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617B1 -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617B1
KR100504617B1 KR10-2002-0062246A KR20020062246A KR100504617B1 KR 100504617 B1 KR100504617 B1 KR 100504617B1 KR 20020062246 A KR20020062246 A KR 20020062246A KR 100504617 B1 KR100504617 B1 KR 10050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upply unit
cylind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848A (ko
Inventor
호소야유키오
아카마츠순지
시마다노부히로
스에다겐이치
스즈키쇼스케
이케다겐이치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도관을, 그 유로 저항을 적게 배관하면서, 파워 유닛의 상하 요동시, 연료 도관의 휨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스텝 플로어(12)의 후방의 몸체 프레임(2)에, 실린더부(9a)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9)을 갖는 파워 유닛(6)을 상하 방향 요동 가능하게 매달고, 이 파워 유닛(6)의 상방에 수하물 박스(15) 및 승차자용 시트(16)를 배치하고, 스텝 플로어(12)의 바로 아래에, 천정벽(18b)에 급유구(20)를 갖는 연료 탱크(18)를 배치한 소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18) 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출구통(36)을, 연료 탱크(18)의, 급유구(20)보다 차량 전방쪽 부분에 설치하고, 이 연료 출구통(36)과 엔진(9)의 연료 분사 밸브(103) 사이를, 급유구(20)의 측방을 통과하는 가요성의 연료 도관(導管)(107)에 의해 접속했다.

Description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FOR SMALL VEHICLES}
본 발명은 스텝 플로어의 후방의 몸체 프레임에, 실린더부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을 갖는 파워 유닛을 상하 방향 요동 가능하게 매다는 동시에, 이 파워 유닛의 후단부에, 그것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을 축지지하고, 또 파워 유닛의 상방에 수하물 박스 및 승차자용 시트를 배치하고, 스텝 플로어의 바로 아래에, 천정벽에 급유구를 갖는 연료 탱크를 배치한 소형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엔진의 연료 분사 밸브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형 차량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13875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소형 차량에서는, 연료 탱크의 후단벽에, 연료 공급 유닛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배치되는 연료 취출관과 엔진의 연료 분사 밸브 사이를 가요성의 연료 도관(導管)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것에서는, 연료 취출관과 연료 분사 밸브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으므로, 파워 유닛의 상하 요동시, 연료 도관의 휨 각도가 과도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연료 도관을 길게 배관하여, 그 도중에 이완부를 형성해 둘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연료 도관의 유로(流路) 저항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그 이완부의 곡률반경을 크게 설정하면, 연료 도관과 인접 부재의 간섭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이완부의 곡률반경을 작게 설정하면, 연료 도관의 유로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그 이완부의 형성에 대해서는 고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료 도관의 유로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그 이완부의 곡률반경을 크게 설정하면서,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파워 유닛의 상하 요동시 연료 도관의 휨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텝 플로어의 후방의 몸체 프레임에, 실린더부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을 갖는 파워 유닛을 상하 방향 요동 가능하게 매다는 동시에, 이 파워 유닛의 후단부에, 그것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을 축지지하고, 또 파워 유닛의 상방에 수하물 박스 및 승차자용 시트를 배치하고, 스텝 플로어의 바로 아래에, 천정벽에 급유구를 갖는 연료 탱크를 배치한 소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을, 연료 탱크의, 급유구보다 차량 전방쪽 부분에 설치하고, 이 연료 출구통과 엔진의 연료 분사 밸브 사이를, 급유구의 측방을 통과하는 가요성의 연료 도관에 의해 접속한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이 제1 특징에 의하면, 연료 도관은 급유구의 전방 위치의 연료 취출관으로부터 급유구의 측방을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으로 유도되고, 곡률반경이 큰 이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굽어져, 연료 분사 밸브로 향함으로써, 그 유로 저항을 내리는 동시에,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파워 유닛의 상하 요동시에도 연료 도관의 휨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더해, 연료 분사 밸브에는, 엔진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연료 커넥터를 장착하고, 이 연료 커넥터에 고정 설치되어 연료 분사 밸브에 연통하는 접속관에 상기 연료 도관을 접속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특징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에 장착된 연료 커넥터로의 연료 도관의 접속 방향이 일정하여, 연료 도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그 배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해, 연료 탱크 내의 연료 공급 유닛에는, 연료 출구통측으로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와, 이 연료 펌프의 토출 압력의 과잉분을 내보내는 압력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특징에 의하면, 압력 레귤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그대로 연료 탱크로 되돌려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연료 누설을 위한 특별한 배관이 불필요해져 구성의 간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더해,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에는, 