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65Y1 - 자동차용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65Y1
KR200457865Y1 KR2020090011943U KR20090011943U KR200457865Y1 KR 200457865 Y1 KR200457865 Y1 KR 200457865Y1 KR 2020090011943 U KR2020090011943 U KR 2020090011943U KR 20090011943 U KR20090011943 U KR 20090011943U KR 200457865 Y1 KR200457865 Y1 KR 200457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sliding
locking releas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732U (ko
Inventor
장경심
구세민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1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65Y1/ko
Priority to PCT/KR2010/005942 priority patent/WO2011031037A2/ko
Publication of KR20110002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슬라이딩홀(11)을 갖는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저면에 록킹해제핀(21)이 마련된 버튼(20);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되고 그 상면 일측에 키수납부(31)가 마련되며 이 키수납부(31) 상에 축회전지지부(3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0); 및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 상에 배치되어 축 회전되는 키헤드(41)와, 록킹해제수단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키본체(42)로 이루어진 키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키플레이트를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 조작을 통해 키헤드의 축회전과 동시에 키본체가 외부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키플레이트의 은폐에 의해 외관상 심미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고, 또한, 버튼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작업이 수월하고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자동차용 키, 상부케이스, 버튼, 록킹해제부, 스프링지지홈

Description

자동차용 키{Key for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플레이트를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 조작을 통해 키헤드의 축 회전과 동시에 키본체가 외부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키플레이트의 은폐에 의해 외관상 심미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고, 또한, 버튼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작업이 수월하고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자동차용 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키는 키플레이트로만 구성되어 운전자가 직접 키박스에 키를 넣어 시동을 걸도록 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본적인 키에서부터 원 거리에서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시키거나 또는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내장된 리모콘키를 거쳐 운전자가 몸에 지닌 채 자동차로 다가가면 도어락이 해제되고 탑승 후 버튼식으로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까지 발전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에는 비상시 키박스에 직접 키를 꽂고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키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키와 키플레이트 일체형 키의 키플레이트를 이 스마트키 본 체의 내부로 은폐시켰다가 조작버튼을 가압하여 키플레이트를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심미성과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구조의 스마트키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키 중 키플레이트 외부노출형은 이 키플레이트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아 심미성이 떨어지고 그 휴대성도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버튼을 가압하는 방식의 은폐형 키는 버튼 가압 방식이므로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버튼 가압에 의해 키플레이트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데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작업이 어렵게 됨은 물론 그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키플레이트를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 조작을 통해 키헤드의 축회전과 동시에 키본체가 외부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키플레이트의 은폐에 의해 외관상 심미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고, 또한, 버튼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작업이 수월하고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자동차용 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키는 일측부에 상 하로 관통된 슬라이딩홀을 갖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슬라이딩홀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저면에 록킹해제핀이 마련된 버튼;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고 그 상면 일측에 키수납부가 마련되며 이 키수납부 상에 축회전지지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축회전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축 회전되는 키헤드와, 록킹해제수단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키본체로 이루어진 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키헤드의 중앙부에 록킹해제핀이 삽입 슬라이딩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 상에 키헤드가 록킹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일정지점에서 록킹이 해제되면서 키헤드가 축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핀은 단면이 사각형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공은 록킹해제핀의 외측면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폭 넓이의 슬릿 구조로 되며, 상기 록킹해제부는 록킹해제핀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직경 크기의 원형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슬라이딩홀 저면과 버튼의 저면 사이에 이 버튼이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후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축회전지지부와 키플레이트의 키헤드 사이에 이 키헤드의 록킹이 해제되면 탄성적으로 키헤드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키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프링은 코일 형상으로 그 일단부가 코일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타단부가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되며, 축회전지지부 상에는 회전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헤드의 저면에는 회전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키는 키플레이트를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의 버튼 조작을 통해 키헤드의 축회전과 동시에 키본체가 외부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키플레이트의 은폐에 의해 외관상 심미성 및 휴대성이 뛰어나고, 또한, 