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390B1 -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390B1
KR101842390B1 KR1020170043788A KR20170043788A KR101842390B1 KR 101842390 B1 KR101842390 B1 KR 101842390B1 KR 1020170043788 A KR1020170043788 A KR 1020170043788A KR 20170043788 A KR20170043788 A KR 20170043788A KR 101842390 B1 KR101842390 B1 KR 10184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handle
door
plung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윤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17004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03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hollow cylindrical spindles, e.g. of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05B2009/046Cylinder locks operated by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고가의 제품을 보관하는 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를 담당하는 담당자의 부재중에도 도어를 수시로 열어야 하는 경우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를 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후면으로 이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어판과 탄성 부재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Handle locking mechanism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고가의 제품을 보관하는 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를 담당하는 담당자의 부재중에도 도어를 수시로 열어야 하는 경우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를 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후면으로 이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어판과 탄성 부재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은 대부분 물건을 보관하는 문을 개폐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3891호 방수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경우를 살펴보면, 문(1)에 고착되는 받이시트본체(2)의 축 구멍(3)에 핸들(4)의 조작축부(5)를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 고정프레임체(6)측의 받이부(7)에 계탈하는 멈춤쇠판(8)을 조작축부(5)의 선단에 연결하고, 조작축부(5)에 전방면측에 개구한 받이구멍(9)을 설치하여, 받이구멍(9)의 내벽통과구멍(10)으로부터 축 구멍(3)의 내면 오목부(11)에 걸어맞춤하여 조작축부(5)를 받이시트본체(2)에 대하여 회전불능으로 자물쇠 정지하는 래치(12)를 받이구멍(9)의 선단부에 수용하고, 받이구멍(9)의 전단부에 자물쇠 유니트(13)를 수용하여 조작축부(5)에 고정하고, 자물쇠(12)를 내벽통과구멍(10)으로부터 출몰 구동시키는 캠부(14)를 선단부에 설치한 조인트부재(15)를 받이구멍(9)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조인트부재(15)의 전단부를 자물쇠 유니트(13)의 로터(16)에 연동가능하게 연결한 문용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조인트부재(15)의 외주면에 고리형상홈(17)을 설치하여, 조작축부(5)의 받이구멍(9)의 내면에 압접하는 0-링(18)을 해당 고리형상홈(17)에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1의 로크핸들은 자물쇠유니트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하면 조인트부재의 캠부가 래치를 작동시켜 핸들을 잠금 및 해제시키는데, 도어가 설치되는 케이스는 고가의 제품과 장비를 보관하는 의료기기 케이스, 제어반 케이스, 시험기기 케이스와 통신장비 케이스 또는 산업장비 케이스의 경우 수시로 사람들이 왕래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열쇠를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게 되면 도어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과, 열쇠를 수시로 챙겨서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특히 열쇠를 읽어버릴 경우 케이스 내부의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의 핸들의 상부에는 캡이 설치되어 로터의 열쇠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바쁜 일과로 인하여 로터의 열쇠 구멍에 캡이 밀폐된 상태에서 자물쇠 유니트가 잠금 상태인지 해제상태인지 확인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로터의 열쇠 구멍이 밀폐된 상태에서 깜박하고 열쇠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물품을 도난당하게 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의 로크핸들은 로터의 열쇠 구멍에 캡이 밀폐된 상태에서 자물쇠 유니트가 잠겨 있는지 해제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수시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핸들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잠겨있는 자물쇠 유니트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자물쇠 유니트가 파손되어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76187호 도어용 로크핸들이 등록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키 삽입구멍(11)을 형성한 키스핀들(10)이 핸들(20)의 상부 후면에 돌출된 키스핀들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키스핀들(10)의 둘레 면에 형성된 회전돌기(12)가 키스핀들 하우징(2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2)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키 삽입구멍(11)의 하단부에 위치한 핸들(20)의 전면에 표시창(23)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창(23)이 위치한 핸들(20)의 내부에 안착부(24)를 형성하여 내부에 키 잠금 및 해제 표시부재(25)의 전면이 밀착되며, 상기 안착부(24)의 둘레 면에 제1,2축 구멍(28)(28a)과 스프링 고정홈(29)을 형성하고, 상기 키 잠금 및 해제 표시부재(25)의 후면에 형성된 키 잠금 및 해제수단(30)이 키스핀들(10)과 연결되어 키스핀들(10)이 회전하면 키 잠금 및 해제수단(30)의 링크부재(31)가 작동하여 키 잠금 및 해제 표시부재(25)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키 잠금 및 해제 표시부재(25)의 전면에 형성된 잠금 표시부(26)와 해제 표시부(27)가 표시창(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키의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는 핸들의 전면에 형성된 표시창을 통해서 키스핀들의 키가 잠금 및 해제된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키가 해제된 상태임을 감지하지 못하여 고가의 제품과 장비를 보관하는 통신장비 케이스 또는 산업장비 케이스에서 물품을 도난당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통신장비 케이스 또는 산업장비 케이스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게 되면 열쇠가 없으므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과, 열쇠를 수시로 챙겨서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특히 열쇠를 읽어버릴 경우 