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030B1 - 지방성면역보강백신제제및이를제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지방성면역보강백신제제및이를제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030B1
KR100512030B1 KR1019960060481A KR19960060481A KR100512030B1 KR 100512030 B1 KR100512030 B1 KR 100512030B1 KR 1019960060481 A KR1019960060481 A KR 1019960060481A KR 19960060481 A KR19960060481 A KR 19960060481A KR 100512030 B1 KR100512030 B1 KR 10051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tty
component
vacci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624A (ko
Inventor
도꾸지 미야하라
코조 타까세
코이찌 사이또
요꼬 키시모또
사또르 도꾸야마
Original Assignee
노프 코포레이션
쥬리디컬 파운데이션 더 케모-세로-쎄라퓨틱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프 코포레이션, 쥬리디컬 파운데이션 더 케모-세로-쎄라퓨틱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노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02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6Emulsions, e.g. Freund's adjuvant, MF5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20 ~ 90 중량%의 오일상 A와, 2)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B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0.5 ~ 30 중량%의 유화제와, 3) 폴리옥시에틸렌 (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C와, 4) 0.01 ~ 10 중량%의 아미노산과 0.01 ~ 10 중량%의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 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로 구성되는 E와, 5)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5 ~ 75 중량%의 수상 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상기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내부상으로 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HLB 값이 10 이상인 유화제를 0.2 ~ 20 중량% 포함하는 외부 수상 F를 외부 수상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장기간에 걸쳐 고도의 항체생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의약품의 제조시 기본요건인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면역계를 효과적으로 증강시키는 백신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실험적으로 프로인드 면역보강제가 전통적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로서 아직도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특히 비활성 항원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면역보강효과가 아주 우수하기 때문이다. 미네랄 오일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프로인드 면역보강제로 대표되고 있는 상기 지방성 면역보강제는 면역증강효과가 아주 높은 반면에 중증의 접종반응, 방부제에 의한 화농성 병소와 접종부위의 육아종의 형성뿐만 아니라 외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부종, 종창, 경화 괴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상의 면역보강제는 주사부위에 잔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현상은 백신제제를 적용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만약 상기 국소반응이 가축 동물에 잔존하는 경우, 상기 동물은 육류용으로 적합하지 않게 되는 바 이러한 잔존현상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유때문에 미네랄 오일을 주원료로 함유하고 있는 지방성 면역보강제를 이용하는 백신제제의 경우 이를 접종하는 주사부위에 한정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질병의 예방이나 상기 백신제제의 소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효과 및 기간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백신제제가 인체나 가축의 용도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그 백신제제의 안전성은 효과 및 기간보다 휠씬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기존 제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공고특허(이상 "일본공고"라 함) 평6-81731호에 따르면, W/O 형태의 오일기제 면역보강제를 기술하고 있는 바, 계면활성제로서 무수 만니톨/올레익산 및 액체 파라핀은 오일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W91/00107(일본특허 평4-506521호)에서는 점도가 낮은 W/0 형태의 오일 기제 면역보강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바, 그 성분으로서는 채소 오일과 같은 대사가능한 오일 및 미네랄 오일과 같은 비대사가능한 오일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일본공개특허(이상 "일본공개"라 함) 평6-1722166호는 오일 성분으로서 채소 오일과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일본공고특허 평 6-39386호에서는 생 면역원을 미네랄 오일을 구성하는 O/W 에멀젼에 혼합하여 제조되는 면역보강 생백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기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경우 백신투여 후 국소반응성이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주사부위의 잔존경향은 물론 백신으로서 제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백신제제는 인체 또는 가축에 적용시 극히 효과가 높고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의약품인 것을 고려할 때 그 안정성도 높아야 한다.
그러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경우 상기 백신제제의 면역증강효과 뿐 만 아니라 의약품 제제로서의 그 안정성은 예를 들면 사용되는 에멀젼과 오일 성분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비활성 백신제제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면역보조기능을 유지하는 효과와 재생산성을 겸비할 수 있는 백신을 제조하기는 극히 어렵다.
또한, 주사부위에서의 국소반응과 잔존경향이 있는 기존의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W/O/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가 제안되어 있으나 기존의 백신제제는 상기 의약품 제제로서 장기간에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그 실질적인 사용이 크게 요망되고 잇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주수부위에서의 국소반응과 잔존경향 및 불충분한 의약제제에 의해 그 적용이 제한되어 있던 기존의 상기 백신제제를 개선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합상에서 면역증강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고도의 항체생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체에 아무런 해를 가하지 않고 이에 따른 의약품 제제의 안정성이 우수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실험을 수행한 바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1)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오일 성분, 2) 특정 친수성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화제, 3)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와, 상기 W/O 형태의 에멀젼(즉 상기 오일 보강제)에 의하여 내부상과 특정의 유화제를 구성하는 외부 수상에 의해 대표되는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접종시 우수한 국소 안전성을 나타내며 또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아주 낮은 점도영역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체생성능이 우수하고 고도의 항체생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오일 성분에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와 특정의 친수성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와 아미노산이나 그 염과 특정 당 또는 당 알콜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화시틴 겔과 같은 성분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을 가하여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경우 그 안전성과 안정성이 우수하며 동일한 형태의 기존 백신제조와 비교시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능력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우수함을 보이고 있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백신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제조방법으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를 특정의 유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수상에 첨가하여 에멀젼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르면,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1)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20 ~ 90 중량%의 오일상 A와,
2)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B로 구성되어 있는 0.5 ~ 30 중량%의 유화제와,
3)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C와, 그리고
4)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5 ~ 75 중량%의 수상 D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1)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30 ~ 90 중량%의 오일상 A와,
2)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B로 구성되어 있는 0.5 ~ 30 중량%의 유화제와,
3)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C와, 그리고
4)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5 ~ 65 중량%의 수상 D와, 그리고
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HLB 값이 10 이상인 유화제를 0.2 ~ 20 중량% 포함하는 외부 수상 F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성분 A는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지방성분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통상온도"라는 용어는 15 ~ 25 ℃의 범위에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 성분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과 같은 에스테르 형태의 오일 기제나 비에스테르 형태의 오일기제로서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것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에스테르 형태의 오일 기제는 경량의 액체 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및 폴리부텐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에스테르 형태의 오일 기제는 카프릴릭 산 및 카프릭 산과 같은 중간쇄로 포화된 지방산이나 올레익 산, 린올레익 산 및 알콜과 같은 장쇄로부터 유도된 다양한 에스테르류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 오일 및 호호바 오일 및 조오랜지 오일과 같은 액체 채소 오일 등을 목적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올레익 산과 채소 오일의 에스테르 유도체와 같은 오일류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이들은 산화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세포에 높은 친화력은 물론 주사부위에 대한 국소자극성과 잔존경향이 감소되므로 오일 성분으로서 상기 대사가능한 오일류에서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는 지방산과,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세놀 및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놀로 구성되는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글리콜, 데실 알콜 및 올레일 알콜로 구성되는 알콜 등 에스테르 형태의 오일 기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스테르 형태의 오일로 구성된 혼합물을 스쿠알렌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구성하고 있는 유화제의 하나로서 사용되는 성분 B는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친수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부분 에스테르는 폴리하이드릭 알콜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폴리하이드릭 알콜이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글리세롤인 경우 부분 에스테르는 주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소량의 트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혼합물이다. 폴리하이드릭 알콜이 4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진 디글리세롤이나 솔비탄인 경우 부분 에스테르는 주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소량의 트리에스테르와 테트라에스테르로 구성되는 혼합물이다. 상기 부분 에스테르는 이들이 40 ℃에서 액체상태이며 친수성이 경우 단독으로나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분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류는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세롤, 테트라글리세롤, 헥사글리세롤, 옥타글리세롤, 데카글리세롤, 크시리톨, 만니톨 및 솔비탄을 들 수 있다.
