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749B1 -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749B1
KR100492749B1 KR10-2001-0074804A KR20010074804A KR100492749B1 KR 100492749 B1 KR100492749 B1 KR 100492749B1 KR 20010074804 A KR20010074804 A KR 20010074804A KR 100492749 B1 KR100492749 B1 KR 10049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ct
terminal
core wi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099A (ko
Inventor
이마이카츠야
카네모토나오키
카와모토테츠야스
쿠츠나마사히로
스미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선(撚線)의 결선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는 제1 및 제2 단자부(61, 62), 접점부(8), 개폐기구부를 기체(器體:10)에 수납하고, 기체(10)의 외부에 조작핸들(38)을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단자부(61, 62)는 단자판(11, 12), 록킹스프링(15), 해제버튼(button:17)을 구비하며,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하고, 또한 연선으로 이루어 지는 심선(芯線)을 접속가능케 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선의 결선을 용이하게 하거나, 접속의 균일화를 행하여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는 등의 목적으로, 나사에 의하지 않고 결선가능한 소위 속결(速結)구조의 단자부를 구비한 스위치가 제공되고 있다.
도 57은 종래의 스위치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8은 일부를 생략한 측면단면도이며, 도 59는 마찬가지로 일부를 생략한 측면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전면이 개구(開口)된 대략 상자(box) 모양의 합성수지제의 몸체(1')와, 몸체(1')의 전면에 피착되는 합성수지제의 커버(2)로 스위치의 기체가 구성되어 있다. 몸체(1')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서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단자부(6')를 수납하는 단자수납실(9')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납실(9')에는 각각 도전재료로 형성된 단자판(11', 12')이 수납되어 있다. 각 단자판(11',12')은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 "コ"자 형상부(13', 14')를 가지고 있으며, "コ"자 형상부(13', 14')에는 각각 한쌍의 록킹스프링(15')이 수납되어 단자부(6')를 구성하고 있다. 또 몸체(1')의 저면에는 각 단자수납실(9')에 연통하는 전선 삽입구멍(16')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 및 누름편(15c')은 탄성을 가진 도전재료의 띠판(帶板)의 양 단부를 구부려 중앙편(15a')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또, 단자판(11',12')의 "コ"자 형상부(13', 14')는 각각 중앙편(13a', 14a')과 중앙편(13a', 14a')의 양단 테두리로부터 중앙편(13a', 14a')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맞닿는 편(13b', 14b') 및 접촉편(주편)(13c',14c')으로 구성된다.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은 단자판(11')의 맞닿는 편(13b')에 맞닿고, 록킹편(15b')은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 테두리를 향하여 "コ"자 형상부(13')의 접촉편(13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누름편(15c')은 대략 S자 모양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며, 록킹스프링(15')에 형성한 록킹편(15b') 및 누름편(15c')이 "コ"자 형상부(13')의 접촉편(13c')과 대향한다.
단자부(6')에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100)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면 록킹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 및 누름편(15c')과, 단자판(12')의 접촉편(14c')과 사이에 심선(101)이 끼워지고,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가 심선(101)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심선(101)이 삽입 반대방향으로 뽑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 삽입구멍(16')에 전선(100)의 심선(101)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전선(100)의 심선(101)이 유지되는 동시에, 단자판(12')에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각 단자수납실(9') 안에는 한쌍의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과 대향시켜서 해제버튼(17')이 수납되어 있다. 단자부(6')에 접속된 전선(100)의 심선(101)을 떼어내는 경우는, 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조작구멍으로부터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누름으로써 해제버튼(17')의 돌기(17a')가 록킹편(15b')을 눌러서 록킹편(15b')을 단자판(12')의 접촉편(14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함으로, 록킹편(15b')이 심선(101)으로부터 떨어지고, 심선(101)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록킹스프링(15')을 형성하는 도전재료의 강도의 관계 등으로 인하여, 적용전선의 범위(접속 가능한 심선(101)의 직경의 범위)가 좁게 되어 있었다. 또,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삽입하여도 누름편(15c')이 휘지않고 심선이 뿔뿔히 흩어져버려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을 결선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의 결선도 가능한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가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하고 또한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접속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의 결선도 가능케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스프링은,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판재를 구부려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자판에 대향 배치되는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 테두리를 향해서 상기 단자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기 록킹편과,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단자판을 향해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선단부가 심선을 상기 단자판 쪽으로 압압함으로써 상기 단자판과 사이에 심선을 탄성적으로 사이에 끼우는 누름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 누름편이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 보다 선단부쪽에서 중앙편과의 간격이 가장 좁게 되도록 구부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종래와 비교하여 록킹스프링 전체의 치수 증대를 억제하면서 누름편의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치수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누름편을 휘는데 필요한 힘이 저하하기 때문에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의 결선이 가능케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심선에 접촉하는 상기 누름편의 선단부를 상기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편과 단자판과 사이에 심선을 삽입하면 단자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록킹편의 선단부분이 누름편의 선단부에 맞닿아서 누름편을 휘게 된다. 그 결과, 결선시에 심선의 삽입감촉이 양호하게 되고, 심선의 삽입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의 록킹편과 대향하는 부위를 록킹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제버튼으로 록킹편을 휘게 하였을 때에 록킹편이 누름편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해제버튼에 의한 해제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심선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와 상기 단자판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도록 상기 록킹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와 단자판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연선이 삽입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의 선단부는 심선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곡률반경(r)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심선의 지름에 따라 심선과 누름편의 접촉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여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잇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 및 록킹스프링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는 부위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자판과 록킹스프링이 대략 평탄한 부위에서 맞닿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와 끼어맞추는 끼어맞춤 홈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체의 돌기와 록킹스프링의 끼어맞춤 홈을 끼워 맞추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맞닿아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지지편을 기체에 맞닿게 해서 록킹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거는 걸림부가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스프링의 걸림부를 기체에 걸리게 해서 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맞닿아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지지편을 기체에 맞닿게 해서 록킹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편(嵌合片)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스프링의 끼워맞춤편을 기체의 홈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편이 상기 록킹스프링의 대칭위치에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끼워맞춤편이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의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2 또는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 안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록킹스프링의 상기 끼워맞춤편들이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품 개수를 삭감하며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사이에 끼우는 끼움부(挾持部)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자판의 끼움부로 록킹스프링을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가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는 상기 심선이 도입되는 부위의 양쪽에 한쌍의 안내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안내돌출부 사이를 전선의 심선이 통과하면 심선은 퍼지지 않고 록킹스프링과 사이에서 끼워져 지지되고,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일부가 퍼지더라도, 안내돌출부와 록킹스프링과 사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하더라도, 기체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출부에서 적어도 서로 가까운 쪽의 단부가 구면(球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선으로 이루어진 심선이 퍼지려고 하더라도 양 안내돌출부 사이에 심선이 몰아 넣어지게 되어, 심선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록킹편의 끝 테두리(端緣)의 일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편에 의해 단자판에 심선을 밀어붙일 수가 있으며, 심선에 대한 비교적 큰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심선의 선단쪽을 향하여 서로의 거리를 작게 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체에 도입된 심선이 양 안내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안내되게 되어, 심선이 연선인 전선이라 할지라도, 심선이 퍼지는 일이 없이 하나로 모여져 록킹스프링과 단자판과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과의 접촉부위에는 심선의 삽입방향에서 요철이 번갈아 반복하는 널링(knurling)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널링부의 요철에 의해서 심선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자판과 심선과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또, 안내돌출부를 형성하여 심선이 통과하는 부위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된 범위내에 널링부를 형성하면 되고 널링부의 영역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는 상기 록킹편의 옆테두리를 따라 가드(guard)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가드편을 형성함으로써 심선이 불필요한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드편에 의해서 심선이 통과하는 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심선이 연선인 전선이더라도 심선이 퍼지는 것을 규제하여 록킹스프링과 단자판과 사이에서 심선을 유지할 수 있다. 요컨데,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할지라도 기체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편은 상기 단자판의 주편(主片)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기체 안에 짜넣어진 상태로 기체 안에 병설되는 2개의 상기 주편의 각각에 대향하는 2개의 록킹스프링의 상기 록킹편에 각각 맞닿는 누름편(押片)이 양쪽 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주편 사이 및 록킹스프링 사이에 개재하며 또한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구멍 부근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누름편과 상기 심선과의 접촉위치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일부가 퍼지더라도 적어도 누름편과 심선과의 접촉위치까지는 해제버튼에 의해서 심선이 단자판의 주편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심선이 불필요한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심선의 퍼지는 것이 억제되고, 단자판의 주편과 록킹스프링과 사이에 심선을 유지할 수 있어, 심선에 대한 비교적 큰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할지라도 기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할 때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립시에 상기 좌우방향에 관해서 해제버튼의 좌우를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24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의 선단 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주편 사이를 잇는 직선에 교차하는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접하는 주편 끼리를 절연함에 있어서 주편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긴 연면(沿面)거리(creeping distance)를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직선의 연장방향에서의 기체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기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상기 록킹편과의 맞닿는 부위 근방의 표면이 상기 록킹편에 선상(線狀)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제버튼의 동작이 부드럽게 된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분리선(parting line)부를 상기 누름편에서 상기 록킹편과의 대향면 이외의 부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록킹편과의 맞닿는 부위 근방의 표면을 록킹편에 선상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멍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하고 상기 전선 삽입구멍의 주변에 리브(ri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리브가 심선을 떼어내기 위하여 공구를 조작구멍에 삽입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제버튼의 조작성이 저하되지 않고, 이 리브에 전선이 지지되기 때문에 심선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른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기체의 양쪽 면에 상기 단자판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종래에 비하여 기체의 안쪽 면과 단자판과 사이 틈새가 작아져서 연선과 같이 선 직경이 가는 심선을 접속할 경우라도 심선이 상기 틈새로 들어갈 염려가 없으며, 단락이나 절연불량 등의 폐단이 생기지 않는다.
