 Leuco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모두 70%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파쇄물은 혈장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상기 유산균 파쇄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억제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강보조 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은 캅셀, 정제, 산제, 과립, 분말, 환제, 액상, 페이스트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제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의 제조
1-1) 유산균의 배양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kissp.bulgaricus; Lbul, KCTC 3188),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Sthe, KCTC 2185),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uslactisssp. cremoris; Lcre, ML4),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Lcas, KCTC 3109),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i, IAM 1084),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on, ATCC 1570),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ssp.lactis; Llac, ATCC 7962),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ado, ATCC 15730),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la, KCTC 3099)을 5% 글루코스가 첨가된 M17 액체 배지(Difco) 3ℓ에 각각 접종하여 30℃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8000rpm, 4℃로 원심분리(Vision, Korea)하여 유산균을 회수하였고, 증류수로 3회 세척한 후 동결 건조시켜 보관하였다.
1-2) 세포질 분획물의 분리
세포질 분획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시예 1-1)에서 분리하여 동결 건조시킨 각 유산균을 증류수에 10㎎/㎖ 농도로 현탁하였다. 현탁한 세포를 세포 파쇄기(Sonics and Materials Inc., Danbury, CT, USA)를 이용하여 30분간 파쇄하되, 발생되는 열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파쇄하였다. 파쇄된 세포를 5℃에서 800g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파쇄된 세포의 상층액으로부터 세포벽을 분리하기 위하여, 70,000g로 30분간 초고속 원심분리(Ultracentrifuge, Hitach, Tokyo, Japan)하여 세포벽이 포함된 침전물을 제거함으로써 상층액인 세포질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in vitro 상에서의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측정
2-1)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측정
래트 뇌(rat brain) 1g에 9㎖의 0.15M KCl을 첨가하고 8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in vitro 지질과산화 측정용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0.5㎖의 뇌 세포 분쇄액(brain homogenate)에 0.7㎖의 0.15M KCl과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각각의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0.1, 1 및 10mg/㎖ 그리고 0.15㎖의 1mM 황산철(ferrous sulfate)을 잘 혼합하여 37℃에서 30분 동안 산화 반응시켰다. 30분 후, 8% TCA(trichloroacetic acid), 0.38% TBA(thiobarbituric acid)와 0.05% BHT(butylated hydroxy toluene)가 포함된 차가운 0.25M HCl 2㎖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이 정지된 샘플을 8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 1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흡광도를 흡광계수(1.56x105)로 환산하여 TBA(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 값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산균의 세포질 분획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율이 높았으며, Lbul 세포질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에 대한 저해율이 82.8%로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측정
상기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중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Lbul 세포질 분획물의 첨가가t-BHP(t-butylhydroperoxide, Sigma, MO, USA)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뮤린대식세포(murine macrophage cell line, 이후 "Raw264.7"라 함)와 소의 폐동맥 내피세포(bov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 이후 "BPAE"라 함)는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배지는 10% FBS(Gibco BRL, N.Y., USA), 10㎖/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BRL, N.Y., USA), 2㎖/L 젠타마이신(Gibco BRL, N.Y., USA)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N.Y., USA) 배지를 사용하였고, 37℃, 5% CO2의 조건하에서 3-4일 동안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두 세포를 각각 2×106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고, 37℃, 5% CO2의조건하에서 전배양(preincubation)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CMF-PBS(Ca/Mg free-phosphate buffered saline)로 2회 세척하였고, Lbul 세포질 분획물을 농도별(BPAE의 경우 0.02, 0.1, 0.5mg/㎖, Raw 264.7의 경우 0.5, 2.5mg/㎖)로 각각 처리하였다. 37℃, 5% CO2의 조건하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였고, CMF-PBS로 2회 세척한 후t-BHP를 1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37℃, 5% CO2의 조건하에서 2시간 배양한 후, CMF-PBS로 다시 1회 세척하였고, 배지에 [3H]-thymidine(DuPont NEN, MA, USA)을 1μci/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수확하였고, 칵테일 용액(cocktail solution. Sigma, MO, USA)을 첨가하고 β-카운터(counter)기로 측정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AE에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세포 증식이 58% 감소되었으며, Lbul 세포질 분획물의 농도가 증감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w 264.7에서도t-BHP 첨가로 인하여 세포 증식이 27.4% 감소되었으나, Lbul 세포질 분획물의 농도가 증감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동맥경화 동물모델에서의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동맥경화 억제 정도측정
3-1) 실험 동물 사육 및 식이 조성
Lbul 세포질 분획물의 효과가 Lbul 균 자체의 효과보다 향상된 동맥경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C57BL/6 마우스 수컷을 효창사이언스로부터 분양 받아, 체중 20g이 될때까지일반 고형 사료를 섭취시켜 1주일간 예비 사육하였다. 적응기간 후 무작위로 8마리씩 정상 식이군(NC), 고지방 식이군(HF), 3% Lbul 첨가 고지방 식이군(HF+3%Lbul(W)), 3%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HF+3%Lbul(F))의 네 군으로 분류하여, 하기 표 1에 도시된 식이로 9주간 사육하였다. 처음 4주간은 라드(lard)를 포함한 고지방 식이로 동맥경화의 병변 현상을 유도하였고, 5주째부터 3% Lbul 및 3% Lbul 세포질 분획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사육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동물 사료 중 옥수수유(corn oil), 덱스트로스(dextrose), 수크로스(sucrose), 카제인(casein), 라드(lard)는 동명산업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콜린 바이타트레이트(choline bitartrate),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 메티오닌(DL-methionine)은 BioServe(Holton industries co. USA)사의 제품을, 셀룰로오스(cellulose)는 Sigma(St. Louis, MO, USA)사의 제품을, 소디움 콜레이트(sodium cholate)는 Acros Organics(N.J., USA)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동물기본사료조성표인 AIN-76(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76)의 식이조성에 근거하여 각 군의 식이를 조제하였다.
