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985B1 -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985B1
KR100507985B1 KR10-2002-7008221A KR20027008221A KR100507985B1 KR 100507985 B1 KR100507985 B1 KR 100507985B1 KR 20027008221 A KR20027008221 A KR 20027008221A KR 100507985 B1 KR100507985 B1 KR 10050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chanical
holder
push butt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603A (ko
Inventor
디르크 야콥
울리히 뮐러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6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02Multi-part structures
    • Y10T70/7825With pivoted or swinging bit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76Bow or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 Y10T70/8757Releasable c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기계 전자 복합 키에서는 전자 부품들과 기계식 평면 키(30)가 일반적으로 공통 키 홀더(10) 내에 수용 설치된다. 상기 평면 키는 홀더(10) 내에서 보다 낮은 정지 지점과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지점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홀더(10) 내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며, 상기 지점 중 적어도 한 곳에서 누름 버튼(40)에 의해 제동된다. 상기 키 홀더는 상부 셸과 하부 셸로 조립된다. 상기 두 셸 사이의 밀폐와 관련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셸(11)의 누름 버튼(40) 외부에 놓인 영역에 개방부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개방부는 셸 내부에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자유로운 공간을 형성한다. 전자 부품들은 하우징 방식의 케이스(22)로 둘러싸이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미리 제조된 전기 케이스(20)를 형성한다.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추후에 완전히 조립된 키 홀더(10)의 빈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인 유닛을 형성한다. 삽입시 전기 케이스(20)는 키 홀더(10) 내에 고정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정 장착을 위해 누름 버튼(40)을 이용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COMBINED MECHANICAL AND ELECTRONIC KEY, IN PARTICULAR FOR LOCKS IN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복합 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키는 잠금 장치의 직접적인 기계식 조작뿐만 아니라,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예컨대 상기 잠금 장치 내지는 다른 잠금 장치의 원격 작동과 같은 전자식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키 홀더는 키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을 위한 조작 수단이다. 따라서 키 홀더의 외부면에는 전자식 작동을 위해 예컨대 전기 누름 버튼이나 탄성 막 형태의 작동부가 제공되며, 이 작동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전기 스위치 또는 그와 유사한 부품을 작동시킨다. 기계식 평면 키는 홀더 내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어, 홀더 내보다 낮은 정지 지점(rest position)으로부터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지점(in-use position)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위치 보장을 위해 홀더 내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받는 누름 버튼에 의해 평면 키를 상기 두 지점에서 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상기 방식의 키(독일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39 02 537 C2호)의 경우 키 홀더의 내부에는 기계식 평면 키뿐만 아니라 전자식 작동을 위한 전자 부품들도 직접 설치된다. 전자 부품들은 에너지 공급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러한 배터리는 장기간 사용 후 교체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키 홀더는 필요한 경우 서로 분해되어야 하는 상부 셸과 하부 셸로 이루어진다. 셸 부품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것은 쉽지 않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평면 키를 홀더 내 정지 지점에 배치하기 위해 키 홀더 내에 측면 홈이 제공되고, 상기 홈으로부터 기계식 평면 키가 작동 지점으로 나오게 된다. 상부 셸과 하부 셸 사이의 틈새를 통해 홀더 내부로 먼지나 습기가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틈새 부분에서의 밀폐가 잘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밀폐는 장기간 사용한 후, 특히 전자 부품이나 배터리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보증되기가 힘들다. 홀더 내부에 있는 전자 부품과 배터리를 빼거나 삽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키 홀더의 두 셸을 분해하고 조립할 때, 실링이 더 이상 제자리에 배치되지 않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와 동일한 단점을 가진 유사한 방법이 유럽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0 627 420 A1호에 기술되어있다.
그 외에도 영국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2 080 386 A호에는 삽입 가능한 카세트를 구비한 기계식 키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있다. 광원을 포함하는, 2 개의 셸로 이루어진 카세트는 하우징 방식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추후에 플러그-인 유닛으로서 삽입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 손잡이는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자유로운 공간을 형성하는 홈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플러그-인 유닛이 삽입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삽입 연결부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돌출되는 기계식 평면 키를 포함하는 키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 키에 종속되는, 전자 부품을 둘러싸는 전기 케이스로 형성된 플러그-인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키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시 조작에 사용되는, 도 1의 키 홀더와 도 2의 플러그-인 유닛이 서로 결합된 복합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계식 평면 키를 포함하는 키 홀더의 필수적인 구성 부품들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5는 기계식 평면 키의 두 구성 부품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 부품 중 하나를 도 5의 절단선(VI-V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립된 키 홀더를 도 1의 절단선(VII-VI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려진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키 홀더를 도 1의 절단선(VIII-VII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복합 하우징을 도 3의 절단선(IX-IX)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와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전자 부품 및 경우에 따라서 배터리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신뢰할만한 공간절약형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방법들을 통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들에는 아래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다.
