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593B1 -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593B1
KR100508593B1 KR10-1998-0018491A KR19980018491A KR100508593B1 KR 100508593 B1 KR100508593 B1 KR 100508593B1 KR 19980018491 A KR19980018491 A KR 19980018491A KR 100508593 B1 KR100508593 B1 KR 10050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cording
data
character
standb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291A (ko
Inventor
요시마사 우쯔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2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ed informat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과 함께 프로그램을 차례로 더빙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현재 더빙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타이틀 등의 문자 입력을 끝마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현재의 프로그램에 관한 필요한 문자들을 입력할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다음 프로그램의 더빙을 대기 상태에 있게 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DUBBING METHOD}
본 발명은 광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 정보를 기록할 때에 그 매체에 보조 정보로서의 문자 정보를 동시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미니 디스크로 예시되는 광 자기 디스크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광 자기 디스크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존재한다. 광 자기 디스크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프로그램 영역(program area)과, 이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의 테이블(U-TOC 또는 컨텐츠의 사용자 테이블)를 저장하는 관리 영역(management area)을 갖는다.
컨텐츠 정보의 테이블(U-TOC)을 포함하는 관리 영역은 복수의 섹터를 갖는다. 섹터 중 하나에 U-TOC 섹터 0은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에 대한 개시 어드레스(start address), 종료 어드레스(end address), 복사 방지(copy protect) 정보 및 엠파시스(emphasis) 정보를 보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그램"이란 디스크 상에 데이터 유닛으로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악곡(일반적으로 트랙이라고 언급)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는 각각 악곡의 개시 및 종료 위치에 대응한다.
U-TOC 섹터 1은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 뿐만 아니라, 당해의 광 자기 디스크 전체를 나타내는 타이틀을 저장한다.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은 기록된 프로그램이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 앨범 타이틀과 플레이어 또는 연주자의 이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한다.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은 곡명을 나타낸다.
U-TOC 섹터 2는 프로그램 영역에 프로그램들을 기록한 날의 날짜 및 시간을 보유한다.
U-TOC 섹터 4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의 타이틀 뿐만 아니라 광 자기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을 표현하기 위한 폰트(font)로서 사용되는 가따까나(katakana) 및 한자(kanji)를 수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기록 장치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을 나타내는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자의 입력은 기록 장치의 원격 제어기 상의 알파벳 키, 및/또는 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조작 키, 조그 다이얼(jog dial) 또는 다른 제어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프로그램을 이루는 오디오 정보가 기록을 위해 더빙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 상의 알파벳 키 또는 다른 제어를 조작하여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시에, 프로그램 타이틀을 표현하는 문자들이 너무 많거나, 또는 사용자가 타이틀을 입력하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 문자 입력이 완료되기도 전에, 현재의 프로그램 더빙이 종료되어 다음 프로그램으로 대치되는 경우가 발행할 수도 있다.
입력 문자 정보는 기록, 재생 또는 일시 정지(temporary halt)를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지정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U-TOC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프로그램 기록 중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입력되는 문자들이 기록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로서 저장되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한 대응하는 문자의 입력이 아직 진행 중인 동안에 현재의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다음 프로그램으로 대치된 경우, 오직 중간 완성의 문자 입력 상태는 U-TOC 갱신 메모리에 설정된다.
종래에, 기록 처리(통상 더빙)를 중간에 중지하려면 각종의 제어 조작을 재차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작은 재생해야 될 현재 프로그램의 선택 및 설정, 재생 개시 조작의 실행, 적절한 기록 위치의 설정 및 기록 개시 조작의 실행을 포함한다. 어느 곳에서 현재의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다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 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더빙 처리가 전부 다시 반복되어야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빙 중간에 인트럽트하여(interrupt) 입력 문자를 수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타이틀명 등이 입력 중에 잘려져서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모든 프로그램이 더빙된 후에만 사용자는 결함이 있는 엔트리의 정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으로 기록 처리 등의 더빙을 실행하는데 상당한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해의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의 입력이 현재 프로그램의 더빙 처리의 종료에 의해 끝나지 않은 경우에, 주어진 프로그램의 더빙을 대기 상태에 있게 하는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이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에, 공급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록 장치는, 기록될 프로그램들에 대한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과; 공급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부터 기록될 다른 프로그램으로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과; 검지 수단에 의한 다음 프로그램으로의 변화를 검지했을 시에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한 문자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판정 수단이 문자 정보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로 하고, 다음 프로그램의 공급을 대기 상태로 하는 명령을 발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재생부와 기록부로 구성되되, 상기 기록부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이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에 상기 재생부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기록 시스템은, 기록될 프로그램들에 대한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수단과; 재생부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 검지 수단에의한 프로그램 변화의 검지에 따라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한 문자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판정 수단이 문자 정보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에 있게하고, 재생부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공급을 대기 상태에 놓는 명령을 발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재생 장치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검지 단계가 재생 장치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제1 판정 단계가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장치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을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고,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에 놓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재생 장치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과 기록 조작이 모두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제2 판정 단계가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장치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과 기록 조작 모두의 대기 상태를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는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완료될 때까지 현재 더빙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진행을 일시 중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시스템 기능의 일부로서의 더빙 처리가 명백하게 보유된다.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경우, 처리가 인트럽트된 데이터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더빙 처리가 재개된다.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경우, 더빙 처리는 처리가 인트럽트된 데이터 위치에서부터 자동적으로 재생된다. 전체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부가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판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MD(mini-disk) 기록기는 통상의 기록 장치로 언급될 것이며, CD(compact disk) 플레이어는 더빙하기 위한 MD 기록기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공급하는 통상의 재생 장치로서 언급될 것이다. MD 기록기와 CD 플레이어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제공되어 더빙 처리 시에 접속될 수도 있다.
관련된 표제는 다음과 같다.
