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186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86B1
KR100500186B1 KR10-2001-0044716A KR20010044716A KR100500186B1 KR 100500186 B1 KR100500186 B1 KR 100500186B1 KR 20010044716 A KR20010044716 A KR 20010044716A KR 100500186 B1 KR100500186 B1 KR 10050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line
edge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503A (ko
Inventor
오나카에이이치
가토신이치
기타가와가츠미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24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40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89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67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78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61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신호라인(5) 중 상반분(上半分)의 우단부는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7)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에 접속되고, 하반분의 좌단부는 그 좌측에 설치된 인출선(7)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8B)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좌우방향의 법을 축소화할 수 있고, 또 주사신호라인(5)에 접속된 인출선(7)의 교점(7c)은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 및 좌측가장자리부(17a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인출선 (7)과 차광막(17)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시일재(3)로부터 용출하는 이온성불순물이 작용하여 인출선(7)을 부식하는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NON-DISPLAY AREA WITH REDUCED WIDTH}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나 이동전자기기 등에 매우 적당한 비표시영역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종래의 액티브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의 한 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액티브기판(101)과 해당 액티브기판(101)의 윗쪽에 위치하는 대향기판(102)이 대략 사각형테두리상의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서로 붙여지고, 시일재의 내측에 있어서의 양 기판(101,102)간에 액정(도시하지 않음)이 봉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액티브기판(101)의 우변부 및 하변부는 대향기판(10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하, 이들의 돌출부를 우변돌출부 (101a) 및 하변돌출부(101b)라 한다. 또 시일재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표시영역(103)의 외측의 액티브기판(101)의 4변의 측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액티브기판(101)상의 표시영역(103)에는 각각 대표적으로 각 1개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주지(周知)와 같이 복수의 주사신호라인(104) 및 복수의 데이터신호라인(105)이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양 라인(104, 105)의 각 교점근처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양 라인(104, 105)에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 박막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화소전극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주사신호라인(104)의 우단부는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106)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01)의 우변돌출부(101a)상에 탑재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반도체집적회로소자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 데이터신호라인 (105)의 하단부는 그 하측에 설치된 인출선(108)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01)의 하변돌출부(101b)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109)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인출선(106) 및 인출선(108)은 각각 양단의 2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반도체집적회로소자(107)는 주사신호라인(104)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것이고, 반도체집적회로소자(109)는 데이터신호라인(105)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액티브기판(101)의 하변부상의 우측에는 플렉시블배선기판(110)의 일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반도체집적회로소자(107, 109)의 입력측접속단자는 액티브기판(101)상의 각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배선을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1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와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특히, 액티브기판(101)의 우변돌출부(101a)상에 반도체집적회로소자(107)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표시영역(103)의 우측에 있어서의 비표시영역의 폭(Wr)이 좌측에 있어서의 비표시영역의 폭(W1)보다도 커지고,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형상이 비대칭으로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103)의 위치가 휴대전화본체(11)의 좌측으로 벗어나 디자인성에 결여되어 버린다. 또 액티브기판(101)의 좌우방향의 사이즈가 비교적 커지고, 나아가서는 휴대전화본체(100)의 좌우방향의 사이즈가 비교적 커져서 휴대성에 결여되어 버린다. 덧붙여서 액티브기판(101)의 우변돌출부(101a)의 폭은 5∼10㎜정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액정표시장치의 좌우 양방향에 있어서의 비표시영역의 폭을 작게하고, 액정표시장치 전체의 좌우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가 제공된다:
대향기판과,
복수의 주사신호라인, 해당 주사신호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신호라인 및 각각 대응하는 주사신호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인출선을 갖고, 상기 대향기판과 대향하는 면 및 상기 대향기판과 대향하지 않는 일측측부를 갖는 액티브기판과,