본 발명에서는 먼지나 습기에 매우 민감한 전자 부품들(경우에 따라 전기 배터리도 여기에 속함)이 하우징 방식의 케이스로 덮이기 때문에 키 홀더의 상부 셸과 하부 셸 사이의 밀폐 관련 문제가 다루어질 필요가 없다. 상기 부품들은 케이스와 함께 이하 짧게 "전기 케이스"로 표기되는 미리 제조된 모듈 유닛을 형성한다. 전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요소들은 모든 면이 밀폐된다. 필요한 경우 전자 부품들이 전기 케이스 내에서 주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케이스는 밀봉 방식에 있어서 독립적이기 때문에, 키 홀더 내에서 밀폐와 관련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전자 부품들 및 그들의 전기 배터리는 전기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수용 배치된다. 전기 케이스는 2개의 셸로 이루어진 키 홀더 없이 분해될 수 있어야 하고, 키 홀더의 빈 공간 내로 빠르고 간편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전기 케이스는 키의 소유자로부터 취득될 수 있고 항상 잠겨있는 키 홀더와 결합될 수 있는 독자적인 상품으로서 유통될 수 있다.
한 편으로는 키 홀더의 개방부가, 다른 한 편으로는 전기 케이스가 별도로 미리 제조되어, 언제든지 서로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다. 키 홀더가 2개의 셸로 분해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밀폐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통상 키 홀더의 전기 케이스가 삽입될 때 밀폐되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곳에는 기계식 평면 키와 같이 먼지나 습기에 민감하지 않은 부품들만 배치되기 때문이다. 키 홀더 내 개방부는 삽입된 전기 케이스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전기 케이스는 키 작동시 공동으로 조작될 복합 하우징에 키 홀더를 보충한다. 즉,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복합 하우징의 면의 일부는 기계식 평면 키의 키 홀더에 의해, 일부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전기 케이스의 둘레 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전이부에서는 동일 평면상의 전이가 고려된다.
그 밖의 방법들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어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하나의 실시예로 간략하게 도시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키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키는 추후에 서로 결합되는, 각각 별도로 미리 제조된 2 개의 부품(10, 20)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한 부품(10)은 기계식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1 개의 키 홀더(10)로 형성된다. 상기 키 홀더(10)의 구성 부품들은 도 4의 분해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있다. 다른 한 부품(20)은 이후에 더 자세히 기술될 플러그-인 유닛으로서,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내부에는 도 9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전자 부품(40)이 장치된다.
도 1 및 4에서 볼 수 있듯이, 기계식 부품은 우선 클램셸(clamshell) 방식의 키 홀더(10)를 포함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셸(11)은 산발적으로 배치된 결합 돌기부(13)를 내부면에 가진 평면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 반면, 하부 셸(12)은 셸 베이스(15) 외에도 셸 측벽(14)을 포함한다. 셸 측벽(14)에는 전술한 상부 셸(11)의 결합 돌기부(13)를 위한 산발적 결합 수용부(16)가 존재한다. 상부 셸(11)은 키 홀더(10)의 앞 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되고, 뒷부분에는 외부로부터의 액세스 가능한 빈 공간이 셸 내부(18) 쪽으로 형성되어있는 돌출부(17)를 포함한다. 이는 이후에 더 자세히 기술될 플러그-인 유닛(20)의 탈부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키 홀더(10)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내에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더욱 낮은 정지 지점으로부터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지점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기계식 평면 키(30)가 포함된다. 평면 키(3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평면 키(30)는, 다른 운동도 고려될 수 있지만, 도 1, 3 및 4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선회축(33)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평면 키(30)는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평판(34)으로부터 다이 컷(die-cut)으로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다이 컷은 2 개의 림(limb; 31, 32)으로 구성된 L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한 L자형 림은 짧게 형성되어 키 홀더(10) 전면 단부에서의 평면 키(30)의 회전을 지지하는데 사용되고, 그 때문에 이후로는 짧게 "베어링 림"으로 표기된다. 다른 한 L자형 림(32)은 키 샤프트 고유의 평면 프로파일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 "샤프트 림"으로 표기된다. 상기 두 림(31, 32)은 전술한 플레이트 형태(34)에 의해 정해진 공통 평면에 놓이며, 상기 공통 평면은 키 홀더(1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회전축(33)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베어링 림(31)에는 특수 삽입물(36)의 수용을 위해 사용되는 불완전한 원 형태의 플레이트 개구(35)가 제공된다.
