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858Y1 -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 Google Patents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58Y1
KR200433858Y1 KR2020060025321U KR20060025321U KR200433858Y1 KR 200433858 Y1 KR200433858 Y1 KR 200433858Y1 KR 2020060025321 U KR2020060025321 U KR 2020060025321U KR 20060025321 U KR20060025321 U KR 20060025321U KR 200433858 Y1 KR200433858 Y1 KR 200433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guide
hole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스
Priority to KR2020060025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전면 상부에 밧데리케이스(5)가 삽입된 상태로 뚜껑(3)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 일측에 안테나(7) 및 전면 중앙에 온도센서모듈(6)이 내장되는 하우징(1)의 안쪽에 PCB(4)를 내장하되, 상기 하우징(1)의 배면을 커버(2)로 밀폐시킨 일련의 보조키형 도어록어셈블리(A)를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도어록어셈블리(A)에서 인접한 도어의 측면에 긴급상황시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의 내부에서만 수동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B)를 도어록어셈블리(A)와는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B)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내측손잡이 및 외측손잡이를 상기 잠금장치(B)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연결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도어의 실내측에 도어록어셈블리를 설치하되, 잠금장치를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하여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 뿐 아니라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도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잠금장치를 기구적인 조작에 의해 도어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어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잠금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잠금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내측에서의 조작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외측에서의 조작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커버
3 : 뚜껑 4 : PCB
5 : 밧데리케이스 6 : 온도센서모듈
7 : 안테나 10 : 수용함체
11 : 브라켓 12 : 지지편
13 : 안내편 14 : 회전관
15 : 플레이트 15' : 걸림부
20 : 데드볼트 21 : 자리홈
22 : 요입홈 23 : 결합홈
24 : 가이드핀 25 : 고정판
30 : 메인회전체 31 : 지지관
31' : 결합공 32 : 아암
32' : 결합핀 33 : 연결관
40 : 래치 41 : 지지봉
50 : 작동구 51 : 걸림레버
52 : 지지레버 60 : 단속부
61 : 리니어모터 61' : 작동간
62 : 탄성편 63 : 작동편
70 : 덮개 71 : 삽입홀
72 : 작동홀 73 : 안내홀
80 : 작동부재 81 : 작동바아
90 : 가이드 91 : 가이드공
S1,S2,S3 : 스프링 LS1,LS2 : 리밋스위치
본 고안은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디지털도어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의 실내측에 도어록어셈블 리를 설치하되, 잠금장치를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하여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도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잠금장치의 기구적인 조작만으로 상기 도어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도어록은 주키형 도어록과 보조키형 도어록으로 구분되며 그 차이는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은 도어를 열고 닫는 손잡이가 제외된 형태로 기존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핸들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보조키는 기존 기계식 보조키를 대체하는 제품으로 기존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기계식 보조키만 제거한 후 이를 대체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도어록 내부 몸체에 별도의 잠금장치 기능을 하는 노출형 잠금장치를 갖는게 일반적인 디지털도어록의 형태이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와 구조적인 이유로 인하여 도어록 내부몸체는 전자적인 작동부와 잠금장치의 기계적인 부분을 동시에 수용함으로 그 크기가 실외측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상기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도어록 보조키형을 장착할 수 없는 도어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도어록을 양문형 방화문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득이 도어의 일부를 절단해야만 장착 가능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 디지털도어록이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 도어의 수동개방이 불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 한 개선 마련이 매우 시급한 상태에 있다.
