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315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315B1
KR100488315B1 KR10-2002-0033967A KR20020033967A KR100488315B1 KR 100488315 B1 KR100488315 B1 KR 100488315B1 KR 20020033967 A KR20020033967 A KR 20020033967A KR 100488315 B1 KR100488315 B1 KR 10048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ration handle
fixed
base block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66A (ko
Inventor
하루히코 미하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65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0Auxiliary 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 for cleaning or lubricating contact-mak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0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Abstract

윤활유의 윤활성을 유지하여 그 윤활성의 도움에 의해 마모되기 어렵게 하고, 또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시에 유막을 끊어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는 회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접점(22)의 접점면을 2∼8㎛의 요철(凹凸)을 형성한 거친 면으로 가공하고, 그리스(50)을 도포하고 있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에서는,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의 접점면을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고정접점을 형성하고 있는 도전체가 마모하여 금속분을 발생시키거나, 고정접점 사이를 개리(開離)하기 위하여 형성한 수지제 리브에 가동접점이 올라앉아 미끄럼 이동할 때에 리브가 마모하여 수지분을 발생시킨다.
상기 마모에 의한 금속분이나 마모분에 의해 종래의 스위치는 접촉불량이나 단락 등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 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윤활유를 유지하고 그 윤활성의 도움에 의해 마모되기 어렵게 하며, 또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시에 유막을 끊어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2 개의 고정접점 사이를, 가동수단으로 유지되며, 고정접점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가동접점에 의해 단락·개리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접점의 접점면을 미소한 요철을 형성한 거친면으로 함과 동시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2, 도 3은 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실시예의 스위치는 측면 형상이 대략 부채모양인 기체(器體)(1)와, 상기 기체(1)의 내부공간에 병렬로 배치되고, 부채모양의 기체(1)의 요부(要部)에 있어서 일단이 축지지되고, 상기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이동이 자유로운 2개의 조작핸들(2),(3)의 조작부(2A),(3A)를 기체(1) 단면의 개구창(15)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며, 이들 조작부(2A),(2B)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의 기구부와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에 연결시켜 사용한다.
기체(1)의 일단부에는 외부에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군(4)을 구비한 커넥터부(5)를 설치하고 있다.
기체(1)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합성수지(PBT)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제 1의 베이스블록 1A와, 도 6 도 7에 나타내는 합성수지(PBT)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제 2의 베이스블록 1B를 겹치고, 외주 테두리부에 형성된 설치공(6…)에 끼운 나사체(7)에 너트(8)를 체결하므로서, 양 블록 1A,1B를 결합 고정하여 구성된다.
제 1의 베이스블록 1A는, 평면 외형 형상이 부채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안쪽에는 요부(要部)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부채모양의 약간 깊게 한 오목평면(10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평면(10A)으로부터 요부에서 보아 선단방향에 걸쳐서는 약간 앝게 한 오목평면(10B)을 형성하고, 오목평면(10A)과 오목평면(10B)의 경계부위에는 원호형상의 리브(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오목평면(10A)의 요부에는 제 2의 베이스블록 1B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2)(도 7 참조)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공(13)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리브(11)는 중앙부를 일정 폭 잘라내어 리브(11)의 높이 보다도 낮은 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을 조작핸들(2)로 유지하는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30)(도 13 참조)을 안내하는 안내부(41A)로 하고, 또한 안내부(41A)의 양단 리브(11)에 따른 벽면(壁面)에서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30)의 이동을 규제하여 복귀용 스프링력을 축적하기 위한 스토퍼(42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블록 1A 선단부의 약간 중앙쪽의 위치에는 안쪽방향으로 일체로 돌출시킨 돌기편(9)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편(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 1B 선단부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오목부(14)에 끼운다. 그리고, 오목평면(10B)은 후술하는 도 8의 고정 접점부(16A)를 설치하는 배설부(配設部)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블록 1A에 겹쳐 결합되는 다른 쪽의 베이스블록 1B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것 처럼 대략 부채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안 쪽에는 부채모양의 요부위치로부터 약간 중앙부에 이를 때까지 상기 오목평면(10A) 보다 약간 깊은 부채모양의 오목평면(17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오목평면(17A)으로부터 베이스블록 1B의 선단부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에 오목평면(17A) 보다 더욱 깊게 된 오목평면(17B)을 형성하고, 양 오목평면(17A),(17B)의 경계부위에는 원호형상의 리브(18)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리브(18)의 중앙부를 일정 폭 잘라내어 리브(18)의 높이보다도 낮은 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을 조작핸들(3)로 유지하는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35)(도 11 참조)을 미끄럼 이동 시키는 안내부(41B)로 하거나, 또는 상기 안내부(41B)의 양단 리브(18)에 따른 벽면에서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30)의 이동을 규제하여 복귀용 스프링력을 축적하기 위한 스토퍼(42B)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부채모양의 오목평면(17A)의 요부위에는 조작핸들(3),(2)을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상술한 회전축(12)을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오목평면(17B)의 한 쪽에는 커넥터부(5)를 구성하는 출력단자군(4)이 설치되는 오목홈(19)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9) 선단의 베이스블록 1B의 옆면에는 플러그 삽입구(20)가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20)로부터 오목평면 (17)에 이르는 오목홈(19)의 개구부에는 베이스블록 1A가 덮여 오목홈(19)의 개구부를 막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목평면(17B)은, 후술하는 도 9의 고정접점부(16B)를 설치하는 배설부를 구성한다.
