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79B1 -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679B1
KR100497679B1 KR1020040101708A KR20040101708A KR100497679B1 KR 100497679 B1 KR100497679 B1 KR 100497679B1 KR 1020040101708 A KR1020040101708 A KR 1020040101708A KR 20040101708 A KR20040101708 A KR 20040101708A KR 100497679 B1 KR100497679 B1 KR 10049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rley
dough
bread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일
Original Assignee
손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일 filed Critical 손정일
Priority to KR10200401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찰보리빵 샌드위치는 찰보리분 25∼30중량%, 우유 13∼18중량%,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소다 0.1∼0.5중량%, 정종 1∼3중량%, 식염 0.3∼0.8중량%, 물 13∼18중량%로 이루어진 직경 6.5∼7.5cm 크기의 구운면이 표면을 이루는 두 개의 찰보리빵 사이에 팥앙금 3∼5g을 개재시켜서 이루어지고, 그 제조방법은 계란, 황설탕, 물을 교반기에서 10∼20분간 1차 교반한 후, 찰보리분, 고구마전분, 베이킹 파우다 , 식염, 소다%, 우유, 정종을 차례대로 교반기에 넣고 5∼10분간 2차 교반하여 슬러리 반죽을 만드는 반죽생성공정과, 완성된 슬러리 반죽을 굽는 열판기의 노즐에 투입후 노즐을 통해 15∼20g의 슬러리 반죽을 열판기 위에 분출시키는 반죽공급공정과, 압착식 일면 열판기에서 160∼180℃에서 2∼5분간 분출된 슬러리 반죽을 눌러서 굽는 반죽굽기공정과, 일면이 구워진 직경 6.5∼7.5cm 크기의 찰보리빵을 실온까지 식힌 후 찰보리빵의 한쪽 비가열면에 팥앙금 3∼5g을 바른 후 다른 찰보리빵의 비가열면을 포개어 겹치는 샌드위치공정과, 각각 찰보리빵 샌드위치를 포장하는 소포장 공정 후 단위 개수별 상자에 담는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A glutinous barley bread sandwich and the baking method}
본 발명은 국산 찰보리 가루를 주재료로 한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리의 식이섬유인 베타 글루칸(β-glucan) 및 아밀로 팩틴을 다량 함유하여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높고 찰기가 뛰어난 국내산 찰보리를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유, 계란 등 부재료를 혼합하여 빵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두개의 빵사이에 국산 팥앙금을 적당량 개재시켜서 제조되는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빵류는 대부분 수입 밀가루가 주성분으로, 여기에 우유, 설탕, 계란 등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반죽 후 오븐에 굽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밀가루빵류는 많이 먹을 경우 쉽게 질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가루빵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산 보리를 이용한 빵의 개발은 거의 미미한 상태인데, 전통적으로 솥에 찌는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이는 보리쌀이 찰기가 없고 쉽게 굳어지는 등 가공성이 낮기 때문이며 대부분 쌀과 혼합 취반 정도에 그치고 있고 기타 조리 가공품으로의 소비는 아직 미미하여 국산 보리 소비를 위한 제품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유 25~35중량%와 찰보리분 20~25중량%, 계란 20~25중량%, 설탕 15~25중량%, 유지 1~5중량%, 베이킹파우더 0.2~0.3중량%, 소다 0.2~0.3중량%, 식염 0.2~0.3중량%, 바닐라향 0.1중량%, 팥앙금 1~5중량%로 이루어지고, 믹스된 계란 20~25중량%와 설탕 15~25중량%, 식염 0.2~0.3중량%를 반죽기에 투입한 후 1차 교반하고, 상기 반죽기에 우유 5~10중량%를 투입하여 2차 교반하며, 상기 2차 교반된 반죽물에 찰보리분 20~25중량%와 베이킹파우더 0.2~0.3중량%, 소다 0.2~0.3중량%를 투입한 후 3차 교반하고, 3차 교반된 반죽물에 유지 1~5중량%, 바닐라향 0.1중량%를 투입한 후 4차 교반하며, 4차 교반된 반죽물에 우유 20~25중량%를 투입한 후 5차 교반하는 반죽공정과, 상기 반죽물을 밀봉한 후 5~8℃에서 1시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과, 숙성된 반죽물을 주입기에 투입한 후 일정 크기로 오븐기에 주입시켜 오븐기에서 굽는 굽기공정과, 구운 빵을 냉각시킨 후 일측면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새기기공정과, 팥앙금 1~3중량%을 빵 일측면에 코팅하는 팥앙금코팅공정과, 단위 개수가 들어가도록 상자에 담는 포장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보리빵의 제조방법이 특허출원되어 2004년 10월 6일자로 특허등록공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찰보리빵과 그 제조방법은 찰보리분의 함량이 비교적 적고, 특히 바닐라향의 향신료를 사용하여 보리의 고유한 고소한 맛과 향을 살리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이섬유가 