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776U - 램프 내장형 키 홀더 - Google Patents

램프 내장형 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776U
KR20000003776U KR2019980014080U KR19980014080U KR20000003776U KR 20000003776 U KR20000003776 U KR 20000003776U KR 2019980014080 U KR2019980014080 U KR 2019980014080U KR 19980014080 U KR19980014080 U KR 19980014080U KR 20000003776 U KR20000003776 U KR 20000003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amp
locking
lockin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준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4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776U/ko
Publication of KR20000003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76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 내장형 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피봇 결합된 핀 상에 키를 수납 홈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그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회동 부재와, 본체의 가이드 판 상에 키의 수납 및 인출 작용에 따라 상기 키 회동 부재를 걸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걸림 부재와, 소형 배터리의 전원으로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걸림 부재 내에 탄발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키의 삽입 방향으로 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야간에 차체의 손상 없이 차량 도어를 더욱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 자체를 홀더 내부에 수납시켜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만 인출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램프 내장형 키 홀더
본 고안은 차량용 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조명을 이용하여 키의 야간 사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한 때에만 인출 가능하게 키를 수납시킬 수 있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차량에 사용되는 키(Key)(1)는 요철형의 키 홈(1a)을 갖춘 금속재로 되어 있고, 상기 키(1)의 후단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좌, 우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키 홀더(2)가 고정 결합된다. 물론, 상기 키 홀더(2)는 주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지만, 키(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로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키(1)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 도어의 키 실린더에 형성된 삽입공 내부에 삽입되어 좌, 우 회동에 따라 차량 도어를 개폐 가능케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키(1)는 키 홀더(2)에 고정 결합될 뿐만 아니라 일반 키에 비하여 길이나 크기가 비교적 크므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더욱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키(1)의 날카로운 키 홈(1a)에 의하여 주머니 등이 손상될 우려가 많았다.
또한, 야간에 차량을 운행하려면 도시되지 않은 키 실린더의 삽입공에 키(1)를 정확하게 삽입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차량 도어의 개폐 시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삽입 오류가 반복됨에 따라 부득이하게 차체의 도장을 손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램프의 조명을 이용하여 키를 야간에도 사용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키를 사용할 때만 인출할 수 있도록 수납 가능케 함으로써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램프 내장형 키 홀더는, 본체에 피봇 결합된 핀 상에 키를 수납 홈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그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회동 부재와, 본체의 가이드 판 상에 키의 수납 및 인출 작용에 따라 상기 키 회동 부재를 걸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걸림 부재와, 소형 배터리의 전원으로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걸림 부재 내에 탄발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내장형 키 홀더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 - A 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 - 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 12 : 키 회동 부재,
12a, 12b : 걸림 홈, 20 : 키 홀더,
21 : 본체, 22 : 수납 홈,
26 : 가이드 판, 30 : 핀,
40 : 걸림 부재, 50 : 램프,
60 : 스위칭 부재, 64 : 배터리,
72, 74, 76 : 탄성 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내장형 키 홀더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 은 도 2 의 A - A 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B - B 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20 은 본 고안의 키 홀더로서, 키(10)의 조작력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은 물론, 특히 키(10)를 필요에 따라 인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 가능케 함과 동시에 키(10)의 돌출 방향으로 램프(50)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키 홀더(2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체(21)의 전면 일측 모서리에 키(10)가 돌출되고, 그 키(10)를 접어서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 홈(22)이 본체(21)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키(10)는 키 회동 부재(12)와 일체로 결합되는데, 상기 키 회동 부재(12)는 본체(21)에 피봇 설치된 핀(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키(10)와 키 회동 부재(12)는 별개의 부재로 결합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키 회동 부재(12)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걸림 부재(40)의 걸림 턱(42)을 삽입시킬 수 있는 걸림 홈(12a)(12b)이 함몰 형성되고, 이 걸림 홈(12a)(12b)은 180°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봇 핀(30) 둘레에 탄성 부재(72)가 감겨지게 되면, 걸림 부재(40)의 걸림 턱(42)을 이탈시킴에 따라 키 회동 부재(12)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체(21)의 상면에는 가이드 판(26)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판(26) 에 걸림 부재(40)가 전, 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 부재(40)는 키 회동 부재(12)를 걸림 고정시키는 것으로 키(10)가 회동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케 한다.
즉, 상기 걸림 부재(40)의 전면에는 걸림 턱(42)이 돌출되고, 그 후면에는 안착 홈(44)이 형성된다. 이 안착 홈(44)과 대향되는 위치에 본체(21)의 안착 홈(24)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탄성 부재(74)가 삽입 개재되면, 걸림 부재(40)를 탄성적으로 이동케 한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40)의 상면에는 본체(21)의 가이드 판(26)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46)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수직 방향으로는 후술하는 스위칭 부재(60)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공(48)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본체(21)의 전면에는 키(10)와 나란히 램프(50)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는 걸림 부재(40) 내부에 푸시 버튼식으로 삽입된 스위칭 부재(60)의 작동에 따라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부재(40)의 삽입공(48) 내에는 스위칭 부재(6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탄성 부재(76)가 삽입 개재된다.
상기 스위칭 부재(60)의 하단에는 누름 접촉판(62)이 설치되고, 이 접촉판(62)은 본체(21) 후면에 격납된 소형 배터리(6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키 홀더(20)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도시되지 않은 차량 도어의 키 실린더에 키(10)를 삽입시켜 차량 도어를 개폐할 경우, 특히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는 걸림 부재(40)의 상면에 돌출된 스위칭 부재(60)를 누르게 되면, 누름 접촉판을 누름과 동시에 램프(50)와 배터리(64)가 통전됨으로써 램프(50)로부터 키(10)의 삽입 방향으로 조명을 발하게 된다.
키(10)의 개폐 조작이 완료된 후 스위칭 부재(60)에 가해진 누름 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스위칭 부재(60)는 탄성 부재(7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램프(50)는 소등된다.
더욱이, 키(10)를 사용치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해야할 경우, 걸림 부재(40)를 후진시키게 되면, 키 회동 부재(12)의 걸림 홈(12b)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 턱(42)이 이탈됨으로써 키(10)는 회전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때, 탄성 부재(74)는 압축된다.
상기 키(1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수납 홈(22) 내부에 완전히 삽입시킬 수 있도록 회동시킨 뒤 다시 걸림 부재(40)를 놓게 되면, 탄성 부재(74)의 복원 작용과 함께 걸림 부재(40)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위치가 뒤바뀐 다른 걸림 홈(12a) 내부에 걸림 부재(40)의 걸림 턱(42)이 삽입된다.
다시, 키(10)를 사용하려면, 걸림 부재(40)를 후진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 때에는 핀(30) 둘레에 감겨진 탄성 부재(72)가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됨과 동시에 걸림 홈(12a)으로부터 걸림 턱(42)이 이탈되어 키(10)를 포함한 키 회동 부재(12)가 원위치로 회동됨으로써 키(10)가 자동으로 인출(돌출)되어 차량 도어의 개폐 준비 상태로 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키의 삽입 방향으로 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야간에 차체의 손상 없이 차량 도어를 더욱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 자체를 홀더 내부에 수납시켜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만 인출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Claims (4)