본 고안은 디지털도어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의 실내측에 도어록어셈블리를 설치하되, 잠금장치를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하여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도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잠금장치에 의한 기구적인 조작만으로 상기 도어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전면 상부에 밧데리케이스가 삽입된 상태로 뚜껑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 일측에 안테나 및 전면 중앙에 온도센서모듈이 내장되는 하우징의 안쪽에 PCB를 내장하되, 상기 하우징의 배면을 커버로 밀폐시킨 일련의 보조키형 도어록어셈블리를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도어록어셈블리에서 인접한 도어의 측면에 긴급상황시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의 내부에서만 수동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를 도어록어셈블리와는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내측손잡이 및 외측손잡이를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연결하여 된 일련의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의 바람직한 일시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어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잠금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잠금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내측에서의 조작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외측에서의 조작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IH는 내측손잡이, OH는 외측손잡이, D는 도어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전면 상부에 밧데리케이스(5)가 삽입된 상태로 뚜껑(3)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 일측에 안테나(7) 및 전면 중앙에 온도센서모듈(6)이 내장되는 하우징(1)의 안쪽에 PCB(4)를 내장하되, 상기 하우징(1)의 배면을 커버(2)로 밀폐시킨 일련의 보조키형 도어록어셈블리(A)를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도어록어셈블리(A)에서 인접한 도어의 측면에 긴급상황시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의 내부에서만 수동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B)를 도어록어셈블리(A)와는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B)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내측손잡이 및 외측손잡이를 상기 잠금장치(B)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연결하여 된 구조이다.
상기 잠금장치(A)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측 중앙의 바닥면에 지지편(12)이 고정된 브라켓(11) 및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안내편(13)이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안쪽으로 회전관(14)이 입설되며 바닥면에 걸림부(15)를 갖는 플레이트(15)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된 수용함체(10)와, 상기 수용함 체(10)의 측면 개방부에 밀착 설치되고 측면에 두 개의 가이드공(91)을 갖는 가이드(90)와,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되고 상면에 중앙에 고정편이 개재된 상태로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되는 자리홈(21) 및 선단부 측면으로부터 요입홈(22)과 결합홈(23)이 순차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핀(24)이 돌설되는 데드볼트(20)와, 상기 데드볼트(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쪽으로 수용함체(10)의 지지편(12)에 밀착되는 지지레버(52) 및 상기 지지레버(52)의 하부에 스프링(S3)으로 데드볼트(20)의 고정편과 연결되어 데드볼트(20)의 요입홈(22)에 탈삽입되는 걸림레버(51)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구(50)와,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되고 둘레에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된 상태로 안내편(13)의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봉(41)이 후단부 측면 중앙에 결합되는 래치(40)와, 상기 래치(40)가 설치되는 수용함체(10)의 후방 바닥면에 구성되고 상면 중앙에 결합공(31')이 형성된 지지관(31)과 데드볼트(20)의 결합홈(23)에 끼워지는 결합핀(32')이 선단부 저면에 돌출 결합된 아암(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3)에 외측손잡이의 결합을 위한 연결관(33)이 삽입되는 메인회전체(30)와, 상기 수용함체(10)의 회전관(14)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시이소 역할을 하는 탄성편(62)이 삽입되고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작동간(61')을 갖는 리니어모터(61)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메인회전체(30)에 삽입되어 시건기능을 하는 작동편(63)이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편(62)의 타측이 상기 리니어모터(61)의 작동간(61') 선단에 연결되는 단속부(60)와, 상기 데드볼트(2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밋스위치(LS1) 및 상기 래치(4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래치(4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밋스위치(LS2)와, 상기 수용함체(10)의 상면 개방부에 밀착 설치되고 메인회전체(30)의 결합공(31')이 위치되는 상면 부위에 삽입홀(71) 및 상기 삽입홀(71) 양쪽에 호형 작동홀(72)이 형성되며 데드볼트(20)의 가이드핀(24)이 위치되는 상면부위에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공형태의 안내홀(73)이 형성되는 덮개(70)와, 상부에 내측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70)의 작동홀(72)에 동시에 삽입되어 메인회전체(30)와 연결되는 작동바아(81)가 저면 양쪽에 형성된 작동부재(8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본 고안은 디지털도어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의 실내측에 도어록어셈블리를 설치하되, 잠금장치를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하여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도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잠금장치에 의한 기구적인 