연료 도관에 접속한 연료 취출관을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이 제4 특징에 의하면, 연료 취출관을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으로부터 떼내어 둠으로써, 연료 도관의 연료 분사 밸브로의 접속과 배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연료 공급 유닛의 유지 보수도 연료 도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연료 취출관의 연료 공급 유닛으로의 접속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더해, 연료 공급 유닛에는, 연료 펌프의 토출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를 연료 출구통의 내단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이 연료 필터의 상부 단판(端板)에, 연료 취출관의 내단이 향하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이 제5 특징에 의하면, 연료 취출관의 연료 필터로의 근접 배치가 가능해지므로, 연료 취출관의 연료 탱크 상방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켜, 연료 도관의 스텝 플로어와의 간섭 회피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화살표 방향에서 투시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연료 공급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탱크로의 부착 구조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10-10선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좌우란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말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부호 1은 소형 차량으로서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를 나타내고, 그것의 몸체 프레임(2)은, 헤드 파이프(2a), 이 헤드 파이프(2a)의 후면으로부터 급격한 각도로 하방으로 이어지는 다운 튜브부(2b), 이 다운 튜브부(2b)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이어지는 플로어 지지부(2c), 이 플로어 지지부(2c)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필라부(2d) 및, 이 필라부(2d)의 상단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기울어져 이어지는 후부 레일부(2e)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 파이프(2a)에는 전륜(3f)을 축지지하는 전부 포크(4)의 스티어링 스템이 조향(操向)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필라부(2d)의 상단부에는 현가 링크(5)가 탄성 지지되어, 이 현가 링크(5)에 파워 유닛(6)이 피벗축(7)을 통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다. 그리고, 파워 유닛(6) 및 후부 레일부(2e) 사이에 후부 쿠션(8)이 부착된다.
파워 유닛(6)은 실린더부(9a)를 수평 상태에 가깝게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9)과, 이 엔진(9)의 일측부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미션 케이스(10a)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무단 변속기(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미션 케이스(10a)의 후단부에 구동륜인 후륜(3r)이 축지지된다.
후부 레일부(2a) 상에는 헬멧 등의 대형 화물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하물 박스(15)가 부착되고, 이 수하물 박스(15)의 상부 전단부에, 상기 박스(15)의 리드를 겸하는 승차자용 시트(16)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 지지부(2c)의 중앙부에 형성된 큰 개구부(17)에 연료 탱크(18)가 삽입되는 동시에, 이 연료 탱크(18)의 둘레벽으로부터 내어붙인 플랜지(18a)가 플로어 지지부(2c)의 상면에 복수의 볼트(19)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연료 탱크(18)는 그 전후 방향 중심선(Y)이 자동 이륜차(1)의 전후 방향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연료 탱크(18)의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천정벽(18b)에는, 그곳으로 개구하는 급유구(20)를 개폐하는 탱크 캡(21)과, 연료를 엔진(9)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유닛(22)이 부착된다. 이 때, 연료 공급 유닛(22)은 연료 탱크(18)의 전부, 즉 탱크 캡(21)보다 전방쪽 부분에 배치된다.
플로어 지지부(2c)에 지지되는 스텝 플로어(12)는 이 연료 탱크(18)를 덮도록 배치되고, 그 중앙부에 형성된 상방 융기부(12a) 내에, 탱크 캡(21)이나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탱크(18)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료 공급 유닛(22)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연료 공급 유닛(22)은,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를 퍼 올리기 위해 그 연료 오일중에 침전 배치되는 전동식 연료 펌프(25), 이 연료 펌프(25)의 흡입구(25a)에 접속되는 연료 스트레이너(26), 연료 펌프(25)의 토출구(25b)에 연통하는 연료 필터(27), 연료 펌프(25)의 토출압을 조정하는 압력 레귤레이터(28), 연료 잔량 센서(29), 연료 펌프(25)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펌프 홀더(30), 이 펌프 홀더(30)를 지지하면서 연료 탱크(18)의 천정벽(18b)에 부착되는 지지 브라켓(31), 및 이 지지 브라켓(31) 및 펌프 홀더(30) 사이에서 유지되어 연료 필터(27)를 수용하는 필터 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를 차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지지 브라켓(31)은 합성수지제이며 원판형상인 부착 플랜지(35)와, 이 부착 플랜지(35)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료 출구통(36)과, 부착 플랜지(35)의 하면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도시 예에서는 1쌍)의 제1 지지 아암(37, 37)과, 부착 플랜지(35)의 하면에 몰드 결합되는 강판제의 복수(도시 예에서는 1쌍)의 제2 지지 아암(38, 38)을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 출구통(36)에는 그 상방으로부터 엘보우 형상의 연료 취출관(39)이 조인트(4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 플랜지(35)의 하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고리 형상의 시일 홈(41)이 형성되고, 이것에 시일 부재(42)가 장착된다.