부분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하여 지방산은 이들이 상기 폴리하이드릭 알콜류와 반응하여 40 ℃에서 액체상태인 부분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경우 카프릴릭산, 카프릭산, 라우릭산, 올레익산 및 린올레익산과 같은 각종의 잘 알려진 지방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중에서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는 지방산을 선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로서 사용되는 특히 적절한 부분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는 지방산에서 유도된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디올레이트, 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디올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부분 에스테르류는 아실기로서 혼입된 고도로 정제된 올레익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유화제로 사용할 때 요구되는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계면활성제 분자들 사이에 높은 배향성이 보장되고 이에 따라 에멀젼 안정화작용과 같은 기능성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에스테르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안정성 개선과 접종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기존의 올레익산 유도체와 비교하여 그 안전성에 현저한 기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서 성분 C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의 경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는 캐스터 오일과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20 미만이면 상기 성분 C의 사용할 때 낮은 점도영역에서 안정한 에멀젼의 형성이 이루워지지 않으며 그 결과 만족스러운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가 불가능하다. 한편,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60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에멀젼은 이의 상전화(phase inversion)을 쉽게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만족스러운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가 어렵게 된다. 백신제제에 혼입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는 전체의 배합중량(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전체 중량)에 따라 약 0.5 ~ 10% 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가 0.5 중량% 미만이면 유화된 백신제제의 안정성이 감소된다. 한편, 상기 범위가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에멀젼은 이의 상전화(phase inversion)을 쉽게 야기시켜서 제조된 백신제제의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 및 그 염과 분자중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은 이상 "성분 E"로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 백신제제의 안정성은 성분 E, 즉 아미노산 및 그 염과 분자 중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을 가지고 있는 지방성 면역보강제제에 첨가함으로써 크게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 및 그 염은 "일국방(Japanese Pharmacopoeia)", "일국방에 수재되지 않은 의약품의 원료기준" 및 "일본 의약품 부형제" 등에 수재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이나 의약품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산의 경우 글리신, 알라닌, 황산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틱산, 글루타민, 글루타믹산, 히스티딘, 로이신, 이소로이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록린, 세린, 트레오닌, 발린 및 페닐알라닌 등으로 이들 중에서 중성 아미노산의 사용도 바람직하다. 또한 칼슘 및 마그네슘염과 같은 2가의 금속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및 그 염에 있어서, 아스파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 아스파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칼륨, 그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 및 그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칼륨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L-형이나 본 발명에서는 D-형이나 DL-형의 이성체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은 "일국방(Japanese Pharmacopoeia)", "일국방에 수재되지 않은 의약품의 원료기준" 및 "일본 의약품 부형제" 등에 수재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이나 의약품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트레할로스, 크실리톨, 솔비톨, 만니톨 및 락티톨 등도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및 그 염과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은 전체의 배합중량(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전체 중량)에 따라 각각 0.01 ~ 10% 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있어서, 성분 D에 대한 오일 성분 A의 비율, 즉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의 경우 면역보조제의 목적이나 선택될 항원의 종류에 따라 적용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특정의 오일 성분과 유화제를 병용함으로써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항원을 함유하는 오일 성분의 비율은 광범위하게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수상에 대한 오일 성분의 중량비는 90 : 5 ~ 20 : 75의 범위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80 : 25 ~ 30 : 65이다.
면역보조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성분 B, 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 C, 즉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의 경우 배합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그 양은 0.5 ~ 30 중량% 이내로 하며 바람직하기는 3-2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5 중량% 미만이면 안정한 유화체가 제조될 수 없으며 상기 범위가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투여된 국소부위에서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는 면역보강제의 형성이 나타나게 되며 이에 따라 높은 안정성을 간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첫 번째 구현예는 상기 오일 성분, 유화제 및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수상으로 구성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성분 A인 오일 성분에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성분 B와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성분 C)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 혼합하고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수상(성분 D)를 가하여 교반과 함께 혼합하면 에멀젼이 얻어진다. 상기 방법에 따라 에멀젼 상태가 우수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낮은 온도에 저장시에도 낮은 점도와 높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안전성에 아무런 해가 없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오일상 A에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폴리옥시에틸렌(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C, 성분 B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성분 E를 함유하고 있는 수상을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득되는 제품을 첨가한다.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계면활성제는 1 : 1에서 1 : 20의 범위로 하며 상기 혼합물을 딱딱한 겔과 같은 조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유화시킨다. 이어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형성한다.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 D를 상기 분산액에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수상을 유화시킨다. 3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B, 성분 E를 함유하고 있는 수상으로 구성된 딱딱한 겔과 같은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교반기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성분들의 온도가 적어도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성분의 온도를 통상온도까지 냉각시키면서 교반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최적 혼합비는 성분 E의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및 그 염과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성분 E의 수용액이 5 중량%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5 중량%의 락티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있어서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중량비는 1 : 2에서 1 : 10의 범위내어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이 30 중량%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20 중량%의 락티톨로 구성되는 경우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중량비는 1 : 2에서 1 : 15의 범위내어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용액상에 있는 성분 E의 농도는 각각 아미노산 및 그 염과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의 용해도 범위내에서 높은 수준까지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두 번째 구현예는 상기 W/O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을 함유하고 있는 내부상과 전반적인 HLB(친수-친유 균형치)가 10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지고 있는 외부 수상으로 구성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HLB치(친수-친유 균형치)"는 W. C. Griffin(참조: W. C. Griffin, J. Soc, Cosmetic Chemists, 1949, 1, p.311)이 제안한 식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구성하고 있는 외부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유화제는 HLB치가 10 이상인 것을 전제조건으로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반적인 HLB치가 10 이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의약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알케닐) 에스테르류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데 캐스터 오일 및/또는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 60이다. 이는 평균 몰수가 20 미만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를 사용했을 때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이 외부상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범위가 60을 초과하는 경우 반응상의 내부 W/O 에멀젼 상은 상전화가 쉽게 이루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궁극적인 제조가 이루워 지지 않는다.