케이스 내부의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389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1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제품과 장비를 보관하는 통신장비 케이스와 산업장비 케이스에 설치되는 도어의 담당자가 부재중에도 수시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커버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플랜지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관통하고, 플랜지의 회전축 지지부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를 형성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와 플런저를 삽입하며,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솔레노이드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스위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회전축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핸들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여 키를 항상 소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와 같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키를 소지하고 있는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게 되면 키가 없으므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과, 담당자는 키를 수시로 챙겨서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특히 키를 읽어버릴 경우 케이스 내부의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가 솔레노이드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후면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고, 솔레노이드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어판과 탄성 부재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전면에 표시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핸들을 무리하게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 표시등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이 해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의 전원이 차단되어 핸들이 잠금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핸들의 키스핀들에 키를 삽입하여 작동하면 키스핀들과 연결 부재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작동하면서 플런저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는 케이스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고, 도어의 전면에 커버를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전면에 플랜지의 후면을 밀착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플랜지의 전면에 커버를 결합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핸들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을 삽입하여 플랜지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관통하되, 전면에 위치한 회전축 지지부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와 플런저를 삽입하고, 상기 플런저의 둘레 면에 제어판과 탄성 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수납 부재가 연결되는 내부 양 측면에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부 끝 부분에는 회전축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과 연결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동작 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플런저를 솔레노이드의 내부로 흡입하면 플런저가 잠금 구멍에서 이탈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류가 차단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를 잠금 구멍에 삽입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의 스위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버의 전면에 표시등을 노출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 표시등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이 해제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가의 제품과 장비를 보관하는 통신장비 케이스와 산업장비 케이스(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 등)는 담당자가 케이스의 도어를 수시로 개폐해야 하는데, 키를 소지하고 있는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게 되면 키가 없으므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과, 담당자는 키를 수시로 챙겨서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특히 키를 읽어버릴 경우 케이스 내부의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가 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후면으로 이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어판과 탄성 부재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커버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플랜지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관통하고, 플랜지의 회전축 지지부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를 형성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와 플런저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와, 솔레노이드는 도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어부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회전축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핸들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여 키를 항상 소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의 전면에 표시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핸들의 잠금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핸들을 무리하게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 표시등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이 해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전원이 차단되어 핸들이 잠금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핸들의 키스핀들에 키를 삽입하여 작동하면 키스핀들과 연결 부재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작동하면서 플런저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구조를 개선한 효과와,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의 이동거리는 플런저의 둘레 면에 설치된 제어판이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과 