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625B1 - 유지니아잼볼래나라마르크종자로부터유도된혼합물,제조방법및이러한혼합물및이들의구성성분일부의약제로서의용도 - Google Patents

유지니아잼볼래나라마르크종자로부터유도된혼합물,제조방법및이러한혼합물및이들의구성성분일부의약제로서의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625B1
KR100494625B1 KR10-1998-0706073A KR19980706073A KR100494625B1 KR 100494625 B1 KR100494625 B1 KR 100494625B1 KR 19980706073 A KR19980706073 A KR 19980706073A KR 100494625 B1 KR100494625 B1 KR 10049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ater
carried out
filtration
lower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343A (ko
Inventor
라트시마망가 알베르트 라코토
라트시마망가 수잔 라코토
필립 라소아나이보
쟝 레불
쟝 프로보스트
다니엘 레이스도르프
Original Assignee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엥스띠뛰 말가쉬 드 러쉐르쉐 아플리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엥스띠뛰 말가쉬 드 러쉐르쉐 아플리케 filed Critical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Publication of KR1999008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4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Eugenia Jambolana Lamarck) 종자(Myrtaceae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혼합물, 이러한 혼합물의 제조, 이러한 혼합물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및 약제 제조를 위한 이들 혼합물과 구성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로부터 유도된 혼합물, 제조방법 및 이러한 혼합물 및 이들의 구성성분 일부의 약제로서의 용도.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혼합물 Ⅰ의 제조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를 옥외에서 건조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한 다음, 미세하게 분쇄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분말을 메쉬 0.5㎛의 체를 이용하여 체질한다. 체질한 분말 1kg을 기계적인 교반하에, 93 내지 95° 게이 뤼삭 역가를 갖는 에탄올 5 리터에서 1 시간 동안 60℃에서 침연한다. 진공여과 후, 불용성 물질을 동일조건하에서 동일역가의 에탄올 4 리터로 60℃에서 1 시간 더 추가 처리한다.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폴리페놀 및 스테롤 복합체를 함유하는 두 에탄올 추출물을 제거한다. 완전 여과 후, 불용성 물질을 암모니아 용액(28% NH4OH 350ml 및 용액 1 리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양의 증류수)에 회수하고 혼합물을 약 20 시간 동안 20℃ 부근의 온도에서 접촉시킨 채로 방치한다. 습윤 암모니아성 매스를 기계적 교반하에 1 시간 동안 60℃에서 93 내지 95° 게이 뤼삭 역가의 에탄올-물 혼합물(75/25 체적비) 5 리터에서 재차 침연한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동일 역가의 에탄올 1 리터로 세척한다; 여액 및 세척액을 제거한다. 최종 불용성 물질을 옥외에서 건조시키고 빛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에 따라, 혼합물 Ⅰ이 폴리페놀 및 스테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분말형태로 수득된다. 분쇄하고 체질한 종자로부터의 수율은 80%이다.
실시예 2
혼합물 Ⅱ의 제조
물 17.7 리터 및 에탄올 0.93 리터를 함유하는 용액중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혼합물 Ⅰ1kg을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밤새 경사한 후, 한편으로는 상부상(13.5 리터)을 채취한 다음 7 리터 용량의 필터(Schott)내 면포상에서 여과하여 여액 1(13.5 리터)을 수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상을 물 20 리터와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No. 3 소결 글래스상에서 여과하여 여액 2(24 리터)을 수득한다. 여액 1과 2를 모아서 수성상(33.5 리터)중, 열사이폰 농축기(Schott) 내 35℃에서 0.4kPa의 진공하에 농축한다. 농축액을 S861 수지(Rhom and Haas) 2.5 리터와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No. 3 소결 글래스상에서 여과한다. 여액을 열사이폰 농축기(Schott)내 35℃에서 0.41kPa의 진공하에 농축하여 5.5 리터가 되게 한다. 농축액을 튜브형 원심분리기(원심분리력 62000g)에서 원심분리하고 0.22㎛ 필터(Gelman suporcap 100 type) 펌프상에서 여과한다. 10Kd, 3Kd 및 1Kd 카트리지상에서 3 회 연속 한외여과 및 동결건조 후에, 혼합물 Ⅱ 25g이 암갈색의 흡습성 분말 형태로 수득된다.
실시예 3
혼합물 Ⅱ로부터 수득된 성분
밀리 Q-여과수 1.1 리터중의 용액 형태의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혼합물 Ⅱ 525mg을 높이가 50cm이고 직경이 1cm이며, 밀리 Q-여과수로 포화시킨 CHEM ELUTR 컬럼(PROLABO)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용출과정을 에틸 아세테이트, 이어서 n-부탄올, n-부탄올/염산 및 물의 증가하는 구배(분획 1 : 헵탄 ; 분획 2 : 헵탄/에틸 아세테이트(50/50 체적비) ; 분획 3-4 : 에틸 아세테이트 ; 분획 5-6 :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95/5 체적비) ; 분획 7-8 :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90/10 체적비) ; 분획 9-10 :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80/20 체적비) , 분획 11-12 :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50/50 체적비) ; 분획 13-14 :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20/80 체적비) ; 분획 15-16 : n-부탄올 ; 분획 17-18 : n-부탄올/물(98/2 체적비) ; 분획 19-21 : n-부탄올/물(95/5 체적비)를 이용하여 헵탄으로 수행한다. 50ml 분획을 수집한다. 분획 19 내지 21을 합하여 감압하에 농축건고시킨다. 이렇게 하여 분획 108mg이 수득되고 이를 용출제로 메탄올-물 혼합물(50-50 체적비)을 사용하여 세파덱스R LH20 컬럼(Pharmacia, 높이 100cm, 직경 1cm)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용출과정을 동일한 용출제 혼합물로 수행한다; 1ml 분획이 수집된다.