조성물 군(group)
NC HF HF+3%Lbul(F) HF+3%Lbul(W)
카제인 20.0 20.0 20.0 20.0
메티오닌 0.3 0.3 0.3 0.3
수크로스 50.0 43.2 40.2 40.2
덱스트로스 15.0 15.0 15.0 15.0
알파셀 5.0 5.0 5.0 5.0
AIN-76 미네랄 혼합물 3.5 3.5 3.5 3.5
AIN-76 비타민 혼합물 1.0 1.0 1.0 1.0
콜린 바이타트레이트 0.2 0.2 0.2 0.2
옥수수유 5.0 5.0 5.0 5.0
라드 - 5.0 5.0 5.0
콜레스테롤 - 1.5 1.5 1.5
소디움 콜레이트 - 0.3 0.3 0.3
Lbul 세포질 분획물 - - 3.0 -
Lbul - - - 3.0
3-2)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사육 종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전혈을 채취하였고, 헤파린(heparin)을 처리한 다음 8,000rpm에서 15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혈장 중의 지질 함량 즉,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함량은 효소법에 의한 비색 정도를 측정하는 키트(Asan kit, 아산제약 주식회사,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25.8%로 증가되었고, Lbul 첨가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반면,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13%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지질과산화 측정
각 군의 마우스에서 적출한 간을 1.15% KCl을 이용하여 20% 분쇄액으로 만든 다음, 1,2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다시 15,000rpm에서 30분 원심분리하여 그 상층액을 지질과산화 측정실험에 사용하였다.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의 생성량은 비색법에 의한 야기 등의 방법(Ohkawaet al.,Anal Biochem., 95(2):351-8, 1979; Yagi, Hiroshiet al.,Methods Mol Biol., 108:101-106, 1998)으로 측정하였고, BCA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MDA nmol/mg protein으로 나타내었다. 표준용액으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tetramethoxypropan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군에서 MDA 함량이 정상 식이군에서보다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8-iso-PGF 생성량 측정
고지방 식이로 사육한 마우스의 혈장에서의 8-iso-PGF 생성량 측정은 correlate-EIA 8-iso-Prostaglandin Fenzyme immunoassay kit(Assay Designs, MI, USA)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액의 발색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8-iso-PGF의 생성량은 1.83배 증가되었으며,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8-iso-PGF의 생성이 Lbul 첨가 고지방 식이군과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에서 각각 11%, 68.3%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Lbul 세포질 분획물이 Lbul 균 자체보다 효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Lbul 세포질 분획물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의 TNF-α및 MCP-1 활성 억제 효과
4-1)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분리 및 배양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사육한 마우스에 3% 티오글리콜레이트 (thioglycollate, Difco, MI, USA)용액 2㎖를 복강 주사하였고, 4일 후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Gibco BRL, N.Y., USA) 1㎖를 첨가하여 마사지를 한 후, 다시 상기 HBSS 용액 6㎖를 첨가하여 대식세포를 복강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상기 대식세포 2 ×106cell/㎖을 배양 플라스크에 분주한 후, 37℃, 5% CO2의 조건하에서 2시간 배양하였고, HBSS로 대식세포 잔여물을 세척하였다. 이후, 배양한 상층액 중의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및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인 ELISA/EIA로 측정하였다.
