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402B1 -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402B1
KR100506402B1 KR10-2002-0074007A KR20020074007A KR100506402B1 KR 100506402 B1 KR100506402 B1 KR 100506402B1 KR 20020074007 A KR20020074007 A KR 20020074007A KR 100506402 B1 KR100506402 B1 KR 10050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driver plate
stator
terminal
cent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810A (ko
Inventor
키노시타모토히로
키시시타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4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1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프린트기판 등에의 납땜시의 열에 의한 중심축부의 코킹부분의 느슨함을 막을 수 있는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가변콘덴서(1)는 스테이터(2)와,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절연성케이스(5)와, 상기 절연성케이스(5)에 설치된 로터단자(6) 및 스테이터단자(7)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단자(6)는 리드브(61)와 원통형상의 중심축부(62)를 갖고 있다. 리드부(61)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예를 들면 땜납도금막이나 Sn도금막)(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중심축부(62)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VARIABLE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변콘덴서는 스테이터전극과 로터전극의 유효대향면적을 스테이터에 대한 로터의 회전에 의해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정전용량을 바꾼다. 이런 종류의 가변콘덴서로서, 종래부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2001-26717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가변콘덴서는 로터단자나 스테이터단자를 인서트 몰딩한 절연성케이스에, 스테이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단자의 중심축부를 로터전극을 설치한 로터 구멍에 삽입통과시키고, 더욱이, 상기 로터를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를 갖는 드라이버플레이트 구멍에 삽입통과시키고 있다. 중심축부의 선단부는 코킹되어 있고, 이로 인해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가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로터단자나 스테이터단자는 프린트기판 등에는 납땜되므로, 납땜성 향상을 위해, 통상, 전체가 땜납도금막이나 Sn도금막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다. 전체를 땜납도금막 등으로 표면처리하고 있는 것은 단자의 일부분에만 도금을 하는 경우(도금전의 마스킹작업이 필요)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이 싸기 때문이다.
도 12는 종래의 가변콘덴서(100)의 드라이버플레이트(101)와 로터단자(110)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다. 로터단자(110)는 원통형상의 중심축부(111)와 리드부(112)를 갖고 있다. 로터단자(110)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113)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면처리막(113)은 1차(하지) 도금막(114)과 2차 도금막(115)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버플레이트(101)는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드라이버 끝이 삽입되는 드라이버홈(102)과, 로터를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103)를 갖고 있다. 드라이버플레이트(101)의 구멍(104)에 로터다자(110)의 중심축부(111)를 삽입통과시킨 후, 중심축부(111)의 선단부(111a)를 코킹하고, 드라이브플레이트(101)를 중심축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변콘덴서(100)는 중심축부(111)와 드라이버플레이트(101)의 코킹부분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땜납도금막이나 Sn도금막 등)(113)이 개재되어 있다. 납땜 전에는 원(A)에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막(113)의 표면(113a)의 요철에 의한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토크(torque)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변콘덴서(100)를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할 때, 열에 의해 표면처리막(113)이 일시적으로 용해할 때에 이 요철의 일부가 소실되고, 표면(113a)의 근방에 다수의 공극을 발생시키게 된다. 표면(113a)의 요철에 의한 접촉이 감소하고, 공극이 많아지면, 마찰에 의한 토크가 감소하고, 토크다운이 발생한다.
또, 표면처리막(113)에 의한 완만한 요철은 드라이버플레이트(101)를 회전시켜 정전용량 조정을 행한 후의 잔류응력에 의해, 공극이 찌그러지거나, 표면(113a)의 볼록부의 정상부가 찌그러지는 일이 생기기 쉽다. 이로 인해, 중심축부(111)와 드라이버플레이트(101)의 코킹부분에 간극이 생겨, 코킹이 느슨해지고, 드라이버플레이트(101)의 회전토크가 저하된다.