많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인기가 높은 재료인 찰보리 재질의 빵에 백설탕을 사용하여 그 당도가 높고 그 사용량이 많으며, 유지를 사용함으로써 다이어트 효과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과정중 반죽공정과 숙성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를 위한 준비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찰보리의 함량을 보다 높여 보리의 고유한 고소한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리면서, 황설탕을 사용하여 당도를 낮추면서 사용량을 줄여 다이어트 효과를 최대화시키며, 제조과정중 준비과정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찰보리빵 샌드위치는 찰보리분 25∼30중량%, 우유 13∼18중량%,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소다 0.1∼0.5중량%, 정종 1∼3중량%, 식염 0.3∼0.8중량%, 물 13∼18중량%로 이루어진 직경 6.5∼7.5cm 크기의 구운면이 표면을 이루는 두 개의 찰보리빵 사이에 팥앙금 3∼5g을 개재시켜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찰보리빵 샌드위치의 제조방법은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물 13∼18%을 교반기에서 10∼20분간 1차 교반한 후, 찰보리분 25∼30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식염 0.3∼0.8중량%, 소다 0.1∼0.5중량%, 우유 13∼18중량%, 정종 1∼3중량%를 차례대로 교반기에 넣고 5∼10분간 2차 교반하여 슬러리 반죽을 만드는 반죽생성공정과, 완성된 슬러리 반죽을 굽는 열판기의 노즐에 투입후 노즐을 통해 15∼20g의 슬러리 반죽을 열판기 위에 분출시키는 반죽공급공정과, 압착식 일면 열판기에서 160∼180℃에서 2∼5분간 분출된 슬러리 반죽을 눌러서 굽는 반죽굽기공정과, 일면이 구워진 직경 6.5∼7.5cm 크기의 찰보리빵을 실온까지 식힌 후 찰보리빵의 한쪽 비가열면에 팥앙금 3∼5g을 바른 후 다른 찰보리빵의 비가열면을 포개어 겹치는 샌드위치공정과, 각각 찰보리빵 샌드위치를 포장하는 소포장 공정 후 단위 개수별 상자에 담는 포장공정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찰보리빵 샌드위치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공정중 반죽굽기공정 열판기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찰보리빵 샌드위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물 13∼18%을 교반기(40)에서 10∼20분간 1차로 교반한다. 여기에 찰보리분 25∼30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식염 0.3∼0.8중량%, 소다 0.1∼0.5중량%, 우유 13∼18중량%, 정종 1∼3중량%를 차례대로 교반기(40)에 넣고 5∼10분간 2차 교반하여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만드는 반죽생성공정을 거친다.
원재료인 찰보리분에는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β-glucan) 및 아밀로 팩틴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인 동시에 맛과 향이 뛰어나고 부드러워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게 된다.
원재료인 고구마전분은 응집력이 없는 찰보리분의 응집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응집시켜 흩어지지 않게 방지하고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이 더욱 쫄깃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재료인 정종은 계란의 비릿한 내음과 찰보리분 및 다른 재료들의 잡내를 없애서 찰보리분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을 보다 강조하게 유도한다.
이렇게 완성된 상기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굽는 열판기(50)는 오픈방식의 핫 플레이트로, 일측단에는 압착판(52)이 장착되고, 열판기(50) 상면에서 왕복 이동되는 노즐(51)의 반죽통(53)에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투입하여 다수개의 노즐(51)을 통해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열판기(50) 다수 곳에 적당량 분출시키는 반죽공급공정을 거친다. 이때, 노즐(51)을 통한 적당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의 분출량은 15∼20g으로 반죽 분출시 자연스러운 모양이 되게 분출시킨다.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판이 가열동판으로 되어 있는 열판기(50) 상면에 노즐(51)에 의해 분출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이 분출되면, 열판기(50)의 일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압착판(52)을 내려 눌러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자연스럽게 압축하여 둥글고 납작하게 만들며, 이렇게 열판기(50)의 상면에 압착판(52)이 눌려져 자연스럽게 납작해진 상태에서 160∼180℃의 온도로 2∼5분간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의 일부인 하면만을 굽는 반죽굽기공정을 거친다.