청구항 29의 발명은, 청구항 28의 발명에 있어서, 몸체와 커버를 조립하여 상기 기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와 커버의 맞닿는 면과 상기 돌출부와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방울등을 오목부에 체류시킴으로써 단자판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물방울 등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0의 발명은, 청구항 2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체의 안쪽 면에 1 내지 복수개의 요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및 제2의 단자부 끼리 사이의 연면(沿面)거리를 크게 하여 절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31의 발명은, 청구항 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 안쪽 면의 요철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편을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자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는 도전재료로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가동접점을 가지며, 상기 제1 단자부가 구비하는 제1 단자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동(回動)하는 개폐체와, 상기 조작부에 일 단부가 유지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개폐체에 유지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체에 반전 회동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스프링과 대향하는 상기 개폐체의 부위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 내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편의 양쪽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와 면 접촉하는 평탄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코일스프링이 개폐체의 단부에 형성한 모따기(chamfer)부에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개폐체와 코일스프링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며, 개폐체가 회동하는 경우라도 개폐체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위치를 항상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반전 회동력을 개폐체에 확실하게 작용시켜서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안정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3의 발명은, 청구항 3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자판과 접촉하는 변(邊) 이외의 변으로서, 상기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위 이외의 부위에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상기 개폐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체가 회동할 경우에, 상기 돌출편과 맞닿아서 상기 개폐체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리브를 상기 기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돌출편이 규제리브와 맞닿으므로써 개폐체의 회전방지를 행하여 회동범위를 규제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편은 개폐체에 있어서 제1 단자판과 접촉하는 변 이외의 변으로서,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위 이외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체의 회동축이 되는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위 부근에 돌출편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돌출편과 규제 리브와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하는 절삭 부스러기 등이 개폐체와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체의 회동동작을 안정시켜서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조작위치 사이에서 요동하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 부착된 개폐체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체를 회동하는 상기 개폐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와 접촉 도통하는 수단을 갖는 2개의 제1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과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 고정접점이 고정 부착된 2개의 제2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기체에 수납하면 단극 스위치로 되고, 연결부 위에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기체에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체를 포함하는 개폐기구부의 부품을 추가하면 2극 스위치로 된다. 그러므로, 단극 스위치와 2극 스위치에 대해서 기체를 포함하는 몇가지의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조작위치 사이에서 요동하는 상기 조작부와, 2개의 상기 가동점이 고정부착된 개폐체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체를 회동하는 상기 개폐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와 접촉 도통하는 수단을 갖는 2개의 제1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과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 2개의 고정접점이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부착된 2개의 제2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기체에 수납하면 3로(路) 스위치로 되고, 연결부위에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기체에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체를 포함하는 개폐기구부의 부품을 추가하면 4로 스위치로 된다. 그러므로,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에 대하여 기체를 포함하는 몇가지의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6의 발명은, 청구항 34 또는 3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기 기체의 양 단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체의 대략 중앙 내벽면에 1 내지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와 사이의 연면(沿面) 거리를 크게 하여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7의 발명은, 청구항 3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 내벽면의 요철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편을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및 제2 단자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8의 발명은, 청구항 34 또는 35에 기재된 스위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상기 기체에 수납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위를 절단하여 미리 2개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상기 기체에 수납하는 공정과의 어느 한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결부위의 절단작업의 유무만으로 단극 스위치와 2극 스위치 및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를 나누어 만들 수가 있어, 종류가 다른 스위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는 소위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이며, 또한 단극단투(單極單投)에 사용하는 단극 스위치(소위 B접점구성의 편절 스위치)로서,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box) 모양의 합성수지제의 몸체(1)와, 전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몸체(1)의 전면에 피착된 합성수지제의 커버(2)로 구성되는 기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1)의 길이방향의 양쪽 면에는 각각 한쌍의 걸림볼록부(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동시에, 커버(2)의 후단 테두리는 걸림볼록부(3)와 걸림과 이탈이 자유롭게 걸리는 걸림구멍(4)이 각각 형성된 설편(舌片: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볼록부(3)와 걸림구멍(4)을 서로 걸리게 함으로써 몸체(1)와 커버(2)가 조립된다.
몸체(1)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서 복수의 구획으로 칸막이가 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1 및 제2 단자부(61. 62)를 수납하는 단자 수납실(9,9)이 설치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한쪽이 절단된 형태(B접점 형태)의 접점부(8)를 수납하는 접점수납실(7)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 몸체(1)의 안쪽 면에는 각 단자부(61, 62) 및 접점부(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유지리브(1a) 및 유지홈(1b)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자부(61, 62)는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판(11,12)과 각 단자판(11,12)마다 2개씩 설치한 록킹스프링(15)과, 각 단자판(11,12)마다 2개씩 설치한 록킹스프링(15)에 맞닿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해제버튼(17)을 구비한다. 각 단자판(11,12)은 단자수납실(9) 안에서 몸체(1)의 짧은 폭방향의 양 안쪽 면에 형성한 유지홈(1b)에 양 측부가 삽입유지되는 접촉편(主片):13c, 14c)과, 접촉편(13c, 14c)에 대향하는 맞닿는 편 (13b, 14b)과, 접촉편(13c, 14c)과 맞닿는 편(13b, 14b)과의 전단 테두리 사이를 연속적으로 일체로 연결하도록 몸체(1)의 개구면을 따라서 연장된 연결편(13a, 14a)이 일체로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 "コ"자 형상부(13, 14)를 가지고 있다. 맞닿는 편(13b,14b)은 몸체(1)의 접점수납실(7) 안에서 몸체(1)의 짧은 폭방향의 양 안쪽 면에 형성된 유지리브(1a)에 맞닿고, 유지리브(1a)와 유지홈(1b)과 사이에서 각 단자판(11,12)이 몸체(1)에 유지된다. 록킹스프링(15)은 "コ"자 형상부(13,14) 내, 상세하게는 접촉편(13c,14c)과 맞닿는 편(13b,14b)과 사이에 수납된다. 제1 단자판(11)에는 연결편(13a)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에 고정접점(21)을 구비하는 접점유지편(20)이 접점수납실(7)로 향하여 비스듬이 뒷 방향(도 2의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 제2 단자판(12)에는 맞닿는 편(14b)의 후단 테두리로부터 접점수납실(7)을 향하여 몸체(1)의 내저면(內底面)을 따르는 형태로 지지편(23)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지지편(23)의 선단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단면(斷面)이 V자 모양의 지점오목부(22)가 지지편(23)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 몸체(1)의 저면에는 각 단자수납실(9)에 연통하는 전선 삽입구멍(16)이 2개씩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록킹스프링(15)은 띠 모양의 판스프링의 일 단부를 S자 모양으로 구부려서 누름편(15c)을 형성하고, 타단부를 J자 모양으로 구부려서 록킹편(15b)을 형성하며, 누름편(15c)과 록킹편(15b)과 사이를 중앙편(15a)에 의해 연속해서 일체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은 중앙편(15a)에 대하여 두께방향의 같은 쪽으로 돌출한다. 록킹스프링(15)을 제1 및 제2 단자판(11,12)의 "コ"자 형상부(13,14) 내, 즉 접촉편(13c,14c)과 맞닿는 편(13b,14b)과 사이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중앙편(15a)을 맞닿는 편(13b, 14b)에 맞닿게 하는 형태로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을 접촉편(13c, 14c)에 대향시킨다. 여기서,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의 선단부는 선단쪽으로 갈수록 중앙편(15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의 선단부는 선단쪽으로 갈수록 연결편(13a, 14a)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전선 삽입구멍(16)은 "コ"자 형상부(13,14)의 접촉편(13c,14c)과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과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전선 삽입구멍(16)을 통하여 기체(10)에 전선(100)을 삽입하면 전선(100)의 절연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심선(101)이 접촉편(13c,14c)과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과 사이에 끼워지고, 심선(101)이 접촉편(13c,14c)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61, 62)와 심선(10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가 심선(101)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전선(100)이 기체(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특히, 록킹편(15b)은 전선 삽입구멍(16)을 통하여 전선(100)을 삽입하는 방향에서 접촉편(13c,14c)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00)을 잡아뽑는 방향의 힘에 대하여 록킹편(15b)이 휘어지기 어렵고, 전선(100)이 뽑아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하게 된다.
본체(1)의 저면에는 해제버튼(17)에 대응하는 부위에 조작구멍(18)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해제버튼(17)은 각 단자부(61, 62)에 설치한 2개씩의 록킹스프링(15) 사이에 배치되고, 양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의 후면쪽에 각각 맞닿는 2개의 누름편(17a)이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조작구멍(18)은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와 같은 공구가 삽입 가능하게 되는 형상을 가지며, 공구를 조작구멍(18)에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전방으로 누르면 록킹편(15b)이 누름편(17a)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받으므로써 접촉편(13c,14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서, 각 단자부(61, 62)에 전선(100)을 접속한 상태에서 조작구멍(18)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누르면, 록킹편(15b)이 심선(10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휘어져 전선(100)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되고, 전선(100)을 기체(10)로부터 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해제버튼(17)에는 2개의 누름편(17a)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부(61, 62)에 설치한 2개의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을 동시에 누르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부(61, 62)에 2개의 전선(100)을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1개의 해제버튼(17)을 누르면 2개의 전선(100)의 기계적 유지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다.
접점부(8)는 접점유지편(20)이 구비하는 고정접점(21)과 가동접점(24)을 구비하는 가동접점판(19)으로 구성된다. 가동접점판(19)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놋쇠와 같은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띠판으로부터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중앙편(19a)을 가지며, 중앙편(19a)의 일면에는 고정접점(21)과 접촉과 떨어짐이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접점(24)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 중앙편(19a)의 상단부에는 반전핸들(30)에 일 단부가 유지된 코일스프링(32)의 타단부에 압입되는 돌출편(19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편(19a)의 좌우 양측 테두리에서의 가동접점(24) 양측의 부위로부터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9c, 19c)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1)의 짧은 폭방향 양 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33,3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의 길이방향 양측의 단자수납실(9) 내에 제1 및 제2 단자판(11,12)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동접점판(19)을 접점수납실(7) 내로 수납하면, 가동접점판(19)의 하단 테두리가 제2 단자판(12)의 지점오목부(22)에 삽입되고, 가동접점판(19)이 지점오목부(2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이 때, 가동접점판(19)의 양측에 리브(33,33)가 배치되고, 몸체(1)의 짧은 폭방향으로의 가동접점판(19)의 이동이 리브(33,33)에 의해서 규제된다.
한편, 커버(2)는 전면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25)가 형성되고, 개구(25)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의 개구 테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축 받이대(2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축 받이대(26)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홈(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커버(2)의 양 단부측 테두리에 따라 커버(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段部:28)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 단부(28)의 외측면에는 각 한쌍의 걸림클릭(click:29)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걸림클릭(29)은 배선기구용의 부착 프레임(frame)에 형성한 부착구멍에 결합하여 기체(10)를 부착 프레임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 등의 시공면에 기체(10)의 일부를 매립하는 형태로 시공할 때에, 시공면에 고정되는 부착 프레임으로의 기체(10)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단부(28)는 기체(10)를 부착 프레임에 부착하였을 때에 부착 프레임의 이면쪽에 맞닿게 된다. 조작핸들(38)은 양 단부(28)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핸들(38)은 요동시에 단부(28)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부(28)를 커버(2)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단부(28)에 걸림클릭(29)을 형성함으로써, 단부(28)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조작핸들(38)을 후방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시공상태에서 커버(2)와 조작핸들(38)과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접점부(8)의 개폐조작을 행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반전핸들(30)은 배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 모양으로서, 앞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커버(2)의 홈(27)으로 들어가는 돌기(31)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반전핸들(30) 앞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는 개구(34)가 형성되고, 개구(34)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클릭(35,35)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반전핸들(30) 앞면의 길이방향에서의 타단측의 대략 중앙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클릭(36)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 전면의 뒤쪽에는 코일스프링(32)이 수납되는 봉 모양의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핸들(30)의 앞면쪽에는 합성수지제의 조작핸들(38)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조작핸들(38)은 반전핸들(30)의 앞면을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주부(主部)와 주부 주위 테두리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뒤쪽으로 돌출하는 측벽을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모양의 것으로서, 주부 이면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클릭편(39,4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클릭편(39,40)의 선단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클릭(39a,40a)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클릭편(39,40)의 클릭(39a, 40a)과 반전핸들(30)의 클릭(35,36)을 걸리게 함으로써, 조작핸들(38)의 짧은 폭방향에서의 중심과 기체(10)의 짧은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대략 일치하도록 하여 조작핸들(38)이 반전핸들(30)에 부착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에서는 한쪽을 잘라낸 형태의 접점부(8)의 오프(off)시에 점등하여 스위치의 설치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네온등(neon lamp)으로 이루어지는 위치표시등(53)을 가진 점등표시부(52)를 반전핸들(30)안에 조립하여 넣고, 반전핸들(30)의 앞면에 형성된 개구(34)에 위치표시등(53)을 향하게 하고 있다. 또, 조작핸들(38)의 개구(34)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조작핸들(38)을 관통하는 긴 모양의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導光)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리즘(55)은 구멍(54)에 삽입 관통되고 선단이 조작핸들(38)의 앞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선단에 라운드를 갖게 한 가늘고 긴 볼록부(56)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핸들(38)의 이면쪽으로부터 구멍(54) 안으로 볼록부(56)를 삽입한 상태로 조작핸들(38)에 코킹(caulking) 고정된다. 그리하여, 조작핸들(38)을 반전핸들(30)에 부착하면, 프리즘(55)의 입사면(57)이 위치표시등(5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 프리즘(55)의 볼록부(56)의 선단이 조작핸들(38)의 앞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볼록부(56)에 의해 접점부(8)를 온(on) 조작할 때에 누르는 조작을 하는 조작핸들(38)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점등표시부(52)는 합성수지제의 회로기판(52a)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단자판(도시하지 않음)에 위치표시등(53) 및 저항(R)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회로기판(52a)의 대략 중앙에는 압입구멍(5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핸들(3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2)의 일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봉 모양의 돌기를 상기 압입구멍(52b)에 압입함으로써 회로기판(52a)이 봉 모양의 돌기에 고정되고 반전핸들(30) 안에 수납 장치된다. 이 때, 위치표시등(53) 및 저항(R)은 반전핸들(30) 안의 봉 모양 돌기 주위의 공간에 수납된다.