누름 버튼(40)은 축방향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도 스프링 하중을 받고, 하우징(10)과 동일하게 형성된 프로파일(19, 48, 28)을 갖는다. 삽입물(36)은 비교적 휘기 쉬운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회전축(33)의 위치를 결정하는 누름 버튼(40)을 위한 특수한 메이팅 프로파일(37, 38, 39)을 갖는다. 스프링 작용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누름 버튼(40)의 축방향 보어(45) 내에 수용되는 압축-비틀림 복합 스프링(41)이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41)의 한 쪽 스프링 단부(42)는 누름 버튼(40)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 쪽 스프링 단부(43)는 하우징(10)의 하부 셸(12) 내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41)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조립시 하부 셸(12)의 베이스측 내부면에 놓인 볼트(44)는 나사선 내부뿐만 아니라 삽입물(36)에도 맞물린다.
도 5에 따라 먼저 천공 공정을 통해 플레이트 개구(35)를 갖는 평면 키(30)가 제조된 다음, 추후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35) 내로 삽입물(36)이 수직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후에는 도 4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 키의 두 플레이트 면 위로 돌출된다. 상기 삽입물에는, 도 6에 따라, 원통형 부착물(47)뿐만 아니라 도 8에 제시된 것처럼 양쪽 셸(11 및 12)의 링 그루우브 세그먼트(19) 내로 돌출되는 스톱 핀(39)도 포함된다. 도 8에 도시된 스톱 도그(39, stop dog)의 위치에는 이미 도입부에서 언급한, 하우징(10)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작동 지점이 존재한다. 전술한 평면 키(30)의 샤프트 림(32)이 도 8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보조선(30.1)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보조선은 나머지 도면에 도시된 평면 키(30)의 작동 지점을 표시한다. 상기 작동 지점(30.1)에서는 평면 키가 누름 버튼(40)에 의해 제동된다. 그런 다음 누름 버튼(40)에 제공된, 여기서는 지름방향으로 배치된 종동 블레이드(48)가 상부 셸(11)의 내부면에 나 있는 관련 반경 방향 홈(28)에 맞물리고, 그리하여 평면 키(30)의 외측 회전 위치를 보증한다.
종동 블레이드(48)는, 도 7에 표시된 힘 화살표(46) 방향으로의 압착 운동을 허용하는 축방향 홈(38)을 삽입물(36) 내에 메이팅 프로파일로서 갖는다. 도 7에서 실시되는 상기 압착 운동(46)은 누름 버튼(40)의 축방향 하강을 야기하며, 그로 인해 종동 블레이드(48)가 반경 방향 홈(28)에서 빼내어진다. 상기 압착 운동(46)은 스프링(41)의 축방향 힘 작용과 반대로 실시된다. 그렇게 되면 작동 지점(30.1)의 제동이 중지된다. 그러면 평면 키는 도 8에 힘 화살표(49)로 표시된 스프링(41)의 회전력에 대해 도 8의 운동 화살표(29) 방향으로 하우징 내 정지 지점을 향해 다시 회전된다. 그러면 평면 키(30)의 샤프트 림(32)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30.2로 표시된 일점쇄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정지 지점(30.2)에서 샤프트 림(32)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더 자세히 기술될 키 홀더(10)와 그 안에 삽입된 플러그-인 유닛(20)으로 구성된 전체 하우징(50)의 측면 틈(24)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런 다음 종동 블레이드(48)가 다시 축방향으로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측 반경 방향 홈(28)과 스냅식으로 맞물리고, 그리하여 키 홀더(10)에서 평면 키(30)의 정지 상태(30.2)도 중지된다.
피봇 동작(29)에서는 누름 버튼(40)이 피봇 베어링으로서도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상부 셸(11)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베어링 보어(25)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보어(25)는 축방향으로 도 5와 6에 도시된 삽입물(36)의 축방향 보어(37) 및 이미 여러 번 언급한 하부 셸(12)의 볼트(44)와 연관된다. 누름 버튼(40)은 평면 키(30)의 회전축(33)을 의미한다. 한 편으로는 삽입물(36)의 스톱 핀(39)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스톱 핀에 하우징측으로 배치된 링 그루우브 세그먼트(19)가 피봇 동작(29)시 회전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 편으로는 키(30)의 프로파일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2개 셸(11, 12)의 내부면에 의해 회전 제동이 구현될 수 있다.
삽입물(36)을 미리 제조하는 대신 사출성형 기술을 통해 나중에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되고 있는 평면 키(30)를 사출성형 모울드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모울드 내에서 플레이트 개구(35) 내 삽입물(36)이 주조를 통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전술한 메이팅 프로파일(37, 38, 39, 47)이 유사한 형태로 제공된다.