더구나,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는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비포화 지방산(올레익산 등) 에스테르류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포화 지방산(라우릭산 및 카프릴릭산 등) 에스테르로서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는 10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로서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는 지방산에서 유도되는 것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10에서 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10 미만이면,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이 외부상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범위가 40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은 에머젼의 상전화를 쉽게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궁극적인 제조가 이루워 지지 않는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알케닐) 에스테르류 알킬(알케닐) 에스테르류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와 같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알킬 에테르 형태의 계면활성제이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에스테르류는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가 12 ~ 18개의 알킬(알케닐)기를 가지고 있으며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1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40이다.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를류는 그 올레일 알콜류가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세놀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놀으로 구성되며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10에서 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알킬(알케닐)기에 있는 탄소수가 12개 미만이면,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은 에머젼의 상전화를 쉽게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궁극적인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범위가 18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이 외부상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몰수가 10 미만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알케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이 외부상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범위가 40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은 에머젼의 상전화를 쉽게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궁극적인 제조가 이루워 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류는 의약품과 화장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그 HLB 치는 10 이상이다.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류의 경우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수(평균 중합도)가 50 ~ 200, 프로필렌 옥사이드(평균 중합도)의 몰수가 5 ~ 80, 에틸렌 옥사이드에 대한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몰수의 비(평균 중합도)는 2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몰수가 2 : 1보다 작은 경우 내부의 상으로서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유상 면역보강제는 외부 상에서 안정한 분산이 이루워 질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바람직한 W/O/W 형태의 지방상 보조제 백신을 제조할 수 없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해당하는 외부 상에서 사용하는 유화제의 경우 그 HLB 치는 10 이상인 하나의 유화제이거나 두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는 유화제인데, 상기 유화제의 적어도 하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HLB 치가 낮으며 전반적인 HLB 치는 10 이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낮은 HLB 치를 가지고 있으며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와 같이 제약분야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HLB 치가 높은 계면활성제와 HLB 치가 낮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는 HLB 치가 15.0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와 HLB 치가 3.7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와 후자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전반적인 HLB 치가 약 11.2인 유화제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안정성은 외부상과 혼합된 유화제로서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와 함께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상기 유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유화제의 혼합물과 병용하여 사용되는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는 소이빈(예를 들면 레시틴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소이빈 레시틴)과 난황(난황 포스포리티드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난황 포스포리피드)와 같이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글리세로리피드와 다양하게 고도로 정제된 포스포리피드(예를 들면 포스파티딜콜린 및 포스파티딜레탄올아민)과 단독이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라이소포스포리피드류로부터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인 유화제의 상기 혼합물과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중량비)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과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의 경우 20 : 1에서 1 : 2의 범위 안에서 적절하게 조절한다.
본 발명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해당하는 외부상에서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은 0.2 ~ 20 중량%이며 외부상의 전체 중량에서 0.5 ~ 10 중량%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유화제의 양이 0.2 중량% 미만이면 안정한 W/O/W 형태의 유화가 이루워 질 수 없으며 또한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점도가 접종에 적합하지 않을 수준까지 증가하여 주사시 그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있어서 외부 수상에 대하여 내부상으로서 역할을 하는 W/O 형태인 유상의 면역보강상의 혼합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중량비로 나타내었을 때 2 : 1에서 1 : 10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경우, 항원은 하기의 2단계 방법에 의하여 내부 수상에 효율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데 즉,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을 사용하여 미리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한 후, 특정한 유화제에 해당하는 내부상으로서의 생성된 W/O 에멀젼을 외부 수상에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W/O 형태의 항원을 함유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사전에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워져 있으며,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된 유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이거나, 또는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된 유화제의 병용물과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상에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첨가함으로써 W/O 형태의 항원을 함유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다시 유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단계의 유화단계를 통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높은 안정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전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먼저 통상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지방성분에,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로시기로 구성된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인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성분 B)와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폴리옥시에틸렌(20 ~ 60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성분 C) 및 성분 B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성분 E를 함유하고 있는 수용액을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수득한 제품을 첨가한다. 전자와 후자의 중량비는 1 : 1에서 1 : 20 이내로 하며 상기 성분은 겔과 같이 굳은 성분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고 혼합, 분산시킨다. 이후,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원의 양을 함유하고 있는 외부 수상(성분 D)을 생성된 반응 분산액에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수상을 액상으로 유화시키면 고도의 안정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얻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된 유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이거나, 또는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된 유화제의 병용물과 전반적인 HLB 치가 10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 수상에 상기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첨가함으로써 W/O 형태의 항원을 함유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다시 수상으로 유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수상,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내부 수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외부 수상은 기존의 백신제제제에서 사용하는 것, 예를 들면 포스페이트 완충액, 생리식염수 또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시킨 식염수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경우, 내부 상의 역할을 하는 W/O 형태의 에멀젼 내에서 내부 수상에서나 또는 양쪽의 수상(즉, 내부 수상으로부터 부분 누수로 인한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에서 해당 제제의 제반조건에 따라 항원이 존재할 수 있으나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효과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구성하는 유상과 내부 수상이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구성하는 외부 수상 등은 여러가지 의약품에서 사용되는 완충액, 안정제 및/또는 삼투압조절 성분과 같이 면역보강활성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더구나, 일반적으로 유화를 시킬 수 있는 어떤한 수단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할 때 균일 믹서기, 균질기 및 CLENRMIX(M TECHNIQUE CO., LTD.)와 다공성 유리막을 이용하는 막부착 유화기와 같은 통상의 유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구성하고 있는 수상에 혼입되는 항원은 여러가지 종류와 형태의 항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착 단백질 및 엔벨로프(envelope)와 같은 보호 항원뿐만 아니라 백신제제의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해된 박테리아 세포 및 비활성의 바이러스 분자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매우 안정하고 특정의 지방 성분과 특정의 유화제의 병용함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폭넓은 각종의 항원이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에멀젼내에서 항원을 대신하여 항생제와 같은 각종의 의약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선택한 성분들을 해당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각종의 의약조성물을 함유하는 주사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용 백신의 경우 피하주사나 근육주사를 통하여 이를 투여함으로써 면역증강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경구, 직장 및 비강을 통하여 상기 백신을 투여할 수 있으나 투여경로는 개개의 특수한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면역보강제제를 제조시에 사용되는 지방 기제, 계면활성제 및 수상과 같은 성분들은 반드시 멸균시켜야 한다. 멸균방법은 상기 화합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아주 안정하며 고품질의 에멀젼이다. 따라서, 상기 백신제제는 안정성과 안전성에서 우수하며 각종의 유기체에 투여가 가능하고 효과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part"라는 용어는 다른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의 제조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각각 하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조제시에 함유된 모든 성분들은 각 특정성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열처리나 여과에 의해 멸균하였다. 더구나, 교반 및 유화를 위시한 모든 공정들은 멸균조건하에 있는 청결한 방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1: 백신제제(a)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 올레이트 ["NOFABLE ED-9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A로 사용하였다. 12 중량부의 지방성분에 대해서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9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와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6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한 액상(포스페이트로 완충시킨 식염수)을 상기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였다. 통상온도에서 혼합 및 유화시킨 후, CLEARMIX CLM-0.8S(M. Technique사 제품)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a)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백신제제(b)
본 실시예에서 성분 A는 6 중량부의 정제 해바라기 종자기름과 6 중량부의 스쿠알렌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방성분에 대해서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와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8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한 액상(포스페이트로 완충시킨 식염수)을 상기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b)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백신제제(c)
본 실시예에서는, 올레일 올레이트 ["NOFABLE 00-908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A로 사용하였다. 12 중량부의 지방성분에 대해서 0.8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0.7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0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5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8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한 액상(포스페이트로 완충시킨 식염수)을 상기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c)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백신제제(X1)