1 - 분획 88 내지 91을 합하여 농축건고시킨다. 산물 14.4mg이 수득되고, 이러한 산물을 에탄올 0.5ml에서 결정화하면, 2,5-디(테트라하이드록시부틸)피라진2mg이 백색 결정 형태로 수득되며 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선광성 [α ]20 (Na 589) = -137° ± 2.0 (디메틸 설폭사이드, c= 0.5),
- KBr내 용액에서 Nicolet 60SX-R 장치상에서 생성된 적외선 스펙트럼, 주요 특징적인 흡수대: 3281 cm-1(H2O를 포함한 v 결합 OH 그룹), 2972 + 2940 + 2901 +2880 cm-1(CH2 및 CHOH 그룹의 v CH), 2733 cm-1(v 결합 OH 그룹), 1635 cm-1(H2O 를 포함한 OH 그룹의 변형), 1491 cm-1(피라진 핵의 v C=C 및 C=N), 1449 cm-1(피라진 핵의 v C=C 및 C=N + OH 그룹의 변형), 1413 cm-1(OH 그룹의 변형), 1343 cm-1(피라진 핵의 v C=C 및 C=N), 1309 + 1290 + 1251 + 1215 + 1181 + 1161 + 1123 cm-1(CH 그룹의 변형), 1092 cm-1(2차 알콜의 v CO), 1048 + 1035 cm-1(1차 알콜 + 피라진 핵의 v CO ), 947 + 899 + 854 cm-1(2차 알콜), 877 cm-1(피라진 핵의 v CH), 727 cm-1(피라진 핵 + OH 그룹의 변형), 639 cm-1(피라진 핵), 607+531 cm-1 광범위(OH 그룹의 변형), 451+411 cm-1(피라진 핵),
- FINNIGAN TSQ46 장치상에서 수행한 질량 스펙트럼, 질량 이온화 모드 M/z=321 (MH)+,
- 1H NMR 스펙트럼(600MHz, DMSO, 화학 쉬프트(ppm)): 3.40 및 3.61 (2 mts, 2H 각각: 위치 4 , 4″ 에서의 CH2); 3.58 (2 mts, 2H 각각: 위치 2′, 2″ , 3′, 3″ 에서의 CH); 4.36 (광범위 t, 2H: 위치 4′,4″ 에서의 OH); 4.40(d, J=7.2Hz, 2H: 위치 2′ , 2″ 에서의 OH); 4.63(d, J=4.8Hz, 2H: 위치 3′, 3″ 에서의 OH); 4.95 (dd J=6.0 및 0.6 Hz, 2H: 위치 1′, 1″ 에서의 CH); 5.30(d, J=6.0 Hz, 2H: 위치 1′ , 1″ 에서의 OH); 8.61(s, 2H, 위치 3과 6에서의 CH),
- 자외선 스펙트럼: λ max = 275nm(ε =8260); 206nm(ε =10220)(c=19mg/ml; 물), λ max = 276nm(ε =7960), 206nm(ε =9920) (c=19mg/ml; HCl 0.1N), λ max = 275nm(ε =7690) ; (c=19mg;KOH 0.1N),
- 150 x 4.6mm의 Y.M.C. 180DS-AQ 컬럼(뱃치 AIT/DE940377)(AIT 판매)상에서의 HPLC, 아이소크래틱(isocratic) 용출 H2O + 0.1% 포름산, 유량 1ml/분, 270nm에서 UV 검출, 체류시간: 2분 32 초.
2 - 분획 92 및 93을 합하여 농축건고시킨다. 분획 9mg이 수득되며, 에탄올 0.5ml에서 결정화하면 문헌[참조: TOUSSAINT, Ann., 120, 237 (1861)]에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특징을 지닌 소디움 옥사메이트 1.2mg이 생성된다.
3 - 분획 94 내지 97을 합하여 농축건고시킨다. 분획 25.9mg이 수득되며, 이를 에탄올 0.5ml에서 결정화하면 2-(테트라하이드록시부틸)-5-(2′, 3′, 4′ -트리하이드록시부틸)피라진과 2-(테트라하이드록시부틸)-6-(2′, 3′, 4′-트리하이드록시부틸)피라진의 혼합물 6.2mg이 수득되며 이를 150 x 4.6mm의 Y.M.C. 180DS-AQ 컬럼(뱃치 AIT/DE940377)상에서의 HPLC에 의해 추가분리한다; 아이소크래틱 용출 H2O + 0.1% 포름산, 유량 1ml/분, 270nm에서 UV 검출.
이렇게 하여 2-(테트라하이드록시부틸)-5-(2′ , 3′ , 4′ -트리하이드록시부틸)피라진 5.2mg이 수득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선광성 [α ]20 (Na 589) = -116.3° ± 1.7 (디메틸 설폭사이드; c= 0.5),
- KBr내 용액에서 Nicolet 60SX-R 장치상에서 수행된 적외선 스펙트럼, 주요 특징적인 흡수대: 3398 cm-1(H2O를 포함한 v 결합 OH 그룹), 2951 + 2922 + 2891 cm-1(CHOH 그룹의 v CH), 2761 cm-1(v 결합 OH 그룹), 1636 cm-1(H2O를 포함한 OH 그룹의 변형), 1483+1463 cm-1(피라진 핵의 v C=C 및 C=N), 1411 cm-1(OH 그룹의 변형), 1367+1328+127O+1227+1191 cm-1(CH 그룹의 변형), 1071 cm-1(2차 알콜의 v CO), 1041 cm-1(1차 알콜 + 피라진 핵의 v CO ), 943 + 897 cm-1(2차 알콜), 869 cm-1(피라진 핵의 v CH), 645 cm-1(피라진 핵의 CH), 607 cm-1 광범위(OH 그룹의 변형), 446+409 cm-1(피라진 핵),
- FINHIGAH TSQ46 장치상에서 수행한 질량 스펙트럼, 질량 이온화 모드 M/z=305 (MH)+,
- 1H NMR 스펙트럼(600MHz, DMSO, 화학 쉬프트(ppm)): 2.70 및 3.04 (2 dd, J=9.0 및 15.0 Hz 및 J=3.0 및 15.0 Hz, 1H 각각: 위치 1″ 에서의 CH2); 3.30과 3.45 사이 (mts, 위치 3″, 4′, 4″에서의 CH); 3.53과 3.65 사이(mts, 4H: 위치 2′, 3′, 4′, 4″에서의 CH), 3.73(mt, 1H: 위치 2″에서 CH); 4.37 (광범위 t, 1H: 위치 4′에서의 OH); 4.42(mt, 2H: 위치 2′및 4″에서 OH); 4.60(d, J=6Hz, 1H: 위치 2″에서의 OH); 4.63(d, J=6Hz, 1H: 위치 3′에서의 OH); 4.67(d, J=6Hz, 1H: 위치 3″에서의 OH), 4.92 (dd J=6.0 및 0.6 Hz, 1H. 위치 1′에서의 CH); 5.30(d, J=6.0 Hz, 1H: 위치 1′에서의 OH); 8.39(s, 1H:위치 6에서의 CH); 8.61(s, 1H: 위치 3에서의 CH),
- 자외선 스펙트럼: λ max = 276nm(ε =7756); 206nm(ε =8738)(c=19mg/ml; 물), λ max = 277mm(ε =7218); 208nm(ε =7171) (c=19mg/ml; HCl 0.1N), λ max = 276nm(ε =7467)(c=19mg/ml ; KOH 0.1N),
- 150 x 4.6mm의 Y.M.C. 180DS-AQ 컬럼(뱃치 AIT/DE940377)(AIT판매)상에서의 HPLC, 아이소크래틱 용출 H2O + 0.1% 포름산, 유량 1ml/분, 270nm에서 UV 검출, 체류시간: 3 분 75 초.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2-(테트라하이드록시부틸)-6-(2′ , 3′, 4 -트리하이드록시부틸)피라진 1mg이 수득된다.