대부분의 적용예에서 도입부에 언급한 전자 작동식 복합 키의 경우 소위 트랜스폰더(26, transponder)도 선호된다. 이러한 트랜스폰더(26)는 이미 상기 복합 키의 전자 개별화(electronic individualisation)를 위해 고려되어왔다. 상기 키가 관련 잠금 장치에 삽입되면 트랜스폰더(26)와 잠금 장치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고, 잠금 장치와 키가 일치하면 잠금 기능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방식의 트랜스폰더(26)가 키 홀더(10)의 전면 영역에 수용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셸(12)은 트랜스폰더(들)(26)가 부착될 수 있는 챔버(27)를 갖는다. 트랜스폰더(26)의 전자 에너지 공급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이나 그와 유사한 일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의 완전 조립된 키 홀더(10)를 셸(11, 12)로 분해할 필요가 없다. 즉, 트랜스폰더(26)는 챔버(27) 내에서 영구적으로 보호된다. 이는 이미 도입부에서 언급한, 전체 하우징(50)의 탈거 가능한 플러그-인 유닛(20)의 내부 요소인 추가 전자 부품(21)들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있는 것처럼, 플러그-인 유닛(20)에는 하우징 방식의 케이스(22)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23)에는 부품들(21)이 설치되고, 외부를 향해 모든 면이 폐쇄된다. 케이스 내부(23)에는 부품들로 이루어진 회로도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기적 장해가 있을 수 있다. 플러그-인 유닛으로서 키 홀더(10)와 함께 작용하는 이러한 부품들(21, 22)은 미리 완전히 제조되며, 이하 "전기 케이스"로 명명한다. 이를 위해 키 홀더(10)의 프로파일이 하기의 방식으로 매칭되어야 한다.
도입부에 언급한 키 홀더(10) 내 개방부(17)는 상부 셸(11)이 도 1에 따라 키 홀더(10)의 전면 섹션(51)만을 덮음으로써 간단하게 구현된다. 그로 인해 외부로부터 셸 내부(18)로의 액세스에 노출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 공간(17)은 위를 향하는 상부 개구(52)를 가질 뿐만 아니라 후면 단부(54)로부터 액세스되는 측면 개구(53)까지 뻗어있다. 이러한 개구는 상부 셸(11)의 후면 섹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후면 단부(54)에 하부 셸(12)의 측벽(14)이 없기 때문에 형성된다. 전기 케이스(20)는 상기 측면 개구(53)를 통해 도 1의 운동 화살표(55)에 따라 키 홀더(10)의 개방 공간(17) 내로 삽입된다. 전기 케이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에 따라,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상부 개구(52)를 폐쇄한다. 삽입 운동(55)은 전술한 피봇 동작(29)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전기 케이스(20)의 바람직한 삽입 및 슬라이딩(55)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가이드 부재(61, 62)가 제공된다.
하부 셸(12)의 셸 베이스(15) 내부면에는 측면 개구(53)를 향해 정렬된 2 개의 평행 가이드 스트립(61, guide strip)이 제공된다. 이 가이드 스트립들은 후방절단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내부에는 전기 케이스(20)의 하우징 하부면에 매칭되는 가이드 홈(62)이 할당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61, 62)가 맞물린 상태는 도 9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따른 케이스 하우징(22)의 측벽이 58에서 단(段)을 가짐으로써, 도 4에 따른, 하부 셸(12) 내 상응하는 단 형성부(59)와 함께, 맞물림 상태에서 평면 키(30)의 샤프트 림(32)용 측면 틈(24)이 형성된다. 도 3 및 9에 따른 맞물림 상태에서 한 편으로는 관찰 가능하게 유지되는 전기 케이스(20)의 외부면과, 다른 한 편으로는 키 홀더(10)의 외부면이 서로 평행하게 결합된다. 그렇게 되면 두 부분(10, 20)은 전술한 복합 하우징(50)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키의 조작시 손에 함께 쥐어지기 때문에 "복합 하우징"으로 명명된다. 이는 바깥쪽으로 회전된 샤프트 림(32)이 상기 복합 하우징(50)에 의해 회전되는 관련 잠금 장치의 기계식 작동시뿐만 아니라 전자식 작동시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공통 복합 하우징 전기 케이스(20)의 관찰 가능하게 유지되는 외부면에 작동부(60)가 제공된다. 이들은 압력 스위치 또는 막 형태의 작동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60)에는 하기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 전술한 누름 버튼(40)의 영역 내에 추가의 막 형태의 덮개가 제공된다.