본 실시예에서는, 5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0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B로 하고 3 중량부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1 중량부의 만니톨을 6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서 만든 수용액을 성분 E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 B와 성분 E의 수용액을 통상온도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CLEARMIX CLM-0.8S(M. Technique사 제품)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서 겔과 같은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6 중량부의 올레일 올레이트 ["NOFABLE 00-908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성분 A로서 6 중량부의 스쿠알렌의 혼합물에 성분 B로서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성분 C로서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통상온도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CLEARMIX CLM-0.8S(M. Technique사 제품)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X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백신제제(X2)
본 실시예에서는, 5 중량부의 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PGO-9021L",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B로 하고 4 중량부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1 중량부의 락티톨을 7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서 만든 수용액을 성분 E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 B와 성분 E의 수용액을 실시예 4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겔과 같은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6 중량부의 정제 해바라기 종자유와 지방성분으로서 6 중량부의 에틸 올레이트 ["NOFABLE EO-9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의 혼합물에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X2)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백신제제(X3)
본 실시예에서는, 4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91P",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4 중량부의 글리세롤 디올레이트 ["NOFABLE GO-902P",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B로 하고 4 중량부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1 중량부의 트레할로스를 11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서 만든 수용액을 성분 E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 B와 성분 E의 수용액을 실시예 4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겔과 같은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8 중량부의 데실 올레이트 ["NOFABLE DO-99",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지방성분으로서 4 중량부의 스쿠알렌의 혼합물에 0.8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9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1.2 4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9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10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X3)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백신제제(d)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 올레이트 ["NOFABLE EO-99",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A로 사용하였다. 12 중량부의 상기 지방성분에 1.7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50 ℃로 가열시킨 0.3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 글리콜(HLB 치: 16.0)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녹인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반응물을 통상온도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CLEARMIX CLM-0.8S(M. Technique Co., Ltd.)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d)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백신제제(e)
본 실시예에서는, 6 중량부의 정제 호호바유 및 6 중량부의 스쿠알렌을 성분 A로 사용하였다. 상기 지방 성분에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과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2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HLB: 15.8]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녹인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e)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백신제제(f)
본 실시예에서는, 성분 A로서 6 중량부의 올레일 올레이트 ["NOFABLE EO-99",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6 중량부의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 ["NOFABLE EO-99",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지방 성분에 0.9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0.8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9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50 ℃로 가열시킨 0.3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1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지네이트 캐스터 오일(HLB 치: 14.8) 및 0.06 중량부의 하이드로지네이트 소이빈 레시틴("COATSOME NC-21", NOF사 제품)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f)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백신제제(X4)
본 실시예에서는, 5 중량부의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NOFABLE GO-901P",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99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9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B로 하고 4 중량부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1 중량부의 락티톨을 7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서 만든 수용액을 성분 E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 B와 성분 E를 실시예 4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겔과 같은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오일성분으로서 12 중량부의 에틸 올레이트 ["NOFABLE EO-9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에 1.7 중량부의 소이빈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50 ℃로 가열시킨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1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 글리콜(HLB 치: 16.0) 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녹인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반응물을 통상온도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CLEARMIX CLM-0.8S(M. Technique Co., Ltd.)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시켜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X4)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백신제제(X5)
본 실시예에서는, 6 중량부의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FABLE SO-901P",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성분 B로 하고 3 중량부의 L-글루타메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나트륨과 1 중량부의 만니톨을 6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서 만든 수용액을 성분 E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 B와 성분 E를 실시예 4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유화시킨 후, 겔과 같은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오일성분으로서 10 중량부의 정제 해바라기 종자유 및 2 중량부의 스쿠알렌의 혼합물에 1.7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50 ℃로 가열시킨 0.3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킨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8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1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HLB: 15.8] 및 0.06 중량부의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소이빈 레시틴("COATSOME NC-21", NOF사 제품)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f)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백신제제(g)
오일 성분으로서 6 중량부의 경량 액체 파라핀("CRYSTOL 52', ESSO사 제품)에 0.8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83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2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첨가하고 3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교반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비교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g)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백신제제(h)
성분 A로서 6 중량부의 올레일 올레이트["NOFABLE 00-908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6 중량부의 스쿠알렌으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8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서서히 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비교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h)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백신제제(i)
성분 A로서 6 중량부의 올레일 올레이트["NOFABLE 00-9080",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6 중량부의 스쿠알렌으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1.6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8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서서히 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1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HLB: 14.8) 및 0.06 중량부의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소이빈 레시틴("COATSOME NC-21", NOF사 제품)을 첨가하고 10 중량부의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W 형태의 비교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i)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4: 백신제제(Y1)
5 중량부의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FABLE SO-90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4 중량부의 락티톨을 6 중량부의 증류수에 녹여 수득한 수상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시킴으로서 겔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12 중량부의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 ["NOFABLE SO-902",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에 1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FABLE SO-90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88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94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5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1 중량부의 상기 겔과 같은 제품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유상에서 분산시켰다. 이어서, 항원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식염수로 구성된 6 중량부의 수상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비교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Y1)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5: 백신제제(Y2)
오일 성분으로서 6 중량부의 경량 액체 파라핀("CRYSTOL 52', ESSO사 제품)에 0.8 중량부의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NONION OP-83RAT",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83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 및 0.2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ONION OT-221", NOF사 제품; 아실 성분; 함량은 55 중량%의 시스-△9-옥타데센노익산 및 78 중량%의 시스-△9-알켄노익산]을 첨가하고 3 중량부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교반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계면활성제로서 0.14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6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HLB: 14.8)을 첨가하여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10 중량부의 생리식염수애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10 중량부의 상기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서서히 가하여 교반과 함께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을 혼합 및 유화시킨 후, W/O/W 형태의 비교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Y2)를 수득하였다.
면역시험
면역시험은 각종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특정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별적인 백신의 동정을 위해서 특정 백신에 부착된 각각의 심볼은 해당 백신이 실시예나 비교예에 기술된 배합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된 것을 나타내며 그 배합방법은 각각의 해당 심볼에 명시되어 있다.
실험예 1: 돼지 악티노바실러스 감염증에 대한 비활성 백신
악티노박실러스 플레우로뉴모니아 NG-22 균주(항원형 2)를 배양기에 접종하고 37 ℃에서 통기 교반배양을 시킨 후, 포르말린으로 상기 배양액을 비활성화하여 세포들을 원심분리하고 세척하여 박테리아 세포를 수거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항원은 투여당 1010 CFU(콜로니 형성단위)의 농도에서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된 생리식염수에 분산시키고 이 분산물을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으로 사용하였다.