상기 액티브기판과 상기 대향기판을 접합하는 테두리상의 시일재와,
상기 액티브기판, 상기 대향기판 및 상기 시일재의 내부에 배치된 액정과,
상기 대향기판상에 형성되어 표시영역을 정의지우는 테두리상의 차광막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재는 상기 주사신호라인과 대략 수직인 한쌍의 변부를 갖고,
상기 인출선은 상기 시일재의 각 변부를 따라서 형성되며, 각각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일재의 변부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액티브기판의 일측부에 상기 데이터신호라인 및 상기 인출선에 접속된 반도체집적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요부의 등가회로적 투과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액티브기판(1)과 해당 액티브기판(1)의 윗쪽에 위치하는 대향기판(2)이 대략 사각형테두리상의 시일재(3)를 통하여 서로 붙여지고, 시일재 (3)의 내측에 있어서의 양 기판(1, 2)간에 액정(L)(도 5 참조)이 봉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액티브기판(1)의 하변부는 대향기판(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하. 이 돌출부를 하변돌출부(1a)라 한다. 또 시일재(3)는 도 1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표시영역(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티브기판(1)상의 표시영역(4)에는 복수의 주사신호라인(5) 및 복수의 데이터신호라인(6)이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연장하여, 즉 서로 직교하여 설치되어 있다. 양 라인(5, 6)의 각 교점근처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양 라인(5, 6)에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 박막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화소전극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주사신호라인(5)의 우단부는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7)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우측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의 출력측접속단자(주사신호단자)(9)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신호라인(6)의 하단부는 그 하측에 설치된 인출선(10)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좌측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의 출력측접속단자(데이터신호단자)(12)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인출선(7) 및 인출선(10)은 각각 양단(兩端)의 2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반도체집적회로소자(8)의 입력측접속단자(13)에는 외부접속단자(14)가 접속되어 있다. 반도체집적회로소자(8)는 주사신호라인(5)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의 입력측접속단자(15)에는 외부접속단자(16)가 접속되어 있다.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는 데이터신호라인(6)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대향기판(2)의 하면에는 차광막(17), 컬러필터(도시하지 않음) 및 ITO 등의 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대향전극((18)(도 5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대향전극(18)은 대향기판(2)의 내면 전체에 고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17)은 대향전극(18)상에 형성되어 있고, 표시영역(4)의 바깥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둘레가장자리부(17a)와 주사신호라인(5) 및 데이터신호라인(6)에 대응하여 격자상으로 형성된 매트릭스부(17b)를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매트릭스부(17b)는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그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차광막(17)의 매트릭스부(17b)는 각 화소전극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고, 각 화소를 구성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R, G, B의 각 컬러필터는 각 화소에 대응하여 대향기판(2)과 대향전극(1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차광막(17)은 수㎜ 폭의 사각형테두리형상으로 되어 대향전극(18)상에 중합하여 해당 대향전극(18)과 동일전위로 되도록 되어 있다. 차광막(17)의 둘레가장자리부(17a)는 우측가장자리부(17a1), 좌측가장자리부(17a2), 상측가장자리부 (17a3) 및 하측가장자리부(17a4)를 갖고, 좌측가장자리부(17a2), 상측가장자리부 (17a3) 및 하측가장자리부(17a4)는(액정주입구 형성부(3a)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시일재(3)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며, 시일재(3) 폭의 내측에서 외측에 이르는 전체를 덮고 있다. 그러나,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는 그 외측가장자리 (17c)가 시일재(3)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시일재(3)와 겹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주사신호라인(5)의 우단부와 출력측접속단자(9)를 접속하는 인출선(7)의 일부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출선(7)은 주사신호라인(5)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연장부분(7a) 및 해당 연장부분(7a)에 직교하는 직교부분 (7b)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연장부분(7a)의 피치는 주사신호라인(5)의 피치와 같고, 직교부분(7b)의 피치는 주사신호라인(5)의 피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인출선(7)의 각 연장부분(7a)과 각 직교부분(7b)의 각 교점(7c)은 일부가 시일재(3)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고, 나머지부는 시일재(3)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연장부분(7a)과 각 직교부분(7b)의 각 교점(7c)은 전부 차광막 (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의 외측가장자리(17c)보다도 외측에 형성되고, 차광막 (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와 겹치는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인출선(7)의 각 연장부분(7a)과 각 직교부분(7b)의 각 교점(7c)을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와 겹치는 영역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림직한 이유를 설명한다.