1. MD 기록기
2. MD 트랙 포맷
3. U-TOC
4. CD-MD 더빙 시스템의 구성
5. CD-MD 더빙 시의 제어
1. MD 기록기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MD 기록기(1)의 블럭도이다. MD 기록기(1)는 오디오 데이터를 광 자기 디스크(MD : 90)에 기록하고, 이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광 자기 디스크(90)는 도시하지 않은 카트리지 내에 수납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에 탑재된 셔터 기구(shutter mechanism)를 기록 또는 재생 중에 개폐하여, 광학 헤드(3)로부터의 광 및 자기 헤드로부터의 자계가 디스크 표면에 인가된다. 광 자기 디스크(90)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되며, 그에 의해 일정한 선 속도(CVL : constant linear velocity)로 제어된다.
광학 헤드(3)는 장전된(loaded) 광 자기 디스크(90)를 거쳐 자기 헤드(6a)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광학 헤드(3)는 대물 렌즈(3a), 2축 기구(4), 반도체 레이저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 및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부터의 출사 광을 받는 광 자기 디스크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2축 기구(4)는 포커싱 코일(focusing coil) 및 트랙킹 코일(tracking coil)을 갖는다. 포커싱 코일은 광 자기 디스크(90)를 향하거나 그로부터 떨어져서 대물 렌즈(3a)를 구동시킨다. 트랙킹 코일은 광 자기 디스크(90)의 반경 방향으로 대물 렌즈(3a)를 구동시킨다. 슬레드 기구(sled mechanism : 5)는 광학 헤드(3) 전체를 광 자기 디스크(90)를 거치는 큰 반경 이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또한 제공된다.
광학 헤드(3)에서의 광 수신기에 의해 검지된 반사광 정보는 RF 증폭기(7)로 송신되어 전류-대-전압 변환이 행해진 후, 매트릭스 연산이 행해진다. 매트릭스 연산을 수행함에 있어, RF 증폭기(7)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RF 신호를 생성한다.
RF 신호는 자계 벡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재생 신호이다. 자계 벡터는 기록 시보다 낮은 레이저 전력 레벨로 광 자기 디스크(90)에 광이 인가된 때에 발행되는 반사광의 자기 케르 효과(magnetic Kerr effect)를 이용하여 검지된다.
RF 증폭기(7)에 의해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 FE와 트랙킹 에러 신호 TE는 서보 회로(9)에 의한 위상 보상 및 이득 제어가 행해진다. 서보 회로(9)를 통과한 상기 2개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증폭기를 통해 2축 기구(4)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에 인가된다.
서보 회로(9) 내의 로우-패스 필터(LPF)는 트랙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슬레드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슬레드 에러 신호는 도시하지 않는 슬레드 드라이브 증폭기를 통해 슬레드 기구(5)에 송신된다.
RF 증폭기(7)에 의해 생성된 RF 신호는 신호가 이진 포맷(binary format)으로 변환되어,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복조 및 CIRC(cross interleave read solomon coding) 에러 정정되는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도달한다. EFM/CIRC 인코더·디코더에 의한 처리 후, 신호는 메모리 제어기(12)에 공급된다.
광 자기 디스크(90)는 소정의 주파수(이 실시예에서는 22.05 KHz)에서 그 위에 새겨진 꼬인 그루브들(tortuous grooves)을 갖는다. 그루브는 주파수 변조를 통해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보유한다. 어드레스 데이터는 어드레스 디코더(10) 내의 밴드 패스 필터(BPF)에 의한 FM 복조를 통해 추출된다. BPF는 선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킨다.
EFM/CIRC 인코더·디코더(8)는 서보 회로(9)를 통해 스핀들 모터(2)에 피드되는(fed)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스핀들 에러 신호는 이진 EFM 신호나 또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의해 추출된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EFM/CIRC 인코더·디코더(8)는 이진 EFM 신호에 기초하여 PLL (phase locked loop) 동작의 조악한 배치(coarse positioning)를 제어한다. 또한, EFM/CIRC 인코더·디코더(8)는 디코딩을 위한 재생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메모리 제어기(12)는 1.4 Mbit/sec의 전송 속도로 에러 정정 이진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13)에 라이트한다(write). 버퍼 메모리(13) 내에 적어도 소정 양의 데이터가 축적된 경우, 메모리 제어기(12)는 버퍼 메모리(13)에 데이터를 라이트할 때보다도 충분히 느린 전송 속도, 즉 0.3 Mbit/sec의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버퍼 메모리(13)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되기 전에 버퍼 메모리 내에 축적되어 있다는 점은, 오디오 데이터의 공급을 방해하는 장애를 허용한다. 트랙 점프(track jump)를 유발하는 진동 등의 장애로 인해 광학 헤드(3)로부터의 판독 데이터의 연속적인 공급이 인트럽트된 경우, 버퍼 메모리(13)는 계속적으로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트랙 점프가 일어나는 어드레스에 광학 헤드(3)를 재배치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커버한다. 이 배열은 인트럽트되지 않은 오디오 출력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는 버퍼 메모리(13)로서 예를 들면 4Mbyte RAM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설정에서, 데이터가 꽉 찬 버퍼 메모리(13)는 재생시 약 10초 동안 오디오 데이터를 유지한다. 메모리 제어기(12)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는 적절한 압축 방법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ATRAC(acoustic transferred adapted coding))에 의해 압축된 형태로 광 자기 디스크(90)에 기록된다. 메모리 제어기(12) 하에서, 광 자기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우선 버퍼 메모리(13) 내에 배치되고, 그 후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신장된다. 신장된 디지털 데이터는 D/A 변환기(15)에 공급된다.
D/A 변환기(15)는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로부터 신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16)를 통해 도시하지 않는 재생 출력 시스템(증폭기, 스피커, 헤드폰 등)으로 송신되어, 재생 오디오 신호로서 신호가 출력된다.