상기 오목평면(17B)에 따른 베이스블록 1B 선단부의 외주벽 중앙부에는 상술한 오목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4)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입구까지의 개구 폭이 넓고, 중앙에서 안쪽 단까지의 개구 폭이 좁게 형성되어, 개구 폭이 넓은 쪽에 베이스블록 1A의 돌기편(9)을 끼우므로서,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Z자 모양의 개구창(開口窓)(15)이 형성된다.
베이스블록 1A의 오목평면(10B)에 설치되는 고정접점부(16A) 및 베이스블록 1B의 오목평면(17B)에 설치되는 고정접점부(16B)는 모두,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수지성형 기판(21A),(21B)과, 기판면에 노출하는 원호형상의 후술하는 고정접점과,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출력단자군(4)으로 구성되며, 베이스블록 1A, 1B를 결합한 때에 상대하는 면이 고정접점의 노출면이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각 수지성형 기판(21A),(21B)의 양 단부에는 서로 접면하는 돌출부(24a), (24b)를 서로 대향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게 성형하고, 각각의 수지성형 기판(21A),(21B)의 돌출부(24a),(24b)가 서로 면 접촉하므로서, 수지성형 기판(21A),(21B)사이에 조작핸들(2),(3)을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한 쪽의 수지성형 기판(21A)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병렬하는 3개의 동심 원호선에 있어서, 중앙의 원호선 상에 2개의 원호형상의 고정접점(22c1),(22c2)을 각각 소정 길이로, 소정 간격을 띄워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2개의 고정접점(22c1),(22c2)은 공통접점을 구성하는 것으로 동일한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고, 그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공통의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한편 바깥쪽의 원호선 상에는 3개의 고정접점(22a1∼22a3)을 각각 소정 길이로, 소정 간격을 띄워서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고정접점(22a1∼22a3)은 각각 별도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한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안쪽의 원호선상에는 거의 중앙에 소정 길이의 고정접점(22b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접점(22b1)을 형성하는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다른 쪽의 수지성형 기판(21B)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 간격으로 병렬되는 3개의 동심 원호에 있어서, 중앙의 원호선 상에 3개의 원호형상의 고정접점(23c1∼23c3)을 각각 소정 길이로, 소정간격을 띄워서 형성하고 있으며, 이 들 3개의 고정접점(23c1∼23c3)은 공통 접점을 구성하는 것으로 동일한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며, 그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공통의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한 편 바깥쪽의 원호선 상에는 4개의 고정접점(23a1∼23a4)이 각각 소정 길이로, 소정 간격을 띄워 형성하고 있으며, 중앙의 고정접점(23a2∼23a3)은 같은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며, 양단의 고정접점(23a1),(23a4)은 각각 별도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안쪽의 원호선 상에는 중앙보다 약간 타단쪽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소정 길이의 고정접점(23b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접점(23b1)을 형성하는 도전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출력단자에 의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성형 기판(21A),(21B)의 상술한 3개의 병렬하는 원호는, 베이스블록 1A,1B의 오목평면(10B),(17B)에 배치한 상태에서 회전축(12)의 중심, 요컨대 조작핸들(2),(3)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한다.
다음,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조작핸들(2),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핸들(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형상이 부채모양으로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측의 일단쪽(부채모양의 요부쪽)에는 베이스블록 1A의 회전축(12)을 끼워 결합시키는 축공(軸孔)(26)을 관통시킨 원통부(2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조작핸들(3)의 대략 중앙위치에 양 측에 이르는 단부(3a)를 형성하여 조작핸들(3)의 상기 일단쪽에서 대략 중앙에 이르는 부위를 대략 중앙으로부터 타단쪽에 이르는 부위보다도 원통부(27)의 돌출방향으로 높게 하고 있다. 원통부(27)는 조작핸들(3)의 복귀용 스프링인 도 11(a)(b)에 나타내는 비틀림 스프링(35)의 비틀림부(35a)를 끼우는 스프링 자리를 구성한다.