인출선(7)의 연장부분(7a)과 직교부분(7b)이 직각으로 굴곡되는 교점(7c)이 차광막(17) 및 시일재(3)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사신호라인(5)과 동일전위로 되는 인출선(7)과, 대향전극(18)과 동일전위로 되는 차광막(17)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주사신호라인(5)은 순차 주사되기 때문에, 이 전위차에 의거하는 전계는 인출선(7)의 연장부분(7a)과 직교부분(7b)이 직각으로 굴곡되는 교점(7c)에 집중된다. 이로 인해 시일재(3)에 함유되는 이온성불순물이 용출하여 인출선(7)의 교점(7c)에 집중하고, 인출선(7)의 교점(7c)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인출선(7)의 각 연장부분(7a)과 각직교부분(7b)의 각 교점(7c)을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 및 시일재(3)와 겹치는 영역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면, 상기 주사신호라인(5)과 차광막(17)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는 인출선(7)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광막(17) 우측가장자리부(17a1)의 외측가장자리(17c)와 시일재 (3)의 간격(S)은 시일재(3)의 폭(Ws)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데, 이 간격(S)은 광누설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도록 이면 작게 할 필요가 있고, 통상 간격(S)은 0. 2㎜정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도 3은 도 2의 변형예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와 시일재(3) 차단의 간격(S) 내에 인출선(7)의 직교부분(7b)의 일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인출선(7)의 교점(7c)은 전부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에 겹쳐 있지 않다.
또 도 4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인출선(7)의 직교부분 (7b)의 일부는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에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영역에는 시일재(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시일재에 함유되는 이온성불순물에 기인하는 인출선(7)의 부식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는 시일재(3)와 겹쳐 있지 않고, 따라서 시일재(3)에 겹치는 영역에 형성된 인출선(7)에 부식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2, 도 3, 도 4에 있어서 인출선(7)의 갯수가 다른데, 이것은 도시의 형편상이다.
다음으로 도 5에 관한 설명을 덧붙인다.
액티브기판(1)과 대향기판(2)은 상술한 대로 대략 사각형테두리상의 시일재 (3)를 통하여 서로 붙여저 있다. 대향기판(2)의 내면에는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향전극(18)이 형성되고, 대향전극(18)상에는 둘레가장자리부(17a) 및 매트릭스부 (17b)(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차광막(17)이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기판 (1)상에는 주사신호라인(5)에 접속된 인출선(7)의 직교부(7b)가 형성되고, 그 상부는 패시베이션막(19)으로 피복되어 있다. 도시는 하지 않으나, 액티브기판(1)에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또 대향기판(2)의 대향전극(18)상 및 액티브기판 (1)상의 패시베이션막(19)상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재(3)의 내측에 있어서의 액티브기판(1) 및 대향기판(2)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둥상의 스페이서(20)가 개재되고, 시일재(3)의 내측에 있어서의 액티브기판(1)과 대향기판(2) 사이에 액정(L)이 봉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액티브기판(1)과 대향기판(2)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재(3)의 외측에 스페이서(20)와 동일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일재확산방지벽(21)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시일재(3)는 통상, 시일재재료를 디스펜서 등에 의해 묘화하여 형성하는 것인데, 묘화 때 시일재(3)의 폭 및 높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열압착에 의해 액티브기판(1)과 대향기판(2)을 서로 붙인 후에는 시일재(3)는 그 폭방향으로 약 0. 15㎜정도의 요철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대형기판을 절단하여 개개의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때, 이 시일재(3) 폭의 변화량만큼 액정표시장치의 폭이 커지고,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의 사이즈를 크게 한다. 시일재확산방지벽(21)은 액티브기판(1)과 대향기판(2)을 서로 붙일 때에 시일재(3)의 외측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폭칫수를 작게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둥상의 스페이서(20) 및 시일재확산방지벽(2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액티브기판(1)을 복수장 형성하기 위한 대형유리기판의 상면에 스핀코트법 등에 의해 수지막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이 경우, 수지막의 두께는 형성해야 할 기둥상의 스페이서(20)의 높이와 같은 두께로 한다. 다음으로, 수지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터닝함으로써 기둥상의 스페이서(20) 및 시일재확산방지벽(21)을 형성한다. 