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242Y1 - 우산보관용구 - Google Patents

우산보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242Y1
KR930004242Y1 KR2019910008498U KR910008498U KR930004242Y1 KR 930004242 Y1 KR930004242 Y1 KR 930004242Y1 KR 2019910008498 U KR2019910008498 U KR 2019910008498U KR 910008498 U KR910008498 U KR 910008498U KR 930004242 Y1 KR930004242 Y1 KR 930004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ock
spring
ke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235U (ko
Inventor
토시유끼 니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이 · 에프 · 아이
코미사와 코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이 · 에프 · 아이, 코미사와 코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이 · 에프 · 아이
Publication of KR920000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2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for walking-sticks or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보관용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보관용의 부분적인 단면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산보관용구를 선 A-A에서 절단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를 선 B-B에서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우산보관용구의, 특정위치에 있어서의 자물쇠를 채운 상태를 예시하는 제1도와 마찬가지의 평면도.
제5도는 종래부터 사용되는 우산보관용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산보관용구 12 : 장착부재
14 : 지지부재 16 : 유지부재
18 : 자물쇠고정장치(자물쇠고정부재) 20 : 세로방향오목부
22 : 긴구멍 24 : 앞쪽부분
26 : 뒤쪽부분 30 : 축선
32 : 위쪽부재 34 : 아래쪽부재
36 : 자물쇠고정체 37 : 돌기
38 : 돌출부재 40 : 만곡면
42 : 미끄럼접촉면 44 : 뒤끝가장자리부
46 : 언더커트면 48 : 톱니형상부분
50 : 첨단부분 52 : 스프링
본 고안은 우산보관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산보관용구의 자물쇠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표적으로 제5도에 전체를 (1)로 표시된 바와같은 우산보관용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우산보관용구(1)는 우산(도시생략)의 자루일부분을 받아 넣기 위한 만곡형상부분(3)을 가지며, 장착부재(5)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된 지지부재(7)와, 이 지지부재(7)에 (9)의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자물쇠고정부재(11)에 의해 성립되어 있으며, 우산의 보관에 있어서는 우산자루는 개구(13)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우산보관용구(1)에서는 자물쇠고정부재(11)는 단순히 우산자루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위치 및 이것을 자물쇠고정하는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된 폐쇄위치의 2개의 위치사이에서만 이동가능한 것으므로, 상기 개구(13)의 면적에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굵기 혹은 형상이 자루를 가진 우산은 보관불가능하며, 또 너무 가느다란 좌루를 가진 우산은 거기서부터 간단히 빼낼 수 있게 되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가지 굵기 혹은 형상의 자루를 가진 우산의 어느것이라도 동등하게 최적의 자물쇠고정공간에 있어서 자물쇠고정할 수 있는 우산보관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자루의 일부분을 고정보관하기 위한 우산보관용구에 있어서, 우산자루의 일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세로방향오목부를 구비하고, 이 세로방향 오목부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그 횡단방향으로 개구하는 긴구멍을 형성한 지지부재와, 앞쪽부분 및 뒤쪽부분을 가지고, 그 개략중간위치에 있어서, 상기 뒤쪽부분이 상기 긴구멍을 횡단방향으로 관통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앞쪽부분 및 뒤쪽부분사이에는 상기 우산의 자류일부분을 받아넣기 위한 만곡형상부분을 가지고 있는 우산유지부재와, 상기 우산유지부재를 상기 우산자루를 받아넣는 개방위치를 향해서 상기 변위시켜 두는 제1스프링과, 상기 우산유지부재의 상기 뒤쪽부분의 톱니형상의 걸아맞춤수단과 가변단계적으로 걸어맞추고 이것을 자물쇠고정하기 위한 회동할 수 있는 자물쇠 고정부재와, 상기 자물쇠고정부재를 상시 상기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두는 제2스프링과, 상기 자물쇠고정부재가 상기 톱니형상의 걸어맞춤수단과 걸어맞춘 상태에서 키이를 빼낼 수 있는 키이구멍을 가지고, 또 상기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스프링에 대향해서 키이를 돌렸을 때에 상기 자물쇠고정부재를 상기 톱니형상의 걸어맞춤수단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한 자물쇠고정장치를 구비한 우산보관용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우산보관용구는 상기 구성에 의해, 가변 단계적으로 각종 크기의 우산자루 받아넣기 공간을 창출 가능하게하여, 우산자루를 항상 그 굵기에 맞는 최적 크기의 공간에서 자물쇠 고정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제1도에서부터 제4도를 참조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보관용구(10)의 부분적단면으로 표시한 개략평면도이다. 이 우산보관용구(10)는 일반적으로 장착부재(12)에 고착되는 지저부재(14)와, 이 지지부재(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지부재(16)와, 이 유지부재(16)와 단계적으로 걸어맞추어지고, 우산자루를 위한 최적자물쇠 고정공간을 창출시키기 위한 자물쇠고정장치(1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4)에는 우산자루(도시생략)의 일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만곡형상부분을 가진 세로방향오목부(20)가 형성된다. 