그리고, 조작핸들(3)의 일면측에 있어서, 조작핸들(3)의 타단 양측 사이 및 타단 양측에서 단부(3a) 근방의 위치에 이르는 양측에는 입벽(立壁)(3b)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コ자 모양의 입벽(3b) 양측 선단의 대향면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35)의 양측 각편(脚片)(35b),(35b)을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양측 각편(35b),(35b)의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스토퍼(29),(29)를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 입벽(3b)으로 둘러싸인 부위에는 개구창(3d)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입벽(3) 양측부의 조작핸들(3) 선단부 쪽의 위치에는, 조작핸들(3)의 양단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중앙이 양측으로 넓혀진 가동접점체 장착용 구멍(31a),(31b)을 각각 관통되게 형성하고 있다. 이들 구멍(31a),(31b) 양단부의 위치는, 조작핸들(3)을 베이스블록 1B의 회전축(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또한 고정접점부(16A),(16B)를 각각 베이스블록1A,1B의 오목평면(10B),(17B)을 소정 배치하여 기체(1) 내에 구성될 때, 고정접점부(16A),(16B)에 형성시키는 고정접점(22a1∼22a3, 23a1∼23a4)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외측의 원호선과, 고정접점(22c1, 22c2, 23c1∼23c3)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중앙의 원호선에 걸치는 위치로 형성되고, 또한 각 구멍(31a), (31b)의 폭방향 중심선을 조작핸들(3)의 회전중심을 통하는 선상(線上)에 위치시키고 있다.
더욱이, 선단측의 입벽(3b)의 외주부에는 칼라(collar)부(3c)를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칼라부(3c)의 양 측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한 쪽에 걸쳐서 조작핸들(3)의 타면측 방향이 잘려 나간 개구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32)의 양 측방향의 중앙위치에 대응하는 칼라부(3c)의 외면에 조작부(3A)를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조작핸들(2)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측의 일단부에 베이스블록 1A의 회전축(12)을 끼워 결합시키는 축공(33)을 관통시킨 원통부(3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조작핸들(2)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양측에 이르는 단부(2a)를 형성하여 조작핸들(2)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대략 중앙에 이르는 부위를 대략 중앙에서 타단측에 이르는 부위보다도 원통부(34)의 돌출방향으로 높게 하고 있다. 원통부(34)는 조작핸들(3)의 복귀용 스프링인 도 13(a)(b)에 나타내는 비틀림 스프링(30)의 비틀림부(30a)를 끼우는 스프링 자리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부(2a) 근방의 일단측의 양쪽에 돌출부(2b)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b)에 비틀림 스프링(30)의 양쪽 각편(脚片)(30b),(30b)을 탄성적으로 접하게 하여 양쪽 각편(30b), (30b)의 넓게 벌어지는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36),(36)를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단부(2a)와 조작핸들(2)의 선단부 사이의 타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두꺼운 살부(2d)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두꺼운 살부(2d)에는 가동접점체 장착용 구멍(31c),(31d)을, 한쪽의 구멍(31c)의 일단 위치가 다른 쪽의 구멍(31d)의 타단 위치가 되도록 병렬시켜서 관통되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한 쪽 구멍(31c)의 양단부 위치는, 조작핸들(2)을 베이스블록 1B의 회전축(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고정접점부(16A),(16B)를 각각 베이스블록 1A, 1B의 오목평면(10B),(17B)에 소정배치하여 기체(1) 내에 구성한 때, 고정접점부(16A),(16B)에 형성시키는 고정접점(22a1∼22a3),(23a1∼23a4)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외측의 원호선과, 고정접점(22c1),(22c2),(23c1∼23c3)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중앙의 원호선에 걸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구멍(31c)의 축방향 중심선을 조작핸들(2)의 회전중심을 통하는 선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다른 쪽 구멍(31d)의 양단부의 위치는, 고정접점부(16A),(16B)의 고정접점(22c1),(22c2),(23c1∼23c3)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중앙의 원호선과, 고정접점(22b1),(23b1)을 각각 배치하고 있는 안쪽의 원호선에 걸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구멍(31d)의 폭방향 중심선을 조작핸들(2)의 회전중심을 통하는 선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조작핸들(2)의 선단부에는 칼라부(2c)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칼라부(2c)의 표면으로부터 조작부(2A)를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조작핸들(2),(3)의 각 구멍(31a),(31b),(31c),(31d) 내에 장착되는 가동접점체(37)에 대해서 도 14(a)(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조작핸들(2)의 두꺼운 살부(2d)에 관통되게 형성 시킨 구멍(31c)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동접점체(37)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コ자 모양의 가동접점(37A), (37B)와, 상기 가동접점(37A),(37B) 사이에 개재하여 양 가동접점(37A),(37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도전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37C)으로 구성되며, 양 가동접점(37A),(37B)의 접점면을 형성하는 중앙편(中央片)이 구멍(31c)의 양단 개구로부터 노출하도록 구멍(31c) 내에 내장된다. 그리고, 조작핸들(2)의 소정 회전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고정접점부(16A)의 고정접점 22a1과 22c1에 가동접점(37A)의 중앙편의 외면이 코일 스프링(37C)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하여 양 고정접점(22a1),(22c1) 사이를 단락하고, 반대쪽의 고정접점부(16B)에서는 고정접점(23a1…),(23c1…)을 설치하고 있는 위치 사이의 수지성형 기판(21B)에 일체로 성형한 원호모양의 리브(38) 위에 가동접점(37B)이 올라앉아서 개리(開離)상태로 된다.