면역시킨 군(각군은 4 주령 SPF 돼지 5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a, c 또는 X2를 한마리당 1 ㎖, 또는 백신 d, f 또는 X4를 한마리당 2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2회 정맥주사하였다. 백신 g 또는 h를 한마리당 1 ㎖, 또는 백신 i 또는 Y2를 한마리당 2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비교 면역균(각군은 4 주령 SPF 돼지 5마리로 구성한다)에 있는 돼지에게 2회 정맥주사하였다. 더구나, 비면역 대조군은 5 마리의 돼지로 구성하였고 상기 대조군은 면역군중 일부와 같이 지내도록 하였다.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백신을 주사한 후 2주간에 걸쳐 주사부위의 관찰 등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임상실시기간동안 적절한 시기에 실험동물의 혈청을 수거하여 보체결합반응(CF)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혈청의 항체 역가를 조사하였다. 주사부위는 최초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6 주가 지난 후에 부검을 실시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형성된 nodule의 크기와 분포도를 측정하여 병소 점수(정상: 0; 중증: 3)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각 군당 평균 5 마리에 대하여 산출하였다.
돼지에 대한 비활성 백신의 안정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면역군은 큰 소란을 피우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 면역군에서는 체온의 일시적인 증가와 우울증세를 보였다. 최초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6 주가 지난 후에 부검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면역군에서 아무런 병소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 면역군의 경우 주사물질로 인하여 형성된 결절이 관찰되었다.
[표 1]
백신효과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a와 2b에서 나타내었다. 면역군 중에서 백신 a, c 또는 X2가 투여된 군에서 CF-항체 역가는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4 주후에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8 주후에 양호한 항체반응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백신 g를 주사한 비교면역군에서 관찰된 항체반응과 거의 동등하였으며 백신 h를 투여한 군보다 분명이 높은 항체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인 d, f 및 X4의 경우 그 에멀젼이 우수하여 양호한 항체반응을 나타내었는데 상기 W/O 에멀젼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서 관찰된 항체반응과 거의 동등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교면역군에 속한 상기에서 제조된 백신 i와 Y2는 에멀젼이 불안정하였고 상기 백신을 투여한 군에서는 백신 d와 f를 투여한 군보다도 낮은 항체반응을 분명히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서,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그 구성성분이 대사가능한 오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면역증진효과가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거의 동등하며 또한 그 국소반응성도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뛰어나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고 있다.
더구나, 상기 결과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그 구성성분이 대사가능한 오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기존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가 나타내는 면역증진효과가 거의 동등하며 미네랄 오일만으로 구성되는 기존의 백신제제와 비교하여 국소반응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표 2a]
[표 2b]
실험예 2: 일본뇌염에 대한 비활성 백신
일본뇌염 바이러스(JEV) 나까야마 균주를 마우스 뇌에 접종하고 이에 따른 배양을 거쳐서 바이러스가 높은 증식을 나타내는 한 시점을 선택하여 상기 뇌를 수확하였다. 원심분리를 거쳐 침전시킨 후 균질한 뇌를 제조하였는 데, 상기 상등액을 포르말린으로 비활성화 시켰다. 상기 상등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수상에서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한 생리식염수에 포르말린을 가하고 비활성 이전의 바이러스의 함량은 투여당 108.0LD50으로 조절하였다. 면역군(각군은 10 주령의 SPF 돼지 5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b를 한마리당 1 ㎖, 또는 백신 e를 한마리당 2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정맥주사하였다. 백신 g 를 한마리당 1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비교 면역균(각군은 5 주령 SPF 돼지 5마리로 구성한다)에 있는 돼지에게 정맥주사하였다. 더구나, 비면역 대조군은 5 마리의 돼지로 구성하였고 상기 대조군은 면역군중 일부와 같이 지내도록 하였다.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백신을 주사한 후 2 주간에 걸쳐 주사부위의 관찰 등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임상실시기간동안 적절한 시기에 실험동물의 혈청을 수거하여 적혈구 응집억제(HI) 실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혈청의 항체 역가를 조사하였다. 주사부위는 최초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6 주가 지난 후에 부검을 실시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형성된 nodule의 크기와 분포도를 측정하여 병소 점수(정상: 0; 중증: 3)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각 군당 평균 5 마리에 대하여 산출하였다.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면역군과 비교면역군은 큰 소란을 피우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 면역군에서는 체온의 일시적인 증가와 우울증세를 보였다. 최초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6 주가 지난 후에 부검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면역군에서 아무런 병소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 면역군의 경우 주사물질로 인하여 형성된 결절이 관찰되었다.
[표 3]
백신효과에 대한 조사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백신 b를 투여된 군에서 HI-항체 역가는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4주후에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8주후에 양호한 항체반응(1 : 80 ~ 1 : 160)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백신 g를 주사한 비교면역군에서 관찰된 항체반응과 거의 동일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인 e의 경우 그 에멀젼이 우수하여 1회 주사만으로도 HI-항체 역가가 증가하였으며 상기 W/O 에멀젼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서 관찰된 항체반응과 거의 동일하였다.
[표 4]
상기 결과에서,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항원으로 사용되었을 때 그 면역증진효과가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거의 동등하며 또한 그 국소반응성도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뛰어나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고 있다.
실혐예 3: 뉴케슬병(ND)에 대한 비활성 백신
뉴케슬병 바이러스 이시이 균주를 10 주령의 부화난(embryonated eggs)의 요막강에 접종시키고(105.0EID/egg), 37 ℃에서 4일간 배양한 후, 요막액을 수거하였다. 상기 액을 포르말린 수용액으로 비활성화 시킨 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수상에서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한 생리식염수에 포르말린을 가하고 비활성 이전의 바이러스의 함량은 투여당 108.0EID50으로 조절하였다.