더욱이 코킹의 느슨함은 로터를 누르고 있는 드라이버플레이트(101)의 스프링하중의 감소를 초래하고,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약해지고, 로터와 스테이터의 계면에 미소한 간극 등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정전용량이 안정되지 않고, 정전용량의 세트가 어려워 지고, 셋팅드리프트(세트후의 정전용량변화)가 커진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문제로부터 무연(無鉛)땜납의 사용이 증가하고, 납땜온도가 약 235℃(납함유 땜납의 경우)에서 약 260℃로 상승해오고, 상기 문제가 현저히 발생해오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트기판 등에의 납땜시의 열에 의한 중심축부의 코킹부분의 느슨함을 막을 수 있는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변콘덴서는
(a)스테이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와,
(b)스테이터전극과 대향하여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로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 상을 슬라이딩하는 로터와,
(c)드라이버홈과, 로터를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를 갖는 드라이버플레이트와,
(d)스테이터와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성케이스와,
(e)절연성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고, 절연성케이스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중심축부를 갖는 로터단자와,
(f)절연성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테이터단자를 구비하고,
(g)상기 중심축부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가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h)로터단자의 중심축부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변콘덴서의 제조방법은
(i)스테이터단자와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심축부를 갖는 로터단자를 저부에 설치한 절연성케이스를 형성하는 공정과,
(j)스테이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를 스테이터단자와 스테이터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절연성케이스에 고정하는 공정과,
(k)스테이터전극과 대향하여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로터전극을 설치한 로터 구멍에, 로터단자의 중심축부를 삽입통과시키는 공정과,
(l)드라이버홈과 로터를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를 갖는 드라이버플레이트 구멍에, 로터단자의 중심축부를 삽입통과시키는 공정과,
(m)중심축부의 선단부를 코킹하고,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이란, 중심축부의 모재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모재의 표면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지 않는 표면처리막(예를 들면 방청용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중심축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코킹부분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가변콘덴서를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할 때의 열이 부가되어도 중심축부의 표면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정전용량조정을 행해도, 중심축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코킹부분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고, 코킹부분의 느슨함을 막을 수 있다. 또, 로터단자에 있어서, 절연성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 이른바 리드부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을 형성함으로써, 프린트기판에의 실장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변콘덴서의 제조방법은,
(n)로터단자의 중심축부에 삽입통과된 드라이버플레이트와 상기 로터가 비결합상태가 되도록,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공정과,
(o)중심축부의 선단부을 코킹하고,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후, 드라이버플레이트를 로터 상에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시키고,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 하여,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를 결합상태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가 위치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드라이버플레이트의 로터측의 면이나 로터의 드라이버플레이트측의 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에 의해,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가 결합하기까지의 양자간의 슬라이딩이 좋아진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를 결합시킬 때에,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가 함께 회전해 버려, 양자가 결합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콘덴서(1)는 스테이터(2)와,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절연성케이스(5)와, 상기 절연성케이스(5)에 설치된 로터단자(6) 및 스테이터단자(7)로 구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스테이터(2)는 유전체기판(23)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에 삽입통과구멍(21)을 갖고 있다. 삽입통과구멍(21)의 지름은 후술하는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유전체기판(23)의 하면의 대략 좌반부에는 스테이터전극(22)이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략 반원형상의 로터(3)는 현의 중앙부에 삽입통과구멍(31)을 갖음과 아울러, 삽입통과구멍(31)을 사이로 하여 직선형상의 결합벽면(33a, 33b)을 갖고 있다. 삽입통과구멍(31)의 지름은 후술의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로터(3)는 예를 들면 도전성금속판을 에칭가공이나 레이저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로터(3)는 그 하면을 실질적으로 대략 반원형상의 로터전극(32)으로 하고 있다. 로터전극(32)은 유전체기판(23)을 사이로 하여 스테이터전극(22)과 대향함으로써 정전용량을 형성한다.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케이스(5)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저부에는 로터단자(6) 및 스테이터단자(7)가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로터단자(6)는 리드부(61)와 원통형상의 중심축부(62)를 갖고 있다. 리드부(61)는 절연성케이스(5)의 우측의 측벽으로부터 도출하고, 측벽을 따라 절연성케이스(5)의 저면(실장면)을 돌고 있다. 중심축부(62)는 절연성케이스(5)의 오목부(51)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리드부(61)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예를 들면 땜납도금막이나 Sn도금막)(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중심축부(62)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은 형성되어 있어 있지 않다.