한편, 연료 탱크(18)의 천정벽(18b)에는, 연료 탱크(18)의 전후 방향 중심선(Y)으로부터 좌우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A)만큼 오프셋한 부분에서, 상기 고리 형상 시일 홈(41)보다 작은 직경의 개구부(4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43)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얕은 오목부(44)가 천정벽(18b)의 상면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4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크 클로(claw)(45, 45…)를 갖는 고리 형상체가 천정벽(18b)에 용접된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지지 아암(37, 38)을 개구부(43)에 삽입하면서 부착 플랜지(35)를 오목부(44)에 수납하고, 부착 플랜지(35)의 상면을 가압하는 로크 링(46)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로크 링(46)의 복수의 걸어 맞춤부(46a, 46a…)에 로크 클로(45, 45…)가 걸어 맞춰져, 시일 부재(42)를 천정벽(18b)에 밀착시키면서 부착 플랜지(35)를 연료 탱크(18)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고, 개구부(43)를 폐쇄할 수 있다.
도 9에 명시한 바와 같이, 부착 플랜지(35)가 연료 탱크(18)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었을 때, 연료 출구통(36)은 상기 플랜지(35)의 중심선으로부터, 연료 탱크(18)의 상기 중심선(Y)에 대한 개구부(43)의 오프셋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B)만큼 오프셋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1 지지 아암(37, 37)은 연료 출구통(36)을 둘러싸는, 그것과의 동심원(E) 상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 복수의 제2 지지 아암(38, 38)은 제1 지지 아암(37, 37)의 외측을 통과하는, 부착 플랜지(35)와의 동심원(F) 상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제1 및 제2 지지 아암(37, 38)에는 걸림구멍(37a, 38a)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4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취출관(39) 외주면의 고리형상 돌기(48)에 걸리는 합성수지제의 탄성 통형상부(49)와, 이 통형상부(49)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1쌍의 손잡이부(50, 50)와, 이들 손잡이부(50, 50)에 근접하여 통형상부(49)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되는 걸림 클로(61, 61)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 연료 출구통(36)의 상부에는 걸림 클로(61, 61)에 대응하는 1쌍의 걸림구멍(62, 62)이 형성되고, 또 연료 출구통(36)의 내주에는 고리형상의 시일 부재(63)가 장착된다. 연료 취출관(39)을 연료 출구통(36) 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면, 연료 취출관(39)의 선단부 외주면이 시일 부재(63)에 밀접하는 동시에, 연료 출구통(36) 내에 끼워 설치된 조인트(40)의 걸림 클로(61, 61)가 연료 출구통(36)의 걸림구멍(62, 62)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연료 취출관(39)은 연료 출구통(36)에 결합된다. 손잡이부(50, 50)를 반경방향 내방으로 눌러서 줄이면, 걸림 클로(61, 61)가 걸림구멍(62, 62)으로부터 이탈하므로, 연료 취출관(39)의 연료 출구통(36)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연료 필터(27)를 수용하는 필터 하우징(32)은, 상단면에 상부 연통 통(65)을 일체로 형성한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반체(32a)와, 하단면에 하부 연통 통(66)을 일체로 갖고 상부 하우징 반체(32a)와 용착되는 하부 하우징 반체(32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우징 반체(32a)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지지 아암(37, 37)의 걸림구멍(37a, 37a)에 대응한 복수의 걸림 클로(67, 67)가 돌출 설치된다. 상부 연통 통(65)은 상기 연료 출구통(36)의 하단부 외주면에 시일 부재(71)를 통해 끼워맞춰지고, 그와 동시에 걸림 클로(67, 67)가 제1 지지 아암(37, 37)의 걸림구멍(37a, 37a)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필터 하우징(32) 내의 연료 필터(27)는 중공 원통형상의 필터 엘러먼트(68)의 양단면에, 상부 및 하부 단판(端板)(69, 70)을 접합하여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단판(69, 70)에는 필터 엘러먼트(68)측으로 파인 오목부(69a, 70a)가 형성되고, 또 하부 단판(70)에는 그 오목부(70a)에서 내외를 연통하는 통과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단판(69)의 오목부(69a)에는 상기 연료 출구통(36)에 조인트(40)를 통해 결합된 연료 취출관(39)의 내단이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연료 필터(27)는 하부 하우징 반체(32b)의 바닥면과, 상부 하우징 반체(32a)의 천정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줄의 리브(74, 74…)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하부 연통 통(66)으로부터 통과구멍(73)을 통해 필터 엘러먼트(68) 내로 유입한 연료는, 필터 엘러먼트(68)를 반경 방향 외방으로 통과하고, 복수의 리브(74, 74…)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연료 통로를 거쳐, 연료 취출관(39)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부 단판(69)에는, 연료 출구통(36)에 결합된 연료 취출관(39)의 내단이 향하는 오목부(69a)가 존재함으로써, 연료 취출관(39) 및 연료 필터(27) 사이의 연료 통로를 줄이지 않고, 그들을 상호 근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홀더(30)는 원통형상의 전동식 연료 펌프(25)를 수용, 유지하는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인 펌프 유지통(75)과, 이 펌프 유지통(75)의 일단부에 연이어지는 플랜지부(76)와, 이 플랜지부(76)로부터 상기 제2지지 아암(38, 38)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도시 예에서는 1쌍)의 연결 아암(77, 77)을 구비하고 있다. 그들 연결 아암(77, 77)을 상기 제2 지지 아암(38, 38)의 내측면에 삽입하면서, 연결 아암(77)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 클로(77a, 77a)를 제2 지지 아암(38, 38)의 걸림구멍(38a, 38a)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지지 브라켓(31) 및 펌프 홀더(30)는 상호 연결된다.