회로기판(52a)의 길이방향 일단측(단자판(11)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는, 회로기판(52a)에 인서트 성형되는 단자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단자판(11)의 상면부와 접촉과 떨어짐이 자유롭게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52c)이 돌출시켜져 있다. 이 단자편(52c)의 하면에는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저항(R)의 한쪽의 단자(Ra)가 봉 모양의 돌기 측면에 형성된 세로홈을 통하여 봉 모양의 돌기 안에 삽입되고, 봉 모양의 돌기 내부에서 저항(R)의 단자(Ra)와 코일스프링(32)을 접촉 도통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가동접점판(19)의 가동접점(24)이 단자판(11)의 고정접점(21)과 분리(즉, 접점부(8)가 오프)하도록 조작핸들(38)을 조작한 경우에는, 회로기판(52a)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단자편(52c)의 하면에 형성된 접점이 단자판(11)의 상면부에 접촉 도통하고, 가동접점판(19)과 접촉 도통하고 있는 코일스프링(32)을 통하여 위치표시등(53) 및 저항(R)에 전원이 공급되어 위치표시등(53)이 점등하고, 위치표시등(53)의 발광이 프리즘(55)의 입사면(57)에 입사하여 프리즘(55) 안에서 굴절되어 볼록부(56)로부터 외부로 출사되고, 접점부(8)의 오프시에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동접점판(19)의 가동접점(24)이 단자판(11)의 고정접점(21)과 접촉(즉, 접점부(8)가 온(ON))하도록 조작핸들(38)을 조작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52a)의 단자편(52c)이 단자판(11)의 상면부로부터 떨어져 분리되므로 위치표시등(53)이 소등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조명기구의 점등/소등을 지시할 목적으로 사용하면, 조명기구의 소등시에 있어서 위치표시등(53)이 점등하고, 어두운 곳에서도 스위치의 장소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위에서 설명한 스위치의 동작을 간단이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조작핸들(38)의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뒤쪽(도면의 하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에 접촉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32)은 중간부가 양 단부보다 좌측으로 불룩해진 상태로 되고, 코일스프링(32)에 의해서 가동접점판(19)을 통하여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에 눌려져서 접점압력이 부여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38)의 좌측단부를 뒤쪽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32)의 앞 단부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코일스프링(32)은 압축된 후에 급속히 신장하여 중간부가 양 단부보다 우측으로 불룩해진 상태로 되고, 이 때 가동접점판(19)을 우측으로 넘어뜨려서 가동접점(24)을 고정접점(21)으로부터 떼어 놓는다. 즉,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은 반전핸들(30)을 왼쪽으로 돌게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단자편(52c)을 단자판(11)에 접촉시키는 접촉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록킹스프링(15')의 누름편(15c')이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보다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중앙편(15a')과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었다. 즉,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편(15c')의 중앙편(15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부림부(X), 및 중앙편(15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구부림부(Y)와 중앙편(15a')과의 각 간격 A, B가 A<B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편(15c')을 휘게 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록킹스프링(15')을 형성하는 도전재료의 강도의 관계때문에 적용전선의 범위(접속 가능한 심선(101)의 직경 범위)가 좁게 되어 있었다. 또, 누름편(15c')을 휘게 하는데 필요한 힘이 크기 때문에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삽입하더라도 누름편(15c')이 휘지 않고 심선이 뿔뿔이 되어 버려, 연선을 결선할 수가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록킹스프링(15)의 누름편(15c)이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보다 선단부측에서 중앙편(15a)과의 간격이 가장 좁게 되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편(15c)의 중앙편(15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부림부(X), 및 중앙편(15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구부림부(Y)와 중앙편(15a)과의 각 간격 A, B를 A>B의 관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록킹스프링(15) 전체의 치수증대를 억제하면서 누름편(15c)의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치수를 길게 할 수 가 있으며, 누름편(15c)을 휘게하는데 필요한 힘을 저하시키고, 또한 누름편(15c)으로의 응력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종래예에 비교하여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의 결선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편(15c)의 치수가 길어짐에 따라서 록킹편(15b)의 치수도 길어져 있으며, 종래예와 비교하여 록킹편(15b)도 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종래예에 있어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스프링(15b')의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와 누름편(15c')의 선단부와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심선(101)의 삽입시에 최초로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를 타고 넘을 때의 저항이 있으며, 그 후에 누름편(15c')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누름편(15c')을 휘게 할 때의 저항이 있었다. 이 때문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101)의 삽입력에 2개의 피크(peak)가 생기고, 전선(100)의 결선 시에 있어서의 심선(101)의 삽입감촉이 좋지않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선(101)에 접촉하는 누름편(15c)의 선단부를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 근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록킹편(15b)과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 사이에 심선(101)을 삽입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편(13c, 14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휜 록킹편(15b)의 선단부분이 누름편(15c)의 선단부에 맞닿아서 누름편(15c)을 휘어지게 한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101)의 삽입력에 하나의 피크 밖에 생기지 않으며, 전선(100)의 결선시에 심선(101)의 삽입감촉이 양호하게 되고, 심선(101)의 삽입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선(101)에 접촉하는 누름편(15c)의 선단부를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 근방에 배치한 경우, 해제버튼(18)을 조작하여 록킹편(15b)을 휘게 할 때에 록킹편(15b)과 누름편(15c)이 간섭하면 해제작업을 하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편(15c)의 록킹편(15b)과 대향하는 부위(Z)를 록킹편(15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고 있으며, 이로써 해제버튼(17)으로 록킹편(15b)을 휘게했을때에 록킹편(15b)이 누름편(15c)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제버튼(17)에 의한 해제조작을 하기 쉽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101)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와 제1 및 제2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도록 록킹스프링(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단자판(11,12)의 "コ"자 형상부(13,14)에 있어서의 맞닿는 편(13b,14b)과 접촉편(13c, 14c)과의 간격(L1)에 대하여, 록킹스프링(15)에서의 중앙편(15a)과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와의 간격(L2)이 좁게 되어 있다(L1>L2). 이와 같이 록킹편(15b)의 선단 테두리와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 사이에 틈새를 생기게 함으로써 연선으로 이루지는 심선을 삽입하기 쉽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심선(101)의 직경에 따라서는 록킹편(15b)과 각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 14c) 사이에 심선(101)을 삽입할 때에 록킹스프링(15)이 회전하여 심선(101)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없는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101)에 접촉하는 누름편(15c)의 선단부에 심선(10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곡률반경(R)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심선(101)의 직경에 따라 심선(101)과 누름편(15c)의 접촉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방지하여 심선(101)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판(11,12) 및 록킹스프링(15)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라서 서로 맞닿는 부위, 즉 "コ"자 형상부(13,14)의 연결편(13a,14a)에서의 맞닿는 편(13b,14b) 근방의 부위 및 록킹스프링(15)의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심선(101)의 삽입시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14b) 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에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단자부(61 ,62)에 전선(100)을 접속할 경우, 전선(100)의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도 4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물릴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심선(101)과의 접촉부위인 접촉편(13c,14c)이 평판이면, 심선이 연선인 경우에 단자판(11,12)과 록킹스프링(15) 사이에 도입하였을 때에 연선을 구성하는 각 선이 뿔뿔이 퍼지기 때문에, 록킹스프링(15)과 단자판(11,12)의 거리가 작아져서 록킹스프링(15)에 의한 접촉압력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에 있어서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의 선단부 부근에서, 록킹편(15b)이 접촉 가능한 부위로서 전선 삽입구멍(16)을 통하여 기체(10)에 도입된 전선(100)의 심선(101)이 접촉하는 부위의 양측에 한쌍의 안내돌출부(13d, 14d)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양 안내돌출부(13d, 14d)는 접촉편(13c, 14c)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안내돌출부(13d,14d)에서 서로 가까운 단부는 구면의 일부가 되도록(이른바 SR형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심선이 연선인 전선(100)을 도입한 경우에, 심선이 뿔뿔이 퍼진다고 하더라도 안내돌출부(13d, 14d)에 올라앉는 형태로 되어 록킹편(15b)과 안내돌출부(13d, 14d) 사이에 심선이 확실히 지지되고, 더우기 안내돌출부(13d,14d)가 SR형상이므로 심선은 가급적 양 안내돌출부(13d, 14d) 사이를 통과하도록 유도되게 된다, 요컨데, 심선이 연선이더라도 뿔뿔히 퍼지는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돌출부(13d, 14d)의 위치가 록킹편(15b)의 선단부 부근이므로 심선이 안내돌출부(13d, 14d)에 올라앉은 상태라도 록킹편(15b)으로부터 비교적 큰 접촉압력을 심선에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심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 2 단자판(11,12)과 심선과의 접촉상태를 더욱 안정시키기 위하여,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판(11,12)에서의 심선과의 접촉부위에 심선의 도입방향(도 14의 상하방향)에서 요철이 번갈아 반복하는 널링부(knurling部:13e, 14e)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널링부(13e, 14e)를 형성하여 두면, 심선에 대한 마찰이 크게 되어 가는 연선이더라도 접속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심선의 표면에 부착한 때를 널링부(13e, 14e)의 요철에 의해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선은 주로 양 안내돌출부(13d, 14d) 사이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도 14(c)와 같이 널링부(13e,14e)는 양 안내돌출부(13d, 14d) 사이의 폭정도로 설정하면 되고, 단자판(11,12)의 일부에만 널링부(13e,14e)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2개의 안내돌출부(13d, 14d)는 도 14(a)와 같이 심선의 삽입방향(도 14의 상하방향)에 직교시켜서 배치하여도 좋으나, 도 14(b)(c)와 같이 심선의 선단측(도 14의 위쪽)을 향하여 서로의 거리를 작게 하는 형태로 배치하여도 좋다. 안내돌출부(13d, 14d)를 이와 같이 배치하면, 기체(10)에 도입된 심선은 뿔뿔이 되려고 하여도 양 안내돌출부(13d,14d) 사이를 통과하도록 양 안내돌출부(13d, 14d)에 의해서 몰아넣어지게 되고,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심선이라 할지라도 연선이 뿔뿔히 되지 않고, 제1 및 제2 단자판(11,12)과 록킹스프링(15) 사이에 심선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구성예에서는 안내돌출부(13d, 14d)를 형성하고 있을 뿐이지만, 도 15 및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편(13c,14c)의 한쪽의 옆 테두리에 록킹편(15b)의 옆 테두리를 따라서 가드(guard)편(13f, 14f)을 돌출되게 형성하여도 좋다. 가드편(13f,14f)은, 각 단자판(11,12)에 대응하는 2개의 록킹스프링(15)에 관하여 각각 한쪽의 옆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양 록킹스프링(15) 사이의 부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드편(13f,14f)을 형성함으로써, 록킹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는 동시에, 전선의 심선이 연선이라 할지라도 가드편(13f,14f)에 의해서 심선의 삽입되는 범위가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접촉편(13c,14c)의 다른 쪽의 옆 테두리는 몸체(1)의 안쪽 면에 형성한 유지홈(1b)에 삽입되고, 가드편(13f,14f)은 몸체(1)의 안쪽 면에 대향하게 된다. 요컨데, 다른 쪽의 옆테두리에는 가드편(13f,14f)을 형성하지 않고 심선의 위치의 규제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단자판(11,12)에 안내돌출부(13d,14d)를 형성하지 않고 가드편(13f,14f)만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판(11,12)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촉편(13c,14c)의 앞부분 끼리가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해제버튼(17)이 서로 인접하는 접촉편(13c,14c)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전선의 삽입방향(도 17에서의 위쪽 방향)에서 전단 면이 접촉편(13c, 14c)의 전단 테두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요컨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접촉편(13c,14c)을 포함하는 면내에서의 해제버튼(17)의 전후방향의 치수를 도 57∼도 59에 나타낸 종래의 해제버튼(17')에 비하여 크게 설정하고 있다. 더욱 설명하면, 해제버튼(17)은 전선의 삽입방향에서 전선 삽입구멍(16) 부근으로부터 록킹스프링(15)의 누름편(15c)과 전선의 심선과의 접촉위치보다 전방까지 연장되어져 있다.