요컨대, 가동접점 37A 또는 37B가 걸치는 근접되는 2개의 원호선 상에 배치된 고정접점부(16A),(16B)의 고정접점은, 양 원호선 사이에 고정접점의 접촉면보다 높은 리브(38)의 개재 여부에 의해 가동접점 37A 또는 37B에 의해 고정접점 사이가 개리(開離)되든지 단락되는 것이 정해지도록 되어 있고,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절한 원형모양의 리브(38)를 수지성형 기판(21A),(21B)에 형성하므로서, 각 조작핸들(2),(3)의 각 구멍(31a∼31c)에 장착된 가동접점체(37)의 가동접점(37A),(37B)에 의한 고정접점 사이의 단락출력의 유무의 조합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여러가지 회전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점(37A(또는 37B))의 접촉면을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Round)면으로 하고, 또한 가동접점 (37A(또는 37B))가 올라앉아 접점 개리(開離)를 하기 위한 리브(38)의 단면을 R면에 형성하므로서 가동접점(37A(또는 37B))이 리브(38)로 올라앉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가동접점(37A),(37B)의 리브(38)로의 올라앉기가 반복되므로, 리브(38)의 단면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x)하나,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점(부호를 22로 나타낸다) 쪽의 접점면도 마모(y)하므로 마모의 밸런스가 향상되는결과, 올라앉는 점과 접촉위치의 어긋남은 적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고정접점(예를 들면, 22a1,22c1) 사이에 리브(38)를 형성하고, 가동접점(37A)이 리브(38)에 올라앉는 것으로 고정접점(22a1),(22c1) 사이를 떼어놓도록 하여, 아크 끊음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또한, 리브(38)의 단면측에 임하는 양쪽의 고정접점(도 15에서는 22a1 및 22c1) 의 접점면의 옆 테두리와 인접하는 리브(38)의 옆 테두리의 사이에는 빈 틈새(a)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마모분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접점(도 1 에서는 22로 부호를 붙인다)의 접점면(A)을 2∼8㎛인 높이를 가지는 요철(凹凸)을 형성한 거친면으로 가공하고, 그리스(50)를 도포하고 있다. 거친면 가공방법으로서는 알루미나 등의 입자를 불어대는 브라스트 처리에 의한 방법이나 규소입자를 사용하여 평면연마를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진다.
고정접점의 미끄럼 이동면에 절삭 등의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여 요철을 형성한 경우, 홈 부근 밖에 그리스(50)(윤활유)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윤활성이 불균일하게 됨과 동시에, 홈에 그리스(50)가 빠지지 않으면 유막이 끊어지지 않으므로 홈 부근에서 밖에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으나, 브라스트처리 등의 거친면화(粗面化)의 방법을 사용하면, 고정접점(22)의 미끄럼 이동면에 있어서 2차원적으로 랜덤한 위치에 미소한 요철(凹凸)을 균일하게 또한 밀접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리스(50)를 고정접점의 미끄럼 이동면에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접점의 미끄럼 이동면의 모든 개소에서 그리스(50)가 달아나기 쉽게 되므로, 접점면을 가동접점체(도 1에서는 37 번호를 붙인다)이 미끄럼 이동 접촉하는 경우, 거친면에 의해서 가동접점체(37)의 고정접점(22)의 접점면(A)으로의 접촉시에 유막을 끊기 쉽게 되어, 균일하고 안정된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미소한 복수 볼록형상의 선단이 가동접점체(37)과 접촉하므로 높은 접촉압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에 의하면, 고정접점(22)의 어느위치에서도 접촉압이 높은 여러개소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균일하게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점면(A)의 거친면이 그리스(50)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동접점체(37)가 리브(38)에 올라앉을 때에도 접접면(A)로부터 가동접점체(37)에 그리스(50)가 공급되고, 상기 그리스(50)가 가동접점체(37)의 표면을 흘러 리브(38) 위에도 공급되므로, 가동접점체(37)가 접점면(A)를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 만이 아니라, 리브(38)에 올라앉아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리스(50)의 윤활성에 의해 마모되기 어렵게 되어, 금속분이나 수지분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윤활유인 그리스(50)를 유지하는 다른 구조로서는, 가동접점체(37)의 미끄럼 이동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한다고 하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스위치의 경우, 가동접점체(37)는 접점면(A)를 미끄럼 이동할 뿐만 아니라, 리브(38)에 올라앉아 미끄럼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가동접점체(37)의 