밀착되어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핸들 잠금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핸들 잠금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핸들 잠금장치에 표시등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핸들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핸들의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핸들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핸들 잠금장치에 표시등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핸들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키를 작동시켜 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K)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D)를 개폐시키는 핸들(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어(D)의 전면에 플랜지(10)를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10)에는 핸들(20)을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17)와 플런저(18)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7)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19)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17)의 동작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7)를 작동하고, 상기 플랜지(10)의 전면에 커버(16)를 결합하며, 상기 커버(16)와 플랜지(10)의 내부에 핸들(20)의 회전축(21)을 삽입하여 회전축(21)의 둘레 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22)에 플런저(18)가 삽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7)를 작동하면 솔레노이드(17)가 플런지(18)를 후퇴시켜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어(D)의 전면에 설치되는 플랜지(10)와 커버(16)는, 상기 도어(D)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전면에 플랜지(10)의 후면이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플랜지(10)의 중앙에 회전축 지지부(11)를 형성하여 플랜지(10)의 전면과 후면으로 돌출하면서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조건에 따라서 좌측과 우측의 내부 중 어느 한 곳을 선택하여 솔레노이드(17)를 삽입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의 전면으로 돌출된 플런저(18)가 삽입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 홈(15)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홈(15)과 회전축 지지부(11)가 연결되는 양 측면에 가이드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12)의 외측 둘레 면에는 격벽(13)을 형성하여 후술할 플런저(18)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며, 상기 플런저(18)의 둘레 면에 제어판(18a)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18a)의 후면에 탄성 부재(18b)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17)의 전류가 차단되면 탄성 부재(18b)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18)가 전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판(18a)이 격벽(13)과 밀착되면서 플런저(18)가 전면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하며, 상기 플랜지(10)의 전면에는 커버(16)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16)의 가운데에는 삽입구멍(16a)을 형성하여 플랜지(10)의 회전축 지지부(11)와 관통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구멍(16a)에 핸들(20)의 회전축(21)을 삽입하여 회전축 지지부(11)의 후면까지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21)의 후면에는 별도의 걸쇠(미도시)를 결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회전축(21)의 양 측면에 잠금 구멍(22)을 형성하여 플랜지(10)의 가이드 구멍(12)과 일치시켜 플런저(18)의 전면이 가이드 구멍(12)을 관통하여 잠금 구멍(22)까지 전진하여 핸들(20)이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한편,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9)는 솔레노이드(17)와 전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K)의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9)에 스위치를 형성하여 제어부(19)의 스위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7)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플런저(18)를 솔레노이드(17)의 내부로 흡입하면 플런저(18)가 잠금 구멍(22)에서 이탈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7)의 전류가 차단되면 탄성 부재(18b)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18)와 제어판(18a)이 전면으로 이동하면 제어판(18a)의 전면이 격벽(13)에 밀착되면서 플런저(18)의 전면이 잠금 구멍(22)에 삽입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발명으로 커버(16)의 전면으로 표시등(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17)가 설치된 반대편 수납 부재(14)에 회로기판(31)을 설치하고, 상기 회로기판(31)의 전면에 표시등(30)을 설치하여 커버(16)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상기 회로기판(31)은 솔레노이드(17)와 전선(32)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선(32)은 회전축 지지부(11)의 상부 둘레 면에 형성된 전선 홈(33)에 밀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면 표시등(30)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표시등(30)이 불이 꺼지면 핸들(20)이 잠금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여 핸들(20)을 무리하게 작동시키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발명으로 제어부(19)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키를 이용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면, 상기 핸들(20)의 전면 내부에는 래치(25)와 연결 부재(24)와 키스핀들(23)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축(21)의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키스핀들(23)은 핸들(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핸들(20)의 전면으로 키 삽입구멍(23a)이 노출되며, 상기 키스핀들(23)의 후면에 연결축(23b)을 돌출하고, 상기 연결축(23b)은 연결 부재(24)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홈(24a)에 삽입되어 키스핀들(23)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연결 부재(24)의 후면에 캠부(24b)가 돌출되어 래치(25)의 전면 내부에 형성된 캠홈(25a)에 삽입되어 래치(25)를 작동하면 래치(25)는 잠금 구멍(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18)를 밀어주면서 플런저(18)가 잠금 구멍(22)에서 