따라서,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심선이 연선인 전선을 도입한 경우에, 심선의 일부가 퍼지더라도 적어도 누름편(15c)과 연선과의 접촉위치까지는 해제버튼(17)에 의해서 심선이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을 따라서 안내되기 때문에, 심선이 불필요한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이 퍼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단자판(11,12)의 접촉편(13c,14c)과 록킹스프링(15)사이에 심선을 유지할 수 있어, 심선에 대한 비교적 큰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할지라도 기체(10)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16)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해제버튼(17)은 전선 삽입구멍(16)부근으로부터 적어도 누름편(15c)과 심선과의 접촉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또, 해제버튼(17)은, 누름편(17a)에서의 록킹편(15b)과의 맞닿는 부위근방의 표면이 록킹편(15b)에 선상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구멍(15)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전방으로 눌렀을 때에 해제버튼(17)의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해제버튼(17)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시에 금형의 분리선(parting line)의 위치에 대응한 분리선부(PL)를 누름편(17a)의 측면에 설치하여 있으므로, 요컨데, 누름편(17a)에 있어서 록킹편(15b)과의 대향면 이외의 부위에 둠으로써 록킹편(15b)과의 맞닿는 부위 근방의 표면을 록킹편(15b)에 선상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버튼(17)의 형상을 단자판(11,12)에 있어서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 직교하는 방향(요컨데, 접촉편(13c, 14c)의 두께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본 경우에,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에 좌우방향에 대해서 해제버튼(17)의 좌우를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해제버튼(17)은 몸체(1)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본 경우에도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해제버튼(17)의 전단 면(전선의 삽입방향의 선단 면)에는 양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편(17a)에 평행한 홈(17b)이 형성되어 있다. 요컨데, 해제버튼(17)은 전단 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접촉편(13c,14c) 사이(혹은 접촉편(13c,14c) 사이)를 잇는 직선에 교차하는 홈(17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접촉편(13c, 14c) 사이에 양 접촉편(13c, 14c)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긴 연면(沿面)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의 연장방향에서의 기체(10)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체(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해제버튼(17)의 홈(17b)의 저면의 중앙부에 원통 모양의 구멍(17c)을 형성함으로써 연면거리가 보다 한층 길어진다.
그런데, 도 20(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19)의 중앙편(19a)에 서의 돌출편(19b)의 좌우 양 측부에는 코일스프링(32)의 선단 면과 면 접촉하는 평탄면(19d,19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스위치에서는 가동접점판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돌출편(19b)의 양측에 모따기 가공을 하고, 모따기부에 코일스프링을 자리잡도록 하고 있었으나, 코일스프링이 모따기부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과 가동접점판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조작핸들의 반전조작에 따라 코일스프링이 반대쪽으로 휘어져서, 가동접점판이 반전위치까지 이동한 경우에, 코일스프링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가동접점판에 가해지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변화하여 접점부의 접촉압력이 변동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스프링(32)이 가동접점판(19)에 형성한 평탄면(19d, 19d)과 면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위치와 같이 가동접점판(19)에 형성한 모따기부와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코일스프링(32)과 가동접점판(19)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가동접점판(19)에 대한 코일스프링(32)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코일스프링(32)은 일 단부를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눌러넣는 것에 의하여 가동접점판(1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32)과 가동접점판(19)과의 위치관계가 더욱 안정된다. 그리고, 돌출편(19b) 선단의 양 각부(角部:19e)의 형상은 곡면 모양으로 가공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32)을 돌출편(19b)에 눌러넣을 때에 코일스프링(32)의 일 단부를 용이하게 유도해서 넣을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32)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스위치에서는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접점판(19)이 반전한 경우, 양 접점이 접촉함으로써 가동접점판(19)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고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접점판(19)이 반전한 경우는, 가동접점판(19)의 하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37)와 몸체(1)의 안쪽 면에 형성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걸리게 함으로써 가동접점판(19)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고 있으나, 돌기(37)는 가동접점판(19)의 회동축이 되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37)와 몸체(1)의 안쪽 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 등이 지점(支點)오목부(22)에 모여서, 접점부(8)의 개폐동작에 악영향을 줄 염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접점(24)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접점판(19)이 요동한 경우에,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c,19c)과 각각 맞닿아서 가동접점판(19)의 회전멈춤을 행하는 규제리브(41,41)가 몸체(1)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접점판(19)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돌출편(19c)은 가동접점판(19)에서의 제2 단자판(12)과 접촉하는 변 이외의 변이므로, 제2 단자판(12)과의 접촉부위(하단부) 이외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의 스위치와 같이 가동접점판(19)의 하단부에 형성한 돌기(37)로 회전멈춤을 행할 경우에 비하여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 등이 지점오목부(22)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동접점판(19)의 회동동작을 안정시켜 접점부(8)의 반전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19c)은 가동접점(24)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동접점판(19)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편(19c)의 길이만큼 가동접점판(19)의 폭 치수가 크게 되며, 가동접점판(19)의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가동접점판(19)에 가동접점(24)을 코킹(caulking)하거나, 구멍뚫기 가공을 할 경우에, 가동접점판(19)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가동접점판(19)이 변형하는 경우는 없다. 또, 돌출편(19c)이 붙어있는 뿌리부분에는, 중앙편(19a)과의 연결부위에 근접함에 따라 가동접점판(19)의 좌우 양 측변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모퉁이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19f)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편(19c)과 중앙편(19a)과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으며, 가동접점판(19)을 놋쇠로 형성한 경우라도 가동접점판(19)의 응력부식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가동접점판(19)의 재료로서는 도전성이 양호한 재료, 예를 들면 놋쇠가 사용되나, 가동접점판(19)의 표면에 금속도금층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가동접점판(19)의 표면을 금속도금층으로 보호함으로써 부식환경하에서의 가동접점판(19)의 부식을 억제하여, 가동접점판(19)의 응력부식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미소부하의 개폐에 적합한 접점부(8)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2 단자판(12)혹은 가동접점판(19)의 표면에 은 도금을 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고려되나, 제2 단자판(12)쪽에 은도금을 행하려고 하면, 클래드(clad)재(예를 들면 AgCdO 등의 은 합금)에 후프(hoop) 도금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원가상승으로 된다. 그래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19)에만 전면에 은 도금층(19g)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표면에 순은의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가동접점판(19)의 응력부식 균열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동접점판(19)의 저항치를 내려서 미소부하의 개폐에 적합한 접점부(8)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접점부(8)의 구성에서는 가동접점판(19)의 좌우 양 측 테두리에서의 가동접점(24) 부근의 부위에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9c)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으나,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19)의 좌우 양측 테두리에서의 가동접점(24)과 하단부와 사이의 부위로서, 하단부보다 위쪽의 부위에 돌출편(19c)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돌출편(19c)과 맞닿아서 가동접점판(19)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리브(41)는, 몸체(1)의 저면쪽에 가까운 부위에 형성하면 좋다. 또, 위에서 설명한 가동접점판(19)은 복수의 가동접점판(19)이 돌기(37)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돌기(37)를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가동접점판(19)으로 분리되지만, 도 22에 나타낸 구조의 가동접점판(19)에서는, 제조시에 있어서 복수의 가동접점판(19)이 돌출편(19c)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돌출편(19c)의 중간부를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가동접점판(19)으로 분리되고 있으며, 가동접점판(19) 끼리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돌출편(19c)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돌출편(19c)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기체(10)를 구성하는 몸체(1)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70)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홈(15d)이 록킹스프링(15)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으로부터 록킹편(15b)에 걸쳐서 폭이 가는 끼워맞춤홈(15d)이 록킹스프링(15)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의 단자수납실(9)에 록킹스프링(15)을 수납한 상태에서 단자수납실(9)(도시생략)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70)가 록킹스프링(15)의 끼워맞춤홈(15d)에 끼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돌기(70)를 끼워맞춤홈(15d)에 끼어맞춤으로써, 전선(100)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도 23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중앙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 14b) 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에서 맞닿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
본 실시형태는, 몸체(1)에 맞닿아서 록킹스프링(15)을 지지하는 지지편(15e)이 록킹스프링(15)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스프링 (15)의 중앙편(15a)으로부터 록킹편(15b)에 걸쳐서 록킹스프링(15)의 폭방향 대략 중앙부를 "コ"자형으로 잘라냄에 의하여 지지편(15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15e)은 중앙편(15a)쪽의 일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휘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록킹스프링(15)이 몸체(1)의 단자수납실(9)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수납실(9)의 저면(전선 삽입구멍(16)이 개구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벽(71)에 지지편(15e)이 압접(壓接)하여 록킹스프링(15)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지지편(15e)을 몸체(1)의 경사벽(71)에 압접하여 록킹스프링(15)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25에 나탄낸 바와 같이 전선(100 )의 피폭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때에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중앙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 14b) 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에서 맞닿기 때문에,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는, 몸체(1)에 걸리는 걸림부(15f)가 록킹스프링(15)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이 대략 "く"자 모양으로 구부려져서 걸림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1)의 단자수납실(9)의 저면에는 록킹스프링(15)의 하부(중앙편(15a)의 록킹편(15b)과의 연결부위로부터 걸림부(15f)까지의 부분)가 끼워지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스프링(15)이 단자수납실(9)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수납실(9)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72)의 각부(角部)(72a)에 록킹스프링(15)의 걸림부(15f)가 걸린다.