시일재확산방지벽(21)은 이 후에 형성하는 시일재(3)의 바깥둘레를 둘러싸는 사각형테두리상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20) 및 시일재확산방지벽(21)의 높이는 도포된 수지막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고, 균일하며, 예를 들면 약 5㎛이다. 또 포토리소그래피법은 미세패턴화가 가능하므로 한 예로서 스페이서(20)의 단면이 약 15㎛각으로 되도록 하고, 시일재확산방지벽(21)의 폭이 약 15㎛가 되도록 한다. 또한 시일재확산방지벽(21)의 형성위치는 대형유리기판의 절단라인에 되도록 이면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대형유리기판의 상면에 있어서 시일재확산방지벽(21)의 바로 내측에 시일재재료를 디스펜서법에 의해 묘화하고, 시일재(3)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대형유리기판과 대향기판(2)을 복수장 형성하기 위한 대형유리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시일재(3)를 통하여 열압착해서 서로 붙인다. 이 경우, 시일재(3)가 외측으로 향하여 유동하는 것을 시일재확산방지벽(21)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시일재(3)의 폭방향 외측이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 대형유리기판을 절단라인을 따라서 절단하면, 복수의 액정표시셀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액정표시셀에 액정(L)을 봉입하면 액정표시장치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시일재(3)가 외측으로 향하여 불필요하게 확산하는 것을 시일재확산방지벽(21)에 의하여 방지함으로써 시일재(3)의 폭방향 외측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일재(3)를 액티브기판(1) 및 대향기판(2)의 각 단(端)가장자리(대형유리기판의 절단라인)에 되도록 이면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여도 시일재(3)가 대형유리기판의 절단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시일재(3)의 형성위치를 대향기판(2)의 단가장자리부터 0. 15㎜ (150㎛) 이상 떨어진 위치로 하고 있었는데, 이 실시형태의 경우, 대향기판(2)의 단가장자리에 근접하는 위치에 폭 약 15㎛의 시일재확산방지벽(21)을 형성하고, 그 바로 내측에 시일재(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부의 폭을 최대 150-15=135㎛정도 작게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좌측에는 인출선(7)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액티브기판(1)도 대향기판(2)과 같은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폭칫수를 더욱 더 작게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선(7)을 액티브기판(1)의 우변부상에만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해도 좋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에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가 탑재되고, 그 좌우양측에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 및 8B)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신호라인(5) 중 상측의 약 1/2 것의 우단부는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7b1)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우측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의 출력측접속단자(9A)에 접속되어 있다. 주사신호라인(5) 중 하측의 약 1/2 것의 좌단부는 그 좌측에 설치된 인출선(7b2)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좌측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B)의 출력측접속단자((9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인출선(7b1) 및 인출선(7b2)은 각각 양단의 2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차광막(17)의 둘레가장자리부(17a)는 우측가장자리부(17a1) 및 좌측가장자리부(17a2)의 좌우양측에 있어서, 시일재(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우측의 인출선(7b1)의 교점(7c)은 차광막(17)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의 외측가장자리(17c)보다도 외측에 배치되고, 좌측의 인출선(7b2)의 교점(7c)은 차광막(17)의 좌측가장자리부(17a2)의 외측가장자리(17c)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에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를 탑재하고, 그 좌우양측에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 및 8B)를 탑재하여 주사신호라인(5)의 대략 반수씩을 각각 액티브기판(1)의 시일재(3)가 형성되는 측가장자리부에 적어도 일부가 해당 시일재(3)에 겹쳐서 형성된 인출선(7b1 및 7b2)을 통하여 좌우의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 및 8B)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액티브기판(1)의 시일재(3)보다 외측의 부분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액티브기판(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폭을 작게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막(17)을 수지로 형성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차광막(17)의 둘레가장자리부(17a)를 인출선(7b1 및 7b2)의 교점(7c) 및 시일재(3)에 겹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한 예로서 주사신호라인(5)의 갯수를 220개로 하고, 인출선(7b1 및 7b2)의 피치를 20㎛로 하면, 인출선(7b1 및 7b2)을 형성하는 데 요하는 폭은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바와 같이 2. 2㎜정도 이면 좋다.
