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017B1 - 차량의 폴딩 키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폴딩 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017B1
KR101394017B1 KR1020080120767A KR20080120767A KR101394017B1 KR 101394017 B1 KR101394017 B1 KR 101394017B1 KR 1020080120767 A KR1020080120767 A KR 1020080120767A KR 20080120767 A KR20080120767 A KR 20080120767A KR 101394017 B1 KR101394017 B1 KR 10139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ransponder
housing
coi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261A (ko
Inventor
김진해
권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폴딩 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폴딩되는 키로 구성된 키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키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키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트랜스폰더의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어 통신이 불량하였던 종래와 달리, 키를 키홀에 삽입시킬 때 키와 트랜스폰더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지 않으므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폴딩 키 유닛{FOLDING KEY UNI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폴딩 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랜스폰더를 키와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트랜스폰더 코일이 안네타 코일과 편심되지 않아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Immobilizer System)은 차량의 도난 방지를 위한 카 록세트(car lock set)의 발전된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시동키에서 무선으로 암호화 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자동차의 이씨유(ECU)에서 확인하여 이 암호화 코드가 맞았을 경우에만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운전자가 시동을 위해 상기 시동키를 시동키 박스의 키 홀에 삽입한 후 시동키를 온(ON) 작동시키면, 그 시동키에 내재되어 있는 암호를 상기 이씨유에서 판독하여 동일한 암호일 경우에만 시동이 가능하여, 해당 차량의 고유 정품키가 이니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모빌라이저 무선 통신은 도 1에 도시된 시동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의 트랜스폰더 코일과 시동키 박스에 마련된 안테나 코일 사이의 상호 유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 성능을 결정하는 커플링 계수(k)의 설계 인자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8082933524-pat00001
이 때, rR은 안테나 코일의 반경이고, rT는 트랜스폰더 코일의 반경이고, x 는 안네타 코일과 트랜스폰더 코일 사이의 거리이며, θ는 안테나 코일과 트랜스폰더 코일의 편심각을 의미한다.
여기서, rR과 rT는 설계 구조가 정해져 있으므로 상수로 간주하면, 커플링 계수(k)는 x에 반비례하고 cos(θ)에 비례하게 된다. 즉, 커플링 계수(k)는 안테나 코일과 트랜스폰더 코일 사이의 거리(x)가 짧고, 편심각(θ)이 작을수록 커져 통신 성능이 좋아지게 된다.
그런데, 시동키 중 폴딩 타입으로 이루어진 폴딩 키 유닛에 있어서는, 안테나 코일과 트랜스폰더 코일의 편심각(θ)이 커서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폰더가 키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타 코일의 편심각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폴딩 키 유닛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폴딩되는 키로 구성된 키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키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키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트랜스폰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트랜스폰더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트랜스폰더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입구에는 상기 트랜스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폰더의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어 통신이 불량하였던 종래와 달리, 키를 키홀에 삽입시킬 때 키와 트랜스폰더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지 않으므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폴딩 키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폴딩 키 유닛(1)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키 박스의 키홀에 삽입되는 키부(20)와, 하우징(10)에 마련되어 키 박스의 안테나 코일로부터 유도된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폰더 코일이 내장된 트랜스폰더(50)로 구성된다.
키부(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키홀에 삽입되는 키(21)와, 키(21)와 일체로 결합되어 하우징(10)에 마련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2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의 일측 부분에는 회전축(11)이 마련되며, 이 회전축(11)에는 키부(20)가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평상시 키(21)는 하우징(10)에 형성된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되어 있다가 키홀에 삽입할 때 수동 또는 자동(버튼을 누르면 키부(20)가 회전하도록 구성)으로 키부(20)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키(21)가 하우징(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키(21)가 하우징(10)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키(21)와 트랜스폰더(50)는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키(21)와 트랜스폰더(50)가 편심되지 않고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음으로써, 커플링 계수(k)가 최대가 되므로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테나 코일의 통신 불량률이 감소되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중앙에는 트랜스폰더(5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30)에 트랜스폰더(50)가 억지 끼움됨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제작되므로 삽입부(30)는 금형 설계시 미리 고려하여 트랜스폰더(50)가 삽입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한편, 트랜스폰더(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20)의 베어링(22)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트랜스폰더(50)는 키(21)가 키홀에 삽입되기 위해 수용부로부터 회전된 상태에서 키(21)와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22)에 트랜스폰더(5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와 같이 베어링(22)의 일부를 절삭하여 트랜스폰더(5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230)를 형성하면 된다.