한편, 스테이터단자(7)는 리드부(71)와 접속부(72)를 갖고 있다. 리드부(71)는 절연성케이스(5)의 좌측의 측벽으로부터 도출하고, 측벽을 따라 절연성케이스(5)의 저면(실장면)을 돌고 있다. 접속부(72)는 절연성케이스(5)의 오목부(51)의 저벽에 노출되어 있다. 스테이터단자(7)의 표면전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예를 들면, 땜납도금막이나 Sn도금막)(7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단자(6)와 스테이터단자(7)의 표면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자(6, 7)의 모재에는 동합금판(황동판, 양백판 등), 스테인리스판(SUS판), 철판 등이 사용된다. 이 모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단자형상으로 잘라내기 전의 판재상태로 방청 등을 위해, Ni 등의 1차(하지) 도금막을 모재의 전표면 또는 2차 도금막 형성부분에 형성한다. 1차(하지) 도금막의 재료에는 납땜온도정도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재질의 것이 선택된다. 단, 이 1차(하지) 도금막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스트라이트도금이나 스폿도금 등의 부분도금법에 의해,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가 가공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2차 도금막을 형성한다. 2차 도금막의 재료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재질의 것(예를 들면 땜납이나 Sn)이 선택된다. 이 2차 도금막은 단자(6, 7)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63, 73)이 되는 것이다. 이 후, 판형상모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단자(6, 7)를 판형상모재로부터 잘라낸다.
드라이버플레이트(4)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1장의 금속판으로부터 프레스가공, 굽힘가공을 거쳐 얻어진다. 드라이버플레이트(4)는 드라이버 끝이 삽입되는 드라이버홈(41)과, 로터(3)를 스테이터(2)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47)와, 로터(3)에 결합하는 한쌍의 결합부(48)를 갖고 있다. 십자형상의 드라이버홈(41)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두부(40)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47)는 두부(40)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되꺾음부(42)와, 두부(40)의 하면에 접하고 있는 제 1 플레이트부(43)와, 제 1 플레이트부(43)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되꺾음부(44)와, 제 1 플레이트부(3)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2 플레이트부(45)와, 지지부(46)로 이루어진다.
두부(40), 제 1 플레이트부(43) 및 제 2 플레이트부(45)에는 각각,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구멍(40a, 43a, 45a)(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삽입통과구멍(40a, 43a, 45a)은 동축에 배치되어 있고, 중심축부(62) 주변에서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회전할 때, 안정된 자세 및 안정된 토크가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삽입통과구멍(40a)의 지름은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의 외경과 대략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 2 플레이트부(45)가 로터(3)에 눌려 접하는 부분이 된다. 제 2 플레이트부(45)의 하면에는 긴 볼록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6)는 중심축부(62)의 선단부를 코킹할 때에, 두부(40)의 하면에 접촉하고, 이를 밑에서부터 지지함으로써, 제 2 되꺾음부(44)가 탄성한계를 넘어 소성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쌍의 결합부(48)는 제 2 플레이트부(45)의 좌우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면(48a)은 제 2 플레이트부(4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선단면(48a)은 로터(3)의 직선형상의 결합벽면(33a, 33b)에 결합된다.
이상의 구성부품은 이하와 같이 하여 조립된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단자(6) 및 스테이터단자(7)를 인서트 몰드한 절연성케이스(5)의 오목부(51) 내에, 스테이터(2)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스테이터(2)의 삽입통과구멍(21)에는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가 삽입통과되고, 스테이터전극(22)은 오목부(51)의 저벽에 노출되어 있는 스테이터단자(7)의 접속부(7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로터(3)가 절연성케이스(5)의 오목부(51) 내에 수용되고, 스테이터(2)의 상면에 배치된다. 로터(3)의 삽입통과구멍(31)에는 중심축부(62)가 삽입통과되고, 로터(3)는 중심축부(6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다음에,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절연성케이스(5)의 오목부(51) 내에 수용되고, 로터(3)의 상면에 배치된다.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삽입통과구멍(40a, 43a, 45a)에는 중심축부(62)가 삽입통과되고, 드라이버플레이트(4)는 중심축부(6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한쌍의 결합부(48)의 선단면(48a)이 각각 로터(3)의 결합벽면(33a, 33b)을 향해 결합하도록,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위치가 결정된다. 단, 도 6은 저면측으로부터 본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후, 중심축부(62)의 선단부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킹되고, 그로 인해, 스테이터(2), 로터(3) 및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케이스(5)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로터(3)에 대하여 드라이버플레이트(4)에 의한 탄성작용이 미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가변콘덴서(1)에 있어서,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스프링부(47)는 로터(3)에 눌려 접함으로써, 로터(3)를 스테이터(2)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압하도록 민다. 이렇게 하여 로터(3)의 로터전극(32)이 스테이터(2)에 밀착된다.