4-2) TNF-α의 측정
대식세포 배양액 중의 TNF-α의 생성량은 OptEIATMmouse TNF-α Set (PharMingen, CA, USA)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인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법으로 측정하였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TNF-α생성량이 2.67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고지방 식이로 증가된 TNF-α 생성이 Lbul 첨가 고지방 식이군,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에서 각각 16.15%, 37.8%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MCP-1의 측정
MCP-1 생성량은 OptEIATMmouse MCP-1 Set(PharMingen, CA, USA)을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인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법으로 측정하였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MCP-1양이 55.4% 정도 증가되었으며, Lbul 첨가 고지방 식이군과 Lbul 세포질 분획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에서 MCP-1 생성량이 각각 8.72%, 18.6%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Lbul 세포질 분획물이 Lbul 균 자체보다 염증전구 물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유산균 파쇄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 (KCTC 318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KCTC 3099) 및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를 배양하였다.
상기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는 본 발명자들이 김치로부터 분리한 균주이다. 상기 분리 균주는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메센테로이드 반 티에그헴 (Leuconostoc mesenteroidessubsp.mesenteroides(Tsenkovskii) van Tieghem;ATCC 9135)과의 단백질 패턴을 비교한 결과 동일하게 나타나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로 동정하였다.
배양된 유산균을 동결건조시킨 다음 증류수에 10㎎/㎖ 농도로 현탁하였다. 현탁한 세포를 세포 파쇄기(Sonics and Materials Inc., Danbury, CT, USA)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30분간 파쇄하여 유산균 파쇄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동맥경화 동물모델에서의 Lbul, Lpla 및 Leuco 파쇄물에 의한 동맥경화 억제 정도측정
5-1) 실험 동물 사육 및 식이 조성
실험 동물은 실시예 3-1)과 동일한 동물을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사육하였다. 적응 기간 후 무작위로 8마리씩 정상 식이군(NC), 고지방 식이군(HF), 3% Lbul 파쇄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HF+3%Lbul), 3% Lpla 파쇄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HF+3%Lpla) 및 3% Leuco 파쇄물 첨가 고지방 식이군(HF+3% Leuco)의 다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상 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의 식이 조성은 실시예 3-1과 동일하였으며,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한 식이군은 실시예 3-1의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첨가군과 동일한 식이조성에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대신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하였다.
5-2)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사육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전혈을 채취한 다음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혈장을 수득하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8%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Lpla, Lbul 및 Leuco 파쇄물을 첨가한 모든 고지방 식이군은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10%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3) 혈장 HDL-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사육 종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전혈을 채취한 다음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혈장을 수득하였다. 혈장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효소법에 의한 비색 정도를 측정하는 키트(Asan kit, 아산제약 주식회사,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블랭크(blank), 표준액 및 마우스 혈청을 각각 37℃에서 5분간 전배양하였다. 이를 96웰 ELISA 플레이트에 각각 200㎕씩 분주한 다음 효소액 10㎕씩을 분주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ELISA 리더로 45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27%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반면,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한 모든 식이군에서는HDL-콜레스테롤 함량이 25%이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Lpla를 첨가한 식이군에서 혈장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30%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 유산균 파쇄물은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4) 혈장 LDL-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실시예 5-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장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군에서 50%이상 증가되었다. 반면, 유산균 파쇄물을 첨가한 모든 식이군에서는 LDL-콜레스테롤 함량이 70%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산균 파쇄물은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파쇄물은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장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면서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소시켜 혈관 내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방지하고 혈중 내로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이 운반되어 혈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동맥경화 억제제는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개선하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며, 염증성 전구물질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산균 파쇄물 또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cytoplasmic fractio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파쇄물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
    (a) 유산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회수된 유산균을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및
    (c) 상기 현탁된 유산균을 파쇄하는 단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질 분획물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
    (a) 유산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회수된 유산균을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c) 상기 현탁된 유산균을 파쇄하는 단계; 및
    (d) 상기 파쇄된 유산균으로부터 세포 침전물 및 세포벽을 분리, 제거하는 단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kissp.bulgaricus; Lbul),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Sthe),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us lactisssp. cremoris; Lcre),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Lca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on),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ssp.lactis; Llac),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ad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la),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 및 페디오코코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Pedi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5. 유산균 파쇄물 또는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cytoplasmic fraction)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파쇄물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
    (a) 유산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회수된 유산균을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및
    (c) 상기 현탁된 유산균을 파쇄하는 단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질 분획물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