버튼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작업이 수월하고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키는 일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슬라이딩홀(11)을 갖는 상부케이스(10)와, 이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저면에 록킹해제핀(21)이 마련된 버튼(20)과,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되고 그 상면 일측에 키수납부(31)가 마련되며 이 키수납부(31) 상에 축회전지지부(32)가 형성된 하부케이 스(30) 및 이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 상에 배치되어 축 회전되는 키헤드(41)와 록킹해제수단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키본체(42)로 이루어진 키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인접부에는 버튼(20)의 저면을 떠받쳐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받침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20)의 상면은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주름홈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버튼(20)의 상면과 록킹해제핀(21)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0b는 버튼(20)의 상단부가 슬라이딩홀(11)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이 버튼(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홀(11) 테두리 저면에 지지되는 저면지지부(20b)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튼(20)의 상단부가 슬라이딩홀(11) 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유연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서로 간의 조립 시 슬라이딩홀(11) 저면을 통해 버튼(20)의 상단부가 접힌 상태로 외부로 돌출된 후 다시 원상태로 펴지면서 슬라이딩홀(11) 상면에 걸리도록 하는 조립 방식을 적용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30)의 키수납부(31)는 키플레이트(40)가 원활하게 외부로 인출 및 다시 내부로 수납되도록 키플레이트(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취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상부케이스(10)의 저면도 키플레이트(40)가 넉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플레이트(40)의 키헤드(41) 저면은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키헤드(41)의 중앙부에 록킹해제핀(21)이 삽입 슬라이딩되는 가이드공(41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41a) 상에 키헤드(41)가 록킹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일정지점에서 록킹이 해제되면서 키헤드(41)가 축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41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해제핀(21)은 단면이 사각형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공(41a)은 록킹해제핀(21)의 외측면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폭 넓이의 슬릿 구조로 되며, 상기 록킹해제부(41b)는 록킹해제핀(21)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직경 크기의 원형 구조로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저면과 버튼(20)의 스프링지지부(20a) 사이에는 이 버튼(2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후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5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와 키플레이트(40)의 키헤드(41) 사이에는 이 키헤드(41)의 록킹이 해제되면 탄성적으로 키헤드(41)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스프링(6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스프링(60)은 코일 형상으로 그 일단부가 코일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타단부가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되며, 축회전지지부(32) 상에는 회전스프링(6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길다란 슬릿 형상의 스프링지지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키헤드(41)의 저면에는 회전스프링(60)의 타단 부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 구조의 스프링지지홈(4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70은 상, 하부케이스(10,30) 사이에 배치되는 피시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차용 키는 하부케이스(30)의 스프링지지홈(32a)에 회전스프링(60)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삽입 배치하고 그 타단부가 키헤드(41)의 스프링지지홈(41c)에 걸리면서 축회전지지부(32)가 키헤드(41)의 오목홈부(41d)로 삽입되도록 하여 키플레이트(40)를 키수납부(31)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을 통해 버튼(20)의 스프링지지부(20a)와 록킹해제핀(21)이 하방으로 관통되도록 하고 버튼(20)의 상단부는 슬라이딩홀(11) 외부로 노출되어 받침부(11a)에 안착되도록 하여 버튼(20)을 상부케이스(10)에 조립한다.
그런 다음, 상부케이스(10)를 하부케이스(30) 상방으로 덮어 씌워 서로 결합시키면 버튼(20)의 록킹해제핀(21)이 키헤드(41)의 가이드공(41a) 내로 삽입되면서 본 고안의 키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키는 평상시에는 록킹해제핀(21)이 가이드공(41a) 내에 삽입된 상태, 즉 키헤드(41)가 록킹해제핀(21)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키헤드(41)는 회전스프링(60)의 탄발력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다가, 버튼(20)을 슬라이딩시켜 록킹해제핀(21)이 가이드공(41a)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록킹해제부(41b)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공(41a)과 록킹해제 핀(21) 간의 걸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회전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키헤드(41)가 축 회전되고, 이와 연동하여 키본체(42)가 외부로 인출되어 원래 위치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키헤드(41)는 다시 회전스프링(6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펼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 버튼(20)의 가압을 해제하면 이 버튼(20)은 복귀스프링(50)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록킹해제핀(21)이 가이드공(41a) 내에 위치하게 되어 록킹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키플레이트(40)를 사용하게 되며, 다시 키플레이트(40)를 키수납부(31)에 수납시키고자 할 경우, 다시 버튼(20)을 밀어 그 록킹해제핀(21)이 록킹해제부(41b)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키본체(42)를 키수납부(31)로 축 회전시켜 원상태로 수납한 후 버튼(20)의 가압을 해제하여 록킹해제핀(21)이 가이드공(41a) 일단부로 이동되어 록킹되도록 하여 키플레이트(40)의 수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버튼(20)의 간단한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키플레이트(40)의 인출 및 수납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키의 키플레이트가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케이스 11 : 슬라이딩홀
11a : 받침부 20 : 버튼
20a : 스프링지지부 20b : 저면지지부
21 : 록킹해제핀 30 : 하부케이스
31 : 키수납부 32 : 축회전지지부
32a : 스프링지지홈 40 : 키플레이트
41 : 키헤드 41a : 가이드공
41b : 록킹해제부 41c : 스프링지지홈
41d : 오목홈부 42 : 키본체
50 : 복귀스프링 60 : 회전스프링
70 : 피시비

Claims (6)

