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42Y1 -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42Y1
KR200474642Y1 KR2020130004469U KR20130004469U KR200474642Y1 KR 200474642 Y1 KR200474642 Y1 KR 200474642Y1 KR 2020130004469 U KR2020130004469 U KR 2020130004469U KR 20130004469 U KR20130004469 U KR 20130004469U KR 200474642 Y1 KR200474642 Y1 KR 200474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upper case
smart key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인
임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30004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을 구비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에 대응되는 누름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체결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에서 상기 버튼부 하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에서 상기 버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키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추가의 공정이 필요 없이 버튼부가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키{Smart key}
본 고안은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버튼이 고정될 수 있는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도어에 접근하면 잠금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 후에도 시동키 홈에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 스위치를 작동하여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키는 버튼부(16)와, 상기 버튼부(16)가 장착되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키의 케이스(12)에는 상기 케이스(12)에 장착되는 버튼부(16)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버튼부(16)를 케이스(12)의 장착홀(15)에 장착한 뒤 사용자가 버튼부(16)를 누르면 케이스(12)에서 버튼부(16)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부(16)를 장착홀(15)에 장착한 후에 버튼부(16) 후방에 이탈방지패널(14)을 마련하고, 상기 이탈방지패널(14)을 케이스(12)에 융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과정은 스마트키 제조를 위한 추가의 부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이를 케이스(12)에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융착공정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부 고장 또는 불량으로 인해 버튼부를 교체해야 할 때 융착된 이탈방지패널을 일정 힘을 가해 케이스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며, 교체된 버튼부를 케이스에 장착한 이후에는 재융착해야 하는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패널(14)의 구성에 의하여 스마트키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부가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부 교체 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무게를 감소시킨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키는, 기판을 구비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에 대응되는 누름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체결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에서 상기 버튼부 하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에서 상기 버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스마트키의 버튼부가 케이스에 장착된 후 사용자가 버튼부를 눌러도 버튼부의 하면이 케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에 의하여 지지됨에 따라 버튼부가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가의 부재, 공정을 요하지 않아 스마트키를 제조하는 작업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키의 케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버튼부 교체 시,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버튼부를 케이스에서 분리하여도 버튼부 또는 케이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버튼부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튼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에 버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추가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버튼부를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키 제조 시 필요한 부재 사용을 최소화하여 조립이 완성됨으로써, 스마트키의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스마트키 제조를 위한 부재를 줄여 스마트키를 제조하는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키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스마트키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스마트키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스마트키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스마트키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스마트키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100)는 기판(144)을 구비한 케이스(110) 및 케이스(110)에 장착되고, 기판(144)에 대응되는 누름버튼(162)을 구비하는 버튼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버튼부(160)가 장착되는 중공(H)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20)와, 기판(144)을 수용하며, 상부케이스(120)와 체결되는 하부케이스(140)와, 상부케이스(120) 하단에서 버튼부(160) 하면과 대향되도록 중공(H) 방향으로 돌출되어 중공에서 버튼부(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스마트키(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케이스(110)는 버튼부(160)가 장착된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4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40)는, 버튼부(160)가 장착되는 상부케이스(120)와 사용자가 버튼부(160)를 누르면 발생하는 전원에 대해 동작하며, 버튼부(16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누름버튼(162)의 동작에 따라 스마트키(100)에 동작 전원을 발생시키는 러버(142)가 장착된 기판(144)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40)는 사용자가 버튼부(160)를 누르면 스마트키(100)에 전원이 발생하도록 인쇄회로기판, 배터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25)는 상부케이스(120)에 장착되는 버튼부(1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부(125)의 끝 단에는 버튼부(160)의 하면을 바라보는 면으로 향할수록 중공(H)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제1 경사면(124)이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125)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하단보다 버튼부(160) 하면으로 돌출되어 버튼부(160)가 가압되면 버튼부(160)의 누름버튼(162)이 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버튼부(160)를 누르는 과정에서도 버튼부(160)가 중공(H)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키(100) 제조를 위한 부재 사용을 줄이고, 스마트키(1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125)는 상부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1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부(125)를 함께 성형함으로써,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장착된 버튼부(1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상부케이스(120)에 설치, 장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버튼부(160)는 버튼부(160)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65)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버튼부(160)를 가압하면 이탈방지부(125)에 상기 걸림돌기(165)가 걸림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65)의 끝 단에는 이탈방지부(125)의 상면을 바라보는 면으로 향할수록 상기 이탈방지부(125)를 향해 더 돌출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제2 경사면(16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경사면(164)은 제1 경사면(124)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경사면(164)을 제1 경사면(124)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장착될 때 제1 경사면(124)과 제2 경사면(164)의 간섭 없이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120)가 고정되어 있고, 버튼부(160)를 이동시켜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장착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124, 164)이 평행하도록 형성되면서 제2 경사면(164)이 제1 경사면(124)을 마주하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20)에 버튼부(160)를 장착할 때, 각 부재의 간섭을 방지하며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이탈방지부(125)는,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125)를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버튼부(160)를 케이스(11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케이스(110) 또는 버튼부(160)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분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25)의 제1 경사면(124)과 버튼부(160)의 제2 경사면(164)이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에 장착될 때, 각 부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버튼부(160)를 상부케이스(12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걸림돌기(165)가 이탈방지부(125)에 걸림되기 때문에 부재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부(125)를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버튼부(160)의 걸림돌기(165)가 이탈방지부(125)와 간섭되어도 스크래치나 파손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버튼부(160)가 장착되는 방향의 역 방향으로 힘을 발생하여 버튼부(160)를 상부케이스(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버튼부(160)를 상부케이스(120)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부케이스(120)에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부케이스(120)와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장착되는 버튼부(160)를 마련한다(도 5의 (a)).
마련된 버튼부(160)를 상부케이스(120)의 하부에서 중공(H) 방향으로 밀어 장착한다(도 5의 (b)). 이때, 이탈방지부(125)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4)과 버튼부(160)의 걸림돌기(165)에 형성된 제2 경사면(164)은 평행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버튼부(160)가 중공(H)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버튼부(160)가 장착될 수 있다(도 5의 (c)).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 버튼부(160)가 장착되면, 사용자는 버튼부(160)를 눌러 스마트키(100)를 작동시키면, 버튼부(160)는 중공(H)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버튼부(160)의 걸림돌기(165)가 이탈방지부(125) 상에 걸림 되어 버튼부(160)는 상부케이스(120)의 중공(H)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5의 (d)).
상기와 같이 차량의 스마트키(100)의 상부케이스(120)에 이탈방지부(125)를 형성하되, 상기 이탈방지부(125) 상에 버튼부(160)가 걸림되도록 형성하여 버튼부(160)를 눌러도 버튼부(160)가 상부케이스(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100)의 상부케이스(120)에서 버튼부(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버튼부(160)의 이탈을 방지함에 따라 스마트키(1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공수를 줄이고, 부재의 수를 줄여 스마트키(100)의 제작 시간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부재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스마트키(100)의 무게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스마트키 110: 케이스
120: 상부케이스 124: 제1 경사면 125: 이탈방지부 140: 하부케이스
142: 러버 144: 기판
160: 버튼부 162: 누름버튼
164: 제2 경사면 165: 걸림돌기