220개 × 1/2 × 20㎛ = 2. 2㎜
이 경우, 시일재(3)의 폭은 1㎜정도이고, 인출선(7b1 및 7b2)의 일부를 이 시일재(3)의 밑에 설치하도록 하면 시일재(3)보다 외측의 칫수는 1. 2㎜이면 충분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실질적으로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또 좌우방향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23)을 휴대전화본체(24)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배치할 수 있어 디자인성을 좋게할 수 있고, 또 휴대전화본체(24)의 좌우방향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어 휴대성을 좋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예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차광막(17)의 둘레가장자리부(17a)에 있어서의 우측가장자리부(17a1)와 좌측가장자리부(17a2)와, 인출선(7b1 및 7b2)의 관계는 각각에 있어서 다른 변형예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부를 대향기판 (2)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이 하변돌출부(1a)상에 반도체집적회로소자를 탑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으나 액티브기판(1)의 우변부를 대향기판(2)으로부터 돌출시키며, 이 우변돌출부상에 반도체집적회로소자를 탑재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신호라인(6)에 접속된 인출선(10)에 교점이 형성되므로 대상으로 되는 인출선은 이 인출선(10)이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부에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11)를 탑재하고, 그 좌우에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8A 및 8B)를 탑재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집적회로소자로서 주사신호라인 및 데이터신호라인 양쪽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갖는 것을 이용하면 액티브기판(1)에 탑재되는 반도체집적회로소자는 1개로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데이터선구동용 및 주사선구동용의 1개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1)를 탑재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는 “41”은 반도체집적회로소자(31)에 접속되는 입력용단자(도시하지 않음)에 본딩된 플렉시블기판이다.
<제 4 실시형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부만을 대향기판(2)으로부터 돌출시킨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부 및 상변부를 대향기판(2)으로부터 돌출시키고,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부에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3)를 탑재하며, 상변돌출부 (1b)상의 중앙부에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4)를 탑재한 것이다.
이 경우, 주사신호라인(5) 중 상측의 약 1/2의 것은 그 우단부가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27a)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4)의 츨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주사신호라인(5) 중 하측의 약 1/2의 것은 그 좌단부가 그 좌측에 설치된 인출선(27b)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3)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데이터신호라인(6)의 하단부는 그 하측에 설치된 인출선(32)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33)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액티브기판(21)의 하변돌출부(1a)상 및 상변돌출부(1b)상의 각 우측에는 플렉시블배선기판(41A, 41B)의 각 일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3)의 입력측접속단자는 하변돌출부(1a)상에 설치된 배선을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41A)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반도체집적회로소자의 입력측접속단자는 상변돌출부(1b)상에 설치된 배선을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41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의 경우는 상변돌출부(1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상하방향의 사이즈가 커지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형상을 대칭으로 할 수 있고, 또 액정표시장치의 좌우방향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33)를 데이터선구동용으로만 했는데, 하변돌출부(1a)상에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와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를 탑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부에 데이터선구동용 반도체집적회로소자(35)를 탑재하고, 이 양측에 주사신호라인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6, 37)를 탑재하며, 상변돌출부(1b)상의 중앙부에 주사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8)를 탑재한 것이다.