재생 처리 중, 시스템 제어기(11)는 조작부(19)에서의 조작에 응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특히, 시스템 제어기(11)는 각종의 서보 커맨드를 서보 회로(9)로 전송하고; 버퍼 메모리(13)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메모리 제어기(12)에 발행하며; 플레이 경과 시간,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그 외의 문자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하게 하고; EFM/CIRC 인코더·디코더(8)를 제어하여 스핀들 서보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19) 외에, 사용자가 제어 조작을 수행하도록 원격 커맨더(29)가 제공된다. 원격 커맨더(29)는 사용자의 조작을 반영하는 적외선 변조 신호 형태로 커맨드를 출력한다. 커맨드, 즉, 조작 정보는 적외선 수신기(23)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시스템 제어기(11)로 송신된다. 적외선 수신기(23)로부터 주어진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시스템 제어기(11)는 필요한 제어 처리를 행한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MD 기록기(1) 상의 디스크(90)에 기록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는 입력 단자(17 또는 21)에 피드된다.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 단자(17)에 인가된다. 단자(17)로부터, 신호가 A/D 변환기(18)로 송신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로 송신된다.
C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의 디지털 출력 단자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포맷으로 송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입력 단자(21)에 피딩된다.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부터, 디지털 통신 포맷이 디코딩되고, 제어 데이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25)에 의해 추출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25)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로 송신된다.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에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ATRAC 방법을 이용하여 압축된 형태로 인코드된다. 압축된 후,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제어기(12)의 제어 하에서 일시적 저장을 위해 0.3 Mbit/sec의 속도로 버퍼 메모리(13)에 전송된다. 버퍼 메모리(13)에 축적된 적어도 소정 양의 압축 데이터를 검지함으로써, 메모리 제어기(12)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검색(retrieval)할 수 있게 된다.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판독 시, 압축 데이터는 EFM/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CIRC 에러 정정 코딩이 부가되며, EFM가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데이터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로 송신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상기와 같이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N/S 극의 자계 인가를 위해 자기 헤드(6a)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자계 인가를 통해 자기 헤드(6a)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시스템 제어기(11)는 광학 헤드(3)의 반도체 레이저(도시하지 않음)의 출력 전력을 재생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보다 높은 레벨로 만든다(bring). 증가된 레이저 방출은 큐리 온도(Currie temperature)로 광 자기 디스크의 표면을 가열한다. 이 처리는 자기 헤드(6a)에 의해 인가된 자계 정보를 디스크의 기록면에 고정적으로 라이트한다. 즉, 디스크 표면에 자계 정보의 형태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시점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각종의 제어를 또한 제공한다. 즉, 시스템 제어기(11)는 각종의 서보 커맨드를 서보 회로(9)에 전송하고; 버퍼 메모리(13)의 제어를 위하여 메모리 제어기(12)에 명령을 발행하며; 기록 경과 시간, 현재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그 외의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하게 하고; 스핀들 서보 및 인코딩 처리를 위해 EFM/CIRC 인코더·디코더(8)를 제어한다.
디지털 데이터 입력이 행해지는 경우, 추출된 제어 데이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25)를 통해 들어온다.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의 경우, 입력 단자(17)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무음부 검지기(22)에 공급된다. 검지기(22)는 예를 들면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공급된 악곡 사이의 무음부를 모니터한다. 모니터된 상태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제어기(11)로 송신된다.
MD 기록기(1)는 오디오 데이터 외에, 오디오 데이터(악곡 또는 트랙)로 이루어지는 각 프로그램 및 디스크 전체에 대한 문자 정보를 디스크(90)에 기록할 수 있다. 조작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 문자 선택 부재(member) 및 문자 입력 결정 키를 포함한다. 문자 선택 부재는 예를 들면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결정 키는 선택된 문자열을 결정하고, 문자 입력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원격 커맨더(29)는 문자를 입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원격 커맨더는 알파벳 키(A 내지 Z), 심벌 키(종점, 쉼표 등), 숫자 키, 및 결정 키를 구비한다. 이들 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고, 결정 키를 조작하여 문자 입력 처리를 종료시켜 당해의 문자열을 완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조작부(19) 또는 원격 커맨더(29)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RAM(24)에 보유시키게 한다. 입력 문자열이 명확하게 결정된 경우, 결정된 문자열은 그 지점에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선택된 프로그램을 그 때 재생, 기록 또는 일시 보유된 프로그램이라 한다. 프로그램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입력 문자열은 디스크 전체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로서 처리된다.
이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문자 정보는 디스크(90) 상의 U-TOC 섹터 1(후술함)에 라이트되고 설정된다. U-TOC 섹터들의 데이터는 기록 조작 또는 문자 입력 조작 후에 적절한 시간에 갱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빙 중에 문자를 입력하는 처리하는(후술함) 유용한 처리를 제공한다. 이 점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더빙될 오디오 신호의 소스(source)로서 동작하는 장치(예를 들면, CD 플레이어)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처리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는 ROM(27)에 저장된다. CD 플레이어 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단자(26)를 통해 실행된다.
2. MD 트랙 포맷(MD Track Format)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기록 데이터 트랙의 클러스터 포맷(cluster format)에 대해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 상에서, 데이터는 클러스터 단위로 디스크 표면에 라이트된다. 도 2는 클러스터의 전형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미니 디스크 상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스터 CL은 기록 트랙으로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클러스터는 기록 데이터의 최소 증가(minimum increment)이다. 각 클러스터는 2 또는 3개의 트랙에 대응한다.
클러스터 CL은 4 섹터 서브 데이터 영역(4-sector sub-data area : 섹터 SFC 내지 SFF) 및 32 섹터 주 데이터 영역(32-sector main data area : 섹터 S0 내지 S1F)으로 이루어진다.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에서, 주 데이터는 상기한 ATRAC 방법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의미한다. 섹터는 2,352 바이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이다.