그리하여, 단자수납실(9)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72)의 각부(72a)에 록킹스프링(15)의 걸림부(15f)를 걸기 때문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100)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중앙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14b) 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에서 맞닿기 때문에,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파고 들게 할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3과 동일한 지지편(15e)을 록킹스프링(15)에 형성하면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더욱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는, 몸체(1)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편(15g)이 록킹스프링(15)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의 한쪽의 측단 테두리로부터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끼워맞춤편(15g)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고 있으나, 본체(1)의 단자수납실(9)의 안쪽 면에는 끼워맞춤편(15g)이 끼워맞추어지는 홈이 심선(101)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스프링(15)이 단자수납실(9)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단자수납실(9)의 안쪽 면에 형성된 홈에 록킹스프링(15)의 끼워맞춤편(15g)이 끼워맞추어진다.
그리하여, 단자수납실(9)의 안쪽 면에 형성된 홈에 록킹스프링(15)의 끼워맞춤편(15g)이 끼워맞추어 지기 때문에, 전선(100)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내 및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연결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 14b) 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로 맞닿기 때문에,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파고 들게 할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편(15g)을 중앙편(15a)의 양쪽의 측단 테두리로부터 연장되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단자수납실(9)의 홈과의 위치관계에서 록킹스프링(15)을 단자수납실(9)에 수납할 때의 방향성이 없어져서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 안에서 인접하는 2개의 록킹스프링(15, 15)의 끼워맞춤편(15g, 15g)끼리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면,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형태는, 록킹스프링(15)을 사이에 끼우는 끼움부가 제1 및 제 2 단자판(11,12)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판(11, 12)의 "コ"자 형상부(13,14)에서의 맞닿는 편(13b, 14b)의 한쪽의 측단 편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편을 대략 U자 모양으로 구부림으로써 끼움부(13g,14g)가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부(13g, 14g)에 의해서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이 사이에 끼워진다(도 31(b)참조).
그리하여, 제1 및 제2 단자판(11,12)에 형성된 끼움부(13g, 14g)에 의해서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전선(100)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101)을 전선 삽입구멍(16)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내 및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연결편(13a, 14a)에서의 맞닿는 편(13b, 14b)근방의 부위와 누름편(15c)에서의 중앙편(15a) 근방의 부위가 대략 평탄한 면 전체로 맞닿기 때문에, 심선(101)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평면 안에서의 록킹스프링(15)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101)의 유지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록킹편(15b)의 선단을 심선(101)에 단단히 파고 들게 할 수 있어 결선 후에 심선(101)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그런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1 단자부(61)에 심선(101)이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전선(100)을 결선한 상태로 전선(100)이 몸체(1)의 옆쪽으로 당겨진 경우,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101)이 록킹스프링(1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록킹편(15b) 및 누름편(15c)을 휘게 해서 제1 단자판(11)의 접촉편(13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서 접촉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접촉불량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는, 몸체(1)의 저면에서의 전선 삽입구멍(16)의 주변에 리브(rib)를 형성하여 전선 삽입구멍(16)의 길이 치수(깊이치수)를 크게하면 되나, 전선 삽입구멍(16)의 근방에 관통설치되어 있는 조작구멍(18)의 길이치수도 크게 되어 버려, 조작구멍(18)으로의 공구의 삽입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구멍(18)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하고 전선 삽입구명(16)의 주변에 리브(1c)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 저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의 조작구멍(18) 주변의 몸체(1)의 길이방향 외측을 제외한 부위에, 몸체(1)의 뒤쪽(전선 삽입구멍(16)에 대한 전선(100)의 삽입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1c)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리브(1c)에 의해서 전선 삽입구멍(16)의 길이치수가 커지고, 결선상태의 전선(100)이 본체(1)의 옆쪽으로 당겨진 경우라도,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c)에 의해서 전선(100)이 지지되기 때문에, 심선(101)이 록킹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기울지 않고, 제1 단자판(11)의 접촉편(13c)으로부터 떨어져서 접촉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몸체(1) 저면에서의 조작구멍(18) 주변의 몸체(1)의 길이방향 외측에는 리브(1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1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목부(1d)에 의해서 리브(1c)에 차단되지 않고 공구를 조작구멍(18)에 삽입할 수 있으며, 리브(1c)가 심선(101)을 떼어내기 위하여 공구를 조작구멍(18)에 삽입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제버튼(17)의 조작성이 저하하지 않는 것이다.
(실시형태 8)
그런데, 실시형태 1에서,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방울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몸체(1)의 개구면(커버(2)와의 맞대는 면)으로부터 안쪽 면에 걸쳐 깊이방향으로 들어가는 턱부(1e)를 형성한 경우,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소선(素線:102)이 턱부(1e)를 통하여 접점부(8)나 다른 단자수납실(9)로 진출하여 단락이나 절연불량 등의 폐단이 생길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판(11,12)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른 측면과 대향하는 몸체(1) 안쪽 면에 각 단자판(11,12)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f)를 형성하고 있다. 즉, 몸체(1)의 짧은 폭방향에 대향하는 각 단자수납실(9,9)의 양 측면에, 몸체(1)의 깊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조(突條)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f)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 개구쪽의 돌출부(1f)의 선단이 몸체(1) 개구단의 커버(2)와 맞대는 면과 거의 같은 높이 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몸체(1)의 커버(2)와 맞대는 면으로부터 안쪽 면에 걸쳐 깊이방향으로 들어가는 턱부(1e)가 대략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와 커버(2)의 맞대는 면과 돌출부(1f)와 사이의 부위에 있어서 턱부(1e)가 오목부(1g)로 된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단자판(11,12)을 단자수납실(9,9)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각 단자판(11,12)의 "コ"자 형상부(13,14)에서의 연결편(13a,14a)과 접촉편(13c,14c)의 측단 면에 돌출부(1f)의 선단 면이 대략 맞닿게 된다. 이 때문에, 몸체(1)의 안쪽 면과 단자판(11,12) 사이의 틈새가 작아지고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접속하는 경우라도 선 직경이 가는 소선(素線:102)이 상기 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여 단락이나 절연불량 등의 폐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몸체(1)와 커버(2)의 맞대는 면과 돌출부(1f) 사이에 오목부(1g)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몸체(1)와 커버(2)의 맞대는 부분의 틈새에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방울 등을 오목부(1g)에 체류시켜, 단자판(11,12)을 수납하는 단자수납실(9)로의 물방울 등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9)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는 소위 텀블러스위치로서, 또한 단극전환에 사용하는 3로 스위치(접점부(8)가 소위 C접점구성인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38에, 단면도를 도 39에, 정면도를 도 40(a)에, 측면도를 도 40(b)에, 다른 측면도 도 40(c)에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실시형태 1의 스위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접점부(8)는 소위 C접점구성을 가지며, 가동접점판(19)의 중앙편(19a)의 양면에 가동접점(24a,24b)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가동접점(24a,24b)은, 제1 단자부(63)가 구비하는 한쌍의 제1 단자판(58,60)에 형성된 고정접점(59, 61)과 각각 택일적으로 접촉/분리하는 것이다.
제1 단자판(58,60)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구부려 형성함으로써, 제2 단자판(12)과 마찬가지로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 "コ"자 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コ"자 형상부에 각각 록킹스프링(15)이 수납된다. 제1 단자판(58,60)의 "コ"자 형상부는 연결편(58a,60a)과, 연결편(58a,60a)의 양단 테두리로부터 연결편(58a,60a)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접촉편(58b, 60b) 및 맞닿는 편(58c,60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쪽의 제1 단자판(58)의 연결편(58a)으로부터는 가동접점판(19)의 한쪽의 가동접점(24a)과 접촉과 분리가 자유롭게 접촉하는 고정접점(59)이 선단에 형성된 대략 L자 모양의 접점유지편(58c)이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제1 단자판(60)의 연결편(60a)으로부터는 가동접점판(19)의 다른 쪽의 가동접점(24b)와 접촉과 분리가 자유롭게 접촉하는 고정접점(61)이 선단에 형성된 대략 L자 모양의 접점유지편(60d)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자판(58,60)의 연결편(58a,60a)의 각 상면부에는 각각 탄성을 가진 접촉자(63,64)가 붙여진다.
접촉자(63,64)는 서로 거울상(mirror image)의 관계에 있으며, 제1 단자판(58,60)의 연결편(58a,60a)에 접촉 도통하는 평판 모양의 주편(63a,64a)과, 주편(63a, 64a)의 일 단부로부터 뻗어나와 회로기판(52d)의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촉 도통하는 대략 "ヘ"자 모양의 접촉편(63b,64b)과, 주편(63a,64a)에서의 접촉편(63b,64b)과 서로 인접하는 양단 테두리에 구부려 형성된 한쌍의 측편(63c,63d,64c,64d)이 도전성을 갖는 판재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측편(63c,64c)의 선단 테두리로부터는 제1 단자판(58,60)의 연결편(58a,60a)에 거는 걸림편이 안쪽에 구부려 형성되고, 다른 쪽의 측편(63d,64d)에는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걸림클릭(click)이 잘라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접촉자(63,64)의 측편(63c,64c)에 형성한 걸림편을 제1 단자판(58,60)의 연결편(58a,60a)의 단부에 걸리게 한 후, 다른 쪽의 측편(63d,64d)을 연결편(58a,60a)쪽으로 밀어붙이도록 하면, 측편(63d, 64d)에 형성한 걸림클릭이 연결편(58a, 60a)의 끝 테두리에 맞닿아서 휘어지고, 이어서 걸림클릭의 선단이 연결편(58a,60a)의 끝 테두리를 타고 넘으면, 걸림클릭이 연결편(58a, 60a)의 단부에 걸리고, 접촉자(63,64)가 제1 단자판(58,60)에 붙여져 걸림 고정된다.