조작만으로 상기 도어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1)의 전면 상부에 밧데리케이스(5)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부위를 뚜껑(3)으로 밀폐시킨 다음 하우징(1)의 상부 일측에 안테나(7) 및 전면 중앙에 온도센서모듈(6)이 내장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안쪽에는 디지털도어록의 인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PCB(4)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의 배면을 커버(2)로 밀폐시켜서 일련의 도어록어셈블리(A)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도어록어셈블리(A)에서 인접한 도어의 측면에는 긴급상황시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의 내부에서만 수동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B)를 도어록어셈블리(A)와는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고 있는 바, 상기 잠금장치(B)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결합된 외측손잡이 및 내측손잡이를 상기 잠금장치(B)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잠금장치(B)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잠금장치(B)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함체(10)의 내측 중앙의 바닥면에 지지편(12)이 고정된 브라켓(11) 및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안내편(13), 그리고 상기 수용함체(10)의 안쪽으로 회전관(14)을 입설하게 되며 바닥면에는 걸림부(15)를 갖는 플레이트(15)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작동구(50)의 걸림레버(51)가 상기 걸림부(15)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래치(40)의 이동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함체(10)의 측면 개방부에는 메인회전체(30)와 래치(40)가 안내되어 문틀에 탈삽입 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90)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수용함체(10)의 개방부에는 메인회전체(30)의 결합공(31')이 위치되는 상면 부위에 삽입홀(71) 및 상기 삽입홀(71) 양쪽에 호형 작동홀(72)이 형성되며 데드볼트(20)의 가이드핀(24)이 위치되는 상면부위에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공형태의 안내홀(73)이 형성되는 덮개(70)로 밀폐시킨 뒤 다수의 나사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수용함체(10)의 내측에 수용되는 데드볼트(20)는 상면에 중앙에 고정 편이 개재된 상태로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되는 자리홈(21) 및 선단부 측면으로부터 요입홈(22)과 결합홈(23)이 순차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핀(24)이 돌설되어 도어 개폐시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 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구(50)는 상부쪽으로 수용함체(10)의 지지편(12)에 밀착되는 지지레버(52) 및 상기 지지레버(52)의 하부에 스프링(S3)으로 데드볼트(20)의 고정편과 연결되어 데드볼트(20)의 요입홈(22)에 탈삽입되는 걸림레버(51)가 일체로 형성되어 데드볼트(20) 이동시 상기 걸림레버(51)가 측면 요입홈(22)에 끼워져 데드볼트(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래치(40)는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되며 그 둘레에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된 상태로 안내편(13)의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봉(41)이 후단부 측면 중앙에 결합되어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 안쪽의 내측손잡이 조작을 통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회전체(30)는 상기 래치(40)가 설치되는 수용함체(10)의 후방 바닥면에 구성되고 상면 중앙에 결합공(31')이 형성된 지지관(31)과 데드볼트(20)의 결합홈(23)에 끼워지는 결합핀(32')이 선단부 저면에 돌출 결합된 아암(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3)에 외측손잡이의 결합을 위한 연결관(33)이 삽입되는 구조로 제공되며 데드볼트(20)와 연동되도록 아암(32)의 결합핀(32')이 상기 데드볼트(20)의 결합홈(23)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단속부(60)는 상기 수용함체(10)의 회전관(14)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시이소 역할을 하는 탄성편(62)이 삽입되고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작동간(61')을 갖는 리니어모터(61)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메인회전체(30)에 삽입되어 시건기능을 하는 작동편(63)이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편(62)의 타측이 상기 리니어모터(61)의 작동간(61') 선단에 연결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도어의 개방을 위한 디지털도어록의 인증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회전체(30)에서 탈삽입되어 데드볼트(20) 및 래치(40)의 이동을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상기 데드볼트(2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는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밋스위치(LS1)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래치(4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도 상기 래치(4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밋스위치(LS2)를 설치하고 있고 덮개(70)의 상부쪽으로는 내측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70)의 작동홀(72)에 동시에 삽입되어 메인회전체(30)와 연결되는 작동바아(81)가 저면 양쪽에 형성된 작동부재(80)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도어에 장착한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디지털도어록의 인증과정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인증신호에 의해 리니어모터(61)의 작동간(61')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 함께 회전관(14)에 결합된 탄성편(62)이 상기 회전관(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게 되어 메인회전체(30)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는 작동편(63)을 상기 메인회전체(30)에서 분리시켜 주게 된다.