- 1H NMR 스펙트럼(600MHz, DMSO, 화학 쉬프트(ppm)): 2.70 및 3.04 (2 dd, J=9.0 및 15.0 Hz 및 J=3.0 및 15.0 Hz, 1H 각각: 위치 1″ 에서의 CH2), 3.30과 3.45 사이 (mts, 위치 3″, 4′, 4″에서의 CH); 3.53과 3.65 사이(mts, 4H: 위치 2′, 3′, 4′, 4″에서의 CH), 3.73(mt, 1H: 위치 2″ 에서 CH); 4.37 (광범위 t, 1H: 위치 4′에서의 OH); 4.42(mt, 2H: 위치 2′및 4″에서의 OH); 4.60(d, J=6Hz, 1H: 위치 2″에서의 OH); 4.63(d, J=6Hz, 1H: 위치 3′에서의 OH), 4.67(d, J=6Hz, 1H; 위치 3″에서의 OH); 4.92 (dd J=6.0 및 0.6 Hz, 1H: 위치 1′에서의 CH); 5.30(d, J=6.0 Hz, 1H: 위치 1′ 에서의 OH); 8.31(s, 1H:위치 5에서의 CH); 8.53(s, 1H; 위치 3에서의 CH),
-150 x 4.6mm의 Y,M.C. 180DS-AQ 컬럼(뱃치 AIT/DE940377)(AIT 판매)상에서의 HPLC, 아이소크래틱 용출 H2O + 0.1% 포름산, 유량 1ml/분, 270nm에서 UV 검출, 체류시간: 3 분 61 초.
혼합물 Ⅰ 및 Ⅱ,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혈당강하 활성을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성이 되게 한 마우스와 식후 고혈당을 보이는 정상의 마우스에서 하기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Ⅰ -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성이 되게 만든 마우스
체중이 22 내지 25g 나가는 스위스산 백피증 마우스를, 각각의 마우스가 첫 째 날에(D1) 용액 0.2ml를 투여받도록 하는 농도로 시트레이트 완충액에 희석시킨, 마우스 kg 당 210 또는 265mg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한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성이 되게 한다. 3 내지 4 일 후, 당뇨병의 정착여부(7.2mmol/리터(130mg/100ml) 이상의 혈당)를 알아보기 위해 두세 마리의 마우스에 대해 검사한다. 이어서, 4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혈당을 측정한다. 마우스가 당뇨성이 되었으면, 이들을 5 내지 7 마리로 이루어진 뱃치로 세분한다. 각각의 뱃치는 D1부터 및 매일 산물의 선택용량을 투여받는다. 1일 1회 일정시간에, 위 배양(gastric incubation)에 의해 및 비히클로서 증류수 0.4ml의 용량으로 투여한다. 대조군의 두 뱃치를 만든다:
- 비처리 당뇨성 마우스로 이루어진 하나의 뱃치
- 하나의 뱃치 또는 정상적인 마우스
대조군의 이들 두 뱃치는 위 배양에 의해 및 처리 마우스와 동시에 비히클 0.4ml를 투여받는다.
처리기간을 4 일간 지속한다. 5일 째 되는 날에는(D5), 산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4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최종 혈당을 측정한다.
Ⅱ - 식후 고혈당을 보이는 정상 마우스
체중이 22 내지 25mg인 스위스산 백피증 마우스를 하기 절차에 의해 식후 고혈당을 보이게 만든다:
- 2 시간 절식
- 1 시간 동안 과잉 식사
- 2 시간 절식
시간 T0에서의 혈당을 구성하는, 절식의 마지막 2 시간 말미에 혈당을 측정한다. 이어서, 마우스를 측정된 혈당에 따라 균질 뱃치로 세분한다. 평가할 산물을 지체없이 증류수 0.4ml 중 위 배양에 의해 투여한다. 대조군 뱃치에 부형제(증류수 0.4ml)를 투여한다. 1 시간 후, 시간 T60에서의 혈당을 구성하는 최종 혈당을 측정한다.
[표 1]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성이 되게 만든 마우스의 혈당에 대해 수득한 결과
[표 2]
식후 고혈당을 보이는 정상 마우스의 혈당에 대해 수득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독성이 낮다. 이들의 LD50은 마우스에서 경구투여시 2000mg/kg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당뇨병 피검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산물은 당뇨병 치료에 단일요법으로 사용될 때, 저혈당의 위험이 없다. 이들은 진정한 항-당뇨병제이다. 이러한 효과는 글루코스에 있어서 말초적인 증가에 연유하는 듯 하다. 산물은 인슐린의 분비를 유의할 만하게 자극하지는 않지만, 인슐린의 소량 존재는 이들의 작용에 필수이다.