도 3 및 9에 도시된, 키 홀더(10) 내 전기 케이스(20)의 삽입 위치는 정지 수단에 의해 한정될 뿐만 아니라 래치(latch) 부재에 의해 보증된다. 이러한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누름 버튼(4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케이스(20)는, 도 2에 따라, 그 전면 단부가 돌출부(56)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도 3의 삽입된 위치에서 키 홀더(10)의 상부 셸(11) 전면부(51)를 덮는다. 상기 돌출부(56)는, 도 3에 따라 전기 케이스(20)가 삽입된 위치에서는 축방향 탄성을 받는 누름 버튼(40)이 스냅 인되는 홈(57)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키 홀더와 전기 케이스(20)의 결합이 보증된다. 상기 홈(57)은 돌출부(56)를 관통하기 때문에, 도 3에 따라 맞물려지는 경우 누름 버튼(40)은 그의 작동에 충분한 길이만큼 상기 돌출부(56)로부터 튀어나온다. 복합 하우징(50)을 그의 구성 부품(10, 20)으로 분해하기 위해서는 누름 버튼(40)을 돌출부(56)의 홈(57)에서 빠지도록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46)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누름 버튼(40)은 돌출부(56) 영역 내에서 작동부(6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막으로 덮일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61)의 막은 전술한 누름 버튼(40) 영역 내 막과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5)

  1. 자동차내 잠금 장치를 위한 기계 전자 복합 키로서,
    잠금 장치 작동시 조작될, 잠금 장치의 전자식 작동용 전자 부품들(21) 및 잠금 장치의 기계식 작동용 평면 키(30)를 위한 공통 키 홀더(10)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키(30)는 홀더 내에 움직일 수 있게(29) 수용되어, 상기 홀더(10) 내 보다 낮은 정지 지점(30.2, home position)으로부터 상기 홀더(10)에서 돌출하는 작동 지점(30.1, working position)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10) 내에 배치되어 축방향 탄성을 받는(41) 누름 버튼(40)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키(30)가 상기 지점들(30.1; 30.2)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제동되고,
    상기 키 홀더(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고정되는 상부 셸과 하부 셸(11, 12)로 구성되는 기계 전자 복합 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셸(11)이 누름 버튼(40) 외부에 놓인 영역에 개방부(17)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셸(18)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자유로운 빈 공간(17)을 형성하며,
    상기 전기 부품들(21), 상기 부품들의 회로 및 경우에 따라 전기 제어 장치는 하우징 형상의 케이스(22)로 둘러싸이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미리 제조된 전기 케이스(20)를 형성하며,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추후에 완전히 조립된 키 홀더(10)의 빈 공간(17)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에 고정될 수 있는 플러그-인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전면 단부로부터 뻗는 돌출부(56)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0)가 삽입된 위치에서는 상기 돌출부(56)가 키 홀더의 상부 개구(52) 앞에 존재하는 상부 셸(11)의 고정 부재(5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돌출부(56)는, 탄성이 가해진 누름 버튼(40)이 축방향으로 눌려지고 키 홀더(10) 내에서의 전기 케이스(20)의 삽입된 위치를 보증하는 홈(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2. 제 1항에 있어서,
    삽입된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 부품들(21)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개방부(17) 내에 있는 영역에 작동부(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삽입된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키 홀더(10) 내에 있는 개방부(17)를 밀폐시키고,
    한 편으로는 전기 케이스(20)로, 다른 한 편으로는 키 홀더(10)로 이루어지는 삽입 결합이 동일 평면상에서 전이되는 둘레면을 갖는 복합 하우징(50)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7)는 상부 셸의 후방 섹션을 생략함으로써 형성되는 위쪽을 향하는 상부 개구(52)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측면 개구(53)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 개구(53)는 하부 셸(12) 및 상부 셸(11)의 측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상기 측면 개구(53)를 통해 키 홀더(10)의 빈 공간(17) 내로 삽입될 수 있고(55), 상기 전기 케이스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부 개구(52)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키(30)는 홀더(10) 내에서의 정지 지점과 작동 지점(30.2; 30.1) 사이에서 회전(29)될 수 있고,
    상기 누름 버튼(40)은 평면 키(30)용 피봇 베어링(33)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누름 버튼(40)의 스프링 장치(41)는 평면 키(30)를 그의 작동 지점(30.1)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기 케이스(50)가 키 홀더(1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55)은 평면 키(30)의 피봇 동작(29)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스(20)의 삽입(55)을 위해 사용되는 측면 개구(53)는 누름 버튼(40)의 반대편에 놓인 키 홀더(10)의 후방 단부(54)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셸(12)과 전기 케이스(20)는 상기 전기 케이스(20)의 의도한 삽입 및 슬라이딩(55)을 위한 가이드 부재(61, 62)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61, 62)는 하부 셸(12)의 측면 개구(53) 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8. 제 7항에 있어서,