이 때, 삽입부(230)는 트랜스폰더(50)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면 좋은데, 이 베어링(22)은 회전되는 부분이므로 회전시 트랜스폰더(50)가 삽입부(230)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트랜스폰더(50)를 삽입부(230)에 도 4의 (b)와 같 이 삽입한 후 삽입부(230)의 입구를 커버(240)로 몰딩하여 트랜스폰더(50)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폰더(50)의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어 통신이 불량하였던 종래와 달리, 키(21)를 키홀에 삽입시킬 때 키(21)와 트랜스폰더(5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트랜스폰더 코일과 안네나 코일이 편심되지 않으므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따른 커플링 계수(k)의 설계인자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폴딩 키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폴딩 키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트랜스폰더를 베어링의 삽입부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b)는 (a)의 트랜스폰더를 삽입부에 삽입한 후 몰딩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딩 키 유닛 10 : 하우징
11 : 회전축 20 : 키부
21 : 키 22 : 베어링
30, 230 : 삽입부 240 : 커버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폴딩되는 키로 구성된 키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키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중앙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트랜스폰더; 및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폰더를 삽입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트랜스폰더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입구에는 상기 트랜스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폴딩 키 유닛.
KR1020080120767A 2008-12-01 2008-12-01 차량의 폴딩 키 유닛 KR10139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767A KR101394017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의 폴딩 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767A KR101394017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의 폴딩 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261A KR20100062261A (ko) 2010-06-10
KR101394017B1 true KR101394017B1 (ko) 2014-05-15

Family

ID=4236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767A KR101394017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의 폴딩 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2605B (zh) * 2019-11-22 2022-04-19 长沙普罗科环境装备有限责任公司 偏心轴固定机构、车门锁紧机构以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878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Materials Corp 鍵及びその鍵の識別装置
KR100507985B1 (ko) * 1999-12-24 2005-08-17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JP2007085074A (ja) 2005-09-22 2007-04-05 Honda Lock Mfg Co Ltd イモビライザー用キー
KR100844573B1 (ko) * 2008-03-11 2008-07-08 주식회사 우진알파 트랜스폰더 내장형 키 및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85B1 (ko) * 1999-12-24 2005-08-17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JP2001262878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Materials Corp 鍵及びその鍵の識別装置
JP2007085074A (ja) 2005-09-22 2007-04-05 Honda Lock Mfg Co Ltd イモビライザー用キー
KR100844573B1 (ko) * 2008-03-11 2008-07-08 주식회사 우진알파 트랜스폰더 내장형 키 및 그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261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6470B2 (ja) 車内補助キーのキー保持装置
US7823427B2 (en) Cylinder lock device
JP2004237887A (ja) エンジン始動・停止用スイッチ装置
JP2005083011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及び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030627A (ja) キーシステム
KR101394017B1 (ko) 차량의 폴딩 키 유닛
JP2004232288A (ja) リモートキ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3449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7153259A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7290651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5536415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5256476A (ja) キー装置
JP2008195390A (ja) エンジン始動・停止用スイッチ装置
JP4733450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719131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3904503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4657837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3082895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733451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305835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EP3305607B1 (en) Steering column lock
JP4244798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4925324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902410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JP2004027627A (ja) キー及びキー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