    (a) 유산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회수된 유산균을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c) 상기 현탁된 유산균을 파쇄하는 단계; 및
    (d) 상기 파쇄된 유산균으로부터 세포 침전물 및 세포벽을 분리, 제거하는 단계.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kissp.bulgaricus; Lbul), 스트렙토코코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Sthe),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us lactisssp. cremoris; Lcre),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Lca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on), 락토코코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ssp.lactis; Llac),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ad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la),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 및 페디오코코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Pedi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020064258A 2001-10-20 2002-10-21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KR20030033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906 2001-10-20
KR20010064906 200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50A true KR20030033950A (ko) 2003-05-01

Family

ID=2956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258A KR20030033950A (ko) 2001-10-20 2002-10-21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39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17B1 (ko) * 2004-11-20 2006-06-26 주식회사 알엔에이 간 손상 보호 및 예방에 유용한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801556B1 (ko) * 2005-04-04 2008-02-11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갖는 Lactobacillusgasseri NLRI 312
KR100868777B1 (ko) * 2007-03-15 2008-11-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Rs3 유형의 저항 전분에 대해 분해능이 있는비피도박테리움 아도레스센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1104179B1 (ko) * 2009-07-10 2012-01-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피더스균 유래의 세포질 추출물을 함유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
KR101426276B1 (ko) * 2012-08-16 2014-08-05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심장질환 및 뇌졸중을 유발하는 거품세포 형성 억제 및 혈관 병변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6155A (ja) * 1992-10-08 1994-04-26 Yakult Honsha Co Ltd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US5516684A (en) * 1994-03-11 1996-05-14 The Calpis Food Industry Co., Ltd. Biologically pure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FERM-P-14204 or FERM-P-14205
US5540924A (en) * 1989-09-05 1996-07-30 Ajinomoto Company, Inc.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white diarrhea and diarrhea in livestock, etc.
KR20010022617A (ko) * 1997-08-05 2001-03-26 프로비 아베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924A (en) * 1989-09-05 1996-07-30 Ajinomoto Company, Inc.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white diarrhea and diarrhea in livestock, etc.
JPH06116155A (ja) * 1992-10-08 1994-04-26 Yakult Honsha Co Ltd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US5516684A (en) * 1994-03-11 1996-05-14 The Calpis Food Industry Co., Ltd. Biologically pure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FERM-P-14204 or FERM-P-14205
KR20010022617A (ko) * 1997-08-05 2001-03-26 프로비 아베 락토바실러스를 혈액내 피브리노겐 레벨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울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02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17B1 (ko) * 2004-11-20 2006-06-26 주식회사 알엔에이 간 손상 보호 및 예방에 유용한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801556B1 (ko) * 2005-04-04 2008-02-11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갖는 Lactobacillusgasseri NLRI 312
KR100868777B1 (ko) * 2007-03-15 2008-11-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Rs3 유형의 저항 전분에 대해 분해능이 있는비피도박테리움 아도레스센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1104179B1 (ko) * 2009-07-10 2012-01-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피더스균 유래의 세포질 추출물을 함유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
KR101426276B1 (ko) * 2012-08-16 2014-08-05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심장질환 및 뇌졸중을 유발하는 거품세포 형성 억제 및 혈관 병변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2552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KBL396 strain and use thereof
US10286026B2 (en) Probiotic fermented ce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caused by pro-inflammatory bacteria
Taranto et al. Evidence for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actobacillus reuteri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US9456630B2 (en) Use of Bifidobacterium longu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
RU2542413C2 (ru) Кратковременная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ая обработка для микробных препаратов с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Wang et al. Effect of Lactobacillus-fermented adlay-based milk on lipid metabolism of hamsters fed cholesterol-enriched diet
Kapila et al. Antioxidative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actobacillus casei ssp casei (biodefens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KR20100015371A (ko)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별된 젖산균의 이용
WO2009071086A2 (en) Probiotic bacteria and regulation of fat storage
JPWO2005092122A1 (ja) ユッカ抽出物、キラヤ抽出物及び乳酸菌からなる組成物及び同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品
KR101426275B1 (ko)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23534702A (ja) 微生物療法
KR20030033950A (ko) 유산균 세포질 분획물 또는 유산균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동맥경화 억제제
KR100774969B1 (ko)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및 혈중 지질 개선을 통한 동맥경화예방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케이8
AU2013201424B2 (en) Treatment of IBD and IBS using both probiotic bacteria and fermented cereal as treatment effectors
TW201707566A (zh) 一種具有抗氧化/消除自由基能力之黑蒜頭發酵乳及其製造方法
Suman et al. Antioxidative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actobacillus casei ssp casei (biodefens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Qin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fermented milk drinks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Obaid Effect of the Probiotic Yogurt on Hypercholesterolemic Rats
Kim et al.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Bacillus strain-fermented Cheonggukjang Products in Mice
IE20080790U1 (en) Modulation of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of a host by human gut bacteria
IES20080790A2 (en) Modulation of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of a host by human gut 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