미끄럼 이동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하면, 리브(38) 위에서 유막이 끊기기 쉽게 되어, 리브(38)가 마모되기 쉽게 되어 수지분의 발생이 많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동접점체(37)의 미끄럼 이동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접점(22)을 거친면화 하는데 의해, 접촉 신뢰성 및 미끄럼 이동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가동접점체(37)의 미끄럼 이동면 중, 고정접점(22)에 접촉하는 부분만 거친면화 한다고 하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으나, 가공공정이 늘어 비용증가로 연결되므로, 가동접점체(37)의 미끄럼 이동면은 거친면화시키지 않고 고정접점(22)을 거친면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스위치를 조립하는 데 있어서는, 우선 각 조작핸들 (2),(3)의 구멍(31a∼31d)에 가동접점체(37)의 각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원통부 (27),(34)를 서로 바깥쪽으로 향하여 축공(26),(33)이 연통하도록 위치시켜서 조작핸들(2),(3)의 다른 쪽을 겹친다. 이 경우, 축공(26),(33)의 개구부에는 와셔(도시않음)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조작핸들(3)의 칼라부(3c)의 개구부(32)에 조작핸들(2)의 칼라부(2c)를 양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고, 조작부(2A)를 외부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조작핸들(2)의 두꺼운 살부(2d)를 조작핸들(3)의 개구창(3d) 내에 수납하여, 두꺼운 살부(2d)의 단면을 조작핸들(3)의 반대 측면으로 노출시킨다.
이 때, 조작핸들(2)의 돌출부(2b)의 다른 면쪽이, 조작핸들(3)의 개구창(開口窓)(3d)의 양측 타면쪽에 겹쳐지고, 또한, 조작핸들(2)의 단부(2a) 위치로부터 칼라부(2c)에 이르는 부위의 일면이 개구창(3d)의 양측 조작핸들(3)의 타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조작핸들(2),(3)을 겹쳐서 조립한 블록의 양면측으로부터 고정접점부(16A),(16B)의 수지성형 기판(21A),(21B)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양측의 돌출부(24a),(24b)들은 면접(面接)시켜, 조작핸들(2),(3)을 개재시키는 형태로 결합한다. 이 때, 조작핸들(3)의 칼라부(3c)는 개구부(32) 내에 조작핸들(2)의 칼라부(2c)를 다다르게 한 상태에서 양 수지성형 기판(21A),(21B)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 개구 외주테두리에 덮이는 동시에 수지성형 기판(21A),(21B)의 선단면을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양 조작핸들(2),(3)의 조작부(2A),(3B)가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고정접점부(16A),(16B)를 조립한 후, 조작핸들(3)의 원통부(27)에 비틀림 스프링(35)의 비틀림부(35a)를 끼우고, 비틀림 스프링(35)의 V 자형으로 열린 양쪽 각편(脚片)(35b),(35b)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면서 조작핸들(3)의 스토퍼(29),(29)사이에 끼우고 양쪽 각편(35b),(35b)을 스토퍼(29),(29)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조작핸들(2)의 원통부(34)에 비틀림 스프링(30)의 비틀림부(30a)를 끼우고, 비틀림 스프링(30)의 V자형으로 열린 양쪽 각편(30b),(30b)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면서, 조작핸들(3)의 스토퍼(36),(36) 사이에 끼워넣어 양쪽 각편(30b),(30b)을 스토퍼(36),(36)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킨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30),(35)을 장착한 후, 조작핸들(3)의 원통부(27)쪽을 베이스블록 1B를 향하여 원통부(27)의 축공(26)과, 개재시키는 와셔 구멍과, 조작핸들(2)의 원통부(34)의 축공(33)을 베이스블록(1B)의 회전축(12)에 삽입되게 하고, 베이스블록 1B의 오목평면(17B)에 고정접점부(16B)를 배치하여, 오목홈(19)에 고정접점부(16A),(16B)의 일단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출력단자군(4)을 수납한다. 이 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35)의 상기 스토퍼(29),(29)에 접하는 위치보다도 앞 쪽의 양쪽 각편(35b),(35b)의 부위가 베이스블록 1B의 중앙부에 형성시키는 리브(18)의 안내부(41B)의 양단에 설치된 스토퍼(42B),(42B)에 접하는 동시에 안내부(41B)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수지성형 기판(21A),(21B)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외측 개구테두리를 따르도록 배치된 조작핸들(3)의 칼라부(3c)는 베이스블록 1B의 선단측 외주벽의 이면과 수지성형 기판(21A),(21B)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외측 개구테두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칼라부(3c)의 길이방향의 폭 치수를 베이스블록 1B의 선단측 외주벽에 형성되는 오목부(14)의 대응하는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길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핸들(3)의 조작부(3A)는 베이스블록 1B의 오목평면(17B)의 바닥부 쪽에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오목부(14)를 개재하여 베이스블록 1B 보다 외부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블록 1B에 조립한 후, 조작핸들(2)의 일면측으로부터 베이스블록 1A을 장착시킨다. 