펌프 홀더(30)의 플랜지부(76) 상면에는, 연료 펌프(25)의 토출구(25b)에 연이어지는 연통로(80)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에 필터 하우징(32)의 하부 연통 통(66)이 시일 부재(72)를 통해 끼워 설치되고, 연료 펌프(25)의 토출 연료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펌프(25) 및 연료 필터(27) 사이의 연통로(80)를 짧게 할 수 있어, 압력 손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펌프 유지통(75)은 플랜지부(76)의 일측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그것에 유지되는 전동식 연료 펌프(25)도 동일한 자세를 취하게 되어, 연료 공급 유닛(22)은 전체적으로 L자형상을 이룬다. 또, 펌프 유지 통(75)은 도 4에 명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그 축선이 연료 출구통(36)과 마찬가지로, 부착 플랜지(35)의 중심선으로부터 거리 B만큼 연료 탱크(18)의 전후방향 중심선(Y)으로부터 좌우 일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오프셋하여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스트레이너(26)는 연료 펌프(25)의 후단으로 개구하는 흡입구(25a)에 접속된다. 이 연료 스트레이너(26)는 펌프 유지 통(75)의 외주에 부착되어 상면을 개방한 터뷸런스 소거 상자(82)에 수용된다. 이 터뷸런스 소거 상자(82)는 연료 탱크(18)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연료 펌프(25)의 흡입구(25a)의 개구측과 반대의 전부에 입구(82a)를 갖고 있으며, 이 입구(82a)의 일측으로부터 터뷸런스 소거 상자(82)의 후벽 근방까지 이어지는 미로벽(83)이 터뷸런스 소거 상자(82)의 바닥부에 세워 설치되고, 입구(82a)에 진입한 연료가 감쇠되어 연료 펌프(25)에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7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32)의 하부 하우징 반체(32b)의 바닥부에는, 그 내부와 연통하는 상부 지지통(85)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상부 지지통(85)의 외주면에 상단부를 끼워맞추는 하부 지지통(86)이 펌프 홀더(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지지통(85, 86)에 원통형상의 압력 레귤레이터(28)가 하방으로부터 장착된다. 그 때, 양 지지통(85, 86) 및 압력 레귤레이터(28)는 그 축선이 부착 플랜지(35)의 중심에 대해, 연료 출구통(36)의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에 소정 거리 C만큼 오프셋하여 배치된다. 이 압력 레귤레이터(28)는 필터 하우징(32) 내의 압력, 즉 연료 펌프(25)의 토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 그 과잉분의 연료를 하방으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연료 펌프(25)는 이 압력 레귤레이터(28)와 대략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연료 잔량 센서(29)는 펌프 유지통(75)의 일측벽에 부착되는 센서 하우징(90)과, 이 센서 하우징(9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차량 후방으로 이어지는 플로우트 지지 아암(91)과, 이 플로우트 지지 아암(91)의 선단부(91a)에 부설된 플로우트(92)와, 센서 하우징(90) 내에 수납되어 플로우트 지지 아암(91)의 회전 각도를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 잔량으로서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포텐션 미터(93)로 구성된다. 그 때, 센서 하우징(90)은 펌프 유지통(75)의 부착 플랜지(35) 중심에 대한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 측벽에 부착된다. 또, 플로우트 지지 아암(91)은 센서 하우징(90)의 외측벽을 나와 바로 후방으로 굴곡하여 이어지고, 선단부(91a)를 펌프 유지통(75)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지도록 L자형상으로 굴곡하고 있으며, 이 선단부(91a)에 그 굴곡 방향으로 긴 플로우트(92)가 부설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부착 플랜지(35)에는, 그 중심선으로부터 연료 출구통(36)과 반대 방향으로 오프셋한 부분에서, 해당 플랜지(35)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및 제2 배선 커플러(95, 96)가 상호 인접하여 형성되고, 게다가 양 배선 커플러(95, 96)의 내단부는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28)의 상방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양 배선 커플러(95, 96)는 그들을 상하로 관통하는 접속 단자(97, 9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동식 연료 펌프(25) 및 연료 잔량 센서(29)에 접속되는 리드선의 커넥터(도시 생략)가 제1 및 제2 배선 커플러(95, 96)의 하부에 접속되고, 그들 배선 커플러(95, 96)의 상부에는 전원 스위치나 연료 잔량 인디케이터에 연이어지는 외부 배선 커플러(도시 생략)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연료 출구통(36), 필터 하우징(32), 상부 및 하부 지지통(85, 86)은 연료 탱크(18)의 개구부(43)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43)의 투영면의 범위에 배치된다.