상기 리니어모터(61)의 구동이 완료되면 외측손잡이를 잡고 이를 회전시켜 주게 되는 바, 외측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관(33)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33)둘레를 감싸고 있는 메인회전체(30)의 지지관(31)이 회전되어 아암(32)의 결합핀(32')과 연결된 데드볼트(20)를 수용함체(10)의 안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데드볼트(20)의 후미가 리밋스위치(LS1)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은 데드볼트(20)의 고정판(25)과 스프링(S3)으로 연결된 작동구(50)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구(50)의 걸림레버(51) 선단이 데드볼트(20)의 요입홈(22)에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래치(40) 역시 안내편(13)을 따라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래치(40)의 후방이 리밋스위치(LS2)에 접촉되어 결국 도어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도어를 닫는 동작은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 진행되나, 잠금장치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실내에 화재 등이 발생하여 긴급히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내측손잡이를 잡고 이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내측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80)가 회전되어 상기 작동부재(80)의 작동바아(81)가 메인회전체(3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개방동작과 같은 동작으로 데드볼트(20)와 래치(40)를 순차 수용함체(10)의 안쪽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에 도어록어셈블리(A)와 잠금장치(B)가 구성되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은 순서로 동작되는 바, 먼저 사용자가 도어 외측에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문, 비밀번호, RF-CARD에 의한 인증과정을 거쳐 인증승인을 얻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전기적 콘트롤에 의해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외측손잡 이가 조작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잠금장치(B)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실내 화재 등으로 인해 도어를 신속히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때 디지털도어록의 전기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내측손잡이를 열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단속부(60)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데드볼트(20)가 열림위치로 이동되어 잠금장치(B)가 완전히 해정되며 이후, 리밋스위치(LS2)가 래치(40)의 잠금위치를 검출하여 데드볼트(20)를 잠김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필요시 실내에서 내측손잡이의 수동조작만으로 도어를 간단히 개방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B)가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됨에 따라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어의 실내측에 도어록어셈블리를 설치하되, 잠금장치를 도어의 내부에 별도로 채용하여 현관문 및 양문형 방화문 등 도어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 뿐 아니라 화재 등의 패닉상태에서도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잠금장치를 기구적인 조작에 의해 도어를 손쉽 게 개방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전면 상부에 밧데리케이스(5)가 삽입된 상태로 뚜껑(3)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 일측에 안테나(7) 및 전면 중앙에 온도센서모듈(6)이 내장되는 하우징(1)의 안쪽에 PCB(4)를 내장하되, 상기 하우징(1)의 배면을 커버(2)로 밀폐시킨 일련의 보조키형 도어록어셈블리(A)를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도어록어셈블리(A)에서 인접한 도어의 측면에 긴급상황시 디지털도어록의 전자적인 동작과 무관하게 도어의 내부에서만 수동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B)를 도어록어셈블리(A)와는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B)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내측손잡이 및 외측손잡이를 상기 잠금장치(B)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연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A)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측 중앙의 바닥면에 지지편(12)이 고정된 브라켓(11) 및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안내편(13)이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안쪽으로 회전관(14)이 입설되며 바닥면에 걸림부(15)를 갖는 플레이트(15)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된 수용함체(10)와, 상기 수용함체(10)의 측면 개방부에 밀착 설치되고 측면에 두 개의 가이드공(91)을 갖는 가이드(90)와,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되고 상면에 중앙에 고정편이 개재된 