Claims (6)

  1. 기판을 구비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에 대응되는 누름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체결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에서 상기 버튼부 하면과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에서 상기 버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끝 단에는 상기 버튼부의 하면을 바라보는 면으로 향할수록 상기 중공을 향해 더 돌출되게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의 끝 단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면을 바라보는 면으로 향할수록 상기 이탈방지부를 향해 더 돌출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가압 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부 상에 걸림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를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KR2020130004469U 2013-06-03 2013-06-03 스마트키 KR200474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69U KR200474642Y1 (ko) 2013-06-03 2013-06-03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469U KR200474642Y1 (ko) 2013-06-03 2013-06-03 스마트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42Y1 true KR200474642Y1 (ko) 2014-10-07

Family

ID=5200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469U KR200474642Y1 (ko) 2013-06-03 2013-06-03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4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145Y1 (ko) 1995-11-03 1999-06-15 윤종용 캠코더의 배터리 팩 착탈장치
KR20050056672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KR200457865Y1 (ko) 2009-09-11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145Y1 (ko) 1995-11-03 1999-06-15 윤종용 캠코더의 배터리 팩 착탈장치
KR20050056672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KR200457865Y1 (ko) 2009-09-11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97067A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EP2933812B1 (en) Shift assembly structure of switch device
US712606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operation button
KR20090040238A (ko)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JP2006120607A (ja) キートップ部品、操作キー及び電子機器
US10535481B2 (en) Magnetic keyswitch and related magnetic keyboard
JP200633181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養生装置
US8963032B2 (en) Button assembly flush with electronic device casing
KR200474642Y1 (ko) 스마트키
JP2006286504A (ja) ヒューズブロック
JP2013092731A (ja) 操作部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493573Y1 (ko)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KR20080029509A (ko) 푸시버튼스위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JP4198085B2 (ja) ケースの組立構造
KR20090132974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200446839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JP2005347074A (ja) 車両のスイッチ取付構造
KR100409026B1 (ko) 선풍기
JP2013178938A (ja) 電子機器の操作ボタン構造
KR100881362B1 (ko) 기중차단기
JP6819239B2 (ja) リモコン装置
JP2010067702A (ja) 電子機器
CN108216105B (zh) 车辆的安全气囊模块
JP2020024884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