또, 도 2 및 도 10에서, 상기 엔진(9)의 실린더부(9a) 상면에는, 그것의 흡기 포트(100)에 이어지는 흡기로(101)를 갖는 흡기로 부재(102)가 볼트 결합된다. 이 흡기로 부재(102)에는 흡기 포트(100)의 하류측을 향해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103)가 부착되고, 그 연료 입구가 개구하는 상단부에 캡형상의 연료 커넥터(105)가 끼워 설치된다. 연료 커넥터(105)는 그 후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테이(105a)가 볼트(106)로 흡기로 부재(102)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 부착된다. 또, 연료 커넥터(105)는 차량 후방 또는 비스듬한 후방으로 돌출하는 접속관(105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속관(105b)과 상기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취출관(39)에 가요성 연료 도관(107)의 양단이 견고하게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연료 도관(107)은 차량 취출관(39)으로부터 탱크 캡(21)의 측방을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으로 직선형상으로 길게 이어지는 동시에, 일단 연료 커넥터(105)의 위치를 후방으로 통과한 후에 U턴을 하여, 연료 취출관(39)에 달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연료 공급 유닛(22)의 조립에 있어서는, 먼저 펌프 홀더(30)에, 연료 펌프(25), 연료 스트레이너(26), 압력 레귤레이터(28) 및 연료 잔량 센서(29)를 장착하는 한편, 지지 브라켓(31)의 1쌍의 제1 지지 아암(37, 37) 사이에 필터 하우징(32)을 장착한다. 그리고, 1쌍의 제2 지지 아암(38, 38)의 내측에 펌프 홀더(30)의 1쌍의 연결 아암(77, 77)을 삽입하면, 제2 지지 아암(38, 38)의 걸림구멍(38a, 38a)에 연결 아암(77)의 걸림 클로(77a, 77a)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지지 브라켓(31) 및 펌프 홀더(30)를 상호 결합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필터 하우징(32)을 끼울 수 있다. 이렇게 지지 브라켓(31) 및 펌프 홀더(30)의 결합에는 특별한 고정부착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연료 공급 유닛(22)의 조립성은 극히 양호하다.
조립을 완료한 연료 공급 유닛(22)은 연료 탱크(18)의 천정벽(18b)의 개구부(43)에 펌프 유지통(75)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펌프 유지통(75)을 연료 탱크(18)의 후측벽을 향해 연료 스트레이너(26)를 연료 탱크(18)의 바닥벽 상에 설치한다. 이 때, 지지 브라켓(31)의 부착 플랜지(35)는 연료 탱크(18) 상면의 오목부(44)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는 로크 링(46)을 로크 클로(45, 45…)에 걸어 맞춰 지지 브라켓(31)을 고정하고, 개구부(43)를 폐쇄한다.
한편, 연료 도관(107)의 양단에는 미리 연료 커넥터(105)의 접속관(105b) 및 연료 취출관(39)을 각각 접속해 둔다. 그리고, 먼저 연료 커넥터(105)를 엔진(9)의 연료 분사 밸브(103)에 끼워 설치하는 동시에, 흡기로 부재(102)의 정해진 위치에 볼트(106)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연료 커넥터(105)가 볼트(106)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 그 접속관(105b)은 소정의 후방 또는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므로, 연료 취출관(39)을 전방으로 인출하면서 연료 도관(107)을 탱크 캡(21)의 측방에 배치하면, 연료 도관(107)의 후부에는 소정의 U턴부가 자연히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연료 취출관(39)을 먼저 연료 탱크(18)에 부착한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출구통(36)에 조인트(40)를 통해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연료 도관(107)은 위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료 도관(107)은 탱크 캡(21)의 전방 위치의 연료 취출관(39)으로부터 탱크 캡(21) 측방을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으로 유도되고, 곡률반경이 큰 이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굽어져 연료 분사 밸브(103)로 향함으로써, 그 유로 저항을 내리는 동시에,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그리고 파워 유닛(6)의 상하 요동시에도 연료 도관(107)의 휨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그 내구성 확보상에서 유리해진다.