상태로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되는 자리홈(21) 및 선단부 측면으로부터 요입홈(22)과 결합홈(23)이 순차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부 상면에 가이드 핀(24)이 돌설되는 데드볼트(20)와, 상기 데드볼트(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쪽으로 수용함체(10)의 지지편(12)에 밀착되는 지지레버(52) 및 상기 지지레버(52)의 하부에 스프링(S3)으로 데드볼트(20)의 고정편과 연결되어 데드볼트(20)의 요입홈(22)에 탈삽입되는 걸림레버(51)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구(50)와, 상기 가이드(90)의 가이드공(91)에 탈삽입되고 둘레에 스프링(S1)이 탄력 설치된 상태로 안내편(13)의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봉(41)이 후단부 측면 중앙에 결합되는 래치(40)와, 상기 래치(40)가 설치되는 수용함체(10)의 후방 바닥면에 구성되고 상면 중앙에 결합공(31')이 형성된 지지관(31)과 데드볼트(20)의 결합홈(23)에 끼워지는 결합핀(32')이 선단부 저면에 돌출 결합된 아암(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3)에 외측손잡이의 결합을 위한 연결관(33)이 삽입되는 메인회전체(30)와, 상기 수용함체(10)의 회전관(14)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시이소 역할을 하는 탄성편(62)이 삽입되고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작동간(61')을 갖는 리니어모터(61)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편(62)의 일측에 메인회전체(30)에 삽입되어 시건기능을 하는 작동편(63)이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편(62)의 타측이 상기 리니어모터(61)의 작동간(61') 선단에 연결되는 단속부(60)와, 상기 데드볼트(2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밋스위치(LS1) 및 상기 래치(40)의 후방측 수용함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래치(4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리밋스위치(LS2)와, 상기 수용함체(10)의 상면 개방부에 밀착 설치되고 메인회전체(30)의 결합공(31')이 위치되는 상면 부위에 삽입홀(71) 및 상기 삽입홀(71) 양쪽에 호형 작동 홀(72)이 형성되며 데드볼트(20)의 가이드핀(24)이 위치되는 상면부위에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공형태의 안내홀(73)이 형성되는 덮개(70)와, 상부에 내측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70)의 작동홀(72)에 동시에 삽입되어 메인회전체(30)와 연결되는 작동바아(81)가 저면 양쪽에 형성된 작동부재(8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KR2020060025321U 2006-09-20 2006-09-20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KR200433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21U KR200433858Y1 (ko) 2006-09-20 2006-09-20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21U KR200433858Y1 (ko) 2006-09-20 2006-09-20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194A Division KR100811244B1 (ko) 2006-09-20 2006-09-20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58Y1 true KR200433858Y1 (ko) 2006-12-13

Family

ID=4178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21U KR200433858Y1 (ko) 2006-09-20 2006-09-20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879B2 (en) Vehicle compartment door handle assembly
KR101193334B1 (ko) 파워 해제 이중 잠금 래치
US7810853B2 (en) Vehicle door lock
CA3061513A1 (en) Modular multi-point lock
KR20160137922A (ko) 차량 도어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080004349U (ko) 일체형 구동부 데드 볼트를 구비한 튜블러형 디지털 도어록
KR100811244B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EP3257693B1 (en) Door latch device
DK2525025T3 (en) Electronic unit for a blocking device and locking system
CA2598581A1 (en) Monitor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20100043426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433858Y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JP6022312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811246B1 (ko)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200433859Y1 (ko)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US10087665B2 (en) Door assembly
US10612276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2014095267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253312B1 (ko) 전자로터리래치
JP5479217B2 (ja) 物品収納什器における開閉体の施解錠装置
JP2007070932A (ja) 鎌付電気扉錠
KR101842390B1 (ko)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