또, 드라이버홈(41)에 드라이버 끝을 삽입하고,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회전조작하면, 결합부(48)의 선단면(48a)이 결합벽면(33a, 33b)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 회전조작이 로터(3)에 전달되고, 로터(3)가 회전된다. 로터(3)의 회전에 의해, 대향하고 있는 로터전극(32)과 스테이터전극(22)의 유효대향면적이 변경되고, 로터전극(32)과 스테이터전극(22)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정전용량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조정된 정전용량은 로터전극(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로터단자(6)와 스테이터전극(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테이터단자(7) 사이에 인출된다. 이 경우, 로터전극(32)은 로터(3) 및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통해, 로터단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변콘덴서(1)는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코킹부분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가변콘덴서(1)를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할 때의 열이 부가되어도, 중심축부(62)의 표면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회전시켜 정전용량조정을 행해도, 중심축부(62)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코킹부분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고, 코킹부분의 느슨함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회전토크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가변콘덴서(1)의 납땜 전과 납땜 후의 회전토크를 측정한 결과이다(실선(81) 참조). 도 7에는 비교를 위해 중심축부에도 Sn도금을 실시한 종래의 가변콘덴서의 회전토크 측정결과를 합쳐 기재하고 있다(점선(82) 참조).
더욱이, 가변콘덴서(1)는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스프링하중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스테이터(2)와 로터(3)의 밀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용량이 안정되고, 정전용량의 세트가 쉬워져, 셋팅드리프트(세트 후의 정전용량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가변콘덴서(1)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절연성케이스(5)에 넣을 때, 처음부터 양자의 배치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합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면, 어떠한 원인으로 로터(3)나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각도위치가 어긋나고, 양자가 결합상태가 아닌 상황이 된 경우, 그대로 중심축부(62)를 코킹하면, 로터(3)의 각도위치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각도위치의 관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각도위치와 정전용량의 MAX위치의 관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또,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결합상태로 되기 쉽도록, 로터(3)의 결합벽면(33a, 33b)과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결합부(48)의 선단면(48a) 사이의 간극(Q)(도 6 참조)을 크게 하면,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회전유극이 커진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회전시켜도 로터(3)가 회전하지 않는 각도영역이 커지고, 정전용량의 조정이 어려운 가변콘덴서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결함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조립공정이 취해진다. 즉,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3)를 절연성케이스(5)에 넣을 때에, 미리 로터(3)의 배치각도를 도 6에 나타낸 경우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θ만큼 어긋나서 수용한다. 또한, 도 8은 저면측에서 본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도면상에서는 외관상 시계방향으로 각도 θ만큼 어긋나도록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도 6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배치각도에서 절연성케이스(5)에 넣는다. 이로 인해,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로터(3)사이의 각도는 결합각도로부터 어긋나고,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로터(3)는 항상 비결합상태에서 절연성케이스(5)에 배치되게 된다. 결합각도는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로터(3)가 결합상태일 때의 양자간의 각도를 의미하고,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각도를 0도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로터단자(6)의 중심축부(62)의 선단부가 코킹되고,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중심축부(6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드라이버홈(41)에 드라이버의 끝을 삽입하고,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도 8의 (A)의 도면상에서(외관상)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드라이버플라이트(4)는 로터(3) 상을 슬라이딩하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결합부(48)의 선단면(48a)이 로터(3)의 결합벽면(33a, 33b)에 결합한다. 이 때,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슬라이딩면(제 2 플레이트(45)의 하면)에 설치한 볼록부(49)가 드라이버플레이트(4)와 로터(3)가 결합하기까지의 양자간의 슬라이딩을 좋게 한다.