여기서 커버(2)의 내주면에 복수의 누름 리브(도시하지 않음)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와 커버(2)를 조립하여 기체(10)를 구성한 경우에, 상기 누름리브가 회로기판(52d)의 둘레 테두리부에 맞닿아서 회로기판(52d)을 몸체(1)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52d)의 접촉부와 각 접촉자(63,64)의 접촉편(63b,64b)이 탄성적으로 접하여, 제1 단자판(58,60)과 회로기판(52d)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으며, 부하의 오프(off) 시에 접촉자(63,64)를 통하여 점등표시부(52)에 급전되어 위치표시등(53)이 점등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에서는 조작핸들(38)을 조작할 때마다 가동접점(24a)과 고정접점(59), 가동접점(24b)과 고정접점(61)이 택일적으로 접촉/분리하고, 부하(예컨대, 조명부하)에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 위치표시등(53)이 점등하고, 부하에 통전되어 있을 때에는 위치표시등(53)이 소등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동접점판(19)은,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3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에서의 가동접점판(19)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편(19a)에서의 평탄면(19d)이 형성된 부위가 중앙편(19a)의 다른 부위와 대략 면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도 4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편(19a)에서의 돌출편(19b)의 좌우 양 측부를 주름지게(shirring) 절단하여 잘라 일으키고, 평탄면(19d)이 형성된 중앙편(19a)의 부위를 중앙편(19a)의 평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코일스프링(32)이 일 단부를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눌러넣는 동시에, 돌출편(19b)의 양쪽에 형성한 평탄면(19d,19d)과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동접점판(19)에 고정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코일스프링(32)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는, 도4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편(19a)에서의 돌출편(19b)의 좌우 양 측부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튀어나오게 하고, 평탄면(19d)이 형성된 중앙편(19a)의 부위를 중앙편(19a)의 평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평탄면(19d)이 형성된 중앙편(19a)의 부위가 돌출편(19b)과의 연결부위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중앙편(19a)의 평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서서히 커지는 구성으로 하면, 평탄면(19d)이 형성된 부위를 다른 부위와 면이 동일하게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코일스프링(32)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2)을 가동접점판(19)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코일스프링(32)의 위치가 더욱 안정되고 접점부(8)의 반전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10)
도 44(a)(b)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S1,S2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한쪽의 스위치(S1)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단극 스위치(편절 스위치)이며, 다른 쪽의 스위치(S2)는 소위 D 접점구성의 2극 스위치(양절스위치)이다. 여기서, 2종류의 스위치 S1,S2의 기본구성은 공통되기 때문에, 한쪽의 스위치(S1)에 관하여 설명하고, 다른 쪽의 스위치(S2)에 관해서는 스위치 S1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 스위치 S1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의 스위치와 공통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스위치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44∼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S1)의 기체(10)도 합성수지제의 몸체(1) 및 커버(2)로 구성된다. 몸체(1)의 중앙부 저면으로부터는 길이방향을 따른 격절벽(隔絶壁:108)이 형성되고, 이 격절벽(108)의 일단쪽에는 격절벽(108)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격벽(10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격절벽(108)과 격벽(109)으로 몸체(1) 내부를 간막이함으로써 제1 및 제2 단자부(T1,T2)를 수납하는 단자수납부(103,103)를 본체(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형성하고, 격절벽(108)으로 분할된 중앙부에는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하는 한쌍의 중앙수납부(1041,1042)가 격절벽(108)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 몸체(1)의 각 단자수납부(103, 103)의 저면에는 2개의 전선 삽입구멍(16)이 몸체(1)의 짧은 폭방향으로 나란히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고, 2개의 전선 삽입구멍(16) 사이에 조작구멍(18)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부(T1)는 서로 거울 상(mirror image)의 관계로 되는 한쌍의 단자판(120,120)과 2개의 록킹스프링(15)과 해제버튼(17)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20)은 띠판 모양의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기편(基片:120b)의 양단에 접촉편(120a)과 맞닿는 편(120c)이 형성되는 동시에, 맞닿는 편(120c)의 선단부로부터 지지편(120d)이 연장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단자판(20)을 2개 나란히 한 상태로 서로의 기편(120b) 끼리가 연결편(120e)에 의해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판(120)의 접촉편(120a)과 맞닿는 편(120c) 사이에 중앙편(15a)을 맞닿는 편(120c)에 맞닿도록 하여 록킹스프링(15)이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단자부(T1)는 해제버튼(17)의 하부가 조작구멍(18)을 향하도록 해서 몸체(1)의 한쪽 단자수납부(103)의 대략 중앙에 해제버튼(17)을 이동이 자유롭게 수납하고, 해제버튼(17)으로 2개로 간막이된 각 단자수납부(1031, 1032)에 각각 단자판(120)과 록킹스프링(15)을 수납함으로써 몸체(1)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하여,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선 삽입구멍(16)을 통하여 기체(10)에 전선을 삽입하면, 전선의 절연피복이 제거되어서 노출된 심선이 접촉편(120a)과 누름편(15c) 및 록킹편(15b)과 사이에 끼워지고, 심선이 접촉편(120a)에 접촉하여 제1 단자부(T1)와 심선(10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또, 전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조작구멍(18)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버튼(17)을 누르면, 록킹편(15b)이 심선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휘어서 전선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되고, 전선을 기체(10)로부터 잡아뽑을 수 있다.
한편, 제2 단자부(T2)는 마찬가지로 서로가 거울상(mirror image)의 관계로 되는 한쌍의 단자판(121, 121)과 2개의 록킹스프링(15)과 해제버튼(17)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21)은 띠판 모양의 금속판을 대략 "コ"자 모양으로 구부림으로써 기편(121b)의 양단에 접촉편(121a)과 다리편(121c)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2 단자판(121)을 2개 나란히 한 상태로 서로의 기편(121b) 끼리가 연결편(121e)에 의해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리편(121c)의 선단부에는 고정접점(21)이 고정 부착된다.
제2 단자부(T2)는, 하부가 조작구멍(18)을 향하도록 하여 몸체(1)의 다른 한쪽의 단자수납부(103)의 대략 중앙에 해제버튼(17)을 이동이 자유롭게 수납하고, 해제버튼(17)으로 2개로 간막이된 각 단자수납부(1033,1034)에 각각 단자판(121)과 록킹스프링(15)을 수납함으로써 몸체(1) 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도 45에 나타낸 바와같이 록킹스프링(15)의 중앙편(15a)이 단자수납부(103)와 중앙수납부(1041,1042)를 간막이하는 격벽(109)에 맞닿게 하고, 단자판(121)의 다리편(121c)이 격벽(109)을 걸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접점(21)을 중앙수납부(1041, 1042)에 진출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제1 단자부(T1)와 마찬가지로 전선 삽입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이, 록킹스프링(15)의 록킹편(15b) 및 접촉편(15c)과 단자판(121)의 접촉편(121a)사이에 끼워지고, 해제버튼(17)을 누름조작함으로써 단자판(121)과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런데, 2개의 단자판(120)의 지지편(120d) 선단에는 가동접점판(19)의 요동지점으로 되는 지점오목부(120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앙수납부(1041,1042)에서의 몸체(1) 양 측면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규제리브(4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의 단자수납부(103)에 제1 및 제2 단자부(T1,T2)를 수납한 상태로 가동접점판(19)을 중앙수납부(1041)(또는 1042)에 수납하면, 가동접점판(19)의 하단 테두리가 단자판(120)의 지지편(120d) 선단에 설치된 지점오목부(120f)에 삽입되고, 가동접점판(19)이 지점오목부(120f)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이 때,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c)과 규제리브(41)가 걸림으로써 가동접점판(19)의 회전멈춤이 행해져서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커버(2)는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반전핸들(30)은 코일스프링(32)의 상부를 삽입 고정하는 봉 모양의 돌기(도시하지않음)가 2개 돌출되어 있는 점 이외는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조작핸들(38)도 실시형태 1과 거의 같은 구조이나, 본 실시형태애서는 점등표시부(52)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프리즘(55)용의 구멍(54) 대신에 외주형상이 대략 타원형의 돌출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8a)는 스위치(S1)의 상태(고정접점(21)과 가동접점(29)이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되어 있거나)를 외관상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조작핸들(38)을 2개의 조작위치 사이에서 요동조작하면, 조작핸들(38)의 조작위치에 따라 가동접점판(19)을 통하여 가동접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단자부(T1)와, 고정접점(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2 단자부(T2)사이의 도통을 온(on)ㆍ오프(off)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편(120e, 121e)을 남긴 채로 제1 및 제2 단자부(T1,T2)를 각각 단자수납부(103)에 수납하고, 한쪽의 중앙수납부(1041)에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함과 동시에 반전핸들(30)의 한쪽의 봉 모양의 돌기에 삽입 고정한 코일스프링(32)의 하부를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압입하여 몸체(1)와 커버(2)를 조립하면, 단극 스위치인 스위치 S1이 구성된다. 한편, 연결편(120e, 121e)를 절제(切除)하여 분할한 각 단자판(120, 121)을 각각 단자수납부(1031∼1034)에 수납하고, 양쪽의 중앙수납부(1041, 1042)에 각각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하는 동시에 반전핸들(30)의 양쪽의 봉 모양의 돌기에 삽입 고정한 각 코일스프링(32)의 하부를 각각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압입하여 몸체(1)와 커버(2)를 조립하면, 2극 스위치인 스위치 S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단자부(T1,T2)를 그대로 기체(10)에 수납하면 단극 스위치(S1)로 되고, 연결편(120e,120e)으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단자판(120,121)을 각각 기체(10)에 수납함과 동시에 가동접점판(19) 및 코일스프링(32)을 추가하면, 2극 스위치(S2)로 되기 때문에, 종래는 스위치의 종류마다 구조가 다르게 되어 있었던 몸체(1)를 포함해서 몇개의 부품을 단극 스위치(S1)와 2극 스위치(S2)에 대하여 공통화할 수 있어, 특별히 단극 스위치와 2극 스위치로 몸체(1)의 금형을 따로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서 합리화와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S1, S2)는 조작핸들(38)의 치수가 비교적 큰 소위 와이드 핸들형 스위치인데, 외관상 가늘 콤팩트(소형)하게 보이게 해서 볼품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조작핸들(38)을 사용하여도 좋다. 조작핸들(38) 앞면의 길이방향 일 단쪽에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뻗은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홈(141)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선단에 라운드를 갖게한 길고 가느다란 돌기(14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홈(141)의 양 단부에는 조작핸들(38)을 관통하는 구멍(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41)의 일 단쪽에 형성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의 안쪽에는 피 요철 걸림부인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141) 안에는 긴 자 모양의 판편(板片)으로 이루어지는 핸들라인(145)이 부착된다. 핸들라인(145)의 대략 중앙에는 돌기(142)를 삽입 관통시키는 창구멍(146)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 단측에는 홈(141)의 일 단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걸리는 돌출부(14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핸들라인(145)의 길이방향의 타 단부에서의 구멍(14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걸림클릭편(148)이 형성되고, 걸림클릭편(148)의 선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클릭(14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핸들라인(145)을 조작핸들(38)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핸들라인(145)의 돌출부(147)를 홈(141)의 일 단측의 구멍 안에 삽입하고, 이 돌출부(147)를 지점으로 하여 핸들라인(145)을 회전시키고, 핸들라인(145)의 걸림클릭편(148)을 홈(141)의 타단쪽의 구멍(143) 안에 삽입하여, 걸림클릭편(148)의 선단에 형성된 클릭(149)과 구멍(143)의 끝 테두리를 걸리게 함으로써, 핸들라인(145)이 조작핸들(38)에 부착된다. 이 때, 핸들라인(145)의 창구멍(146) 안에 돌기(142)가 삽입되고, 돌기(142)의 선단이 조작핸들(38)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조작 감촉이나 시각에 의해 접점을 온(ON)할 때에 누름조작하는 조작핸들(38)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S1,S2)에서는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0)의 짧은 폭방향의 폭치수와 조작핸들(38)의 폭치수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어, 통상은 부착 프레임에 짧은 폭방향으로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치수의 조작핸들(38)을 3개용 핸들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하여, 부착 프레임에 짧은 폭방향으로 2개 나란히 부착할 경우에는,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용 핸들의 1.5배의 폭치수로 형성된 조작핸들(38')(이것을 2개용 핸들이라고 부른다)을 반전핸들(30)에 부착하도록 하면 좋다. 또, 부착 프레임에 1개만 부착할 경우에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용 핸들의 3배의 폭치수로 형성된 조작핸들(38")(이것을 1개용 핸들이라고 부른다)을 반전핸들(30)에 부착하도록 하면 된다.