이 때, 조작핸들(2)의 원통부(34)의 축공(33)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2)의 선단을 베이스블록 1A의 오목평면(10A)의 일단부에 형성한 베어링공(13)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움과 동시에, 수지성형 기판(21A)을 베이스블록 1A의 오목평면(10B) 내에 배치한다. 이 때, 스토퍼(36),(36)에 접하고 있는 위치보다도 비틀림부(30a)쪽으로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30)의 양쪽 각편(30b),(30b)의 부위가 베이스블록 1A의 리브(11)에 형성시키는 안내부(41A)의 양단에 설치된 스토퍼(42A),(42A)에 접하는 동시에 안내부(41A)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블록 1A에 베이스블록 1B를 덮은 후, 양 블록 1A,1B를 조임 고정하므로서, 조작핸들(2),(3) 및 고정접점부(16A),(16B)를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 내에 수납한 스위치가 완성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a)(b)에 기초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각 조작핸들(2),(3)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에 결합된 연동기계에 의해 회전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시프트 레버가 통상위치인 경우, 조작핸들(2),(3)은 각각 장착된 각 비틀림 스프링(30),(35)가 베이스블록 1A,1B의 스토퍼(42A),(42B)에 의해 도시하는 상태로 움직임이 규제되고, 조작핸들(2)의 칼라부(2c)가 조작핸들(3)의 개구부(32)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작핸들(2)의 조작부(2A)와 조작핸들(3)의 조작부(3A)는 거의 겹치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3)은 조작핸들(2)의 칼라부(2c)의 오른쪽 또는 왼쪽의 단면이 조작핸들(3) 개구부(32)의 왼쪽 또는 오른쪽의 안쪽 단면에 닿는 위치(도 18(b)의 (ㄱ) 또는 (ㄴ)의 위치)까지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조작핸들(3)에 장착하고 있는 비틀림 스프링(35)의 좌우의 양쪽 각편(35b),(35b) 중에서, 회전방향쪽의 각편(35b)은 베이스블록 1B에 설치한 대응하는 스토퍼(42B)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되고, 다른 쪽의 각편(35b)은 조작핸들(3)의 대응하는 스토퍼(29)의 누름압력을 받아 휘어지면서 안내부(41B)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조작핸들(3)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비틀림 스프링(35)의 휜쪽의 각편(脚片)(35b)의 복귀력을 받아서 조작핸들(3)은 통상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조작핸들(2)의 조작부(2A)를 도 18(a)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회전조작시키면, 요컨대 개구부(14) 내에 침입해 있는 돌기편(9)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칼라부(2c)가 개구부(32)의 회전방향 내측면에 접하여 조작핸들(3)을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시킨다. 이 때 조작핸들(2)에 장착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30)의 회전방향의 각편(30b)은 베이스블록 1A쪽에 설치된 대응하는 스토퍼(41A)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되고, 다른 쪽의 각편(30b)은 조작핸들(2)의 대응하는 스토퍼(36)의 누름압력을 받아 휘어지면서 안내부(42A) 위를 이동한다. 동시에, 조작핸들(3)에 장착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35)의 회전방향쪽의 각편(30b)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블록 1B 쪽에 설치된 대응하는 스토퍼(42B)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되고, 다른 쪽의 각편(35b)은 조작핸들(3)의 대응하는 스토퍼 (36)의 누름압력을 받아 휘어지면서 안내부(42B) 위를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핸들(2)을 조작력이 (ㄷ)의 위치에서 해제되면, 조작핸들(2)은 비틀림 스프링(30)의 휜쪽의 각편(35b)의 복원력을 받아, 조작핸들(2)은 통상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동시에, 조작핸들(3)도 비틀림 스프링(30)이 휜쪽의 각편(35b)의 복원력을 받아 통상위치로 복귀한다.