여기서, 각도 θ는 조립작업시에 발생하는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사이의 각도의 격차(격차각도를 α로 한다)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 사이의 각도의 격차에 의해, 도 9의 (A)와 같은 위치관계가 될 우려가 있다. 이 때,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도면상에서(외관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결합시키는데는 드라이플레이트(4)를 360도 가깝이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시간이 길어져버린다. 또, 로터(3)의 결합벽면(33b)의 엣지에 드라이버플레이트(4)가 걸리기 쉬워져, 결합하지 않게 되는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플레이트(4)에 볼록부(49)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도 θ는 격차각도 α보다 크고, 또한 볼록부(49)의 배치각도 β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된다. 각도 θ를 각도 β보다 크게 하면, 로터(3)의 결합벽면(33b)의 엣지에 볼록부(49)가 걸리고, 결합하지 않게 되는 결함이 발생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조립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조립작업시에 발생하는 각도격차에 맞춰 각도 θ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제품수율이 좋아지므로, 조립설비의 정밀도를 올릴 필요성이 없고, 염가인 설비로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처음 로터(3)의 각도위치와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각도위치를 일치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자의 각도위치의 어긋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로터(3)와 드라이버플레이트(4)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3)의 결합벽면(33a, 33b)과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결합부(48)의 선단면(48a) 사이의 간극(Q)(도 6 참조)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회전유극을 작게 할 수 있고,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회전에 맞춰 응답성이 좋은 정전용량의 조정이 행해진다. 더욱이,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각도위치와 정전용량의 MAX위치의 관계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는 로터단자(6)나 스테이터단자(7)의 표면처리막(63, 73)의 형성을 단자가공(프레스가공) 전에 행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가공(프레스가공) 후에 행하거나, 또는 절연성케이스(5)에 인서트 몰드 후에 행하거나 해도 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플레이트(4)의 제 2 플레이트(45)에 복수의 길이가 짧은 볼록부(49a)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3)의 드라이버플레이트측의 면에 볼록부(35)를 형성해도 된다. 볼록부(35)는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 긴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축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코킹부분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박이 개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가변콘덴서를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할 때의 열이 부가되어도, 중심축부의 표면형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정전용량조정을 행해도, 중심축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코킹부분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고, 코킹부분의 느슨함을 막을 수 있다.
또, 처음 로터단자의 중심축부에 삽입통과된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가 비결합상태가 되도록,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부터 어긋나게 하고, 중심축부의 선단부를 코킹하고,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후, 드라이버플레이트를 로터 상을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시켜,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 하고,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를 결합상태로 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가 위치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결합한다. 이 경우, 드라이버플레이트의 로터측의 면이나 로터의 드라이버플레이트측의 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에 의해,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가 결합하기까지의 양자간의 슬라이딩이 좋아진다. 따라서,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를 결합시킬 때에,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가 함께 회전해버려, 양자가 결합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콘덴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변콘덴서의 수직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드라이버플레이트와 로터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절연성케이스와 스테이터와 로터의 수직단면도.
도 6은 로터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저면측에서 본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납땜 전과 후의 드라이버플레이트의 회전토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가변콘덴서의 조립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드라이버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1은 로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가변콘덴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변콘덴서 2 : 스테이터
3 : 로터 4 : 드라이버플레이트
5 : 절연성케이스 6 : 로터단자
7 : 스테이터단자 21, 31 : 삽입통과구멍
22 : 스테이터전극 32 : 로터전극
33a, 33b : 결합벽면 35 : 볼록부
41 : 드라이버홈 47 : 스프링부
48 : 결합부 48a : 선단면
49 : 볼록부 62 : 중심축부
63, 73 :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

Claims (5)

  1. 스테이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전극과 대향하여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로터전극을 설치한, 상기 스테이터 상을 슬라이딩하는 로터;
    드라이버홈과, 상기 로터를 상기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를 갖는 드라이버플레이트;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성케이스;
    상기 절연성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고, 절연성케이스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중심축부를 갖는 로터단자; 및
    상기 절연성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테이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부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가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의 표면에는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콘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콘덴서.