이 경우, 주사신호라인(5) 중 하측의 약 1/2 중 상부의 약 1/2(전체의 약 1/4)의 것은 그 우단부가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28a)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6)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주사신호라인(5) 중 하측의 1/2 중 하부의 약 1/2의 것은 그 좌단부가 그 좌측에 설치된 인출선(30a)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7)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주사신호라인(5) 중 상측의 약 1/2 중 상부의 약 1/2의 것은 그 우단부가 그 우측에 설치된 인출선(28b)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8)의 출력측접속단자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주사신호라인(5) 중 상측의 약 1/2 중 하부의 약 1/2의 것은 그 좌단부가 그 좌측에 설치된 인출선(30b)을 통하여 반도체집적회로소자(38)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신호라인 (6)의 하단부는 그 하측에 설치된 인출선(32)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35)의 출력측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의 중앙부 및 상변돌출부(1b)상의 우측에는 플렉시블배선기판(41A, 41B)의 각 일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반도체집적회로소자(35, 36, 37)의 입력측접속단자는 하변돌출부(1a)상에 설치된 배선을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41A)에 접속되고, 반도체집적회로소자(38)의 입력측접속단자는 상변돌출부(1b)상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배선을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41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주사신호라인(5) 중 하측의 약 1/2을 인출선(28a, 30a)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36, 37)의 출력측접속단자에 접속하고, 주사신호라인(5) 중 상측의 약 1/2을 인출선(28a, 30a)을 통하여 액티브기판(1)의 상변돌출부(1b)상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소자(38)의 출력측접속단자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좌우방향의 사이즈를 보다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주사신호라인(5)의 갯수를 220개로 하고, 인출선(28a, 28b, 30a, 30b)의 피치를 20㎛로 하면, 인출선의 형성에 요하는 폭은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바와 같이 1. 1㎜정도 이면 좋다.
220개 × 1/4 × 20㎛ = 1. 1㎜
따라서, 거의 모든 인출선을 시일재의 밑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믈론 시일재의 외측에 인출선(28a, 30a, 28b, 30b)을 배치해도 좋고, 그 경우에도 액티브기판(1)의 좌우양측에 있어서의 비표시영역의 폭은 각각 2. 1㎜정도이면 좋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똑같이 액티브기판(1)의 하변돌출부(1a)상에 데이터선구동용 및 주사선구동용의 1개의 반도체집적회로소자를 탑재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2∼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사신호라인(5)을 1개 간격으로 우측의 인출선 및 좌측의 인출선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 주사선구동용 및 데이터선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는 반도체집적회로소자를 탑재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액티브기판(1)상에 직접, 형성한 박막트랜지스터로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표시영역이 모두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경우로 했는데, 일부를 캐릭터표시영역으로 해도 좋고, 그와 같은 표시형태 이외의 경우도 포함하며, 표시영역에 양측에 형성되는 인출선의 수는 균등하게 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기판의 행방향 중앙부를 표시영역으로 하고, 그 행방향 양측을 2개의 주사신호라인용의 인출선형성영역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2개의 인출선 형성영역의 폭을 같게 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형상을 대칭으로 할 수 있다. 또, 시일재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한쪽의 인출선의 교점이 차광막의 둘레가장자리부와 대향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일재로부터 용출하는 이온성불순물이 한쪽의 인출선의 교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시일재로부터 용출하는 이온성불순물에 기인하는 한쪽의 인출선의 교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요부의 등가회로적 투과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투과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적 투과평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를 탑재한 휴대전화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티브기판 1a: 하변돌출부
1b: 상변돌출부 2: 대향기판
3: 시일재 4: 표시영역
5: 주사신호라인 6: 데이터신호라인
7: 인출선 7a: 연장부분
7b, 7b1, 7b2, 27a, 27b, 28a, 28, 30a, 30b: 직교부분
7c: 교점
8, 8A, 8B, 11, 33, 34, 35, 36, 37, 38: 반도체집적회로소자
10, 32: 인출선 17: 차광막
17a: 둘레가장자리부 17a1: 우측가장자리부
17a2: 좌측가장자리부 17a3: 상측가장자리부
17a4: 하측가장자리부 17b: 매트릭스부
17c: 외측가장자리 18: 대향전극
19: 패시베이션막 20: 스페이서
21: 시일재확산방지벽 41, 41A, 41B: 플렉시블배선기판

Claims (16)

  1. 제 1 기판(2)과;
    상기 제 1 기판(2)에 대향하는 면을 갖고, 일변측에만 또는 상기 일변측과 해당 일변측에 대향하는 대향변측에만 상기 제 1 기판(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a, 1b)가 형성되고, 상기 일변측에 인접하는 인접변측은 상기 제 1 기판(2)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제 2 기판(1)과;
    상기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1)을 접합하는 테두리상의 시일재(3)와;
    상기 제 1 기판, 제 2 기판(1, 2) 및 시일재(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봉입된 액정(L)과;
    복수의 제 1 배선(6), 상기 제 1 배선(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배선(5) 및 상기 제 1 배선(6)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각각 교점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5)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며, 대응하는 제 2 배선(5)에 접속된 복수의 인출선(7b, 7b1, 7b2, 27a, 27b, 28a, 28b, 30a, 30b)과;
    상기 돌출부(1a, 1b)상에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6) 및 상기 복수의 인출선(7b, 7b1, 7b2, 27a, 27b, 28a, 28b, 30a, 30b)에 접속된 집적회로(8, 8A, 8B, 31)와;