이탈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핸들(2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16)의 전면에 표시등(30)을 돌출시켜 표시등(30)이 꺼진 상태이며 핸들(20)이 잠금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면 표시등(30)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와 같이 담당자의 부재중에도 수시로 도어를 열어야 하는 경우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19)의 스위치를 눌러주면 스위치의 동작 신호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17)의 내부에 형성된 코일부(미도시)로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의 영향으로 솔레노이드(17)의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된 흡인력은 플런저(18)를 솔레노이드(17)의 내부로 끌어당기면 플런저(18)의 제어판(18a)은 탄성 부재(18b)의 탄성력에 의해 압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런저(18)가 잠금 구멍(22)에서 이탈하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20)을 회전하면 도어(D)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9)가 잠금 구멍(22)에서 해제된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 코일부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18)를 당기는 힘의 근원인 자기장이 사라지게 되며, 그 결과 탄성 부재(18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18)는 잠금 구멍(22)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런저(18)가 전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판(18a)이 격벽(13)과 밀착되면서 플런저(18)의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한편, 도 3의 경우 사용자가 핸들(20)이 잠금 상태인지 해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커버(16)의 전면으로 노출된 표시등(30)에 불이 꺼진 상태이면 핸들(20)이 잠금 상태이고,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면 회로기판(31)에 설치된 표시등(30)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20)이 해제된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의료기기 케이스, 실험기기 케이스에 설치된 제어부(19)의 전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도어(D)를 열어야 하는 경우 키스핀들(23)의 키 삽입구멍(23a)에 키를 삽입하여 작동하면 키스핀들(23)과 연결된 연결 부재(24)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연결 부재(24)는 래치(25)의 캠홈(25a)에 캠부(24b)가 삽입되어 연결 부재(24)와 캠부(24b)의 회전운동에 의해 래치(25)가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잠금 구멍(22)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플런저(18)를 후면으로 밀어주면 플런저(18)의 전면이 잠금 구멍(22)의 끝 부분으로 밀려나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20)을 회전하여 도어(D)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면 키를 원래의 위치로 작동하면 래치(25)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플런저(18)는 탄성 부재(18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18)는 잠금 구멍(22)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런저(18)가 전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판(18a)이 격벽(13)과 밀착되면서 플런저(18)의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플랜지 11: 회전축 지지부
12: 가이드 구멍 13: 격벽
14: 수납 부재 15: 수납 홈
16: 커버 16a: 삽입구멍
17: 솔레노이드 18: 플런저
18a: 제어판 18b: 탄성 부재
19: 제어부 20: 핸들
21: 회전축 22: 잠금 구멍
23: 키스핀들 23a: 키 삽입구멍
23b: 연결축 24: 연결 부재
24a: 연결홈 24b: 캠부
25: 래치 25a: 캠홈
30: 표시등 31: 회로기판
32: 전선 33: 전선 홈
D: 도어 K: 케이스

Claims (11)

  1. 케이스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고, 도어의 전면에 커버를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전면에 플랜지(10)의 후면을 밀착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플랜지(10)의 전면에 커버(16)를 결합하며, 상기 커버(16)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멍(16a)에 핸들(2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21)을 삽입하여 플랜지(1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11)를 관통하되,
    전면에 위치한 회전축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17)와 플런저(18)를 삽입하고, 상기 플런저(18)의 둘레 면에 제어판(18a)과 탄성 부재(18b)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11)와 수납 부재(14)가 연결되는 내부 양 측면에 가이드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12)의 내부 끝 부분에는 회전축(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22)과 연결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7)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19)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19)의 동작 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플런저(18)를 솔레노이드(17)의 내부로 흡입하면 플런저(18)가 잠금 구멍(22)에서 이탈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7)의 전류가 차단되면 탄성 부재(18b)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18)를 잠금 구멍(22)에 삽입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는 솔레노이드(17)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9)에 형성된 스위치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7)의 플런저(18)를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12)의 외 측 둘레 면에 격벽(13)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3)과 솔레노이드(17)의 사이에 수납 홈(15)을 형성하여 제어판(18a)과 탄성 부재(18b)를 삽입하며, 상기 제어판(18a)은 격벽(13)과 밀착 및 분리되면서 플런저(18)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위치한 반대편의 커버(16) 전면 내측에 표시등(3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설치된 반대편 수납 부재(14)에는 회로기판(31)을 설치하고, 상기 회로기판(31)의 전면에 표시등(30)을 설치하여 커버(16)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회로기판(31)은 솔레노이드(17)와 전선(32)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선(32)은 회전축 지지부(11)의 상부 둘레 면에 형성된 전선 홈(33)에 밀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면 표시등(30)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6. 