이 세로방향오목부(20)의 개략중앙부분에는, 제2도에 참조번호(22)로 표시한 바와같은 긴구멍이 그횡단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유지부재(16)는, 전체가 도시한 바와같이 만곡된 앞쪽부분(24)과, 부채꼴로 넓어지는 뒤쪽부분(26)을 구비하고, 그 개략중간의 위치(28)를 중심으로해서, 상기 지지부재(14)의 상기 긴구멍(22)을 횡단방향으로 관통하고, 즉 세로방향오목부(2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4)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자물쇠고정장치(18)는, 축선(30)에 관해서 동일중심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맞포개진 위쪽부재(32) 및 아래쪽부재(34)와, 이들 2개의 각 부재가 소정의 2개의 다른 회전각도로 회동되므로서, 각각 자물쇠채우기 및 폴리상태로 될 수 있는 자물쇠고정체(36)와의 짜맞춤에 의해서 구성된다. 상기 위쪽부재(32) 및 아래쪽부재(34)는 각각 스프링수단(33),(35)에 의해서 화살표시 a방향으로 항상 가입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16)의 뒤쪽부분(26)의 뒤끝부분의 상면에는, 도시한 바와같은 대략 4각형상의 돌출부재(38)를 고착하고, 이 돌출부재(38)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자물쇠고정장치의 위쪽부재(32)의 만곡면(40)에만 미끄럽접촉가능한 미끄럼접촉면(42)(제4도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쪽부재(32)에는, 상기 뒤쪽부분(26)의 뒤끝가장자리부(44)와 걸어맞추어질 수 있는 언더커트면(4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앞쪽부분(24)을 위치(28)를 중심으로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켜 돌출부재(38)와 위쪽부재(32)의 걸어맞추기를 해제시키는 동시에, 상기 위쪽부재(32)가 스프링수단에 의해서 화살표시 a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뒤쪽부분(26)의 뒤끝가장자리부(44)와 언더커트면(46)이 걸어맞추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일련의 동작은, 자물쇠고정체(36)를 유효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아래쪽부재(34) 및 뒤쪽부분(26) 사이의 상대동작과 상호관련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재(16)의 뒤쪽부분(26)의 상기 뒤끝가장자리부(44)의 아래쪽에는, 가상선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부분(48)이 형성된다. 이 톱니형상부분(48)은 상기 자물쇠고정장치의 아래쪽부재(34)의 첨단부분(50)에만 걸어맞추어질 수 있도록 위치결정된다. 이 첨단부분(50)은 유지부재(16)를 상기한 바와같이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서, 상기 톱니형상부분(48)과 임의의 위치에서 가변단계적으로 걸어맞출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앞쪽부분(24)과 세로방향오목부(20)와의 사이에 우산자루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크기의 공간이 창출될 수 있다. 상기 첨단부분(50)은 쐐기형태로 톱니형상부분(48)과 걸어맞추어질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일단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되면, 유기부재(16)는 아래쪽부재(34)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한, 화살표 d방향으로는 회동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아래쪽부재(34)의 화살표 C방향으로의 회동은, 자물쇠고정체(36)를 자물쇠 여는 상태로 하기 위한, 거기에 삽입한 키이의 회동과 연동하는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첨단부분(50)과 톱니형상부분(48)이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유지부재(26)는 스프링(52)의 반발력에 의해서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개방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우산보관용구의 사용시의 일반적인 작동태양을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열린 상태에 있는 앞쪽부분(24)의 안쪽만곡부분에 우산자루를 집어넣는다. 다음에, 단순히 우산을 그대로 화살표시 b방향으로 미렁주거나 혹은 손을 앞쪽부분(24)에 대고 우산과 함께 밀어주거나해서, 유지부재(16)를 위치(28)를 중심으로해서 상기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동시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폐쇄한 위치로 한다. 이에 의해 우산자루는 앞쪽부분(24)의 상기 안쪽만곡부분과 지지부재(14)의 세로방향오목부(20)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한편, 상기 유지부재(16)가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자물쇠고정장치(18)의 위쪽부재(32)와 돌출부재(3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아래쪽부재(34)의 첨단부분(50)이 상기 유지부재(16)의 뒤쪽부분(26)의 톱니형상부분(48)과 단계적으로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집어넣은 우산자루가 충분히 유지된다고 생각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앞쪽부분(24)을 회동시키는 것을 중지하면, 상기 유지부재(16)는 그 위치에 가장 가까운 단계적위치에서의 상기 첨단부분(50)과 톱니형상부분(48)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록된다. 한편, 상기 자물쇠고정장치(18)의 위쪽부재(32) 및 아래쪽부재(34)가 다같이 화살표시 a방향으로 회동한 시점에서 자물쇠고정체(36)에 집어넣어져 있던 키이부재(도시생략)는 빼내기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으며, 이것을 빼내므로서 위쪽부재(32) 및 아래쪽부재(34)는 그 위치에서 자물쇠고정되게 된다. 이상으로 우산의 고정 및 보관을 위한 동작은 완료된다.