자발적 당뇨성인 포획상태의 샌드 래트에 있어서, 산물은 고혈당을 감소시키고, 백내장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며 수정력을 회복시킨다.
사람의 치료에서, 이들 산물은 따라서 당뇨병 및 특히 아세톤뇨증을 보이지 않는 Ⅱ형 당뇨병(NID 당뇨병), 비만성 당뇨병, 약 50세에서 나타나는 당뇨병, 메타플레쏘릭(Metaplethoric) 당뇨병 , 노인에 영향을 미치는 당뇨병 및 온화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이들은 인슐린의 용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불안정한 당뇨병 및 인슐린-내성 당뇨병에서 인슐린 요법에 대한 보충물로서(이들의 인슐린-강화 활성때문), 및 혈당의 충분한 감소를 제공하지 않을 때 혈당강하성 설파미드에 대한 보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산물은 과지방혈증, 지질 대사 장애, 이상지방혈증 및 비만과 같은 당뇨병의 합병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이의 합병증(코로노패씨 coronopathy, 심근경색증, 심근병, 이러한 3 가지 합병증의 좌심실 기능 부전으로의 진행, 각종 동맥병, 궤양 및 괴저로의 파행 및 진행을 하는 하지 동맥염, 뇌 혈관 기능부전 및 이의 합병증 및 혈관기원의 성적 임포텐스), 당뇨성 망막증 및 모든 이의 증후(모세관 투과성의 증가, 확장 및 모세관 혈전증, 미세동맥류, 동정맥 측로, 정맥 확장, 점상 및 반점형 출혈, 삼출물, 반점성 부종, 증식성 망막증 증후: 신혈관, 증식성 망막염 반흔, 수정체의 출혈, 망막 박리), 당뇨성 백내장, 다양한 형태의 당뇨성 신경병(말초성 다신경병 및 이의 증후, 예를 들면, 감각 이상증, 감각과민증 및 통증, 단신경병, 신경근병, 자가 신경병, 당뇨성 근위축증), 당뇨성 발 증후(다리 및 발의 궤양), 두 확산형 및 결절형의 당뇨성 신장병, 죽종증(죽종 플라크로부터 롤레스테롤 제거를 촉진하는 HDL 지단백의 상승, LDL 지단백의 감소, LDL/HDL비의 감소, LDL 산화의 억제, 혈소판 부착성의 감소), 과지방혈증 및 이상지방혈증(과콜레스테롤혈증,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지방산 수준의 표준화, 요산혈증의 표준화, A 및 B 아포단백질의 표준화), 백내장, 고혈압 및 이의 결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소디움 옥사메이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들 산물의 배합물로 순수 상태로 또는 불활성이거나 생리적 활성을 띨 수 있는 여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물과 배합되는 조성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경구, 비경구, 직장 또는 국소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고형 조성물로는 정제, 환제, 산제(젤라틴 캡슐, 카세) 또는 입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전분, 셀룰로스, 슈크로스, 락토스 또는 실리카와, 아르곤 스트림하에서 혼합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희석제 이외의 물질,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탈크와 같은 윤활제, 착색제, 코팅(당피정) 또는 글레이즈(glaze)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조성물로는 물, 에탄올, 글리세롤, 식물성 오일 또는 파라핀 오일과 같은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액, 현탁액, 에멀션, 시럽 또는 엘릭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희석제 외의 물질,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증점제, 향미제 또는 안정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용 멸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형 또는 비수성형의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일 수 있다. 용매 또는 비히클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 특히 올리브 오일,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올리에이트 또는 기타 적당한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보조제, 특히 습윤제, 등장화제, 유화제, 분산제 및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멸균은 수종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무균여과, 멸균제의 조성물 혼입,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사용시에 멸균수 또는 여타 주사가능한 멸균매질에 용해시킬 수 있는 멸균성 고형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활성성분 외에도, 코코아 버터,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하는 좌제 또는 직장용 캡슐이다.
국소 투여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점안제, 함수제, 비내 점적제 또는 에어로졸일 수 있다.
용량은 목적하는 효과, 치료 지속기간 및 사용되는 투여경로에 따라 좌우되고; 일반적으로는 활성성분 50 내지 200mg 범위의 단위 용량으로 성인에 대해 경구 투여시 150 내지 600mg/일이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연령, 체중 및 치료하고자 하는 피검자에 특이적인 기타 모든 요인에 따라 적정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설명한다.
실시예 A
조성이 하기와 같고 활성산물 50mg 용량인 젤라틴 캡슐을 통상의 기술에 따라 제조한다:
- 활성산물 50mg
- 셀룰로스 18mg
- 락토스 55mg
- 콜로이드성 실리카 1mg
- 소디움 카복시메틸 전분 10mg
- 탈크 10mg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실시예 B
조성이 하기와 같고 활성산물 50mg 용량인 정제를 통상의 기술에 따라 제조한다:
- 활성산물 50mg
- 락토스 104mg
- 셀룰로스 40mg
- 폴리비돈 10mg
- 소디움 카복시메틸 전분 22mg
- 탈크 10mg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mg
- 콜로이드성 실리카 2mg
-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글리세린, 티타늄 옥사이드(72 - 3.5 - 24.5) 층 분량(1 개의 완성된 필름 코팅 정제가 245mg이 되도록)
실시예 C
조성이 하기와 같고 활성산물 50mg을 함유하는 주사액을 제조한다:
- 활성산물 50mg
- 벤조산 80mg
- 벤질 알콜 0.06ml
- 소디움 벤조에이트 80mg
- 에탄올, 95% 0.4ml
- 수산화나트륨 24mg
- 프로필렌 글리콜 1.6ml
- 물 충분량 4ml
본 발명은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Eugenia Jambolana Lamarck) 종자(Myrtaceae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혼합물, 이러한 혼합물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 일부를 함유하는 약제, 항-당뇨병제 제조를 위한 이러한 혼합물과 구성성분의 용도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놀 및 스테롤 혼합 복합물을 함유하는 유지니아 잼볼래나 종자 또는 목피로부터 제조된 식물 추출물이 특허 FR 2,465,484에 기술되어 있다.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고, 폴리페놀과 스테롤 복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혼합물, 및 이들 혼합물의 특정 성분이 혈당강하 특성을 부여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혼합물은 폴리페놀과 스테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고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를 분쇄, 열을 이용하여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분말을 침연(浸軟), 여과, 더 이상 폴리페놀과 스테롤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불용성 부분의 회수, 불용성 부분의 암모니아 용액처리, 열을 이용하여 저급 지방족 알콜로 암모니아성 혼합물 처리, 여과, 불용성 물질의 회수 및 혼합물 I을 구성하는 이러한 불용성 물질의 건조, 이어서 임의로 혼합물 I을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으로 처리, 여과, 여액의 부분 농축, 비극성 흡착제 수지상에서 정제, 부분 농축, 원심분리, 한외여과 및 혼합물 Ⅱ의 분리에 의해 분리해 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혼합물 Ⅱ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소디움 옥사메이트를 분리해 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이고,
R2는 화학식 A 또는 B의 쇄이거나:
-CH2-CHOH-CHOH-CH2OH (A)
-CHOH-CHOH-CHOH-CH2OH (B)
R1은 화학식 A의 쇄이고 R2는 수소원자이다.