    하부 셸(12) 내에 있는 상기 가이드 부재(61, 62)는 키 홀더(10)의 상부 개구(52)에 대하여 하부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도브테일(dovetail)형 프로파일을 가진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가이드 스트립(strip)을 가지며,
    상기 전기 케이스(20)가 상기 가이드 스트립에 매칭되는 가이드 홈(6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 홀더(10) 내에서의 전기 케이스(20)의 삽입 위치는 정지 수단에 의해 한정되고, 래치(latch) 부재에 의해 보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홈(57)이 돌출부(56)를 관통하고,
    상기 누름 버튼(40)의 작동 단부는 전기 케이스(20)가 삽입된 후에 작동의 목적으로 돌출부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40) 및 키 홀더(10) 내부에 있는 상기 누름 버튼의 수용부(44)에 제어 장치(41, 48, 38, 37)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평면 키(30)가 작동 지점과 정지 지점(30.1; 30.2) 사이에서 피봇 동작(29)을 하는 동안 누름 버튼(40)을 축방향으로 가압된 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가압된 위치에 있는 누름 버튼(40)은 돌출부(56) 내 홈(57)으로부터 빼내져서 전기 케이스(20)를 릴리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6)는 자신의 홈(57) 영역에서, 전기 케이스(20)가 삽입된 후에 누름 버튼(40)의 상부 표면을 덮는 막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은 누름 버튼(40)용 수동 작동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전기 케이스(20)의 돌출부(5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40)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막이 키 홀더(10) 내에서 또는 삽입시 관찰 가능하게 유지되는 전기 케이스(20)의 외부면에서 추가의 막 형태의 작동부(60)와 결합되고, 상기 추가 막 형태의 작동부(60)는 전기 케이스(20) 내부의 전자 부품들(21)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2002-7008221A 1999-12-24 2000-12-08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0507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2976.5 1999-12-24
DE19962976A DE19962976C1 (de) 1999-12-24 1999-12-24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603A KR20020063603A (ko) 2002-08-03
KR100507985B1 true KR100507985B1 (ko) 2005-08-17

Family

ID=793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221A KR100507985B1 (ko) 1999-12-24 2000-12-08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1539B2 (ko)
EP (1) EP1242707A1 (ko)
KR (1) KR100507985B1 (ko)
AU (1) AU1862701A (ko)
DE (1) DE19962976C1 (ko)
WO (1) WO20010483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017B1 (ko) * 2008-12-01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폴딩 키 유닛
KR20170056351A (ko) * 2015-11-13 2017-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3498C2 (de) * 1999-09-10 2002-03-07 Kiekert Ag Fahrzeugschlüssel für fernbedienbare Fahrzeugschliesssysteme
US6626019B1 (en) * 2002-08-08 2003-09-30 Chin-Lin Huang Cover assembling structure of key ring
JP4366085B2 (ja) * 2003-01-29 2009-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リモートキ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3404A (ja) * 2003-05-30 2004-12-16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DE10341456B4 (de) * 2003-09-09 2021-03-11 Robert Bosch Gmbh Manipulationsgeschützter Schlüssel
FR2861114B1 (fr) * 2003-10-20 2006-01-06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Cle d'actionnement d'une serrure
US7762470B2 (en) 2003-11-17 2010-07-27 Dpd Patent Trust Ltd. RFID token with multiple interface controller
US7597250B2 (en) 2003-11-17 2009-10-06 Dpd Patent Trust Ltd. RFID reader with multiple interfaces
US7213766B2 (en) 2003-11-17 2007-05-08 Dpd Patent Trust Ltd Multi-interface compact personal toke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7055352B2 (en) 2003-11-19 2006-06-06 Meyerson David W Apparatus for storing and positioning keys
JP2005179942A (ja) * 2003-12-17 2005-07-07 Denso Corp 自動車用ワイヤレス送受信機
ES2277477B1 (es) * 2004-03-17 2008-05-16 Carlos Brion Camean Llavero.