또 조립시에는 상기와 같이 조인트(40)를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출구통(36)으로부터 떼어내 둠으로써, 연료 도관(107)의 연료 분사 밸브(103)로의 접속과 배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연료 공급 유닛(22)의 유지 보수도 연료 도관(107)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연료 취출관(39)의 연료 공급 유닛(22)으로의 접속은 조인트(40)를 통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연료 공급 유닛(22)에서는 연료 출구통(36)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연료 필터(27)의 상부 단판(29)이, 연료 취출관(39)의 내단을 향하게 하는 오목부(69a)를 가지므로, 연료 취출관(39)의 연료 필터(27)로의 근접 배치도 가능해지고, 연료 취출관(39)의 연료 탱크(18) 상방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켜, 연료 도관(107)의 스텝 플로어(12)와의 간섭 회피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엔진(9)의 운전중, 연료 펌프(25)는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를 연료 스트레이너(26)를 통해 흡입하여 연료 필터(27)로 토출한다. 그 연료는 연료 필터(27)에서 여과된 후, 연료 취출관(39), 연료 도관(107), 및 연료 커넥터(105)를 차례로 거쳐 연료 분사 밸브(103)에 공급된다. 그 동안, 연료 펌프(25)의 토출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압력 레귤레이터(28)가 작동하여 잉여 압력의 연료를 연료 탱크(18) 내로 직접 방출한다. 따라서, 압력 레귤레이터(28)에는 연료 탱크(18)로의 특별한 연료 누설관을 접속할 필요가 없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연료 공급 유닛(22)은 연료 필터(27)를 세로로 두고, 연료 펌프(25)를 가로로 두고, 또한 이 연료 펌프(25)를 연료 필터(27)의 일측 하방에 배치되는 압력 레귤레이터(28)와 동일 높이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전체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스텝 플로어(12)의 하방에 배치되는 편평형의 연료 탱크(18)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하로 나열되는 연료 출구통(36) 및 필터 하우징(32)과, 상하로 배치되는 배선 커플러(95, 96) 및 압력 레귤레이터(28)는, 부착 플랜지(35)의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므로, 또 연료 펌프(25) 및 연료 잔량 센서(29)도, 부착 센서(35)의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므로,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탱크(18)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부착 플랜지(35)의 소직경화, 나아가서는 연료 탱크(18)의 개구부(43)의 소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어, 연료 탱크(18)의 비교적 좁은 천정벽(18b)에서도 연료 공급 유닛(22)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 부착 플랜지(35)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료 공급 유닛(22)의 부착 플랜지(35)가 연료 탱크(18)의 전후 방향 중심선(Y)으로부터 좌우 일측방으로 오프셋한 부분에 고정되는 동시에, 연료 출구통(36)이 부착 플랜지(35)의 중심선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게다가 펌프 유지통(75)의, 상기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의 측벽에 연료 잔량 센서(29)가 부착되고, 또한 해당 센서(29)의 플로우트 지지 아암(91)의 선단부가 상기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으로 L자형상으로 굴곡하여 플로우트(92)를 지지하므로, 상기 플로우트(92)는 연료 탱크(18)의 전후 방향 중심선에 근접하여 배치되게 되어, 해당 플로우트(92)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긴 것과 더불어, 자동 이륜차(1)의 롤링에 의한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 오일면의 변동의 영향을 받기 힘들어,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 잔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스텝 플로어의 후방의 몸체 프레임에, 실린더부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을 갖는 파워 유닛을 상하 방향 요동 가능하게 매다는 동시에, 이 파워 유닛의 후단부에, 그것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을 축지지하고, 또 파워 유닛의 상방에 수하물 박스 및 승차자용 시트를 배치하고, 스텝 플로어의 바로 아래에, 천정벽에 급유구를 갖는 연료 탱크를 배치한 소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을, 연료 탱크의, 급유구보다 차량 전방의 전부에 설치하고, 이 연료 출구통과 엔진의 연료 분사 밸브 사이를, 급유구의 측방을 통과하는 가요성의 연료 도관에 의해 접속했으므로, 연료 도관은, 급유구의 전방 위치의 연료 취출관으로부터 급유구의 측방을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으로 유도되고, 곡률반경이 큰 이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굽어져, 연료 분사 밸브로 향함으로써, 그 유로 저항을 내리는 동시에,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파워 유닛의 상하 요동시에도 연료 도관의 휨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에는, 엔진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연료 커넥터를 장착하고, 이 연료 커넥터에 고정 설치되어 연료 분사 밸브에 연통하는 접속관에 상기 연료 도관을 접속했으므로, 연료 분사 밸브에 장착된 연료 커넥터로의 연료 도관의 접속 방향이 일정하여, 연료 도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그 배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연료 탱크 내의 연료 공급 유닛에는, 연료 출구통측으로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와, 이 연료 펌프의 토출 압력의 과잉분을 내보내는 압력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므로, 압력 레귤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그대로 연료 탱크로 되돌려 보낼 수 있어, 연료 누설을 위한 특별한 배관이 불필요해져 구성의 간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에는, 