4 섹터 서브 데이터 영역은 서브 데이터를 수용하기도 하고, 또는 링크 영역(linking area)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TOC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32 섹터 주 데이터 영역에 라이트된다. 기본적으로 리저브 영역(reserve area)을 보유하는 링크 영역 내의 섹터들은 CD(13.3 msec) 상에서 최초로 사용된 에러 정정용 섹터 길이와 CD 섹터 길이보다 큰 이 실시예에서 채용된 CIRC 인터리브 길이(interleave length)사이의 일치성을 보증하는 여분의 섹터들이다. 이들 섹터들은 어떤 처리 또는 어떤 제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섹터는 사운드 그룹(sound group)으로 분할되어 있다. 2개의 섹터는 11 사운드 그룹을 이룬다. 설명한 바와 같이, 우수번째의 섹터(예를 들면, 섹터 S00)와 기수번째의 섹터(섹터 S01)의 2개의 인접한 섹터들은 11 사운드 그룹 SG00 내지 SG0A를 포함한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이루어지며, 11.61 msec의 시간 주기를 채우는데 충분한 양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 사운드 그룹 SG 내에서, 데이터는 좌측 또는 우측 채널에 대해 분리적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은 좌측 채널 데이터 L0과 우측 채널 데이터 R0으로 이루어지고; 사운드 그룹 SG1은 좌측 채널 데이터 L1과 우측 채널 데이터 R1로 이루어진다. 212 바이트로 이루어진 각 좌측 또는 우측 채널 데이터 영역은 사운드 프레임(sound frame)이라 불린다.
3. U-TOC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포맷 클러스터는 광 자기 디스크(90)의 전면(entire surface)에 걸쳐 형성된다. 방사상으로 분할된 경우, 디스크의 가장 안쪽의 트랙측 상의 영역이 관리 영역으로서 동작한다. 관리 영역의 방사상 외측은 프로그램 영역이다.
관리 영역은 판독 전용 영역(read-only area)과 광 자기 영역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가장 안쪽의 트랙측은 판독 전용 데이터가 피트(pits)에 기록되는 판독 전용 영역이다. 판독 전용 영역의 방사상 외측은 광 자기 방식(fashion)으로 라이트 및 판독할 수 있는 광 자기 영역부이다.
광 자기 영역부를 포함하는 관리 영역의 방사상 외측은 프로그램 영역이다. 프로그램 영역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낸 주 데이터 영역을 이루는 섹터에 기록된다.
관리 영역의 일부로서, 판독 전용 영역은 디스크 전체에 걸쳐서 영역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P-TOC(pre-mastered TOC)를 포함한다. P-TOC의 방사상 외측은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도록 U-TOC(user 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의 광 자기 영역부이다.
디스크(9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거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려면, 관리 정보, 즉, 디스크로부터 미리 P-TOC 및 U-TOC를 검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검색된 관리 정보에 따라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데이터를 기록 또는 판독하는 영역 위치의 어드레스를 식별한다.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보유된다. 버퍼 메모리(13)는 2개의 버퍼 영역으로 분할되는데, 그 하나는 기록 또는 재생해야 될 데이터를 수용하는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관리 정보를 보유하는 영역이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90)가 장전된 때에 디스크(90)의 가장 안쪽의 트랙 측으로부터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검색된 정보를 일시적 저장용 버퍼 메모리(13)에 위치시킨다. 버퍼 메모리(13)에 홀드되어 있는 관리 정보는 이후에 당해의 디스크(90)로의 기록 또는 그것으로부터의 판독 조작을 위해 참조된다.
U-TOC는 데이터가 라이트 또는 삭제되거나, 문자 정보가 입력 또는 기타 편집될 때에 갱신된다. 이러한 데이터 수정(data-modifying) 조작을 행할 때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버퍼 메모리(13)의 U-TOC 정보를 갱신한다. 이들 갱신 조작에 응답하여, 디스크 상의 U-TOC 영역이 적절한 시간에 갱신된다.
디스크(90) 상의 트랙으로의 라이트 조작 및 그것으로부터의 판독 조작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정보를 이루는 U-TOC 섹터들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U-TOC 섹터 0의 포맷을 나타낸다. U-TOC 섹터들은 예를 들면 숫자 0 내지 31일 수 있다. 즉, 관리 영역 내의 각 클러스터의 섹터(S00-S1F)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섹터 1 및 4는 문자 정보를 수용할 수 있고, 섹터 2에는 라이트된 기록시의 날짜 및 시간을 가질 수 있다.
U-TOC 섹터 0은 사용자가 기록한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정보 및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프리 영역(free area)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으로서 활동한다. 즉, 섹터 0은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에 대한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각 프로그램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로서 사용되는 복사 방지 정보 및 엠파시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을 경우,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을 참조하여 디스크 상의 프리 영역(즉, 기록가능한 영역)을 찾는다. 프로그램을 이루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영역에 기록되어 스폿(spot)될 것이다. 디스크(90)로부터 프로그램을 재생할 경우,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을 참조하여 당해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을 검지한다. 검지된 영역은 프로그램의 재생을 위해 액세스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TOC 섹터 0은 이 섹터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3 바이트 데이터("Cluster H", "Cluster L", "SECTOR"), 디스크의 제조자를 표시하는 메이커 코드(maker code) 및 모델 코드(model code), 제1 프로그램 번호("First TNO"), 최후의 프로그램 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태("used sectors"), 디스크 시리얼 번호, 및 디스크 ID에 의해 뒤따라지는 12 바이트의 sync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헤더 다음에 수반되는 정보는 디스크 상에서 발행할 수 있는 어떤 결함 영역에 대한 정보가 배치되는 슬롯의 개시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 P-DFA(Pointer for defective area)와; 슬롯의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포인터 P-EMPTY(Pointer for Empty slot)와; 프리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슬롯의 개시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 P-FRA(Pointer for Free area)와; 각각이 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는 슬롯의 개시 위치를 포인팅하며, 대응 테이블 지정 데이터(corresponding table designating data)로 이루어진 포인터 P-TNO1, P-TNO2, …, P-TNO225이다.