FR2868801B1 (fr) * 2004-04-08 2006-07-14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Cle a tige escamotable comportant des moyens d'entrainement de la tige vers une position deployee
US7127922B2 (en) * 2004-07-21 2006-10-31 Saysamon Khounsombath Key unit holder
US7748636B2 (en) * 2004-11-16 2010-07-06 Dpd Patent Trust Ltd. Portable identity card reader system for physical and logical access
US7166812B2 (en) * 2005-01-03 2007-01-23 Lear Corporation Housing for a key fob
US7463134B1 (en) 2005-04-01 2008-12-09 Stilley Russell L Dual key fob
JP4510698B2 (ja) * 2005-05-19 2010-07-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メカキー
DE202005010622U1 (de) * 2005-07-06 2006-11-16 Hella Kgaa Hueck & Co. Kraftfahrzeugschlüssel
JP2007085074A (ja) * 2005-09-22 2007-04-05 Honda Lock Mfg Co Ltd イモビライザー用キー
US20070080811A1 (en) * 2005-10-06 2007-04-12 Midwest Tool & Die Corp. Fob for RF responsive circuits
US8528374B2 (en) 2005-11-29 2013-09-1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Portable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
US7380428B2 (en) * 2005-12-12 2008-06-03 Kaba Ilco Corp. Separable transponder key assembly
US7514642B2 (en) * 2005-12-14 2009-04-07 Lear Corporation Gmbh Remote function actuator with pressure equalizer
DE102006036503B4 (de) * 2006-08-04 2015-09-17 Hella Kgaa Hueck & Co.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DE602006006569D1 (de) * 2006-08-18 2009-06-10 Delphi Tech Inc Einklappbarer Schlüssel
DE102006048027B4 (de) * 2006-10-09 2018-06-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üssel mit aufklappbarem Schlüsselschaft
WO2008067276A1 (en) * 2006-11-27 2008-06-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Key fob assembly
DE112007000579B4 (de) * 2006-11-27 2021-12-0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Verstärkter Schlüsselanhänger
DE102007001069B4 (de) * 2007-01-03 2008-09-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lüss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chlüsselvorrichtung
US7578154B2 (en) * 2007-02-21 2009-08-25 Bernardo Beresnitzky Key case with key select mechanism
DE102007017361B4 (de) 2007-04-02 2016-03-24 I2S Intelligente Sensorsysteme Dresden Gmbh Kraftsensor und seine Verwendung
FR2919327A1 (fr) * 2007-07-27 2009-01-30 Johnson Controls Tech Co Cle d'actionnement d'une serrure a resistance aux chocs amelioree
JP2009091839A (ja) * 2007-10-10 2009-04-30 Tokai Rika Co Ltd コード凹凸キー
FR2922572B1 (fr) 2007-10-19 2013-02-01 Johnson Controls Tech Co Cle pivotante a blocage en position renforce, pour l'actionnement d'une serrure.
DE102007054515A1 (de) * 2007-11-15 2009-05-20 Leopold Kostal Gmbh & Co. Kg Schlüssel für ein Kraftfahrzeug
US20090140846A1 (en) * 2007-12-04 2009-06-04 Mark Rutledg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function
DE102008005840B4 (de) 2008-01-24 2018-07-19 HELLA GmbH & Co. KGaA Elektronischer Schlüssel mit einem mechanischen Notschlüssel
FR2927512B1 (fr) * 2008-02-19 2011-04-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oitier de telecommande ou de badge mains libres pour vehicule a element porte-clefs escamotable dans ce boitier.
JP5021522B2 (ja) * 2008-02-26 2012-09-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ド型電子キー
US8225633B2 (en) * 2008-03-03 2012-07-24 Lear Corporation Rotation mechanism for key blade
DE102008016201B4 (de) * 2008-03-28 2010-03-18 Lear Corporation Gmbh Modularer Funkschlüssel mit Schwenkarmaturen
FR2935419B1 (fr) * 2008-09-01 2010-10-15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telecommande a cle escamotable, en particulier de vehicule automobile.
FR2936679A1 (fr) * 2008-10-01 2010-04-02 Valeo Securite Habitacle Clef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bouton lateral a rappel par tige.