면역군(각군은 5 주령의 SPF 닭 10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a 또는 b를 한마리당 0.5 ㎖, 또는 백신 e를 한마리당 2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근육주사하였다. 백신 d 또는 e를 한마리당 1 ㎖의 투여량으로 하여 정맥주사하였다. 또한, 기타 면역군(각군은 5 주령의 SPF 닭 20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X1 또는 X2를 한마리당 0.5 ㎖, 또는 백신 X5를 한마리당 1.5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근육주사하였다. 백신 d 또는 e를 한마리당 1 ㎖의 투여량으로 하여 근육주사하였다. 비교 면역군(각군은 5 주령의 SPF 닭 10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g를 한마리당 0.5 ㎖, 또는 백신 i를 한마리당 1.5 ㎖의 투여량으로 하여 4 주간에 걸쳐 근육주사하였으며, 기타 비교군(각군은 5 주령의 SPF 닭 20마리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Y2를 한마리당 0.5 ㎖의 투여량으로 하여 근육주사하였다. 더구나, 비면역 대조군은 각각 10 또는 20 마리의 닭으로 구성하였고, 각각 10 또는 20 마리의 닭으로 구성된 면역군과 지내도록 하였다.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백신 a, b, d 및 e를 주사한 후 10 주간에 걸쳐 주사부위의 관찰 등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으며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0주후에 각 실험동물의 혈청을 수거하여 적혈구 응집억제(HI) 항체 역가를 조사하였다. 주사부위는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0주가 지난 후에 부검(각군당 5마리)을 실시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형성된 잔류물의 크기와 분포도를 측정하여 병소 점수(정상: 0; 중증: 3)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각 군당 평균 5 마리에 대하여 산출하였다. 각군당 나머지 5 마리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사또 균주를 104 MLD(최소치사용량)으로 근육주사하여 항원자극을 가하고 그로 부터 2주간에 걸쳐 임상증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항원자극으로부터 2주가 지난 후에 혈액샘플을 동시에 수거하고 HI 항체 역가를 위하여 수거된 혈액을 조사하였으며 실험동물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여부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백신 X1, X2, X5 및 Y2를 주사한 후 20 주간에 걸쳐 주사부위의 관찰 등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으며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0주 후에 각 실험동물의 혈청을 수거하여 적혈구 응집억제(HI) 항체 역가를 조사하였다. 주사부위는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0주가 지난 후에 부검(각군당 5마리)을 실시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형성된 잔류물의 크기와 분포도를 측정하여 병소 점수(정상: 0; 중증: 3)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각 군당 평균 5 마리에 대하여 산출하였다. 각군당 나머지 10 마리는 뉴캐슬병 바이러스사또 균주를 104 ㎖D(최소치사용량)으로 근육주사하여 항원자극을 가하고 그로 부터 2주간에 걸쳐 임상증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항원자극으로부터 2주가 지난 후에 혈액샘플을 동시에 수거하고 HI 항체 역가를 위하여 수거된 혈액을 조사하였으며 실험동물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여부를 측정하였다.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a, 5b 및 5c에 나타내었다. 백신 g, i 및 Y2를 투여한 비교면역군에서 투여후 즉각적인 파행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백신제제를 투여한 모든 면역군에서는 본 실험기간동안 아무런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10주후에 실시한 부검의 경우, 백신 b의 투여군에서 5마리중 2마리와 백신 X2의 투여군에서 5마리중 3마리에 소량의 오일성분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면역군에서는 아무런 병소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백신 g, i 및 Y2를 투여한 모든 비교면역군에서 배지에서부터 중증의 잔류물이 관찰되었다.
[표 5a]
[표 5b]
[표 5c]
백신효과에 대한 조사결과를 하기 표 6a와 6b에 요약하였다. 면역군에 투여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인 a, b, X1 및 X2에서 관찰된 결과와 백신 g를 비교 면역군에 투여하여 관찰된 결과를 비교시, 양군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서로 동등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한편, 면역군에 투여한 W/O/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인 d, e, X5 및 X5에서 관찰된 결과와 백신 i 및 Y2를 비교 면역군에 투여하여 관찰된 결과를 비교시, 후자에서 관찰된 HI-항체 역가는 전자에서 관찰된 것보다 분명히 낮았다.
상기 결과에서,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그 구성성분이 대사가능한 오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면역증진효과가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거의 동등하며 또한 그 국소반응성도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백신제제와 비교시 뛰어나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고 있다.
더구나, 상기 결과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그 구성성분이 대사가능한 오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기존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가 나타내는 면역증진효과와 거의 동등하며 미네랄 오일만으로 구성되는 기존의 백신제제와 비교하여 국소반응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W/O/W 형태의 백신제제는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소 반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표 6a]
[표 6b]
실험예 4: 소의 단기 열병에 대한 비활성 백신
세포의 단층에 형성된 HmLu-1 세포를 소의 단기 열병(BEF) 바이러스 균주에 접종하여 감염증식도(MOI)를 0.01에 고정시킨 후, 바이러스를 37 ℃에서 60분 동안 상기 층에 흡수시키고 34 ℃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배양기에 첨가하여 포르말린으로 그 상등액을 비활성시켰다. 수상에서 포스페이트로 완충처리한 생리식염수에 포르말린을 가하고 비활성 이전의 바이러스의 함량은 투여당 108.0TCID50으로 조절하였다.
면역군(각군은 약 150 kg의 체중을 지닌 두마리의 소로 구성한다)에 대하여, 백신 a, X1 또는 X3를 한마리당 1 ㎖, 또는 백신 d를 한마리당 3 ㎖의 투여량으로 하여 근육주사하였다. 또한, 백신 g 또는 Y1을 한마리당 1 ㎖의 투여량으로 하여 비교 면역군(각군은 약 150 kg의 체중을 지닌 두마리의 소로 구성한다)에 속하는 동물에게 근육주사하였다. 더구나, 비면역 대조군은 두마리의 소로 구성하였고 그 대조군은 면역군의 어느 한 군과 지내도록 하였다.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주사부위등의 관찰을 위시한 임상증상과 백신을 투여한 후 2주간에 걸쳐 체온을 관찰하였다. 더구나, 각동물의 혈청을 백신을 주사한 후 일정기간동안 채취하였으며 혈청에 대한 중화 항체역가를 조사하였다. 주사부위는 백신을 주사하고 나서 20일 후에 부검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백신에 대한 안전성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면역군과 비교 면역군은 임상증상과 체온에서 아무런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백신주사 부위를 부검시, 남아있는 백신부위는 비교면역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표 7]
백신효과에 대한 조사결과를 하기 표 8a 및 8b에 요약하였다. 면역군의 항체역가는 백신을 투여하고 나서 4주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비교면역군에서 관찰된 항체역가와 동등하였다. 백신 X1과 X3를 면역군에 투여시 항체역가는 백신 Y1을 투여한 비교군보다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백신투여후 20주까지 지속되었다.
[표 8a]
[표 8b]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그 구성면에서 대사가능한 오일만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사가능한 미네랄 오일에서 관찰된 면역효과와 거의 동등하고 또한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는 면역보강 백신제제와 비교하여 국소반응성이 현저히 뛰어나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소 반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안정성
본 실시예 4 ~ 6과 7 ~ 11 및 비교예 4 ~ 5에 따라 제조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대한 안정성을 하기 방법에 의거 제조한 즉시 조사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9에 요약하였다.
실험예 5: W/O 형태의 면역보강 백신제제
각각의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5 ㎖)을 15 ㎖ 용량의 캡이 장착된 폴리프로필렌 스피츠(Spitz) 튜브(멸균된 상태)에 넣고 여러가지 온도조건하에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각 튜브는 제조일로 부터 하루, 3개월 및 12개월 후에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위상차 현미경(배율 1000배)(각각 5 개의 육안분야)을 이용하여 개개의 샘플을 관찰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평가를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상의 분리가 없거나 거의 없고 방울 크기의 변화가 없거가 거의 관찰되지 않음.
○ : 약간의 오일상만애 분리가 관찰되고 및/또는 방울 크기의 변화가 약간 관찰됨.
△ : 수상의 분리가 관찰, 및/또는 방울의 "파쇄*"가 부분적으로 관찰됨.
X : 오일상과 수상의 분리가 관찰, 및/또는 방울의 "파쇄"가 분명히 관찰됨.