대응 테이블 지정 데이터는 8 바이트 각각의 255 슬롯을 포함하는 관리 테이블이다. 각 슬롯들은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트랙 모드, 및 관리를 위한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광 자기 디스크(90)는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디스크 표면 상에 연속하는 데이터 트레인(data train)을 이산적으로(discretely), 즉, 분산 방식으로 기록되는 복수의 부분(parts)으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각 부분들은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클러스터에 라이트되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90; 도 1의 MD 기록기(1))에 적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는 일시적 레지스터용 버퍼 메모리(13) 내에 데이터를 놓는다. 버퍼 메모리(13)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속도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속도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설정에서, 광학 헤드(3)는 이산적으로 리이트된 데이터를 디스크(90)로부터 액세스하고 판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판독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배치된다. 데이터는 재생을 위해 버퍼 메모리(13)로부터 연속하는 데이터 트레인으로 복원된다. 재생 중, 버퍼 메모리(13)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속도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속도보다 빠르다. 이는 중단없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보증한다.
짧은 프로그램이 길고 이전에 기록된 프로그램 상에 덮어쓰기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어떤 여분의 영역을 소거할 필요없이, 필요한 영역만을 프리 영역(포인터 P-FRA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으로서 지정한다. 이는 가용한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리 영역을 관리하는 포인터 P-FRA를 사용하여 이산적으로 할당된 영역을 링크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프리 영역을 관리하는 슬롯의 개시 위치를 포인트하는 포인터 P-FRA를 03h의 16진수로 설정한 것으로 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위치 03h를 따르는 슬롯이 관리 테이블의 슬롯 03h에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액세스된다. 슬롯 03h에 기록된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부분의 개시점 및 종점을 표시한다. 슬롯 03h에 라이트된 링크 정보는 이 경우에 예를 들면 18h인 다음 슬롯의 어드레스를 포인트한다. 슬롯 18h의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슬롯 2Bh로 유도된다. 슬롯 2Bh에 홀드되어 있는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는 디스크 상의 다른 부분의 개시점 및 종점을 지정한다. 유사하게, 링크 정보는 데이터 아이템 00h가 도달될 때까지 트레이스(trace)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인터 P-FRA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모든 위치의 어드레스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 P-FRA에 의해 포인트되는 슬롯을 원점(origin)으로서 사용하여 링크 정보가 널(null : =ooh)로 될 때까지 포함되는 슬롯을 트레이스한다. 이는 디스크 상의 이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을 메모리에서의 부분들의 코히어런트 트레인(coherent train)에 링크할 수 있게 한다. 즉, 디스크(90) 상의 프리 영역으로서 제공된 모든 부분들이 파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포인터 P-FRA를 예로 들었지만, 포인터 P-DFA, P-EMPTY, P-TNO1, P-TNO2, …, P-TNO225도 디스크 상의 이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을 링크하도록 활동한다.
도 5는 U-TOC 섹터 1의 포맷을 도시한다. U-TOC 섹터 1은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정보 뿐만 아니라, 디스크 타이틀 등의 광 자기 디스크 전체에 대한 문자 정보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기록된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 디스크 타이틀은 앨범 타이틀, 연주자의 이름 및 기타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각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정보는 악곡의 타이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자 정보는 사용자가 요구되는 문자를 선택, 설정하여 입력되고, 저장된다.
각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정보는 대응 테이블 지정 데이터에서의 포인터 P-TNA(x)(x = 1∼255)에 의해 지정된 문자 테이블의 슬롯에 기록된다. 하나의 슬롯은 7 바이트의 문자 정보를 수용한다. 포함된 문자가 다양한 경우, 복수의 슬롯이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를 기록하기 위해 링크될 수 있다.
U-TOC 섹터 2는 상술한 포맷으로 프로그램 영역에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U-TOC 섹터 4는, 도 5의 포맷에서, 광 자기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의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에 대한 폰트로서 가따까나 및 한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4. CD-MD 더빙 시스템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CD-MD 더빙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블록도의 MD 기록기(1)는 도 1의 전체 설정에 정확히 대응하지만, 도 6에서는 부분적으로만 나타냈다.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빙 시스템은 CD 플레이어(30)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들을 MD 기록기(1) 상의 디스크(90)에 기록하도록 설계된다. CD 플레이어(30) 및 MD 기록기(1)는 개별 엔티티 일수도 있고, 통합된 장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리 형성된 경우, CD 플레이어(30) 및 MD 기록기(1)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들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2개의 디바이스는 CD 플레이어 및 MD 플레이어로서 동작하는 2개의 구별되는 부를 갖는 복합 기구(composite machi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 장치로서 동작하는 CD 플레이어(30) 상에서, 광 디스크(91; 컴팩트 디스크)가 일정한 선속도(CLV)로 스핀들 모터(32)에 의해 회전에서 제어된다. 광학 헤드(33)는 대물 렌즈(33a), 2축 기구(34), 반도체 레이저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 및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부터의 출사광을 받는 광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2축 기구(34)는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을 갖는다. 포커싱 코일은 광 디스크(91)를 향하거나 그것으로부터 떨어져있는 대물 렌즈(33a)를 구동시킨다. 트랙킹 코일은 광 디스크(91)의 반경 방향으로 대물 렌즈(33a)를 구동시킨다. 슬레드 기구(35)는 광학 헤드(33) 전체를 광 디스크(91)를 거쳐 큰 반경 이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또한 제공된다.