케이스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고, 도어의 전면에 커버를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전면에 플랜지(10)의 후면을 밀착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플랜지(10)의 전면에 커버(16)를 결합하며, 상기 커버(16)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멍(16a)에 핸들(2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21)을 삽입하여 플랜지(1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11)를 관통하고, 상기 핸들(20)의 회전축(21) 내부에 삽입되는 키스핀들(23)에 연결 부재(24)와 래치(25)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전면에 위치한 회전축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수납 부재(14)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17)와 플런저(18)를 삽입하고, 상기 플런저(18)의 둘레 면에 제어판(18a)과 탄성 부재(18b)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11)와 수납 부재(14)가 연결되는 내부 양 측면에 가이드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12)의 내부 끝 부분에는 회전축(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잠금 구멍(22)과 연결하며, 상기 잠금 구멍(22)에는 래치(25)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19)와 전선으로 연결하여 제어부(19)의 동작 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7)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플런저(18)를 솔레노이드(17)의 내부로 흡입하면 플런저(18)가 잠금 구멍(22)에서 이탈하여 핸들(20)을 해제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의 전류가 차단되면 탄성 부재(18b)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18)를 잠금 구멍(22)에 삽입하여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부(19)의 전기가 차단되어 핸들(20)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20)의 키스핀들(23)에 키를 삽입하여 작동하면 키스핀들(23)과 연결 부재(24)의 회전에 의해 래치(25)가 잠금 구멍(2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플런저(18)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핸들(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는 솔레노이드(17)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9)에 형성된 스위치의 동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7)의 플런저(18)를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12)의 외 측 둘레 면에 격벽(13)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3)과 솔레노이드(17)의 사이에 수납 홈(15)을 형성하여 제어판(18a)과 탄성 부재(18b)를 삽입하며, 상기 제어판(18a)은 격벽(13)과 밀착되어 플런저(18)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의 내부에 키스핀들(23)이 삽입되어 핸들(20)의 전면으로 키 삽입구멍(23a)이 노출되고, 상기 키스핀들(23)의 후면에 연결축(23b)이 돌출되며, 상기 연결축(23b)은 연결 부재(24)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홈(24a)에 삽입되어 키스핀들(23)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연결 부재(24)의 후면에 캠부(24b)가 돌출되어 래치(25)의 전면 내부에 형성된 캠홈(25a)에 삽입되어 래치(25)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17)가 위치한 반대편의 수납 부재(14)에 회로기판(31)을 구비한 표시등(30)을 더 설치하고, 상기 표시등(30)은 커버(16)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30)은 솔레노이드(17)가 설치된 반대편 수납 부재(14)에 회로기판(31)을 설치하고, 상기 회로기판(31)의 전면에 표시등(30)을 설치하여 커버(16)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회로기판(31)은 솔레노이드(17)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면 표시등(30)에 불이 켜지면서 핸들(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KR1020170043788A 2017-04-04 2017-04-04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KR10184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788A KR101842390B1 (ko) 2017-04-04 2017-04-04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788A KR101842390B1 (ko) 2017-04-04 2017-04-04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390B1 true KR101842390B1 (ko) 2018-03-26

Family

ID=6191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788A KR101842390B1 (ko) 2017-04-04 2017-04-04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3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364A (ja) 2007-03-27 2008-10-09 Honda Motor Co Ltd ハンドル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364A (ja) 2007-03-27 2008-10-09 Honda Motor Co Ltd ハンドルロッ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345A (en) Self-locking electronic lock
US5033282A (en) Self-locking electronic lock
US9399879B2 (en) Vehicle compartment door handle assembly
JP5922565B2 (ja) ロック装置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KR101842390B1 (ko)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LU100905B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EP2059646A1 (en) Door-lock device with duplex safety measures
KR100811244B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KR20140110713A (ko) 충전식 도어록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CN204002130U (zh) 电子锁定装置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CN112360240A (zh) 智能锁具
KR102136023B1 (ko)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JP3014247U (ja) 鎖錠兼安全装置
KR101253312B1 (ko) 전자로터리래치
JPH09320408A (ja) 回路遮断器収納箱のインタ−ロック装置
KR100811246B1 (ko)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CN105781265A (zh) 一种户内电磁锁
KR20110008623U (ko) 출입문 안전고리
KR100856683B1 (ko)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KR200433858Y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CN214365528U (zh) 圆饼指纹锁
JPH01219268A (ja) 保管庫の密室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