소디움 옥사메이트는 문헌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참조문헌:TOUSSAINT, Ann., 120, 237 (1861)].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이미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문헌:KUHN et al., Ann., 644, 122-127 (1961); TSUCHIDA et al., Agr. Biol. Chem., 39(5), 1143-1148(1975); TSUCHIDA., Agr. Biol. Chem., 40(5), 921-925(1976), TSUCHIDA et al., Nippon Shokuhin Kogyo Gakkashi, 37, 154-161 (1990) and AVALOS et al., tetrahedron, 49, 2655-2675 (1993)].
본 발명은 또한 건조시키고 미세하게 분쇄한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로부터 혼합물 I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말을 바람직하게는, 체눈의 직경이 0.5㎛인 표준화한 체를 이용하여 체질한 다음,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a. 저급 지방족 알콜중,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에 침연,
b. 진공여과 및 불용성 물질의 회수,
c.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불용성 물질을 교반하에 침연,
d. 진공여과 및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폴리페놀 및 스테롤을 함유하는 알콜상의 제거,
e. 10 내지 30℃에서 암모니아 용액내 불용성 물질의 회수,
f.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물-저급 지방족 알콜용액내 전 습윤 암모니아성 매스의 회수,
g. 여과 및 알콜성 용액의 제거,
h.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불용성 물질 세척, 여과 및 알콜성 용액의 제거,
i. 불용성 물질의 회수 및 건조.
단계 a에서, 절차는 일반적으로, 체질한 분말 1kg 당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급 지방족 알콜 2 내지 10 리터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95° 게이 뤼삭(Gay Lussac) 역가를 갖는 에탄올 5 리터를 60℃에서 1 시간 동안 사용한다.
단계 b의 여과과정을 바람직하게는 40kPa진공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c에서, 절차는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인 체질한 분말 1kg 당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급 지방족 알콜 2 내지 10 리터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95° 게이 뤼삭 역가를 갖는 에탄올 4 리터를 60℃에서 1 시간 동안 사용한다.
단계 d의 여과과정은 바람직하게는 40kPa진공하에 수행한다.
단계 e에서, 출발물질인 체질한 분말 1kg 당, 바람직하게는 1000ml 당 28% 수산화암모늄 350ml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수용액 750 내지 1250ml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암모니아 수용액 1 리터를 사용하고 10 내지 30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 시간 동안 20℃ 부근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단계 f에서, 출발물질인 체질한 분말 1kg으로부터 수득한 습윤 암모니아성 매스를 일반적으로, 교반하에, 저급 지방족 알콜-물 혼합물(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70/30 내지 80/20 체적비) 2 내지 10 리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물 혼합물(75/25 체적비) 중, 60℃에서 1 시간 동안 회수한다.
단계 g에서, 여과과정은 바람직하게는, 면포(cotton cloth)에서 대략 80kPa 진공하에 수행한다.
단계 h에서, 세척과정은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인 체질한 분말 1kg 당 저급 지방족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500 내지 1500ml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1 리터로 수행하고 여과를 면포에서 약 80kPa 진공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i에서, 건조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옥외에서 수행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혼합물 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수득한 혼합물 Ⅰ을 다음과 같은 작업을 처리한다:
j.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으로 혼합물 Ⅰ처리,
k. 경사(傾捨) 및 이어서, 한편으로는 여과시켜 여액 1을 생성하는 상부상의 채집 및,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상을 물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여액 2를 수득, 여액 1과 2를 모아 수성상으로 농축,
l. 비극성 흡착제 수지로 처리 및 이어서 여과,
m. 여액의 농축, 여과 및 이어서 한외여과,
n. 동결건조 및 추출물 Ⅱ의 분리.
단계 j에서, 일반적으로 혼합물 Ⅰ 1kg 당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95/5 내지 90/10 체적비) 10 내지 25 리터가 사용된다. 절차를 물-에탄을 용액(17.7 내지 0.93 체적비) 18 리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k에서, 상부상을 면포상에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Ⅰ 1kg 당, 물 10 내지 25 리터를 하부상에, 특히 10 리터를 가하고 소결 글래스상에서 여과하는 것이 유리하다.
단계 k에서, 농축과정은 일반적으로, 0.41kPa 진공하에 35℃의 온도에서 열사이폰 농축기에서 수행한다.
단계 1에서, 바람직하게는 Rhom and Haas에서 판매하고 있는 S861 수지 또는 XAD형 수지를 사용하고 혼합물을 소결 글래스 상에서 여과한다.