연료 도관에 접속한 연료 취출관을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했으므로, 연료 취출관을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출구통으로부터 떼내어 둠으로써, 연료 도관의 연료 분사 밸브로의 접속과 배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연료 공급 유닛의 유지 보수도 연료 도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연료 취출관의 연료 공급 유닛으로의 접속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연료 공급 유닛에는, 연료 펌프의 토출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를 연료 출구통의 내단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이 연료 필터의 상부 단판에, 연료 취출관의 내단이 향하는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연료 취출관의 연료 필터로의 근접 배치가 가능해져, 연료 취출관의 연료 탱크 상방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켜, 연료 도관의 스텝 플로어와의 간섭 회피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 화살표 방향에서 투시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연료 공급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연료 공급 유닛의 연료 탱크로의 부착 구조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10-10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차량(자동 이륜차) 2 … 몸체 프레임
3r … 후륜 6 … 파워 유닛
9 … 엔진 9a … 실린더부
12 … 스텝 플로어 15 … 수하물 박스
16 … 승차자용 시트 18 … 연료 탱크
18b … 천정벽 20 … 급유구
22 … 연료 공급 유닛 25 … 연료 펌프
27 … 연료 필터 28 … 압력 레귤레이터
36a … 연료 출구통 39 … 연료 취출관
40 … 조인트 69 … 연료 필터의 상부 단판
69a … 오목부 103 … 연료 분사 밸브
105 … 연료 커넥터

Claims (5)

  1. 스텝 플로어(12)의 후방의 몸체 프레임(2)에, 실린더부(9a)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한 엔진(9)을 갖는 파워 유닛(6)을 상하 방향 요동 가능하게 매다는 동시에, 이 파워 유닛(6)의 후단부에, 그것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3r)을 축지지하고, 또 파워 유닛(6)의 상방에 수하물 박스(15) 및 승차자용 시트(16)를 배치하고, 스텝 플로어(12)의 바로 아래에, 천정벽(18b)에 급유구(20)를 갖는 연료 탱크(18)를 배치한 소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 탱크(18) 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출구통(36)을, 연료 탱크(18)의 전후방향 중심선(Y)으로부터 좌우 일측방향으로 소정거리(A+B)만큼 오프셋시켜서, 연료탱크(18)의 급유구(20)보다 차량 전방쪽 부분에 설치하고,
    엔진(9)의 연료 분사 밸브(103)에는, 엔진(9)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연료 커넥터(105)를, 이 연료 커넥터(105)의 접속관(105b)이 차량의 후방 또는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도록 배설하며,
    연료 출구통(36)과 엔진(9)의 연료 분사 밸브(103) 사이를, 연료 출구통(36)의 오프셋된 연료탱크(18)의 일측을, 급유구(20)의 측방을 통과하면서 차량의 후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한 후, U턴부를 형성하여 커넥터(105)의 접속관(105b)으로 인도되는 가요성의 연료도관(107)에 의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료 탱크(18) 내의 연료 공급 유닛(22)에는, 연료 출구통(36)측으로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25)와, 이 연료 펌프(25)의 토출 압력의 과잉분을 내보내는 압력 레귤레이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유닛(22)의 연료 출구통(36)에는, 연료 도관(107)에 접속한 연료 취출관(39)을 조인트(4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유닛(22)에는, 연료 펌프(25)의 토출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27)를 연료 출구통(36)의 내단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이 연료 필터(27)의 상부 단판(端板)(69)에, 연료 취출관(39)의 내단이 향하는 오목부(69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KR10-2002-0062246A 2001-10-16 2002-10-12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KR100504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8650A JP3943889B2 (ja) 2001-10-16 2001-10-16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JP-P-2001-00318650 2001-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48A KR20030031848A (ko) 2003-04-23
KR100504617B1 true KR100504617B1 (ko) 2005-08-03

Family

ID=1913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246A KR100504617B1 (ko) 2001-10-16 2002-10-12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943889B2 (ko)
KR (1) KR100504617B1 (ko)
CN (1) CN1219667C (ko)
ES (1) ES2228230B2 (ko)
IT (1) ITTO20020893A1 (ko)
TW (1) TW557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889B2 (ja) * 2001-10-16 2007-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3923420B2 (ja) * 2002-12-02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への燃料供給構造
JP4268001B2 (ja) * 2003-09-29 2009-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料配管構造
JP4367913B2 (ja) * 2003-09-30 2009-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JP2005163738A (ja) 2003-12-05 2005-06-23 Honda Motor Co Ltd 燃料用配管