다음에, 고정한 우산을 꺼낼때에는, 먼저 키이부재를 자물쇠고정체(36)에 집어넣는다. 이것을 화살표시 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동시에 위쪽부재(32)가 화살표시 C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일부분이 아래쪽부재(34)의 돌기(37)에 충돌접촉한다. 따라서, 계속하여 키이부재를 회동시키므로서 아래쪽부재(34)의 첨단부분(50)과 유지부재(16)의 톱니형상부분(48)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유지부재(16)는 스프링(52)의 힘에 의해서 즉시로 개방상태, 즉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로 복귀하여, 우산은 꺼내기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 예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많은 변경을 할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우산자루를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우산보관용구에 있어서, 우산자루의 일부분을 장입할 수 있는 세로방향오목부(20)를 구비하고, 이 세로방향오목부(2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그 횡단방향으로 개구하는 긴구멍(22)을 형성한 지지부재(14)와, 앞쪽부분(24) 및 뒤쪽부분(26)을 가지고, 그 개략중간위치에 있어서, 상기 뒤쪽부분(26)이 상기 긴구멍(22)를 관통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정착되고, 상기 앞쪽부분(24) 및 뒤쪽부분(26) 사이에는 상기 우산자루의 일부분을 받아넣기 위한 만곡형상부분을 가지고 있는 우산유지부재(16)와, 상기 우산유지부재(16)를 상기 우산자루를 받아넣는 개방위치를 향해서 상시 변위시켜 두는 제1스프링(52)과, 상기 우산유지부재(16)의 상기 뒤쪽부분(26)의 톱니형상의 걸아맞춤수단(48)과 가변단계적으로 걸어맞추고 이것을 자물쇠고정하기 위한, 회동할 수 있는 자물쇠 고정부재(18)와, 상기 자물쇠고정부재(18)를 상시 상기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변위시켜두는 제2의 스프링(33)과, 상기 자물쇠고정부재(18)가 상기 톱니형상의 걸어맞춤수단(48)과 걸어맞춘 상태에서 키이를 빼낼 수 있는 키이구멍을 가지고, 또 상기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스프링(33)에 대항해서 키이를 돌렸을 때에 상기 자물쇠고정부재(18)를 상기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수단(48)으로부터 해제 될 수 있도록 한 자물쇠고정장치(36)를 구비한 우산보관용구.
KR2019910008498U 1990-06-11 1991-06-10 우산보관용구 KR9300042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60640U JPH089333Y2 (ja) 1990-06-11 1990-06-11 傘保管用具
JP2-60640 199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235U KR920000235U (ko) 1992-01-27
KR930004242Y1 true KR930004242Y1 (ko) 1993-07-07

Family

ID=1314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498U KR930004242Y1 (ko) 1990-06-11 1991-06-10 우산보관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9333Y2 (ko)
KR (1) KR9300042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0182A (zh) * 2011-02-28 2012-08-29 侯剑青 一种雨伞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265U (ja) * 1982-06-16 1983-12-19 赤対 吉雄 傘立て用錠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0585U (ko) 1992-02-20
JPH089333Y2 (ja) 1996-03-21
KR920000235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200A (en) Lock open folding knife with side release
US5802722A (en) One handed knife
US7322110B2 (en) Knife with trigger actuator for retractable blade
US5144720A (en) Releasable double-hinge device for an automobile console box
EP0017539A1 (fr) Dispositif de serrure notamment pour valise
JPH06240932A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GB2185225A (en) Umbrella holder for vehicle
US4569215A (en) Extendable key operator
EP3486117B1 (en) Table unit
FR2728317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amovible sur un plancher, du pietement d'un siege et son application notamment aux vehicules automobiles terrestres
KR930004242Y1 (ko) 우산보관용구
EP1042972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tirettes de fermetures à glissières
JP3790006B2 (ja) 蓋体の2方向開閉機構
US7124458B2 (en) Pocket knife
KR100219444B1 (ko) 차량용 컵 홀더
FR2738864A1 (fr) Serrure a combinaison et bagage equipe de cette serrure
KR100308752B1 (ko) 록커구조를 구비한 다이어리
JPH07237482A (ja) カップホルダー付収納装置
CN112340217B (zh) 一种双层螺丝刀收纳盒
FR3125773A1 (fr) Véhicule équipé de barres de toit modulables et inviolables
JPS603786Y2 (ja) 切断作業用具
JP2017222231A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JPS6024288Y2 (ja) 折りたたみ収納式切断作業用具の退動防止装置
KR200155980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열쇠 보관함
JP3354234B2 (ja) 傘保管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