단계 m에서, 농축과정은 일반적으로, 35℃의 온도에서 0.4kPa 진공하에 열사이폰 농축기에서 수행한다. 또한 10kd, 3kd 및 1kd 카트리지상에서 3회 연속 한외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혼합물 Ⅱ를 다음과 같은 작업을 처리함에 있다.
o. 규조토 컬럼상에서 혼합물 Ⅱ의 크로마토그래피, 4 종의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의 회수 및 이들 분획의 단일분획으로의 모으기,
p. 소디움 옥사메이트,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B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A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R1이 잔기 A이고 R2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물 수득을 위해 세파덱스R 컬럼상에서 사전에 수득한 분획의 크로마토그래피.
q. 임의로,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A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잔기 B이고 R2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물의 HPLC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o의 크로마토그래피는 헵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저급 지방족 알콜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Prolabo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CHEM ELUTR 컬럼이 사용되고, 물로 포화시킨 다음 헵탄,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50/50 체적비),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n-부탄올 혼합물(95/5; 90/10; 80/20; 50/50; 20/80), n-부탄올, 및 n-부탄올-물 혼합물(98/2, 이어서 95/5 체적비)로 연속적으로 용출시킨다.
단계 p의 크로마토그래피를 바람직하게는 물-에탄올 혼합물(50/50 체적비)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단계 q의 크로마토그래피는 일반적으로, 용출제로서 0.1%의 포름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AIT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YMC 180DS-AQ 컬럼상에서 수행한다.
상기 정의 및 하기에서, 저급 지방족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혼합물 Ⅰ 또는 Ⅱ 또는 소디움 옥사메이트 또는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혼합물 Ⅰ과 Ⅱ,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laims (28)

  1. 폴리페놀과 스테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으며 혈당 감소 효과를 갖는 혼합물 Ⅰ로서, 상기 혼합물 Ⅰ는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Eugenia Jambolana Lamarck) 종자를 분쇄, 열을 이용하여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분말을 침연, 여과, 더 이상 폴리페놀과 스테롤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불용성 부분의 회수, 불용성 부분의 암모니아 용액처리, 열을 이용하여 저급 지방족 알콜로 암모니아성 혼합물 처리, 여과, 불용성 물질의 회수 및 혼합물 Ⅰ을 구성하는 이러한 불용성 물질의 건조함으로써 분리되어질 수 있는 혼합물 Ⅰ.
  2. 유지니아 잼볼래나 라마르크 종자를 건조시키고, 미세분쇄하여 체질한 다음 수득 분말을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혼합물 Ⅰ의 제조방법.
    a. 저급 지방족 알콜중,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에 침연,
    b. 진공여과 및 불용성 물질의 회수,
    c.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불용성 물질을 교반하에 침연,
    d. 진공여과 및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폴리페놀 및 스테롤을 함유하는 알콜 상의 제거,
    e.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암모니아 용액 내, 불용성 물질의 회수,
    f.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물-저급 지방족 알콜용액내 전 습윤 암모니아성 매스의 회수,
    g. 여과 및 알콜성 용액의 제거,
    h. 저급 지방족 알콜로 불용성 물질 세척, 여과 및 알콜성 용액의 제거,
    i. 불용성 물질의 회수 및 혼합물 Ⅰ 의 건조.
  3.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절차를 체질한 분말 1kg 당 저급 지방족 알콜 2 내지 10 리터로 수행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93 내지 95° 게이 뤼삭 역가를 갖는 에탄올 5 리터를 60℃에서 1 시간 동안 사용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와 d의 여과를 40 kPa 진공하에서 수행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절차를 출발물질인 체질 분말 1kg 당 저급 지방족 알콜 2 내지 10 리터로 수행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93 내지 95° 게이 뤼삭 역가를 갖는 에탄올 4 리터를 60℃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사용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 출발물질인 체질 분말 1kg 당 암모니아 수용액 750 내지 1250ml를 사용하는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 출발물질인 체질 분말 1kg 당, 28% 수산화암모늄 35ml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수용액 1 리터를 사용하고 절차를 20℃ 부근의 온도에서 10 내지 30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출발물질인 체질 분말 1kg 으로부터 수득한 습윤 암모니아 매스를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 2 내지 10 리터에 회수하는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절차를 에탄올-물 혼합물(75/25 체적비) 5 리터중, 60℃에서 1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h에서, 세척과정을 출발물질인 체질 분말 1kg 당 저급 지방족 알콜 500 내지 1500ml로 수행하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h에서, 세척과정을 에탄올 1 리터로 수행하고 여과 과정을 면포상에서, 약 80 kPa 진공하에 수행하는 방법.
  14.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건조과정을 옥외에서 수행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
  15. 폴리페놀과 스테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으며 혈당 감소 효과를 갖는 혼합물 Ⅱ로서, 혼합물 Ⅰ을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으로 처리, 여과, 여액의 부분 농축, 비극성 흡착제 수지상에서 정제, 부분 농축, 원심분리, 한외여과 및 혼합물 Ⅱ의 분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혼합물 Ⅱ.
  16. 제 1 항에 따른 혼합물 Ⅰ에 하기 작업을 처리하는, 제 15 항에 따른 혼합물 Ⅱ의 제조방법:
    j.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으로 제 1 항에 따른 혼합물 Ⅰ 처리,
    k. 경사 및 이어서, 한편으로는 여과시켜 여액 1을 생성하는 상부상의 채집 및,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상을 물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여액 2를 수득, 여액 1과 2를 모아 수성상으로 농축,
    l. 비극성 흡착제 수지로 처리 및 이어서 여과,
    m, 여액의 농축, 여과 및 이어서 한외여과,
    n. 동결건조 및 추출물 Ⅱ의 분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j에서, 혼합물 Ⅰ 1kg당 물-저급 지방족 알콜 용액(95/5 내지 90/10 체적비) 10 내지 25 리터를 사용하는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단계 j에서, 물-에탄올 용액(17.7 - 0.93 체적비)을 사용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k에서, 상부상을 면포상에서 여과하고 물 10 내지 25 리터를 혼합물 Ⅰ 1kg 당 하부상에 가하고 혼합물을 소결 글래스상에서 여과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k에서, 농축과정을 일반적으로 열사이폰 농축기내, 35℃의 온도에서 0.4kPa 진공하에 수행하는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S861 수지 또는 XAD형 수지(Rhom and Haas 시판)를 사용하고 혼합물을 소결 글래스상에서 여과하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m에서, 농축과정을 열사이폰 농축기내 35℃의 온도에서 0.4kPa 진공하에 수행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m에서, 3 회의 연속 한외여과를 10kd, 3kd 및 1kd 카트리지상에서 수행하는 방법.