이때, 노즐(51)을 통해 분출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은 도 2와 같이, 평평한 면의 열판기(50) 상면에 분출되어 압착판(52)에 의해 압착되는 것이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납작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나, 도 3과 같이, 열판기(50)의 요부에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이 분출되어 압착판(52)에 의해 압착되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때 열판기(50) 또는 압착판(52)에는 특산품이라는 문자나 봉황이나 청룡같은 문양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져 구워지는 찰보리빵(10)(10a)의 외면에 새겨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잘 구워진 찰보리빵(10)(10a)은 구워진 하면은 먹음직스러운 진한 갈색을 띠지만 구워지지 않은 비가열면(11)(11a)인 상면은 연한 갈색을 띠기 때문에 외관으로 가열면과 비가열면(11)(11a)은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납작해진 찰보리빵(10)(10a)의 일측 하면만이 알맞게 구워지면, 직경 6.5∼7.5cm 크기인 찰보리빵(10)(10a)을 실온까지 식힌 후, 모양을 선별하고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밤이나 고구마가 포함된 팥앙금(20) 3∼5g이나 순수한 팥앙금(20) 3∼5g만을 구워진 두개의 찰보리빵(10)(10a)의 비가열면(11)(11a) 사이에 개재시키는 샌드위치공정을 거쳐서 맛깔스러운 색을 띠는 일측의 구운면이 겉면으로 되도록 도 4와 같이, 찰보리빵 샌드위치(1)를 완성한다.
이때, 찰보리빵(10)(10a)의 두께는 열판기(50)의 압착판(52)에 의해 결정되므로 찰보리빵(10)(10a)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한다면, 그 형상이 팥앙금(20)이 위치한 중간부위는 상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양측선단은 서로 밀착되어 마치 송편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찰보리빵(10)(10a)의 두께를 이와 같이 달리함으로써 그 형상에 변형을 가질수 있어 고객들에게 보다 새로운 상품으로 선 보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찰보리빵 샌드위치(1)를 폴리에틸렌 소포장지(61)로 각각 소포장한 후, 규격에 맞는 상자(62)에 재포장하는 포장과정을 거쳐 본 발명 찰보리빵 샌드위치(1)의 제조과정이 완성된다.
이런 본 발명은 국내에서 생산된 찰보리를 제방에 이용하는 기술로써, 기존 겉보리에 비해 보리의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β-glucan) 및 아밀로 팩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식이섬유가 풍부한 건강식품이며, 찰기가 많아 슬러리 형태의 반죽으로도 제빵 할 수 있는 가공성을 높인 기술이다.
이렇게 제조된 찰보리빵 샌드위치(1)는 부드럽고 쉽게 굳어지지 않으며 팥앙금(20)이 중앙에 들어간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어 맛과 향이 뛰어나고 구운면이 표면을 이루고 있어 먹음직스런 색깔을 뛰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리의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β-glucan) 및 아밀로 팩틴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건강식인 동시에 맛과 향이 뛰어나고 부드러워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구운면이 표면으로 되는 샌드위치 모양이므로 먹음직스런 외관 색깔을 띠며 소포장으로 보관 및 먹기에 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 및 양을 작게 하여 먹기 쉽고 포장하기 쉽게 만든 효과가 있다.
또한, 특유의 보리향과 맛을 지니고 있어 다식에 따른 질리는 현상이 없고 식이섬유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국산 찰보리의 소비를 촉진하여 농가의 수입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슬러리 반죽 분출식이므로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여 국산 찰보리 소비의 활성화 및 밀가루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고정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공정중 반죽굽기공정 열판기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찰보리빵 샌드위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찰보리빵 샌드위치 10,10a : 찰보리빵
11,11a : 비가열면 20 : 팥앙금
30 : 찰보리 슬러리 반죽 40 : 교반기
50 : 열판기 51 : 노즐
52 : 압착판 53 : 반죽통
61 : 소포장지 62 : 상자

Claims (3)

  1. 찰보리분 25∼30중량%, 우유 13∼18중량%,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소다 0.1∼0.5중량%, 정종 1∼3중량%, 식염 0.3∼0.8중량%, 물 13∼18중량%로 이루어진 직경 6.5∼7.5cm 크기의 구운면이 표면을 이루는 두 개 찰보리빵(10)(10a)의 비가열면(11)(11a) 사이에 팥앙금(20) 3∼5g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보리빵 샌드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찰보리빵(10)(10a) 사이에 개재되는 3∼5g의 팥앙금(20)에는 밤 또는 고구마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보리빵 샌드위치.