광학 헤드(33) 내의 광수신기에 의해 검지된 반사광 정보는 RF 증폭기(36)로 송신되고, 전류-대-전압 변환이 행해진 후 매트릭스 연산이 행해진다. 매트릭스 연산을 행함에 있어서, RF 증폭기(36)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RF 신호를 생성한다. RF 신호는 레이저 빔이 디스크(91) 상에 방출될 때에 광량(quantity-of-light) 정보로서 추출되는 재생 신호이다.
RF 증폭기(36)에서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 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 TE는 서보 회로(37)에 의해 위상 보상 및 이득 제어가 행해진다. 서보 회로(37)를 통과한 2개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증폭기를 통해 2축 기구(34)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37) 내의 로우-패스 필터(LPF)는 트랙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슬레드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슬레드 에러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슬레드 드라이브 증폭기를 통해 슬레드 기구(34)로 송신된다.
RF 증폭기(36)에서 생성된 RF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38)에서 2진 형태로 변환되어 EFM 복조 및 CIRC 에러 정정이 행해진다. 신호 처리 회로(38)에 의한 처리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재생 데이터로서 추출된다.
신호 처리 회로(38)는 스핀들 모터(32)에 공급되는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스핀들 에러 신호는 이진 EFM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38)는 이진 EFM 신호에 기초하여 PLL 동작의 조악한 배치를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호 처리 회로(38)는 재생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서보 회로(37) 및 신호 처리 회로(38)는 시스템 제어기(41)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 처리 회로(38)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기(39)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출력 단자(43)로부터 MD 기록기(1)의 입력 단자(17)로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신호 처리 회로(38)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인터페이스(40)로 송신되어, 신호는 전송 준비 중의 제어 코드 및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된다. 코드가 부가된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 단자(42)로부터 MD 기록기(1)의 입력 단자(21)로 전송된다. 데이터의 전송은 예를 들면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실행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광 캐이블을 통해 광 신호로서 송신된다.
더빙 조작 중, 기록 장치로서 활동하는 MD 기록기(1)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스크(90)에 기록한다. 이 신호는 CD 플레이어(30)에서 전송되어 온 것이다. 아날로그 포맷으로 입력 단자(17)에 전송되어 온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스크(90)에 기록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8)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신호가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에 입력되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록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의 경우, 입력 단자(17)에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무음부 검지기(22)에도 공급되어, 적어도 선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면, 3초) 동안 오디오 레벨로 유지하는 무음 상태가 체크된다. 이러한 무음 상태의 검지를 표시하는 신호는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 내의 프로그램 변화(악곡 사이)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시스템 제어기(11)에 송신된다. 통상의 CD 상에는 2개의 인접한 악곡 사이에 3 내지 5초의 무음부가 제공된다. 검지시 각 무음부는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를 표시한다.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 단자(21)에 피드된 경우, 디지털 인터페이스(25)는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U-비트 추출부(25b)는 U-비트 데이터, 즉, 광학적으로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서의 프로그램 변화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추출한다. 타임 코드 추출부(25a)는 광학적으로 전송된 형태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재생 경과 시간을 표시하는 타임 코드 데이터를 추출한다.
논리 회로(25c)는 U-비트 추출부(25b)와 타임 코드 추출부(25a) 양쪽의 출력상의 논리 조작을 수행하는데 제공된다. 2개의 추출부로부터의 출력이 제공되어, 논리 회로(25c)는 재생 장치 측으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내의 프로그램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송신된다.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타임 코드 추출부(25a)는 관계된 각 프로그램의 재생 경과 시간을 추출한다. 논리 회로(25c)는 -00:01의 재생 경과 시간 및 U-비트 변화 정보에 대해 논리 조작을 수행하고, 따라서 프로그램 변화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변화 검지 신호는 대안적으로 U-비트 추출부(25b)에 의한 검지의 결과만을 이용해도 생성될 수 있다. 그와 달리, 무음부는 아날로그 기록과 동일한 방식으로 검지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무음부의 검지 결과 및 U-비트 변화 정보에 대해 논리 조작이 행해질 수 있다.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5)로부터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14)로 향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더빙 조작 중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이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 코드는 현재의 프로그램 번호와 함께 RAM(24)에 저장된다. ROM(27)은 재생 장치로서 동작하는 CD 플레이어(30)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미리 저장한다.
5. CD-MD 더빙 시의 제어
상술한 더빙 시스템에서 디스크(91)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받아 디스크(90)에 더빙하는 경우, 사용자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타이틀 또는 그 외의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인 더빙 조작을 제공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더빙 시 문자를 입력할 때의 시스템 제어기(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더빙 시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현재 더빙된 프로그램에 관한 문자 정보로서 간주한다. 종래 장치에서, 문자 정보의 입력은 현재의 프로그램의 더빙이 종료되기 전에 종료되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현재 더빙되는 프로그램의 종료 전에 문자 입력이 완료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는(예를 들어, 관계된 수많은 문자 때문에) 더빙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 7의 단계 F101에서, CD(디스크(91))로부터 MD(디스크(90))로의 데이터의 더빙이 지정된다. 이는 CD 플레이어(30)로부터 MD 기록기(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17) 또는 디지털 입력 단자(21)로의 오디오 신호의 공급을 개시한다.
단계 F102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가 더빙 중에 발행했는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는 무음부 검지기(22)로부터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한다.
단계 F102에서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가 검지되면, 단계 F103에 도달한다. 단계 F103에서, 문자 입력 수단(즉, 원격 커맨더(29) 또는 조작부(19))의 방식에 의한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의 체크가 이루어진다. 더빙이 종료된 현재의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입력이 없는 경우(즉, 사용자가 어떠한 문자도 입력하지 않는 경우), 단계 F103에서의 체크 결과가 긍정(affirmative)인 것으로 간주되고 단계 F107에 도달한다.