(실시형태 11)
실시형태 10은 단극 스위치 및 2극 스위치에 관한 것이었으나, 본 실시형태는 3로 스위치 및 단극전환에 사용하는 4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단,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9와 실시형태 10과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50(a) 및 (b)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S3, S4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한쪽의 스위치(S3)는 소위 C 접점구성의 3로 스위치이며, 다른 쪽의 스위치(S4)는 소위 E 접점구성의 4로 스위치이다. 여기서, 2종류의 스위치 S3, S4의 기본구성은 공통되기 때문에 한쪽의 스위치(S3)에 관하여 설명하고, 다른 쪽의 스위치(S4)에 관해서는 스위치 S3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단자부(T3)는, 서로 형상이 다른 2개의 단자판(122,123)과 록킹스프링(15) 및 해제버튼(17)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22)은 띠판 모양의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되고, 기편(122b)의 양단에 접속편(122a)과 다리편(122c)이 형성되는 동시에 다리편(122c)의 선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편(122d)이 연장되게 설치되고, 또한 다리편(122c)의 기부와 연장편(122d)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접점(21a,21b)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단자판(123)도 띠판 모양의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되고, 기편(123b)의 양단에 접촉편(123a)과 다리편(123c)이 형성되는 동시에 다리편(123c)의 선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편(123d)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또한 다리편(123c)의 기부와 연장편(123d)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접점(21c,21d)이 고정 부착되며, 단자판(122,123)을 2개 나란히 한 상태로 서로의 기편(122b,123b) 끼리가 연결편(122e)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단자판(122,123)을 각각 단자수납부(1033,1034)에 수납하면,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판(122)의 다리편(122c)이 한쪽의 중앙수납부(1041)에 진출하는 동시에, 단자판(123)의 다리편(123c)이 다른 쪽의 중앙수납부(1042)에 진출하고, 한쪽의 중앙수납부(1041)안에 2개의 고정접점(21a, 21d)이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중앙수납부(1042) 안에 2개의 고정접점(21b, 21c)이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장편(122d,123d)과 간섭하지 않도록 몸체(1)의 중앙에는 격벽(10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가동접점판(19)은 표리(表裏) 양면에 가동접점(24a,24b)이 고정 부착되고, 가동접점(24a)과 고정접점(21a)(또는 21c)이 대향하고, 또한 가동접점(24b)과 고정접점(21d)(또는 21b)이 대향하도록 중앙수납부(1041)(또는 1042)에 수납된다.
그리하여, 조작핸들(38)을 누름조작함으로써 반전핸들(30)을 기체(1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기체(10) 안에 압축하여 수납된 코일스프링(32)에 의한 작용으로 가동접점판(19)이 반전회동하여, 가동접점판(19)의 가동접점(241,242)을 단자판(122)의 고정접점(21a)과 단자판(123)의 고정접점(21d)에 번갈아 접촉/분리시킬 수 있으며, 단자판(120)에 대한 2개의 단자판(122,123)의 도통을 택일적으로 온ㆍ오프하는 3로 스위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즉, 연결편(120e,122e)을 남긴 채로 제1 및 제2 단자부(T1,T3)를 각각 단자수납부(103)에 수납하고, 한쪽의 중앙수납부(1041)에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하는 동시에 반전핸들(30)의 한쪽의 봉 모양의 돌기에 삽입 고정한 코일스프링(32)의 하부를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압입하여 몸체(1)와 커버(2)를 조립하면, 3로 스위치인 스위치 S3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편(120e, 122e)을 절제하여 분할한 단자판(120) 및 단자판(122,123)을 각각 단자수납부(1031∼1034)에 수납하고, 양쪽의 중앙수납부(1041,1042)에 각각 가동접점판(19)을 수납하는 동시에 반전핸들(30)의 양쪽의 봉 모양의 돌기에 삽입 고정한 각 코일스프링(32)의 하부를 각각 가동접점판(19)의 돌출편(19b)에 압입하여 몸체(1)와 커버(2)를 조립하면, 4로 스위치인 스위치 S4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도 실시형태 10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단자부(T1,T3)를 그대로 기체(10)에 수납하면 3로 스위치(S3)로 되고, 연결편(120e, 122e)으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단자판(120, 122, 123)을 각각 기체(10)에 수납하는 동시에 가동접점판(19) 및 코일스프링(32)을 추가하면 4로 스위치(S4)로 되기 때문에, 종래는 스위치의 종류마다 구조가 상이하였던 몸체(1)를 포함해서 몇개의 부품을 3로 스위치(S3)와 4로 스위치(S4)에 대하여 공통화할 수 있으며, 특히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에서 몸체(1)의 금형을 따로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합리화와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체(1)의 중앙수납부(1041,1042)를 향하는 내벽면에 깊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요철(1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철(115)에 의해서 제1 및 제2 단자부(T1,T3) 사이의 연면거리를 크게 하여 양 단자부(T1,T3) 사이의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단자판(120) 및 단자판(122,123)의 측단 테두리에는 요철(115)의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편(120g, 122f, 123f)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맞춤편(120g, 122f, 123f)을 오목부와 끼어맞춤으로써, 몸체(1)에 대하여 각 단자판(120, 122, 123)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라인(145)이 부착된 조작핸들(38)을 사용하거나, 혹은 2개용 핸들이나 1개용 핸들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런데, 4로 스위치(S4)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9와 마찬가지로 위치표시등(53)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55 및 도 56은 위치표시등(53)을 구비한 4로 스위치(S4')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위치(S4')에서는 네온등으로 이루어지는 위치표시등(53)을 갖는 점등표시부(52)를 반전핸들(30) 안에 조립해 넣고, 반전핸들(30)의 전면에 형성한 개구(34)에 위치표시등(53)을 향하게 하고 있다. 또, 조작핸들(38)의 홈(141)에서의 핸들라인(145)의 창구멍(14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 조작핸들(38)을 관통하는 긴 형상의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리즘(55)은 구멍(54) 및 창구멍(146)에 끼워져 핸들라인(145)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선단에 라운드를 갖게 한 길고 가느다란 볼록부(56)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핸들(38)의 이면쪽으로부터 구멍(54) 안에 볼록부(56)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핸들(38)에 코킹(caulking)된다. 그리하여, 조작핸들(38)을 반전핸들(30)에 부착하면, 프리즘(55)의 입사면(57)이 위치표시등(5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편, 점등표시부(52)는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H형으로 형성된 회로기판(52a)에 위치표시등(53) 및 저항(R)을 실장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회로기판(52a)의 폭이 가는 부분을 반전핸들(30) 안의 봉 모양 돌기 사이에 눌러넣음으로써 점등표시부(52)를 반전핸들(30) 안에 수납 장치한다. 이 때, 위치표시등(53) 및 저항(58)의 단자(53a,58a)가 2개의 코일스프링(32,32)에 각각 따로 접촉 도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자부(T1,T3)를 통하여 부하에 급전되어 있을 때는 위치표시등(53)이 소등하고, 제1 또는 제2 단자부(T1,T3)를 통하여 부하에 급전(給電)되어 있지 않을 때에 위치표시등(53)이 점등하며, 위치표시등(53)의 발광이 프리즘(55)의 입사면(57)에 입사하고, 프리즘(55) 안에서 굴절되어 볼록부(56)로부터 외부로 출사되어서 스위치(S4')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의 결선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종래에 비교하여 록킹스프링 전체의 치수 증대를 억제하면서 누름편의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치수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누름편을 휘게 하는데 필요한 힘이 저하하기 때문에 적용전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의 결선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록킹편과 단자판 사이에 심선을 삽입하면 단자판으로부텨 떨어지는 방향으로 휜 록킹편의 선단부분이 누름편의 선단부에 맞닿아서 누름편을 휘게 하며, 그 결과, 결선시에 심선의 삽입감촉이 양호하게 되고 심선의 삽입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해제버튼으로 록킹편을 휘게 할 때에 록킹편이 누름편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제버튼에 의한 해제조작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와 단자판 사이에 틈새를 둠으로써 연선을 삽입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심선의 직경에 따라 심선과 누름편의 접촉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여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단자판과 록킹스프링이 대략 평탄한 부위에서 맞닿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기체의 돌기와 록킹스프링의 끼워맞춤 홈을 끼워맞추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지지편을 기체에 맞닿게 해서 록킹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록킹스프링의 걸림부를 기체에 걸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지지편을 기체에 맞닿게 해서 록킹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의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심선의 유지를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록킹스프링의 끼어맞춤편을 기체의 홈에 끼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는, 끼어맞춤편이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는,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단자판의 끼움부에서 록킹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선 삽입시에 록킹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의 유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서는, 안내돌출부 사이를 전선의 심선이 통과하면 심선은 퍼지지 않고 록킹스프링과 사이에서 끼워지고,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일부가 퍼지더라도, 안내돌출부와 록킹스프링과 사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하더라도, 기체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에서는,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이 퍼지려고 하더라도 양 안내돌출부 사이에 심선이 몰아 넣어지게 되어, 심선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에서는, 록킹편에 의해 단자판에 심선을 밀어붙일 수 있으며, 심선에 대한 비교적 큰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에서는, 기체에 도입된 심선이 양 안내돌출부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되게 되어, 심선이 연선인 전선이라 할지라도 심선이 퍼지지 않고 모여져서 록킹스프링과 단자판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에서는, 널링부의 요철에 의해서 심선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자판과 심선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해지고, 또한, 안내돌출부를 형성하여 심선이 지나는 부위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된 범위 안에 널링부를 형성하면 되고, 널링부의 영역을 적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에서는, 가드편을 형성함으로써 심선이 불필요한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드편에 의해서 심선이 지나는 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심선이 연선인 전선이라 하더라도 심선이 퍼지는 것을 규제하여 록킹스프링과 단자판 사이에서 심선을 유지할 수 있고, 연선을 심선으로하는 전선이라 하더라도 기체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 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에서는,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일부가 퍼지더라도, 적어도 누름편과 심선의 접촉위치까지는 해제버튼에 의해서 심선이 단자판의 주편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심선이 불필요한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심선이 퍼지는 것이 억제되고, 단자판의 주편과 록킹스프링 사이에 심선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심선에 대한 비교적 큰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연선을 심선으로 하는 전선이라 할 지라도 기체에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3의 발명에서는, 조립시에 상기 좌우방향에 대해서, 해제버튼의 좌우를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4의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주편끼리를 절연함에 있어서, 주편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긴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의 연장방향에 있어서 기체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기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에서는, 해제버튼의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6의 발명에서는, 록킹편과의 맞닿는 부위 근방의 표면을 록킹편에 선상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7의 발명에서는, 리브가 심선을 떼어내기 위하여 공구를 조작구멍에 삽입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제버튼의 조작성이 저하되지 않고, 이 리브에 전선이 지지되기 때문에 심선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8의 발명에서는, 종래에 비하여 기체의 안쪽 면과 단자판 사이의 틈새가 작아지고, 연선과 같이 선 직경이 가는 심선을 접속하는 경우라도 심선이 상기 틈새에 들어갈 염려가 없고, 단락이나 절연불량 등의 폐단이 생기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9의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방울 등을 오목부에 체류시킴으로써, 단자판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물방울 등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0의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부 끼리 사이의 연면거리를 크게하여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1의 발명에서는, 단자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2의 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이 개폐체의 단부에 형성한 모따기부에서 접촉할 경우에 비하여, 개폐체와 코일스프링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개폐체가 회동하는 경우라도 개폐체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위치를 항상 안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반전 회동력을 개폐체에 확실하게 작용시켜서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3의 발명에서는, 돌출편이 규제리브와 맞닿으므로써 개폐체의 회전멈춤을 행하여 회동범위를 규제할 수 있으며, 개폐체의 회동축이 되는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위 부근에 돌출편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돌출편과 규제리브와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하는 절삭 부스러기 등이 개폐체와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체의 회동동작을 안정시켜서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4의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기체에 수납하면 단극 스위치로 되고, 연결부위에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기체에 수납함과 동시에 개폐체를 포함하는 개폐기구부의 부품을 추가하면 2극 스위치로 되기 때문에, 단극 스위치와 2극 스위치에 대해서 기체를 포함한 몇개의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5의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기체에 수납하면 3로 스위치로 되고, 연결부위에서 절단하여 2개로 분할된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기체에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체를 포함하는 개폐기구부의 부품을 추가하면 4로 스위치로 되기 때문에,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에 대해서 기체를 포함하는 몇개의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6의 발명에서는,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사이의 연면거리를 크게하여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7의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8의 발명에서는, 연결부위의 절단작업의 유무만으로 단극 스위치와 2극 스위치, 및 3로 스위치와 4로 스위치를 나누어 만들 수 있어, 종류가 다른 스위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5 (a)는 종래의 록킹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 (b)는 실시형태 1에서의 록킹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a)는 종래의 단자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b)는 실시형태 1에서의 단자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a)는 종래예의 동작설명도이고, 도 7 (b)는 실시형태 1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의 설명도이다.