  1. 본체에 피봇 결합된 핀 상에 키를 수납 홈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그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회동 부재와,
    본체의 가이드 판 상에 키의 수납 및 인출 작용에 따라 상기 키 회동 부재를 걸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걸림 부재와,
    소형 배터리의 전원으로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걸림 부재 내에 탄발 설치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동 부재 상에는 한 쌍의 걸림 홈이 180°의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동 부재는 피봇 핀 둘레에 감겨진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내장형 키 홀더.
KR2019980014080U 1998-07-29 1998-07-29 램프 내장형 키 홀더 KR20000003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80U KR20000003776U (ko) 1998-07-29 1998-07-29 램프 내장형 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80U KR20000003776U (ko) 1998-07-29 1998-07-29 램프 내장형 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76U true KR20000003776U (ko) 2000-02-25

Family

ID=6950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80U KR20000003776U (ko) 1998-07-29 1998-07-29 램프 내장형 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7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17A (ko) * 2005-01-10 2006-07-13 이종년 일체형 열쇠뭉치
WO2011031037A3 (ko) * 2009-09-11 2011-07-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17A (ko) * 2005-01-10 2006-07-13 이종년 일체형 열쇠뭉치
WO2011031037A3 (ko) * 2009-09-11 2011-07-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9879Y2 (ja) 引き出し付収納庫
JP3325003B2 (ja) 鞄 錠
US6341871B1 (en) Light mechanism for a cell phone
US5277599A (en) Lockable container for sec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00003776U (ko) 램프 내장형 키 홀더
JP3850686B2 (ja) 収納体のサイドロック装置
CA2347144A1 (en) Key unit and switch body and door switch using the same
CN209482931U (zh) 一种智能面板锁联动机构及智能面板锁
KR100404604B1 (ko) 자동차용 접힘식 열쇠 장치
JP3902422B2 (ja) カード体が収納される電気機器及びカード体の収納方法
KR200188485Y1 (ko) 다기능 열쇠 홀더장치
CN220741104U (zh) 一种组合式悬挂工具盒
CN216043176U (zh) 一种智能u型锁结构
CN210483319U (zh) 一种具有硬币卡紧机构的购物车锁
CN219813426U (zh) 一种化妆盒
KR200399624Y1 (ko) 서랍 개폐장치
CN210508734U (zh) 一种购物车锁
US2961867A (en) Key container
JPH1018667A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0121007Y1 (ko) 평면핸들장치
KR930004242Y1 (ko) 우산보관용구
JP2000204805A (ja) カ―ドキ―式錠前装置
JP2001266728A (ja)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200144558Y1 (ko)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100435896B1 (ko) 차량 수납함 도어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