단계 F103에서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는 결정 키의 조작을 체크하여 결정된다. 즉, 원격 커맨더(29) 또는 조작부(19) 상에 설치된 결정 키가 조작됐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체크가 이루어진다. 이 체크는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 직전에, 더빙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의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행해진다.
단계 F103에서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한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F107에 도달한다. 단계 F107에서, 현재 더빙되는 프로그램이 최후의 프로그램인지의 체크가 이루어진다. 현재의 프로그램이 최후의 프로그램이라고 실제 판정된 경우, 단계 F108에 도달한다. 단계 F108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 조작을 중지하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하여, 서보 회로를 중지시키고 기록을 종료시킨다(단계 F109).
단계 F107에서 현재 더빙되는 프로그램이 최후의 프로그램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F102에 다시 도달한다. 단계 F102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더빙 중에 발행하는 프로그램 번호의 변화에 대한 체크를 계속한다.
단계 F103에서 문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는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시스템 제어기(11)는 단계 F104로 진행한다. 단계 F104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91)의 오디오 출력을 대기 상태에 놓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한다. 커맨드가 시스템 제어기(41)로 송신된다. 이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기(41)는 CD 플레이어(30)를 대기 상태에 있게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MD 기록기(1)의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로 하는데 필요한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들 커맨드들은 서보 회로(9), 메모리 제어기(12) 및 그 외의 관련된 구성 요소로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번호가 재생 측에서 변화되면, 대기 상태에 도달한다. 대기 상태가 다음 프로그램의 시작에서 보유되고, 기록 측에서도 기록 조작이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연속해서 나머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104에서 CD 플레이어(30)의 오디오 출력 및 MD 기록기(1)의 기록 조작이 대기 상태에 있게 되면, 단계 F105에 도달한다. 단계 F105에서,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체크가 이루어진다. 통상, 상기 체크는 사용자가 결정 키를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F105에서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F106에 도달한다. 단계 F106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MD 기록기(1)의 기록 조작과 CD 플레이어(30)의 오디오 출력 모두의 대기 상태를 취소하는데 필요한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 커맨드는 시스템 제어기(41)로 송신된다.
상기 단계들은 다음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더빙시에 재개된다. 도 7의 처리에서, 제어는 단계 F103 및 F107을 통해 단계 F102로 복귀한다. 단계 F107에서 다음 프로그램이 재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즉, 더빙의 종료), 단계 F108 및 F109에서 더빙 조작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더빙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면 현재 더빙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들을 입력하는데 조급해 할 필요가 없다. 현재의 프로그램의 더빙이 그 프로그램에 관한 문자의 입력이 종료되기 전에 종료된 경우, 다음 프로그램의 더빙 조작은 자동적으로 보유된다. 이는, 짧은 악곡에 대하여 시간 내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록 중 프로그램에 대한 다소 긴 문자열을 삽입해야 했던 종래의 요구에 더 이상 구애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문자 입력 절차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기록 조작 중 필요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은 많은 한정성을 내포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 상태를 지정하기 위해 기록 측으로부터 재생 측으로 송신된 커맨드 뿐만 아니라, 재생 측의 대기 상태를 취소하기 위한 커맨드를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의 예는 디지털 통신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였지만, 이러한 전송은 기록 측 및 기록 측이 복합 머신(machine) 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몇몇 경우에서, 2개의 시스템 제어기(11 및 41)가 단일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더빙 중, 현재 더빙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의 입력이 현재의 프로그램에 대해 시간 내에 종료되지 않아 다음 프로그램으로 대치되는 경우가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는 한 더빙 조작을 적어도 대기 상태로 있게 한다. 사용자는 대기 상태에서 필요한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현재 더빙되고 있는 프로그램 각각에 정확히 대응하여 기록된다. 더빙 조작을 대기 상태로 하고, 이러한 대기 상태를 취소하기 위한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떤 추가적인 동작 사양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더빙 중, 현재 더빙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등의 문자 정보의 입력이 현재의 프로그램에 대해 시간 내에 종료되지 않아 다음 프로그램으로 대치되는 경우가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는 한 더빙 조작을 적어도 대기 상태로 있게 한다. 사용자는 대기 상태에서 필요한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현재 더빙되고 있는 프로그램 각각에 정확히 대응하여 기록된다. 더빙 조작을 대기 상태로 하고, 이러한 대기 상태를 취소하기 위한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떤 추가적인 동작 사양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기록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상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상에 기록하기 위한 자기 데이터 구조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상에 기록하기 위한 자기 데이터 구조의 다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상에 이산 영역이 어떻게 링크되는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 기록 장치 및 광 디스크 재생 장치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더빙 단계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MD 기록기
3, 33 : 광학 헤드
6a : 자기 헤드
8 : EFM/CIRC 인코더·디코더
9, 37 : 서보 회로
11, 41 : 시스템 제어기
12 : 메모리 제어기
13 : 버퍼 메모리
14 : 오디오 압축/신장 인코더·디코더
17, 21 : 입력 단자
18 : A/D 변환기
19 : 조작부
20 : 표시부
22 : 무음부 검지기
23 : 광수신기
24 : RAM
25, 40 : 디지털 인터페이스
27 : ROM
29 : 원격 커맨더
30 : CD 플레이어
38 : 신호 처리 회로
90 : 광 자기 디스크
91 : 광 디스크

Claims (4)

  1.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program area)과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영역(management area)을 갖는 기록 매체에, 공급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으로서,
    기록될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하나의 공급된 프로그램으로부터 기록될 다른 프로그램으로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다음 프로그램으로의 변화를 검지함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한 문자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이 문자 정보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에 놓고,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공급을 대기 상태에 놓는 명령을 발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은 문자 입력 결정 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 결정 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 조작의 대기 상태 뿐만 아니라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공급의 대기 상태를 취소하는 기록 장치.