도 10 (a)는 실시형태 1에서의 록킹스프링의 평면도이고, 도 10 (b)는 록킹스프링의 누름편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서의 단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하는 단자판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4 (a) ∼(c)는 각각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하는 단자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1에서의 단자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구성예에 사용하는 단자판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1에서의 커버를 벗겨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하는 해제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하는 해제버튼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a)는 가동접점판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b)는 가동접점판의 부착상태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1에서의 다른 구성의 가동접점판 및 단자판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1에서의 또 다른 구성의 가동접점판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2에서의 록킹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3에서의 록킹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4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4에서의 록킹스프링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5에서의 록킹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5에서의 록킹스프링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실시형태 5에서의 록킹스프링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6에서의 단자판 및 가동접점판을 나타내고, (a)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b)는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실시형태 7을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7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34는 실시형태 7의 설명도이다.
도 35는 실시형태 8을 나타내고,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실시형태 8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실시형태 8의 설명도이다.
도 38은 실시형태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형태 9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실시형태 9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41 (a)는 실시형태 9에서의 가동접점판의 사시도, 도 41 (b)는 가동접점판 및 코일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42는 실시형태 9에서의 다른 구성의 가동접점판을 나타내고, (a)는 외관사시도, (b)는 상면도이다.
도 43은 실시형태 9에서의 또 다른 구성의 가동접점판을 나타내고, (a)는 외관사시도, (b)는 상면도이다.
도 44는 실시형태 10을 나타내고, (a)는 단극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b)는 2극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실시형태 10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46은 실시형태 10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47은 실시형태 10에서의 다른 조작핸들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8은 실시형태 10의 2개용 핸들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49는 실시형태 10의 1개용 핸들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50은 실시형태 11을 나타내고, (a)는 3로(路)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b)는 4로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1은 실시형태 11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52는 실시형태 11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53은 실시형태 11에서의 몸체(body)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4는 실시형태 11에서의 다른 조작핸들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5는 실시형태 11의 위치표시등이 부착된 4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6은 실시형태 11의 위치표시등이 부착된 4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7은 종래예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8은 종래예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단면도이다.
도 59는 종래예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61... 제1 단자부
62... 제 2 단자부
8... 접점부
10... 기체(器體)
11... 제1 단자판
12... 제 2 단자판
15... 록킹스프링
16... 전선 삽입구멍
17... 해제버튼(button)
19... 가동접점판
21... 고정접점
24... 가동접점
30... 반전핸들
32... 코일스프링
38... 조작핸들

Claims (38)

  1. 고정접점 및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과 분리가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접점부와, 상기 고정접점과 외부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가동접점과 외부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단자부와,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ㆍ분리함으로써 상기 접점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부와, 상기 접점부, 제1 및 제2 단자부 및 상기 개폐기구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바깥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조작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부를 구동하여 상기 접점부를 개폐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고정접점 또는 가동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기체에 관통되게 형성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상기 단자판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끝 테두리를 상기 단자판의 측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심선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심선을 사이에 끼우는 록킹편을 가진 록킹스프링과, 상기 기체의 상기 전선 삽입구멍 근방에 관통되게 형성한 조작구멍을 통하여 조작됨으로써 상기 록킹스프링의 록킹편을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반대방향으로 휘게 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록킹스프링은,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판재를 구부려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자판에 대향 배치되는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 테두리를 향하여 상기 단자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기 록킹편과,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단자판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선단부가 심선을 상기 단자판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단자판과 사이에 심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누름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누름편이 상기 중앙편과의 연결부위보다 선단부쪽에서 중앙편과의 간격이 가장 좁게 되도록 둥글게 구부려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심선에 접촉하는 상기 누름편의 선단부를 상기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의 록킹편과 대향하는 부위를 록킹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심선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편의 선단 테두리와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도록 상기 록킹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의 선단부는, 심선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곡률반경(R)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 및 록킹스프링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는 부위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홈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맞닿아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걸리는 걸림부가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맞닿아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편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편이 상기 록킹스프링에 대칭된 위치에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안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록킹스프링의 상기 끼워맞춤편 끼리가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스프링을 사이에 끼우는 끼움부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는 상기 심선이 도입되는 부위의 양쪽에 한쌍의 안내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출부에서 적어도 서로 가까운 쪽의 단부가 구면(球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록킹편의 끝 테두리의 일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9. 제16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심선의 선단쪽을 향하여 서로의 거리를 작게 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과의 접촉부위에는 심선의 삽입방향에서 요철이 번갈아 반복하는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1.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는 상기 록킹편의 옆 테두리를 따라 가드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편은, 상기 단자판의 주편(主片)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기체 안에 조립한 상태로 기체 안에 나란히 형성되는 2개의 상기 주편 각각에 대향하는 2개의 록킹스프링의 상기 록킹편에 각각 맞닿는 누름편이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주편 사이 및 록킹스프링 사이에 개재하고 또한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구멍 부근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누름편과 상기 심선과의 접촉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단자판에서 상기 심선을 접촉시키는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할 때에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의 선단 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주편 사이를 잇는 직선에 교차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상기 록킹편과의 맞닿는 부위 근방의 표면이 상기 록킹편에 선상(線狀)으로 맞닿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분리선(parting line)부를 상기 누름편에 있어서 상기 록킹편과의 대향면 이외의 부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멍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하고 상기 전선 삽입구멍의 주변에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심선 삽입방향을 따른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기체의 안쪽 면에 상기 단자판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9. 제28항에 있어서,
    몸체와 커버를 조립하여 상기 기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와 커버의 맞닿는 면과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체의 안쪽 면에 1 내지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안쪽 면의 요철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편을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는, 도전재료로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가동접점을 가지며, 상기 제1 단자부가 구비하는 제1 단자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동하는 개폐체와, 상기 조작부에 일 단부가 유지되는 동시에 타 단부가 상기 개폐체에 유지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체에 반전 회동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과 대향하는 상기 개폐체의 부위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 단부 안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편의 양 측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 단부와 면 접촉하는 평탄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에서 상기 제1 단자판과 접촉하는 변(邊) 이외의 변으로서, 상기 제1 단자판과의 접촉부위 이외의 부위에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상기 개폐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체가 회동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편과 맞닿아서 상기 개폐체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리브를 상기 기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4.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조작위치 사이에서 요동하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부착된 개폐체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체를 회동하는 상기 개폐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와 접촉 도통하는 수단을 갖는 2개의 제1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과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 고정접점이 고정 부착된 2개의 제2 단자판을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조작위치 사이에서 요동하는 상기 조작부와, 2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 부착된 개폐체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체를 회동하는 상기 개폐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와 접촉 도통하는 수단을 갖는 2개의 제1 단자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과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 2개의 고정접점이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 부착된 2개의 제2 단자판을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기 기체의 양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체의 대략 중앙 내벽면에 1 내지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내벽면의 요철에 끼어 맞추는 끼워맞춤편을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8. 제34 또는 제35항에 기재된 스위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그대로 상기 기체에 수납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위를 절단하여 미리 2개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단자판을 각각 상기 기체에 수납하는 공정의 어느 한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제조방법.
KR10-2001-0074804A 2001-01-26 2001-11-29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2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7739 2001-01-26
JP2001017739A JP4208171B2 (ja) 2001-01-26 2001-01-26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099A KR20020063099A (ko) 2002-08-01
KR100492749B1 true KR100492749B1 (ko) 2005-06-27

Family

ID=1888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804A KR100492749B1 (ko) 2001-01-26 2001-11-29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208171B2 (ko)
KR (1) KR100492749B1 (ko)
CN (1) CN1216392C (ko)
EG (1) EG23281A (ko)
SA (1) SA02220650B1 (ko)
TW (1) TW503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622B2 (ja) * 2006-05-31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端子装置
JP5478192B2 (ja) * 2009-10-23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ピラー端子付スイッチ
CN102623229B (zh) * 2011-01-28 2015-11-25 乐清市杰拉华电器有限公司 一种螺丝批开关
US9084918B2 (en) 2012-05-31 2015-07-21 Nike, Inc. Football with segmented cover panels
CN104165386A (zh) * 2013-09-02 2014-11-26 李秋达 燃气灶单键操作系统与单键智能燃气灶
JP6238171B2 (ja) * 2014-02-28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
CN103943399B (zh) * 2014-04-29 2017-02-01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开关结构
ES2658756T3 (es) * 2015-06-15 2018-03-12 Gira Giersiepen Gmbh & Co. Kg Parte de base para un dispositivo conmutador eléctrico modular
ITUB20169924A1 (it) * 2016-01-12 2017-07-12 Gewiss Spa Struttura di morsetto per dispositivi elettrici
FI20175848A1 (fi) * 2017-09-24 2019-03-25 Parkkisaehkoe Oy Sähköasennusliitin
FI130101B (fi) * 2022-01-31 2023-02-28 Parkkisaehkoe Oy Sähköasennusliitin, menetelmä sähköasennusliittimen valmistamiseksi ja sähköasennusliittimen käytt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115A (ja) * 1994-07-11 1995-02-2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遅動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115A (ja) * 1994-07-11 1995-02-2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遅動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A02220650B1 (ar) 2009-11-02
TW503417B (en) 2002-09-21
JP2002222670A (ja) 2002-08-09
CN1216392C (zh) 2005-08-24
CN1367514A (zh) 2002-09-04
JP4208171B2 (ja) 2009-01-14
KR20020063099A (ko) 2002-08-01
EG23281A (en) 200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749B1 (ko)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JPH10144424A (ja) コンセント
KR101125078B1 (ko) 스위치
JP3991917B2 (ja) 配線器具
JP4046102B2 (ja) 端子装置
JP4303413B2 (ja) 端子装置
KR100284953B1 (ko) 콘센트
JP2002008470A (ja) スイッチ装置
JP2002324598A (ja) 端子台
JP3826705B2 (ja) スイッチ
JP3882497B2 (ja) スイッチ装置
JP3674497B2 (ja) 端子装置
JP6854547B2 (ja) プラグ
JP4026315B2 (ja) 端子装置
JP3882498B2 (ja) 接点装置
JP2002291117A (ja) 住宅用分電盤
JP2815908B2 (ja) コンセント
JP2002164108A (ja) 端子装置
JPS6125181Y2 (ko)
JP3835159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424718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3004899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2304933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007170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ほたる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