  24. 제 15 항에 따른 혼합물 Ⅱ에 하기 작업을 처리하는, 소디움 옥사메이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이고,
    R2는 화학식 A 또는 B의 쇄이거나:
    -CH2-CHOH-CHOH-CH2OH (A)
    -CHOH-CHOH-CHOH-CH2OH (B)
    R1은 화학식 A의 쇄이고 R2는 수소원자이다.
    o. 규조토 컬럼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Ⅱ의 크로마토그래피, 4 종의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의 회수 및 이들 분획의 단일분획으로의 모으기,
    p. 소디움 옥사메이트,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B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A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R1이 잔기 A이고 R2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물 수득을 위해 세파덱스R 컬럼상에서 상기 수득한 분획의 크로마토그래피.
    q. 임의로,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잔기 A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잔기 A이고 R2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물의 HPLC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25. 제 24 항에 있어서, 단계 o의 크로마토그래피를 Prolabo에 의해 판매되고 있고, 물로 포화시킨 다음 헵탄,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50/50 체적비), 에틸아세테이트-n-부탄올 혼합물(95/5; 90/10; 80/20; 50/50; 20/80 및 이어서 0/100 체적비), 및 n-부탄올-물 혼합물(98/2, 이어서 95/5 체적비)로 연속적으로 용출시킨 CHEM ELUTR 컬럼상에서 수행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단계 p의 크로마토그래피를 물-에탄올 혼합물(50/50 체적비)로 수행하는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단계 q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용출제로서 0.1%의 포름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AIT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YMC 180DS-AQ 컬럼상에서 수행하는 방법.
  28. 활성성분으로 제 1 항에 따른 혼합물 Ⅰ 또는 제 15 항에 따른 혼합물 Ⅱ 또는 소디움 옥사메이트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이고,
    R2는 화학식 A 또는 B의 쇄이거나:
    -CH2-CHOH-CHOH-CH2OH (A)
    -CHOH-CHOH-CHOH-CH2OH (B)
    R1은 화학식 A의 쇄이고 R2는 수소원자이다.
KR10-1998-0706073A 1996-02-06 1997-02-03 유지니아잼볼래나라마르크종자로부터유도된혼합물,제조방법및이러한혼합물및이들의구성성분일부의약제로서의용도 KR100494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1389A FR2744365B1 (fr) 1996-02-06 1996-02-06 Melanges isolables a partir de graines d'eugenia jambolana lamarck, leur preparation et l'utilisation de ces melanges et certains de leurs constituants comme medicaments
FR96/01,389 1996-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343A KR19990082343A (ko) 1999-11-25
KR100494625B1 true KR100494625B1 (ko) 2005-09-30

Family

ID=948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073A KR100494625B1 (ko) 1996-02-06 1997-02-03 유지니아잼볼래나라마르크종자로부터유도된혼합물,제조방법및이러한혼합물및이들의구성성분일부의약제로서의용도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4) US5972342A (ko)
EP (1) EP0879058B1 (ko)
JP (2) JP4570694B2 (ko)
KR (1) KR100494625B1 (ko)
CN (2) CN1080566C (ko)
AR (1) AR005726A1 (ko)
AT (1) ATE201826T1 (ko)
AU (1) AU726628B2 (ko)
BG (1) BG63288B1 (ko)
BR (1) BR9707613A (ko)
CA (1) CA2245701C (ko)
CZ (1) CZ292800B6 (ko)
DE (1) DE69705108T2 (ko)
DK (1) DK0879058T3 (ko)
DZ (1) DZ2174A1 (ko)
EA (1) EA001463B1 (ko)
ES (1) ES2158496T3 (ko)
FR (1) FR2744365B1 (ko)
GR (1) GR3036007T3 (ko)
HU (1) HU227958B1 (ko)
IL (1) IL125598A (ko)
MA (1) MA24077A1 (ko)
NO (1) NO318694B1 (ko)
NZ (1) NZ331241A (ko)
PL (1) PL186798B1 (ko)
PT (1) PT879058E (ko)
RS (1) RS49527B (ko)
SK (1) SK282672B6 (ko)
TN (1) TNSN97031A1 (ko)
TR (1) TR199801490T2 (ko)
TW (1) TW528598B (ko)
UA (1) UA60299C2 (ko)
WO (1) WO1997028813A1 (ko)
ZA (1) ZA97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52089T1 (de) 1997-07-17 2003-11-15 Aventis Pharma Sa Polyhydroxyalkylpyrazine derivate,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n
FR2766180A1 (fr) * 1997-07-17 1999-01-22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en tant que principe actif un derive de 2-(1,2,3,4-tetrahydroxybutyl)pyrazine,nouveaux derives de 2-(1,2,3,4-tetrahydroxybutyl) pyrazine et leur preparation
FR2766182A1 (fr) * 1997-07-17 1999-01-22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des derives de polyhydroxyalkylpyrazine, les nouveaux derives de polyhydroxyalkylpyrazine et leur preparation
FR2766184B1 (fr) * 1997-07-17 2000-11-17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en tant que principe actif au moins un derive de polyhydroxylalkylpyrazine, les nouveaux derives de polyhydroxylalkylpyrazine et leur preparation
FR2766183B1 (fr) * 1997-07-17 1999-08-27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des polyhydroxybutylpyrazines, les polyhydroxybutylpyrazines nouvelles et leur preparation
FR2766185B1 (fr) 1997-07-18 2001-06-15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en tant que principe actif au moins un derive substitue de polyhydroxylalkylpyrazines, les nouveaux derives polyhydroxylalkylpyrazines et leur preparation
FR2781155B1 (fr) * 1998-07-16 2001-10-26 Rhone Poulenc Rorer Sa Medicaments contenant des derives de polyhydroxyalkylpyrazine, les nouveaux derives de polyhydroxyalkylpyrazine et leur preparation