  1. 일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슬라이딩홀(11)을 갖는 상부케이스(1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며 저면에 록킹해제핀(21)이 마련된 버튼(20);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되고 그 상면 일측에 키수납부(31)가 마련되며 이 키수납부(31) 상에 축회전지지부(3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0); 및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 상에 배치되어 축 회전되는 키헤드(41)와, 록킹해제수단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키본체(42)로 이루어진 키플레이트(4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 록킹해제핀(21)과, 상기 록킹해제핀(21)이 삽입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키헤드(41)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공(41a)으로서 상기 록킹해제핀(21)의 외측면에 걸려 상기 키헤드(4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폭 넓이의 슬릿 및 상기 슬릿의 일정지점에서 상기 록킹해제핀(21)에 대해 상기 키헤드(41)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직경 크기의 원형 구조를 갖는 록킹해제부(4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슬라이딩홀(11) 저면과 버튼(20)의 저면 사이에 이 버튼(2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후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축회전지지부(32)와 키플레이트(40)의 키헤드(41) 사이에 이 키헤드(41)의 록킹이 해제되면 탄성적으로 키헤드(41)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스프링(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프링(60)은 코일 형상으로 일단부가 코일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타단부가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되며, 축회전지지부(32) 상에는 회전스프링(6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키헤드(41)의 저면에는 회전스프링(60)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41c)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
KR2020090011943U 2009-09-11 2009-09-11 자동차용 키 KR200457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43U KR200457865Y1 (ko) 2009-09-11 2009-09-11 자동차용 키
PCT/KR2010/005942 WO2011031037A2 (ko) 2009-09-11 2010-09-02 자동차용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43U KR200457865Y1 (ko) 2009-09-11 2009-09-11 자동차용 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32U KR20110002732U (ko) 2011-03-17
KR200457865Y1 true KR200457865Y1 (ko) 2012-01-05

Family

ID=4373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43U KR200457865Y1 (ko) 2009-09-11 2009-09-11 자동차용 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7865Y1 (ko)
WO (1) WO201103103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42Y1 (ko) 2013-06-03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101483490B1 (ko) * 2013-10-28 2015-01-16 (주) 미미월드 완구용 자동차 발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3122B2 (en) * 2012-02-24 2014-09-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ey fob transport cli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76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브이시알의 자동예약녹화방법
KR200183132Y1 (ko) 1999-12-04 2000-05-15 이성우 멀티키홀더,
WO2001048342A1 (de) 1999-12-24 2001-07-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KR20010083132A (ko) * 1998-07-21 2001-08-31 벤슨 로버트 에이치. 각질세포-유래된 인터페론
KR20090093508A (ko) * 2008-02-29 2009-09-02 김성일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76U (ko) * 1998-07-29 2000-02-25 홍종만 램프 내장형 키 홀더
KR100722497B1 (ko) * 2006-02-27 2007-05-2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시동키 겸용 무선도어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76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브이시알의 자동예약녹화방법
KR20010083132A (ko) * 1998-07-21 2001-08-31 벤슨 로버트 에이치. 각질세포-유래된 인터페론
KR200183132Y1 (ko) 1999-12-04 2000-05-15 이성우 멀티키홀더,
WO2001048342A1 (de) 1999-12-24 2001-07-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KR20090093508A (ko) * 2008-02-29 2009-09-02 김성일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42Y1 (ko) 2013-06-03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101483490B1 (ko) * 2013-10-28 2015-01-16 (주) 미미월드 완구용 자동차 발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37A4 (ko) 2011-08-25
WO2011031037A2 (ko) 2011-03-17
KR20110002732U (ko) 2011-03-17
WO2011031037A3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7708A1 (en) Dual-lock type padlock having double reminding function
US20110179838A1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stowable key, in particular for an automobile
KR200457865Y1 (ko) 자동차용 키
US11359407B2 (en) Depressible lock with rotating display
JP2018528117A (ja) 車両用燃料タンクインレットカバー開閉用デバイス
JP2002364212A (ja) 符号合わせ錠組込み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8248631A (ja) 扉装置
CN211265873U (zh) 按压控制式伸缩数据线
TWI614169B (zh) 車輛用鎖具
KR102584586B1 (ko) 차량용 키 장치
CN212064558U (zh) 可携式电子装置
CN209958970U (zh) 一种无电自动上锁电控防盗锁
JP2007309086A (ja) キーホルダー
CN202507287U (zh) 一种转轴开合刀机构
WO2018113588A1 (zh) 车辆的操控组件及平衡车
CN106014018B (zh) 一种用于童车的锁具
CN107575098B (zh) 一种箱包锁
CN203939319U (zh) 电动锁锁芯机构
CN218759291U (zh) 一种带锁芯的下置式指纹电子球锁
CN214943299U (zh) 一种箱包密码锁
CN218999724U (zh) 推拉式伞巢结构
CN215485321U (zh) 一种用于智能锁的旋盖开启结构及智能锁
JPH0624531Y2 (ja) 平面ハンドルにおけるラツチロツク装置
CN204961512U (zh) 锁合装置、除湿机及空调器
CN219412194U (zh) 一种旋钮式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