XX : 상의 분리가 분명히 관찰, 및/또는 내부상에서 항원이 거의 남아있지 않음.
*) "파쇄"는 에멀젼에서 작은 방울이 자동적으로 합쳐져서 큰 방울을 형성하게 됨(합착)
실험예 6: W/O/W 형태의 면역보강 백신제제
각각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10 ㎖)을 20 ㎖ 용량의 캡이 장착된 유리 스쿠류 튜브(멸균된 상태)에 넣고 여러가지 온도조건하에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각 튜브는 제조일로 부터 하루, 3개월 및 12개월 후에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위상차 현미경(배율 1000배)(각각 5 개의 육안분야)을 이용하여 개개의 샘플을 관찰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평가를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상의 분리가 없거나 거의 없고 방울 크기의 변화가 없거가 거의 관찰되지 않음.
○ : 방울 크기에 약간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W/O/W 형태는 남아있음.
△ : 방울의 합착이 분명이 관찰되었으나 W/O/W 형태는 남아있음.
X : 방울의 "파쇄"가 분명히 관찰되었으나 W/O/W 형태는 만족스럽게 남아있지 못함.
XX : W/O/W 형태는 거의 깨어지고 상분리가 분명히 관찰됨.
*) "파쇄"는 에멀젼에서 작은 방울이 자동적으로 합쳐져서 큰 방울을 형성하게 됨(합착)
[표 9]
상기 표 1 ~ 9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안전성과 항체생성능이 우수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낮은 점도와 장기간에 걸친 안정성 및 항체생성능의 지속적인 가능하다는 것이 분명히 밝혀졌다. 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는 오일 성분에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및 본 발명의 수상의 성분 B와 E의 수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겔과 같은 물질을 첨가하여 이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의 항원을 가하여 유상에서 수상을 유화시킨다. 또한, 안전성과 항체생성능이 우수한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에 본 발명의 혼합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가하여 상기 백신을 다시 수상으로 유화시킨다.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약품에서 채소 레시틴과 같은 면역증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고도의 항체생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의약품의 제조시 기본요건인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9)

1) 15 ~ 25℃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20 ~ 90 중량%의 오일상 A와,
2)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B로 구성되어 있는 0.5 ~ 30 중량%의 유화제와,
3) 폴리옥시에틸렌 (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C와,
4) 0.01 ~ 10 중량%의 아미노산과 0.01 ~ 10 중량%의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 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로 구성되는 E와,
5)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5 ~ 75 중량%의 수상 D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1) 15 ~ 25℃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30 ~ 90 중량%의 오일상 A와,
2)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B로 구성되어 있는 0.5 ~ 30 중량%의 유화제와,
3) 폴리옥시에틸렌 (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셀라이드 C와,
4) 0.01 ~ 10 중량%의 아미노산과 0.01 ~ 10 중량%의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 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로 구성되는 E와,
5)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양의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5 ~ 65 중량%의 수상 D와, 그리고
6)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HLB 치가 10 이상인 유화제를 0.2 ~ 20 중량% 포함하는 외부 수상 F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5 ~ 25℃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상기 오일 성분 A는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5 ~ 25℃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상기 오일 성분 A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스쿠알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5 ~ 25℃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상기 오일 성분 A는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는 지방산에서 유도된 에스테르와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85 중량% 이상의 시스-△9-옥타데센노익 산과 90 중량% 이상의 시스-△9-알케노익 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상 F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HLB치가 10 이상인 유화제와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와의 혼합물이 0.2 ~ 2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
15 ~ 25 ℃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오일상 A에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폴리옥시에틸렌 (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C, 성분 B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성분 E를 함유하고 있는 수상을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득되는 제품을 첨가하고, 0.01 ~ 10 중량%의 아미노산과 0.01 ~ 10 중량%의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 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로 구성되는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계면활성제는 1:1에서 1:20의 범위로 하며 상기 혼합물을 딱딱한 겔과 같은 조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며, 이어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형성한 후,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 D를 상기 분산액에 가하여 유상에서 수상을 유화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 항의 W/O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15 ~ 25 ℃의 온도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오일상 A에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로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지방산에서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이며 40 ℃에서 액체상태에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폴리옥시에틸렌 (20 ~ 60 몰)
하이드록시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C, 성분 B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성분 E를 함유하고 있는 수상을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득되는 제품을 첨가하고, 0.01 ~ 10 중량%의 아미노산과 0.01 ~ 10 중량%의 분자내에서 적어도 5개의 하이드로실 기를 가지고 있는 비환원 당이나 당 알콜로 구성되는 성분 E의 수상에 대한 성분 B의 계면활성제는 1:1에서 1:20의 범위로 하며 상기 혼합물을 딱딱한 겔과 같은 조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며, 이어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형성한 후, 생체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의 항원을 함유하는 수상 D를 상기 분산액에 가하여 유상에서 수상을 유화시키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HLB 값이 10 이상인 유화제를 0.2 ~ 20 중량% 포함하는 외부 수상 F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4 항의 W/O/W 형태의 지방성 면역보강 백신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60060481A 1995-11-30 1996-11-30 지방성면역보강백신제제및이를제조하는방법 KR100512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08/560,935 1995-11-20
JP?7-311965 1995-11-30
JP?7-311964 1995-11-30
JP7-311964 1995-11-30
JP31196495 1995-11-30
JP7-311965 1995-11-30
JP31196595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624A KR970025624A (ko) 1997-06-24
KR100512030B1 true KR100512030B1 (ko) 2005-11-24

Family

ID=2656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481A KR100512030B1 (ko) 1995-11-30 1996-11-30 지방성면역보강백신제제및이를제조하는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14321A (ko)
EP (1) EP0781559B1 (ko)
KR (1) KR100512030B1 (ko)
CN (1) CN1196473C (ko)
AT (1) ATE353225T1 (ko)
DE (1) DE69636889T2 (ko)
DK (1) DK0781559T3 (ko)
ES (1) ES2277339T3 (ko)
TW (1) TW410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6865D0 (en) * 1996-12-24 1997-02-12 Cyanamid Websters Pty Limited Veterinary vaccines
IS4518A (is) 1997-07-09 1999-01-10 Lyfjathroun Hf, The Icelandic Bio Pharmaceutical Group Nýtt lyfjaform fyrir bóluefni
NZ503636A (en) * 1997-10-17 2002-05-31 Fort Dodge Australia Pty Vaccines for the prevention of clostridial diseases of sheep that provide effective immunity for up to a year or more from a single dose
US6225289B1 (en) * 1998-12-10 2001-05-01 Genvec,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serving adenoviral vectors
AU769539B2 (en) 1999-01-29 2004-01-29 Zoetis Services Llc Adjuvants for use in vaccines
JP2001131087A (ja) * 1999-11-05 2001-05-15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オイルアジュバントワクチン
EP1104767A1 (en) 1999-11-30 2001-06-06 Stichting Dienst Landbouwkundig Onderzoek Mono- and disaccharide derivatives containing both fatty acid ester and sulfate ester groups
EP1179349B8 (de) * 2000-08-11 2006-06-07 Lohmann Animal Health GmbH & Co. KG W/O-Emulsion-Adjuvanszusammensetzungen für Impfstoffe
DE10113284A1 (de) * 2001-03-16 2002-10-02 Heinrich Exner Adjuvans-Emulsion und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IL142536A0 (en) * 2001-04-11 2002-03-10 Yeda Res & Dev Carriers for therapeutic preparations for treatment of t-cell mediated diseases
US20040241310A1 (en) * 2001-08-16 2004-12-02 Sveibjorn Gizurarson Method of producing antibodies ex-vivo
UY27412A1 (es) * 2002-08-12 2003-06-30 Carlson Internat Inc Un nuevo producto para el combate de garrapatas y el proceso para la prepaacinn.