조작핸들(2)의 통상위치로부터 도 18(a)에 있어서 오른쪽의 회전은 조작부(2A)가 돌기편(9)에 닿아서 그 이상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조작핸들(2)의 칼라부(2c)의 단부가 개구부(32)의 회전방향 내면에 닿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므로 조작핸들(3)을 함께 회전 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핸들(2),(3)이 회전조작되면, 예를 들면 조작핸들(3)의 각 구멍(31a),(31b)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접점체(37)의 한 쪽의 가동접점(37A)이 조작핸들(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고정접점부(16A)의 고정접점(22a1∼22a3)과 고정접점(22c1, 22c2)의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 출력과, 다른 쪽의 가동접점(37B)이 고정접점부(16B)의 고정접점(23a1∼23a4)과 고정접점(23c1, 23c2)의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 출력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조작핸들(2)에서는 구멍(31c)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접점체(37)의 한 쪽의 가동접점(37A)이 조작핸들(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고정접점부(16A)의 고정접점(22a1∼22a3)과 고정접점(22c1, 22c2)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 출력과, 조작핸들(3)의 개구창(3d)에 끼워진 두꺼운 살 부(2d)의 고정접점부(16B) 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가동접점(37B)이 고정접점부(16B)의 고정접점(23a1∼23a4)과 고정접점(23c1),(23c2)의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출력을 발생하고, 더욱이 구멍(31d)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접점(37A)이 고정접점부(16A)의 고정접점(22b1)과 고정접점(22c1),(22c2)의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 출력과, 가동접점(37B)이 고정접점부(16B)의 고정접점(23b1)과 고정접점(23c1∼23c3) 사이를 단락 또는 개리한 스위치 출력을 발생한다.
이들 출력 단자군(4)에 의해서 구성되는 커넥터부(5)로부터 외부회로에 스위치 출력은 취출(取出)되고, 그 스위치 출력의 조합을 외부회로에서 판정하므로서, 조작핸들(2),(3)에 연동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a) 중 40은, 조작핸들(2)의 칼라부(2c)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필름형상의 방진시트이다.
이상, 조작핸들의 양측에 고정접점을 배설(配設)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조작핸들의 한 쪽만에 고정접점을 배설한 스위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며, 회로구성 등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윤활유로서 그리스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2개의 고정접점 사이를, 가동수단으로 유지되며, 고정접점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가동접점에 의해 단락·개리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접점의 접점면을 미소한 요철(凹凸)을 형성한 거친면으로 하였으므로, 거친면이 윤활유를 유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윤활성이 유지되며, 가동접점이 접점면을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나 상기와 같이 수지의 리브 위에 올라앉아서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도 마모되기 어렵게 되어, 그 때문에 금속분이나 수지분의 발생에 의한 고장 등의 발생도 적게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고정접점의 접점면을 가동접점이 미끄럼 접촉하는 경우, 거친면에 의해 가동접점체(37)가 접점면에 접촉시 유막을 끊기 쉽게 되어,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要部) 확대단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실시예의 하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5(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하면도이다.
도 5(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베이스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베이스블록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7(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7(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하면도이다.
도 7(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베이스블록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고정접점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고정접점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고정접점부의 안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8(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고정접점부의 일 측면도이다.
도 9(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9(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9(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안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일 측면도이다.
도 10(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조작핸들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조작핸들의 일 측면도이다.
도 10(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조작핸들의 하면도이다.
도 10(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조작핸들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0(e)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조작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 쪽의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조작핸들의 일 측면도이다.
도 12(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조작핸들의 하면도이다.
도 12(c)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조작핸들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d)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조작핸들의 상면도이다.
도 12(e)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조작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13(a)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쪽의 복귀용 비틀림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예의 가동접점체의 배치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예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과 리브의 관계설명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22 ... 고정접점 37 ... 가동접점체
50 ... 그리스 A ... 접점면

Claims (1)

  1. 2 개의 고정접점 사이를, 가동수단으로 유지되고, 고정접점 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가동접점에 의해 단락·개리(開離)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접점의 접점면을 미소한 요철을 형성한 거친면으로 함과 동시에, 거친면이 형성된 접점면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2-0033967A 2001-06-26 2002-06-18 스위치 KR100488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3795 2001-06-26
JP2001193795A JP4288871B2 (ja) 2001-06-26 2001-06-26 回転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66A KR20030001266A (ko) 2003-01-06
KR100488315B1 true KR100488315B1 (ko) 2005-05-10

Family

ID=1903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967A KR100488315B1 (ko) 2001-06-26 2002-06-18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4235B2 (ko)
JP (1) JP4288871B2 (ko)
KR (1) KR100488315B1 (ko)
CN (1) CN1212631C (ko)
DE (1) DE1022858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717B (fi) * 2001-12-13 2004-05-31 Outokumpu Oy Menetelmä tekstuuripinnalla varustetun yhdysterminaalin valmistamiseksi ja sen käyttö
JP2006092987A (ja) * 2004-09-27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
BRPI0515802A (pt) * 2005-01-31 2008-08-05 Honda Lock Kk dispositivo de chave giratória
JP2006310654A (ja) * 2005-04-28 2006-11-09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摺動式電子部品
US7997883B2 (en) * 2007-10-12 2011-08-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compressor with scroll deflection compensation
JP6180796B2 (ja) * 2013-05-31 2017-08-1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スイッチ
JP6367749B2 (ja) 2015-04-10 2018-08-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構造
CN105225890A (zh) * 2015-10-08 2016-01-06 常州市江浪铸造有限公司 防滑型保护器
TWI731558B (zh) * 2019-03-25 2021-06-21 日商阿爾卑斯阿爾派股份有限公司 可變電阻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9594A (en) * 1935-10-12 1939-08-15 Chicago Telephone Supply Co Electrical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827536A (en) * 1954-11-04 1958-03-18 Servomechanisms Inc Method of fabricating film resistor elements
US2876320A (en) * 1956-12-31 1959-03-03 Fairchild Camera Instr Co Wiper contact for variable resistance devices
DE1787292U (de) * 1957-10-08 1959-04-23 Alpha A G Werkstaette Fuer Ele Trennerkontakt.