  3. 재생부와 기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기록부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에 상기 재생부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시스템으로서,
    기록될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상기 재생부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함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한 문자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이 문자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에 놓고, 상기 재생부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공급을 대기 상태에 놓는 명령을 발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4. 더빙 방법으로서,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 단계가 상기 재생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
    상기 제1 판정 단계가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의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을 대기 상태에 있게 하고, 기록 조작을 대기 상태에 놓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 및 상기 기록 조작 모두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 판정 단계가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재생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전송과 상기 기록 조작 모두의 대기 상태를 취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더빙 방법.
KR10-1998-0018491A 1997-05-23 1998-05-22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KR100508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04397A JP3750278B2 (ja) 1997-05-23 1997-05-23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JP97-134043 199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91A KR19980087291A (ko) 1998-12-05
KR100508593B1 true KR100508593B1 (ko) 2005-10-24

Family

ID=1511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491A KR100508593B1 (ko) 1997-05-23 1998-05-22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8312A (ko)
JP (1) JP3750278B2 (ko)
KR (1) KR100508593B1 (ko)
CN (1) CN1097820C (ko)
MY (1) MY116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1999B (en) * 1996-10-16 1997-08-01 Ibm Method of recording media data on recording media, accessing media data and system thereof
US6288990B1 (en) * 1997-10-21 2001-09-11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382159B2 (ja) 1998-08-0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3718759B2 (ja) * 1999-01-25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レーザ駆動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292181B2 (ja) * 1999-09-20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Cd−rwディスクの消去方法およびcd−rw記録装置
JP4304796B2 (ja) * 1999-11-30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US6717762B1 (en) * 2000-06-09 2004-04-06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rive compatible with a removable cartridge
US6781782B2 (en) 2000-12-21 2004-08-24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calibration parameters for a removable cartridge
US6779067B2 (en) 2001-05-14 2004-08-17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nded functionality for a bus
US6901525B2 (en) 2001-05-25 2005-05-31 Iomeg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n a bus
EP1804245A4 (en) * 2005-08-23 2009-01-07 Sony Corp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157256A (ja) * 2005-12-06 2007-06-21 Canon Inc 記録システム
US20070223872A1 (en) * 2006-03-21 2007-09-27 Kan-Li Huang Dubbing method utilizing label for identifying dubbing st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4480A (en) * 1987-09-26 1989-03-29 Casio Computer Co Ltd Digital audio tape recorder
KR940022379A (ko) * 1993-03-05 1994-10-20 오오가 노리오 기록매체, 기록 또는 재생장치
KR960008782U (ko) * 1994-08-13 1996-03-16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동장치
JPH08102149A (ja) * 1994-09-30 1996-04-16 Sony Corp 文字情報記録装置及び文字情報出力装置
KR960035531A (ko) * 1995-03-15 1996-10-24 이데이 노부유키 다수의 디스크 재생장치를 위한 제어기와 이 제어기를 갖고 있는 디스크 시스템
KR960042636A (ko) * 1995-05-09 1996-12-21 구자홍 디지탈 컴팩트 카세트(dcc)의 문자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097B2 (ja) * 1991-10-14 2002-03-25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ならびにそ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記録装置
JPH06162646A (ja) * 1992-11-19 1994-06-10 Kenwood Corp 光ディスクへのダビング装置
DE69434692T2 (de) * 1993-01-06 2007-03-29 Sony Corp. Aufzeichnungsmethode für Aufzeichnungsmedium
JPH1055656A (ja) * 1996-08-08 1998-02-24 Sony Corp 受信情報記録システム
JPH10199213A (ja) * 1996-12-27 1998-07-3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4480A (en) * 1987-09-26 1989-03-29 Casio Computer Co Ltd Digital audio tape recorder
KR940022379A (ko) * 1993-03-05 1994-10-20 오오가 노리오 기록매체, 기록 또는 재생장치
KR960008782U (ko) * 1994-08-13 1996-03-16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동장치
JPH08102149A (ja) * 1994-09-30 1996-04-16 Sony Corp 文字情報記録装置及び文字情報出力装置
KR960035531A (ko) * 1995-03-15 1996-10-24 이데이 노부유키 다수의 디스크 재생장치를 위한 제어기와 이 제어기를 갖고 있는 디스크 시스템
KR960042636A (ko) * 1995-05-09 1996-12-21 구자홍 디지탈 컴팩트 카세트(dcc)의 문자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91A (ko) 1998-12-05
US6088312A (en) 2000-07-11
CN1097820C (zh) 2003-01-01
JPH10320898A (ja) 1998-12-04
JP3750278B2 (ja) 2006-03-01
CN1200539A (zh) 1998-12-02
MY116743A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116B1 (ko) 기록매체의기록방법
JP3557721B2 (ja) 記録装置
JP3218743B2 (ja) 記録/再生装置、ディスク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記録方法
KR100508593B1 (ko)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US6567349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method and editing apparatus
KR100665157B1 (ko) 더빙 장치 및 더빙 방법
KR100416340B1 (ko) 용이한더빙작동을행할수있는기록장치
US6295267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for use therewith,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ubbing system for use therewith
JP2001160253A (ja) ダビング装置、及び記録装置
US6631100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dubbing apparatus for recording or dubbing programs and character data
US6400667B1 (en)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sub data is written/read in periods during which writing/reading of main data is not performed
US5717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stant interval of silence
JP3731331B2 (ja) 記録装置
JP3711991B2 (ja) 記録装置
JP3444277B2 (ja) 再生装置
JP379736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H1079189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JP3297936B2 (ja) 再生装置
JPH075743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1297039A (ja) 編集装置
JP2000215654A (ja) 音響再生装置
JPH09153270A (ja) 管理情報更新装置
JPH11328932A (ja) 記録装置
JPH1186515A (ja) 記録装置及び文字編集方法
JP2000123551A (ja) 記録装置、及び複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