    표시영역(4)을 정의지우는 테두리상의 차광막(17)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재(3)는 상기 제 1 배선(6)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인출선(7b, 7b1, 7b2, 27a, 27b, 28a, 28b, 30a, 30b)은 상기 시일재(3)의 제 1 변부를 따라서 연장 돌출되며, 적어도 그 일부는 상기 시일재(3)의 제 1 변부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인출선(7b, 7b1, 7b2, 27a, 27b, 28a, 28b, 30a, 30b)의 상기 교점(7c)은 상기 차광막(17)과는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7)의 바깥가장자리는 상기 시일재(3)의 제 1 변부로부터 0. 2㎜ 이하의 틈으로 이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재(3)의 외측에 시일재확산방지벽(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2) 및 상기 제 2 기판(1)간에 스페이서(20)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시일재확산방지벽(21)과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재(3)는 상기 제 1 변부와 대향하는 측에 해당 변부와 대략 평행한 제 2 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인출선(7b2, 27b, 30a, 30b)은 그 일부가 상기 시일재(3)의 제 2 변부를 따라서 연장 돌출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일재(3)의 제 2 변부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1-0044716A 2000-07-26 2001-07-25 액정표시장치 KR100500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4797A JP2002040461A (ja) 2000-07-26 2000-07-26 液晶表示装置
JPJP-P-2000-00224797 2000-07-26
JP2000289986A JP3896780B2 (ja) 2000-09-25 2000-09-25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0-00289986 2000-09-25
JPJP-P-2001-00037808 2001-02-15
JP2001037808A JP3786180B2 (ja) 2001-02-15 2001-02-15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503A KR20020010503A (ko) 2002-02-04
KR100500186B1 true KR100500186B1 (ko) 2005-07-14

Family

ID=2734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716A KR100500186B1 (ko) 2000-07-26 2001-07-2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47724B2 (ko)
EP (1) EP1176456A3 (ko)
KR (1) KR100500186B1 (ko)
CN (1) CN1170194C (ko)
HK (1) HK1043204A1 (ko)
TW (1) TWI3005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720B2 (en) 2016-04-0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reliable pa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304B2 (ja) * 2001-08-09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パネル、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7295280B2 (en) * 2001-09-03 2007-11-13 Hannstar Displa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one drop fil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959253B2 (ja) * 2001-10-02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型表示装置
US6791660B1 (en) * 2002-02-12 2004-09-1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KR100885840B1 (ko) * 2002-03-23 2009-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셀갭의 보정이 가능한 액정패널구조
JP4006284B2 (ja) * 2002-07-17 2007-11-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US7050131B2 (en) * 2002-10-17 2006-05-23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black seal pattern and external resin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956550B2 (en) * 2003-02-05 2005-10-18 Giantplus Technology Co., Ltd. Drive module of liquid crystal panel
US20040174488A1 (en) * 2003-03-07 2004-09-09 Shang-Kung Tsai Symmetric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665247B2 (en) * 2003-05-30 2014-03-04 Global Oled Technology Llc Flexible display
TWI306520B (en) * 2003-06-09 2009-0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Seal c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peripheral circuits thereof
KR20050005881A (ko) * 2003-07-07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297840C (zh) * 2004-03-25 2007-01-3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器的导线结构
KR100752950B1 (ko) * 2004-04-30 2007-08-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씨오티구조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313383B (en) 2004-05-28 2009-08-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1188081B (zh) * 2005-06-13 2010-09-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移动信息装置及其具有窄边框的显示器
KR100759667B1 (ko) * 2006-01-2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9666B1 (ko) 2006-01-2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8792B1 (ko) 2006-01-2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5352403B2 (ja) * 2009-09-29 2013-11-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21283B2 (ja) * 2010-03-12 2014-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107174B1 (ko) * 2010-03-23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971679B2 (ja) 2011-11-21 2016-08-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116882B2 (ja) * 2012-12-10 2017-04-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37644A (zh) * 2017-06-05 2017-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母板及其制作方法、显示基板、面板及装置