  3. 계란 20∼25중량%, 황설탕 13∼18중량%, 물 13∼18중량%을 교반기(40)에서 10∼20분간 1차 교반한 후, 찰보리분 25∼30중량%, 고구마전분 0.3∼0.6중량%, 베이킹 파우다 0.1∼0.5중량%, 식염 0.3∼0.8중량%, 소다 0.1∼0.5중량%, 우유 13∼18중량%, 정종 1∼3중량%를 차례대로 교반기(40)에 넣고 5∼10분간 2차 교반하여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만드는 반죽생성공정과;
    완성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굽는 열판기(50) 노즐(51)의 반죽통(53)에 투입후 노즐(51)을 통해서 15∼20g의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열판기(50) 위에 각각 분출시키는 반죽공급공정과;
    열판기(50) 일측단의 압착판(52)을 눌러서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을 납작하게 누른 상태로 160∼180℃에서 2∼5분간 찰보리 슬러리 반죽(30)의 일면을 굽는 반죽굽기공정과;
    일면이 구워진 직경 6.5∼7.5cm 크기의 찰보리빵(10)(10a)을 실온까지 식힌 후 찰보리빵(10)의 한쪽 비가열면(11)에 팥앙금(20) 3∼5g을 바른 후 다른 찰보리빵(10a)의 비가열면(11a)을 포개어 겹치는 샌드위치공정과;
    각각 찰보리빵 샌드위치(1)를 폴리에틸렌 소포장지(61)로 소포장한 후 단위 개수별 상자(62)에 담는 포장공정을 포함하는 찰보리빵 샌드위치의 제조방법.
KR1020040101708A 2004-12-06 2004-12-06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9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08A KR100497679B1 (ko) 2004-12-06 2004-12-06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08A KR100497679B1 (ko) 2004-12-06 2004-12-06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679B1 true KR100497679B1 (ko) 2005-07-01

Family

ID=3730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708A KR100497679B1 (ko) 2004-12-06 2004-12-06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954A (ko) 2017-01-25 2017-02-15 안동고을탁촌장 영농조합법인 냉동 유통 참마 보리빵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954A (ko) 2017-01-25 2017-02-15 안동고을탁촌장 영농조합법인 냉동 유통 참마 보리빵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681B1 (ko) 떡 카스텔라 제조방법
KR101050171B1 (ko) 누룽지 칩의 제조방법
KR101447502B1 (ko) 통곡물 쿠키 제조방법
CN101700045A (zh) 莲蓉酥饼的制作方法
CN105767104A (zh) 酥皮紫薯芒果派的制作方法
CN104604990A (zh) 一种新型香草曲奇饼干的生产方法
CN105230732A (zh) 黔式马铃薯月饼及其制作方法
CN102870851B (zh) 味道香醇的潮式月饼制作方法
CN103053645A (zh) 一种新派月饼的制作方法
CN106804863A (zh) 一种白萨其马及其生产方法
CN104642476A (zh) 一种可可曲奇饼干的生产方法
KR100497679B1 (ko) 찰보리빵 샌드위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13192A1 (en) Pull-apart multi-portion baked goods
KR101924012B1 (ko) 로스팅 옥수수 알갱이를 포함하는 옥수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빵
KR100451057B1 (ko) 찰보리빵 및 그 제조방법
CN104642471A (zh) 一种新型可可曲奇饼干的生产方法
CN104642474A (zh) 一种香草饼干的生产方法
CN106720124A (zh) 一种低热量功能型健康曲奇及其制备方法
KR101924010B1 (ko) 옥수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빵
CN105638823A (zh) 一种花式果干面包圈的制作方法
CN105660803A (zh) 年轮蛋糕的关键做法
CN102239897A (zh) 一种无花果和桑果为原料的月饼及其制作方法
CN112262873A (zh) 一种夹层水果月饼及其制作方法
KR102629402B1 (ko) 고단백 와플 제조방법
CN104642469A (zh) 一种葱香小饼干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