ES2417313T3 (es) * 2004-01-27 2013-08-0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ehículo del tipo de montar a horcajadas
JP4613114B2 (ja) * 2005-08-26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ホース取付構造
KR100802719B1 (ko) * 2006-09-0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
JP2009067064A (ja) * 2006-09-13 2009-04-02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
KR101020362B1 (ko) * 2008-02-28 2011-03-0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101005942B1 (ko) * 2008-05-14 2011-01-06 (주)대건산업 굴착용 천공장치
ES2570157T3 (es) * 2009-09-15 2016-05-17 Honda Motor Co Ltd Vehículo eléctrico de dos o tres ruedas con una estructura especial de cableado
JP5632636B2 (ja) * 2010-03-31 2014-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の支持構造
KR101101911B1 (ko) * 2011-03-18 2012-01-02 (주)세종이엔씨 완충장치가 구비된 함마비트용 척, 이를 구비한 비트 조립체 및 함마 조립체
EP3224076B1 (en) 2014-11-28 2020-10-14 Volvo Truck Corporation A fuel storage system
CN105888902A (zh) * 2016-05-18 2016-08-24 赵静 一种摩托车汽油输送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6183A (ja) * 1991-01-23 1991-11-01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
JPH06294359A (ja) * 1993-10-13 1994-10-2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KR970062312A (ko) * 1996-02-14 1997-09-12 기타오카 다카시 연료공급장치
JPH10157682A (ja) * 1996-11-27 1998-06-16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ホースの接続構造
JP2001115919A (ja) * 1999-10-13 2001-04-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JP2003120450A (ja) * 2001-10-16 2003-04-23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989Y2 (ko) * 1981-01-27 1987-02-10
JP2615074B2 (ja) * 1987-09-19 1997-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流体ポンプ装置
JP2847440B2 (ja) * 1991-06-07 1999-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燃料ポンプ設置構造
EP0754483B1 (en) * 1995-02-03 2004-02-04 Denso Corporation Fil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6183A (ja) * 1991-01-23 1991-11-01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
JPH06294359A (ja) * 1993-10-13 1994-10-2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KR970062312A (ko) * 1996-02-14 1997-09-12 기타오카 다카시 연료공급장치
JPH10157682A (ja) * 1996-11-27 1998-06-16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における燃料ホースの接続構造
JP2001115919A (ja) * 1999-10-13 2001-04-2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JP2003120450A (ja) * 2001-10-16 2003-04-23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20893A1 (it) 2003-04-17
ES2228230B2 (es) 2006-06-01
TW557260B (en) 2003-10-11
KR20030031848A (ko) 2003-04-23
JP3943889B2 (ja) 2007-07-11
CN1219667C (zh) 2005-09-21
ES2228230A1 (es) 2005-04-01
CN1412428A (zh) 2003-04-23
JP2003120450A (ja)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617B1 (ko) 소형 차량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US6253790B1 (en) Fuel tank for motorcycle
CA2488607C (en) Fuel supply device
US7765990B2 (en) Device for delivering fuel from a tank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74513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燃料ポンプ取付構造及びその構造を搭載する車両
US9102231B2 (en) Wave suppression structure for fuel tank
JP4602192B2 (ja) クイック式コネクタ
US20120060799A1 (en) Vehicle fuel supply device
JP3908931B2 (ja) 小型車両用燃料供給ユニット
CN100549404C (zh) 燃料配管结构
JP4512104B2 (ja) 揺動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小型車両
JP5513271B2 (ja) 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3985957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6039668B2 (ja) 支持アームアセンブリ
JP4211980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2013181462A (ja) 鞍乗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6389228B2 (ja) フィラーネ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20453A (ja) 小型車両用燃料供給ユニット
MX2008003957A (es) Dispositivo de admision de aire para motor de vehiculo.
JP4602244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US10801445B2 (en) Evaporated fuel control device for saddled vehicle
JP6953344B2 (ja) 燃料タンク用蓋
US11125196B2 (en) Bottom mount fuel pump assembly
JP2002364477A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JP7461911B2 (ja) 作業車のマフラ装置及び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