CU23476A1 (es) * 2004-01-29 2009-12-17 Ct Ingenieria Genetica Biotech Formulación adyuvante conteniendo una emulsión oleosa con aceite de jojoba
FR2878746B1 (fr) * 2004-12-02 2007-02-23 Vetoquinol Sa Sa Nouvelle composition pharmaceutique utilisable dans le domaine des vaccins
CN1320924C (zh) * 2005-01-07 2007-06-13 邢为藩 一种自乳化疫苗佐剂及其制备方法
WO2006078059A1 (ja) 2005-01-19 2006-07-27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希釈用乳化組成物および癌ワクチン組成物
WO2007015167A2 (en) * 2005-08-02 2007-02-08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Srl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oil-containing adjuvants and surfactant-containing antigens
JP2009509970A (ja) * 2005-09-22 2009-03-12 プロサ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酵母突然変異体において産生されるグリコシル化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70292521A1 (en) * 2006-06-20 2007-12-20 Schwitzer Co., Ltd Oral Encapsulated Preparation for Aquatic Animals
JP5135852B2 (ja) * 2007-03-30 2013-02-06 日油株式会社 可溶化用組成物
US8735359B2 (en) 2012-05-24 2014-05-27 Orban Biotech Llc Combinations of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X2015000237A (es) 2012-06-27 2015-08-14 Orban Biotech Llc Proteinas de fusion ctla4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CN103223164B (zh) * 2013-04-15 2014-08-20 华南农业大学 一种水包油包水型佐剂疫苗及其制备方法
GB2523399B (en) 2014-02-25 2019-03-13 Orban Tihamer A composition comprising ten overlapping peptide fragments of the entire preproinsulin sequence
JP6789631B2 (ja) 2015-12-22 2020-11-25 ロレアル Spf及びレオロジーを改善するための高内相エマルション組成物
CN108578688B (zh) * 2018-04-03 2022-02-11 武汉轻工大学 多重纳米乳疫苗佐剂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0152A1 (en) * 1985-10-25 1987-04-29 KabiVitrum AB Fat emulsion
WO1994020071A1 (fr) * 1993-03-08 1994-09-15 Rhone Merieux Emulsions vaccinales fluides eau-dans-l'huile contenant une huile metabolisable
US5422109A (en) * 1989-07-03 1995-06-06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Fluid vaccines and active principle vehicles containing a metabolizable oil
US5424067A (en) * 1989-07-03 1995-06-13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Injectable multi-phase emuls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3078A1 (fr) * 1975-02-07 1976-12-31 Anvar Composition a base d'huile vegetale metabolisable et d'eau, utilisable notamment pour la constitution de preparations adjuvantes, ces preparations adjuvantes et leur procede d'obtention
US4933179A (en) * 1983-08-22 1990-06-12 Syntex (U.S.A.) Inc. Feline leukemia virus antigen vaccines
US4606918A (en) * 1983-08-22 1986-08-19 Syntex (U.S.A.) Inc. 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 block polymer based adjuvants
JPS60199833A (ja) * 1984-03-26 1985-10-09 Meiji Milk Prod Co Ltd 医薬品、化粧品等用w/o/w型複合エマルジヨンの製造法
JPH0647533B2 (ja) * 1984-08-10 1994-06-22 裕 水島 4−ビフエニリル酢酸系化合物含有脂肪乳剤
DE69229779T2 (de) * 1991-04-19 1999-12-23 Lds Technologies Inc Konvertierbare mikroemulsionsverbindungen
JP2913229B2 (ja) * 1991-10-21 1999-06-28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油性アジュバントワクチン製剤
JPH0681731A (ja) * 1992-03-31 1994-03-22 Frontier Maaketeingu:Kk 内燃機関等の燃焼用空気の改質装置
JP3095537B2 (ja) 1992-07-27 2000-10-03 松下電工株式会社 汚水処理装置
JPH06172216A (ja) * 1992-12-04 1994-06-21 Norin Suisanshiyou Kachiku Eisei Shikenjo 乳液状オイルアジュバ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0152A1 (en) * 1985-10-25 1987-04-29 KabiVitrum AB Fat emulsion
US5422109A (en) * 1989-07-03 1995-06-06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Fluid vaccines and active principle vehicles containing a metabolizable oil
US5424067A (en) * 1989-07-03 1995-06-13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Injectable multi-phase emulsions
WO1994020071A1 (fr) * 1993-03-08 1994-09-15 Rhone Merieux Emulsions vaccinales fluides eau-dans-l'huile contenant une huile metabolis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1559A2 (en) 1997-07-02
ATE353225T1 (de) 2007-02-15
ES2277339T3 (es) 2007-07-01
CN1196473C (zh) 2005-04-13
DK0781559T3 (da) 2007-02-26
EP0781559B1 (en) 2007-02-07
KR970025624A (ko) 1997-06-24
DE69636889T2 (de) 2007-12-06
CN1159914A (zh) 1997-09-24
DE69636889D1 (de) 2007-03-22
US5814321A (en) 1998-09-29
TW410158B (en) 2000-11-01
EP0781559A3 (en)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030B1 (ko) 지방성면역보강백신제제및이를제조하는방법
JP3007142B2 (ja) 代謝可能な油を含有する液体ワクチンおよび活性成分担体
KR100726818B1 (ko) 오일 면역 보강제 백신
JP2851422B2 (ja) 注射可能な多層乳剤
US6274149B1 (en) Therapeu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gen or an in vivo generator of a compound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JP4045310B2 (ja) 代謝可能な油を含む油中水型のワクチン用液体エマルジョン
JP3436371B2 (ja) 組み換えプラスミドを具備した組成物、並びにワクチン及び薬物としての該組成物の使用
JP4104186B2 (ja) オイルアジュバントワクチン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H08508016A (ja) キットの形の薬剤学的組成物
JPH11106351A (ja) オイルアジュバントワクチ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89370B1 (en) Therapeu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gen or an in vivo generator of a compound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US20040131650A1 (en) Immunity adjuvant containing a complexed metal cation and vaccine containing same
AU2005311188B2 (en)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ful for vaccines
FR2462166A1 (fr) Compositions antigeniques, leur preparation et vaccins a base de ces compositions
JP2001151699A (ja) 動物用ワクチンのオイルアジュバ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