JP2020160321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4761868A (zh) 2019-11-29 2022-07-15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11A (ja) * 1992-07-15 1994-03-25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214241A (ja) * 1993-01-18 1994-08-05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08234215A (ja) * 1995-02-28 1996-09-13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970007446A (ko) * 1995-07-10 1997-02-21 다까노 야스아끼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H10161136A (ja) * 1996-12-05 1998-06-1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11608A (en) * 1997-03-27 2000-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erein inorganic film is formed over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overlying wirings extending across seal are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147A (en) * 1965-05-21 1969-10-14 Bliss Co Traffic actuated control system having a control unit for each traffic phase
JP2600929B2 (ja) 1989-01-27 1997-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53549B2 (ja) 1994-06-21 1998-05-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デバイス
JPH08297286A (ja) * 1995-04-26 1996-11-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
US5680192A (en) 1995-06-23 1997-10-21 Garmi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isplay device with enlarged viewing area and single-sided driver connection
TW505801B (en) 1995-10-12 2002-10-1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ructure prevented from charging with electricity
US5831710A (en) * 1997-02-06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US6078379A (en) 1997-06-13 2000-06-2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eal material and spacer made of resist
TW475078B (en) * 1997-09-30 2002-02-01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223829A (ja) * 1998-02-09 1999-08-1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
TW561292B (en) * 1998-04-01 2003-11-11 Seiko Epson Corp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407783B1 (en) * 1998-04-07 2002-06-18 Optrex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11A (ja) * 1992-07-15 1994-03-25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214241A (ja) * 1993-01-18 1994-08-05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08234215A (ja) * 1995-02-28 1996-09-13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970007446A (ko) * 1995-07-10 1997-02-21 다까노 야스아끼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H10161136A (ja) * 1996-12-05 1998-06-1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11608A (en) * 1997-03-27 2000-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erein inorganic film is formed over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overlying wirings extending across seal ar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720B2 (en) 2016-04-0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reliable pads
US11138919B2 (en) 2016-04-05 2021-10-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reliable p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6456A3 (en) 2003-06-04
CN1334479A (zh) 2002-02-06
CN1170194C (zh) 2004-10-06
US20020030784A1 (en) 2002-03-14
EP1176456A2 (en) 2002-01-30
HK1043204A1 (zh) 2002-09-06
US6747724B2 (en) 2004-06-08
KR20020010503A (ko) 2002-02-04
TWI300506B (en)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186B1 (ko) 액정표시장치
US8125601B2 (en) Upp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34524B1 (ko)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7286202B2 (en) Imag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ing particular internal wiring structure
JP4553401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10066420A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 방법
JP2002151699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2090721A (ja) 電気光学装置用素子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
KR10081375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JP4074695B2 (ja) 液晶表示装置
JP4370806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6372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429429B1 (ko)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4275937B2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1120B2 (ja) 液晶表示装置
JP3365305B2 (ja) 半導体チップ、その実装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78618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864410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KR100670047B1 (ko) 광차단막을 가지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1016110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77835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3179A (ko) 센서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070743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506899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1631A (ko) 액정표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30

Effective date: 200505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