FR2788274B1 (fr) * 1999-01-11 2001-02-09 Aventis Pharma Sa Nouveaux derives de polyhydroxypyrazines,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AU5844300A (en) * 1999-06-04 2000-12-28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Eugenia jambolina fruit extracts for treating diabetes
US7338955B1 (en) * 1999-10-12 2008-03-04 Lilly Icos Llc Medicament for treatment of neuropathies
FR2802814B1 (fr) * 1999-12-23 2002-02-22 Aventis Pharma Sa Association de deoxyfructosazine et d'un antidiabetique de la famille des sulfonylurees
FR2803515B1 (fr) * 2000-01-06 2002-08-02 Aventis Pharma Sa Solution aqueuse stable de deoxyfructosazine
AUPQ987400A0 (en) * 2000-09-04 2000-09-28 Food Ingredients Technologies Intangibles (Bermuda) Limited Process for selectively extracting bioactive components
US20050255180A1 (en) * 2004-05-14 2005-11-17 Gaurav Tewari Prevention of diabetes by medicinal plants & fruits
JP4615256B2 (ja) * 2004-06-03 2011-01-19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イチ フトモモ科植物の含有成分とその用途
US20060266975A1 (en) * 2005-05-27 2006-11-30 Nappa Mario J Compositions comprising 3,3,4,4,5,5,6,6,6-nonafluoro-1-hexene
WO2008004119A2 (en) * 2006-07-06 2008-01-10 Avestha, Gengraine, Technologies, Pvt., Ltd. Eugenia jambolana plant extracts for treating osteoporosis and the extraction process thereof
CN102552231A (zh) * 2011-12-23 2012-07-11 苏州大学 草氨酸钠在制备fto酶抑制剂和减肥药物中的应用
CN113367166B (zh) * 2021-05-13 2022-07-26 海南大学 一种褐背蒲桃提取物杀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114M (ko) * 1967-01-19 1968-06-17
US3660571A (en) * 1968-03-28 1972-05-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Disease control composition for silkworms
DE2159923C3 (de) * 1971-12-02 1974-05-22 Schwabe, Willmar, Dr., 7500 Karlsruhe-Durlach Verfahren zur Gewinnung eines Stoffes mit insulinähnlicher Wirkung und diese Stoffe enthaltende Arzneipräparate
JPS5390401A (en) * 1977-01-13 1978-08-09 Japan Tobacco & Salt Public Improving of smoking taste of cigarette
FR2465484A1 (fr) * 1979-09-21 1981-03-27 Urwerg Suzanne Extrait vegetal a proprietes antidiabetiques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 Vivo, 5(2), 143-7 (199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102673A (en) 1999-09-30
ZA97910B (en) 1997-08-01
YU4197A (sh) 1999-07-28
ES2158496T3 (es) 2001-09-01
IL125598A (en) 2002-04-21
US6300375B1 (en) 2001-10-09
HUP9902586A3 (en) 2000-01-28
FR2744365B1 (fr) 1998-02-27
ATE201826T1 (de) 2001-06-15
EA199800692A1 (ru) 1999-02-25
JP4570694B2 (ja) 2010-10-27
FR2744365A1 (fr) 1997-08-08
IL125598A0 (en) 1999-03-12
AR005726A1 (es) 1999-07-14
UA60299C2 (uk) 2003-10-15
RS49527B (sr) 2006-12-15
JP2001500103A (ja) 2001-01-09
NO983592L (no) 1998-08-05
DE69705108D1 (de) 2001-07-12
CN1148178C (zh) 2004-05-05
JP2010053133A (ja) 2010-03-11
NO318694B1 (no) 2005-04-25
TW528598B (en) 2003-04-21
AU726628B2 (en) 2000-11-16
DK0879058T3 (da) 2001-09-03
TR199801490T2 (xx) 1998-10-21
EP0879058A1 (fr) 1998-11-25
GR3036007T3 (en) 2001-09-28
HU227958B1 (en) 2012-07-30
AU1727197A (en) 1997-08-28
CZ243698A3 (cs) 1998-11-11
US20020051828A1 (en) 2002-05-02
CZ292800B6 (cs) 2003-12-17
CN1210469A (zh) 1999-03-10
BG63288B1 (bg) 2001-09-28
CN1080566C (zh) 2002-03-13
PL186798B1 (pl) 2004-02-27
US5972342A (en) 1999-10-26
SK282672B6 (sk) 2002-11-06
MA24077A1 (fr) 1997-10-01
CA2245701C (fr) 2007-09-25
HUP9902586A2 (hu) 1999-12-28
SK105298A3 (en) 1998-12-02
EA001463B1 (ru) 2001-04-23
PT879058E (pt) 2001-10-31
WO1997028813A1 (fr) 1997-08-14
CN1325685A (zh) 2001-12-12
BR9707613A (pt) 1999-07-27
NO983592D0 (no) 1998-08-05
US6194412B1 (en) 2001-02-27
DE69705108T2 (de) 2001-12-20
CA2245701A1 (fr) 1997-08-14
DZ2174A1 (fr) 2002-12-01
TNSN97031A1 (fr) 1999-12-31
PL328415A1 (en) 1999-01-18
KR19990082343A (ko) 1999-11-25
NZ331241A (en) 1999-09-29
EP0879058B1 (fr) 2001-06-06
JP5033857B2 (ja)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625B1 (ko) 유지니아잼볼래나라마르크종자로부터유도된혼합물,제조방법및이러한혼합물및이들의구성성분일부의약제로서의용도
CA1337125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sosilybin-free silibini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JP3925828B2 (ja) アクテオシドの抽出法
EP0659189A1 (fr)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des associations de metaux avec des tanins ou des melanges de tanins
FI85855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isosilybinfri silibin och silibin innehaollande laekemedel.
WO1991007406A1 (fr) Derives de metal de transition a structure porphyrinique, utilisation de ce derive pour la fabrication de medicaments
US3773931A (en) Pharmacologically effective substance isolated from cabucala madagascariensis
JPS5849317A (ja) 抗悪性新生物剤
JPH0339506B2 (ko)
JPH09315990A (ja) 糖尿病予防剤
KR19980077618A (ko) 당뇨병 치료제 조성물
JPH03120215A (ja) 消化器系疾患予防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