  3. 스테이터단자와 납땜온도에서 용해되는 표면처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심축부를 갖는 로터단자를 저부에 설치한 절연성케이스를 형성하는 공정;
    스테이터전극을 설치한 스테이터를 상기 스테이터단자와 상기 스테이터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성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
    상기 스테이터전극과 대향하여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로터전극을 설치한 로터 구멍에,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를 삽입통과시키는 공정;
    드라이버홈과 상기 로터를 상기 스테이터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부를 갖는 드라이버플레이트 구멍에,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를 삽입통과시키는 공정; 및
    상기 중심축부의 선단부를 코킹하고, 상기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상기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콘덴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단자의 중심축부에 삽입통과된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와 상기 로터가 비결합상태가 되도록,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공정;
    상기 중심축부의 선단부을 코킹하고, 상기 로터와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상기 중심축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후,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를 상기 로터 상에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시키고,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사이의 각도를 결합각도로 하여,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와 상기 로터를 결합상태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콘덴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플레이트의 로터측의 면 및 상기 로터의 드라이버플레이트측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콘덴서의 제조방법.
KR10-2002-0074007A 2001-11-30 2002-11-26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506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6963A JP2003168624A (ja) 2001-11-30 2001-11-30 可変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366963 2001-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810A KR20030044810A (ko) 2003-06-09
KR100506402B1 true KR100506402B1 (ko) 2005-08-11

Family

ID=1917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07A KR100506402B1 (ko) 2001-11-30 2002-11-26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168624A (ko)
KR (1) KR100506402B1 (ko)
CN (1) CN14218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9171B2 (ja) * 2007-09-18 2012-1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位置入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1751156B (zh) * 2008-12-12 2012-10-24 株式会社和冠 坐标输入装置、位置指示器及可变电容器
KR101281475B1 (ko) * 2010-11-25 2013-07-02 (주)제중메디칼 공기 가변 용량성 콘덴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209A (ja) * 1991-04-22 1992-11-11 Murata Mfg Co Ltd トリマコンデンサ
JPH04338622A (ja) * 1991-05-16 1992-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磁器コンデンサ
KR960025011U (ko) * 1994-12-31 1996-07-22 주식회사광원전자 칩형 트리머 콘덴서
JPH08306587A (ja) * 1995-04-28 1996-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磁器コンデンサ
KR20010070513A (ko) * 2000-01-11 2001-07-25 무라타 야스타카 가변 커패시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209A (ja) * 1991-04-22 1992-11-11 Murata Mfg Co Ltd トリマコンデンサ
KR920020545A (ko) * 1991-04-22 1992-11-21 무라따 야스따까 트리머 콘덴서
JPH04338622A (ja) * 1991-05-16 1992-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磁器コンデンサ
KR960025011U (ko) * 1994-12-31 1996-07-22 주식회사광원전자 칩형 트리머 콘덴서
JPH08306587A (ja) * 1995-04-28 1996-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磁器コンデンサ
KR20010070513A (ko) * 2000-01-11 2001-07-25 무라타 야스타카 가변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810A (ko) 2003-06-09
CN1421883A (zh) 2003-06-04
JP2003168624A (ja) 200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35473A (ja) 電子装置
KR100265462B1 (ko) 가변 커패시터
KR100506402B1 (ko) 가변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JPH11288759A (ja) コネクタ
JPH11340001A (ja) リード線接続用端子金具を備えた電気部品ユニット
US6162099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chanism
JP3840962B2 (ja) 可変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4638836B2 (ja) ラグ端子及びラグ端子を用いた板材の取付構造
JP2005243390A (ja) コネクタ
US10819050B2 (en) Electric connection assembly with overbent soldering pin
JP2000036338A (ja) 電気コネクタ
JP4650769B2 (ja) 半田付け端子を有する電子部品
JPH1186987A (ja) 電気コネクタ
KR100352996B1 (ko) 칩형 가변저항기
JPH09298018A (ja) プリント基板装着用電子部品
US6234839B1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housing
JP3006206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6297942B1 (en) Metal terminal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same
JP2007141606A (ja) 同軸コネクタ
JPH10256007A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3182940B2 (ja) 可変式電子部品
JP3135431B2 (ja) 積層型電気部品
JPH07235401A (ja) 端子付電子部品
JP2000323306A (ja) 表面実装型可変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JPH06215912A (ja) 可変式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