EP2284337A1 (fr) * 2009-08-07 2011-02-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e méchanique pour une clé d'un véhicule et une clé munie d'un tel module
KR200457865Y1 (ko) * 2009-09-11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DE102010015821B4 (de) * 2010-04-21 2016-02-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lüsselvorrichtung
US8096412B1 (en) * 2010-04-22 2012-01-17 Britt Willis L Key remote control cover
FR2967188B1 (fr) * 2010-11-05 2013-05-31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et module de deploiement d'insert associe
EP2460956B2 (en) * 2010-12-06 2022-07-27 Valeo Climatizacion S.A. A flip key for an automotive vehicle with enhanced resistance to forces exerted onto an insert of such flip key
EP2703235A4 (en) * 2011-03-01 2015-02-25 De Mateos Company Francisco Garcia SAFETY BAG FOR MOTORCYCLES
ES1074507Y (es) * 2011-03-01 2011-08-03 De Mateos Company Francisco Garcia Llavero de seguridad para la moto
DE102011100032A1 (de) * 2011-04-29 2012-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lüssel und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US8511122B1 (en) * 2011-06-13 2013-08-20 Joseph A. Mendoza Remote key device
JP5557829B2 (ja) * 2011-12-07 2014-07-2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用携帯機
FR2984944B1 (fr) * 2011-12-23 2014-04-25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et module de deploiement correspondant
JP5979628B2 (ja) * 2012-01-31 2016-08-24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キー
US8690069B2 (en) * 2012-08-20 2014-04-08 Key Systems, Inc. Key combination with electronic memory identifier
DE102012018444A1 (de) * 2012-09-18 2014-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lüssel mit schwenkbarem Bart
FR3000124B1 (fr) * 2012-12-21 2015-03-06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avec jeu limite
JP2016188511A (ja)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キー
CN109171851B (zh) * 2018-07-11 2020-08-21 温州市人民医院 阴道缝合扣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2684A (en) * 1956-07-02 1958-02-11 William J Ray Key holder
US3613414A (en) * 1969-12-22 1971-10-19 Seymour A Ostrager Self-ejecting keyholder with illumination
GB2080386A (en) * 1980-07-25 1982-02-03 Ford Motor Co Key with light source
IT8119924A0 (it) * 1981-02-23 1981-02-23 Fernando Panunzio Portachiavi a struttura dissociabile.
FR2522941B1 (fr) * 1982-03-09 1985-06-07 Renault Porte-clefs du type a clef escamotable dans un boitier
DE3509579A1 (de) * 1985-03-16 1986-09-18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Zuendschluessel mit sender
DE3769923D1 (de) * 1986-10-20 1991-06-13 Siemens Ag Geraet zum fernsteuern einer mit einem empfaenger ausgeruesteten schliess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63136172U (ko) * 1987-02-28 1988-09-07
JPH0718280B2 (ja) * 1987-10-27 1995-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キー装置
DE3902537A1 (de) * 1989-01-28 1990-08-09 Daimler Benz Ag Schluesselbehaelter mit ausschwenkbarem flachschluessel
US4939917A (en) * 1989-12-14 1990-07-10 Cartwright Edward V Key control of important security keys
DE9107134U1 (ko) * 1990-12-31 1991-09-05 Witte & Sutor Gmbh, 7157 Murrhardt, De
US5711042A (en) * 1996-07-30 1998-01-27 Chuang; Louis Tool combination for bicycle
US5819568A (en) * 1996-11-12 1998-10-13 Audiovox Corporation Key element/key FOB unit housing signal transmitter
US5943889A (en) * 1998-03-05 1999-08-31 Chiu; Kuang-Yen Collapsible key assembly
US6016676A (en) * 1998-08-06 2000-01-25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Universal fob
JP3751471B2 (ja) * 1999-05-11 2006-03-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部品内蔵キー装置
JP3545647B2 (ja) * 1999-06-11 2004-07-21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子キイ構造
DE19952247C1 (de) * 1999-10-29 2001-04-05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Elektronischer Flachschlüss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017B1 (ko) * 2008-12-01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폴딩 키 유닛
KR20170056351A (ko) * 2015-11-13 2017-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102274503B1 (ko) * 2015-11-13 2021-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91539B2 (en) 2004-02-17
AU1862701A (en) 2001-07-09
US20030000267A1 (en) 2003-01-02
DE19962976C1 (de) 2001-09-20
WO2001048342A1 (de) 2001-07-05
KR20020063603A (ko) 2002-08-03
EP1242707A1 (de) 200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985B1 (ko)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0709826B1 (ko)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CN1823207B (zh) 用于汽车上的门或翻盖的把手
JPH08326387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フルラッチ検出スイッチ
US9744919B2 (en) Rear trim strip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rear trim strip
TWI391273B (zh) 圓筒鎖保護裝置(一)
JP2004308369A (ja) 携帯型送信機
JP2002175736A (ja) 防水スイッチ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JP2000048786A (ja) 電池ケース
JP2000196257A (ja) 容 器
JP2009228263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204372B2 (ja) スイッチ用二次成形品
JP4418298B2 (ja) 錠装置
JPH0723985Y2 (ja) 機器の収納穴の閉塞構造
CN212117078U (zh) 用于组装雾化器的辅助设备
KR101842390B1 (ko)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JP5422241B2 (ja) 車両のドア操作ハンドル
CN219327427U (zh) 一种锁具
CN221043067U (zh) 摄像机
JP7324118B2 (ja) ドアラッチ装置
US5334810A (en) Combination lock and switch mount
JPH0220380Y2 (ko)
JP2014084695A (ja) キーユニット
WO2020174720A1 (ja) 宅配ボックス用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