US3553394A (en) * 1968-05-13 1971-01-05 Globe Union Inc Improved electric switch ceramic contact supporting member
US3758733A (en) * 1971-10-04 1973-09-11 Essex International Inc Ric material and conductive particles therein pressure sensitive stepping switches with multi layer spring contact assembly with interposed layers of lubricated non-conductive elastome
US4047984A (en) * 1975-11-17 1977-09-13 Caterpillar Tractor Co. Corpuscular energy beam produced microasperities
AT367565B (de) * 1980-09-25 1982-07-12 Sprecher & Schuh Ag Drehkontakt fuer elektrische schalter
US4590344A (en) * 1983-01-17 1986-05-20 Grayhill, Inc. Machine insertable DIP switch
DD221885A1 (de) * 1983-11-29 1985-05-02 Elektromasch Forsch Entw Elektrischer gleitkontakt, insbesondere fuer kommutierungssysteme
JPS6144741A (ja) 1984-08-10 1986-03-04 Bridgestone Corp 積層体の製造方法
JPH0214617A (ja) 1988-07-01 1990-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ウンタ装置
JPH03283211A (ja) 1990-03-29 1991-12-13 Seiko Instr Inc 電子機器のスイッチ
US5440087A (en) * 1994-01-03 1995-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 system for use with motor vehicle transmissions
US5554965A (en) * 1994-11-02 1996-09-10 The Erie Ceramic Arts Company Lubricated variable resistance control having resistive pads on conductive path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US6142018A (en) * 1997-11-10 2000-11-07 Cts Corporation Conductor burnishing
DE19882942T1 (de) * 1998-01-09 2000-11-30 Capax B V Regelwiderstand mit aus einem elastomeren Werkstoff hergestellten Schiebekontakt
JP2000188028A (ja) 1998-12-22 2000-07-04 Shibafu Engineering Kk 摺動接点装置及び接点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28589B4 (de) 2011-07-28
US6894235B2 (en) 2005-05-17
DE10228589A1 (de) 2003-01-09
JP2003016872A (ja) 2003-01-17
KR20030001266A (ko) 2003-01-06
CN1393894A (zh) 2003-01-29
CN1212631C (zh) 2005-07-27
JP4288871B2 (ja) 2009-07-01
US20030010612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315B1 (ko) 스위치
US4560223A (en) Self-cleaning tri-cusp signal contact
JP2005530622A (ja) 工作機械、特にフライス加工機
JP6634295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80061183A (ko) 부시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베어링 기구
JP6770998B2 (ja) 電気コネクタ
GB2233050A (en) Rectilinear slide ball bearing
KR980005127A (ko) 미끄럼동작 스위치의 접점구조
US5113047A (en) Pushbutton switch with wear preventing groove
WO2015174528A1 (ja) 運動装置
WO2003012960A3 (f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telle qu'un alternateur, adaptable a differents types de moteurs de vehicule automobile
JP2005259634A (ja) 回転型電気部品
JP6211793B2 (ja) 運動案内装置
JP4472967B2 (ja) 案内装置
JP4196011B2 (ja) サイドスタンドの位置検出装置
TWI681429B (zh) 開關
KR100274147B1 (ko) 가변 커패시터
US20180181160A1 (en) Lever device
KR100322776B1 (ko) 푸시버튼스위치
JP2004087341A (ja) 押釦スイッチ
JP4106904B2 (ja) 直動案内軸受装置のスライダー及び直動案内軸受装置
JP6403270B2 (ja) 節度機構
JP7029592B2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5302354A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
JP5851476B2 (ja) 転がり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